[go: up one dir, main page]

KR0141621B1 - 시트벨트의 버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의 버클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621B1
KR0141621B1 KR1019950029032A KR19950029032A KR0141621B1 KR 0141621 B1 KR0141621 B1 KR 0141621B1 KR 1019950029032 A KR1019950029032 A KR 1019950029032A KR 19950029032 A KR19950029032 A KR 19950029032A KR 0141621 B1 KR0141621 B1 KR 0141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uckle
belt
solenoid
roll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277A (ko
Inventor
전민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2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621B1/ko
Publication of KR97001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62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 장치인 시트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벨트의 착용시 버클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시트 벨트의 버클에 플레이트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시트 벨트의 착용시 가슴 벨트에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롤 스위치와, 상기 롤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시트 벨트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전/후진 구동되는 버클로 구성한 시트 벨트의 버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 벨트의 버클 제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벨트의 버클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시트벨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에 대한 요부 확대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B에 대한 요부 확대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벨트의 버클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슴벨트2 : 허리벨트
3 : 가슴 지지부4 : 리트랙터
5 : 플레이트6 : 내측 패널
7 : 스크류8 : B 필라
10 : 롤 스위치20 : 솔레노이드
30 : 버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장치인 시트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벨트의 착용시 버클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시트 벨트의 버클에 플레이트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 벨트의 버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벨트(Seat Belt)는 추돌이나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2점식, 3점식, 4점식이 있으며, 이것은 지지점의 수를 발하지만 안전성에서 볼 때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현재로는 3점식이 보통이며, 뒷좌석에도 시트 벨트가 부착된 차가 늘고 있고, 주행중에는 시트 벨트의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고속 주행시는 물론 시속 30 ∼ 40km/h의 충돌에서도 시트 벨트의 착용 유무에 따라 승객의 손상은 많은 차이가 있다.
상기 2점식 시트 벨트는, 시트 벨트로 허리 좌우에 2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랩 벨트(lap belt)라고도 하며, 랩(lap)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한다.
상기 3점식 시트 벨트는, 일반 승용차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시트 벨트로서 허리 좌우에 2점과 어깨 위쪽 1점에 고정시켜 3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이것은 허리를 구속하는 랩 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로 되어 있으며, 두가닥이 한 줄에 연결되어 있는 형식을 연속 3점식 시트 벨트, 따로 따로 분리되어 있는 타입을 분리 3점식 시트 벨트라고 부르고, 분리식은 랩 벨트만 장착할 수 있으며, 랩 벨트가 배에 걸리지 않고 골반에 고정되어야 하는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 벨트는 시트 벨트 장착시 손이 닫기 어려운 위치에 시트벨트의 버클이 위치해 있음으로써 버클에 플레이트를 삽입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시트 벨트의 착용이 불편하여 운전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시트 벨트의 착용시 버클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시트 벨트의 버클에 플레이트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시트 벨트의 버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 벨트의 착용시 가슴 밸트에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롤 스위치와, 상기 롤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시트 벨트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전/후진 구동되는 버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벨트의 버클 제어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벨트의 버클 장치가 적용된 시트벨트(100)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시트벨트(100)은 필라(8)의 내측 아래에서 상측으로 이어져 실내를 향하여 설치되면서 부호를 부여않은 시이트를 가로질러 측부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는 필라(8)의 내층에 형성된 리트랙터(4)로부터 가슴밸트(1)와 허리밸트(2)를 형성하며, 그 사이에 플레이트(5)를 장착한다. 그리고, 이 플레이트(5)는 시이트 측부 하측에 형성된 버클(30)에 록킹되어 운전자를 잡아준다.
본 실시예의 시이트밸트 제어장치는 상기 버클(30)과 연결되는 솔레노이드(2)와, 필라(8) 내측에 연결된 가슴밸크(1)에 롤스위치를 형성한다.
제 2 도는 제 1도의 A­A'에 대한 요부 확대도로서 상기 롤 스위치(10)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롤 스위치(10)는 필라(8)의 내측에 내측패널(6)사이에 스크류(7)로 장착되며 실내로부터 연장된 가슴밸트(1)와 접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슴밸트(1)가 잡아당겨지면 상기 롤 스위치(10)의 표면은 이와 접하여 마찰을 일으켜 롤링하여 전원을 제 1도의 솔레노이드(20)으로 인가시킨다.
제 3 도는 제 1도의 B에 대한 요부 확대도로서, 제 2도에서 롤스위치(10)에 의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솔레노이드(20)의 작동체가 팽창하여 버클(30)을 전진시키고, 플레이트(5)를 록킹시킨 후 다시 원상태로 후진시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벨트의 버클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 시트 벨트 버클 제어장치는 롤스위치(10)와 솔레노이드(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솔레노이드(20)의 작동체에 버클(30)을 연결하였다.
상기 롤스위치(10)는 회전축(11)에 감지센서(12)를 장착시키고, 상기 감지센서(12)를 비교기(14)의 비반전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비교기(14)의 출력단자를 스위칭소자(16)의 베이스단자에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스위칭소자(16)의 컬렉터단자는 외부전원과 풀업저항(RS)를 통하여 연결되고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20)는 상기 풀업저항(RS)을 거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롤스위치(10)가 회전하면, 회전축(11)로부터 감지센서(12)가 회전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비교기(14)의 비반전단자(+)에 입력시키면, 이 비교기(14)는 반전단자(­)로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하게 된다. 이 때에 상기 비교신호가 기준치보다 크면 출력단자에서 하이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스위청소자(16)은 턴­온되어 외부전원을 도통시키고 이로써 풀업저항(RS)를 거친 전원은 솔레노이드(20)으로 인하여 작동체를 팽창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 또는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이 자동차의 주행전에 안전을 위하여 시트 벨트를 착용하고자 가슴벨트 지지부(3)로부터 가슴벨트(1)를 잡아 당기면, 상기 가슴벨트(1)에 연동되어 롤 스위치(10)가 구동되고, 상기 롤 스위치(10)의 구동에 의해 솔레노이드(20)가 전진하게 됨으로써, 자동으로 솔레노이드(20)에 연결 구성된 시트 벨트의 버클(30)이 앞으로 전진되어, 사용자가 가슴 벨트(1)의 플레이트(5)를 상기 버클(3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트 벨트의 버클(30)에 가슴 벨트(1)의 플레이트(5)가 삽입되어 안정된 상태로 가슴 벨트(1)가 장착되면, 상기 버클(30)에 연결 구성된 솔레노이드(20)는 뒤로 후진되어 원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앞으로 전진된 버클(30)에 의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20)는 차내에 내장된 에어 백 시스템(Air Bag System)과 연결하여 급 정차시나 또는 자동차 충돌시 충격에 의해 상기 에어 백이 핑창 될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20)를 뒤로 후진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솔레노이드(20)에 연결 구성된 시트 벨트의 버클(30)을 뒤로 후진시켜 가슴 벨트(1)의 착용 상태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가 앞으로 튕겨져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 벨트의 착용시 버클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시트 벨트의 버클에 플레이트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시트 벨트의 착용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운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시트 벨트의 착용시 가슴 벨트에 연동되며 회전축에 감지센서(12)를 장착하고 이 감지센서(12)와 비교기(14)의 비반전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비교기(14)의 출력단자와 스위칭소자(16)의 베이스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스위칭소자(16)의 컬렉터단자에 외부전원을 풀업저항(RS)를 통해 연결하는 롤 스위치(10)와 ;
    상기 롤 스위치(10)의 스위칭소자(16)의 외부전원과 풀업저항(RS)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소자(16)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20)와;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20)의 구동에 의해 시트 벨트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전/후진 구동되는 버클(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벨트의 버클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스위치(10)는 필라(8) 내부의 내측 판넬(6)에 스크류(7)에 의해 장착되어, 가슴 벨트(1)에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벨트의 버클 제어 장치.
KR1019950029032A 1995-09-05 1995-09-05 시트벨트의 버클 제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0141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032A KR0141621B1 (ko) 1995-09-05 1995-09-05 시트벨트의 버클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032A KR0141621B1 (ko) 1995-09-05 1995-09-05 시트벨트의 버클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277A KR970015277A (ko) 1997-04-28
KR0141621B1 true KR0141621B1 (ko) 1998-06-01

Family

ID=1942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032A Expired - Fee Related KR0141621B1 (ko) 1995-09-05 1995-09-05 시트벨트의 버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6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277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1660B1 (en) Airbag apparatus , installed on a vehicle seatbelt
EP2047764B1 (en) Buckle-Tongue Arrangement for Seat Belt System
JP200526292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020030353A1 (en) Restraint belt
JPS6470246A (en) Safety device for user of central seat for automobile
KR0141621B1 (ko) 시트벨트의 버클 제어장치
JPH08183426A (ja)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駆動装置
US7159683B2 (en) Motor vehicle having an electric seat adjuster for a sea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18161974A (ja) 乗員保護装置
JP2003237520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3046783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20020055976A (ko) 자동차용 시트백 자동 조절 장치
JPH03193536A (ja) 自動車のシート構造
KR20016223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풀림 장치
JP2000168493A (ja) ベルトガスバッグを備える車輌乗員拘束システム
KR19990041280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장치
KR200180951Y1 (ko) 자동차용 패시브 시트 벨트
KR016025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자동높이조절장치
JP2018161977A (ja) 乗員保護装置
KR100251845B1 (ko) 시트벨트장치
KR200216014Y1 (ko) 버스 좌석용 안전보호장치
KR200152756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퍼 앵커 이동장치
KR0142252B1 (ko) 리어시트 벨트 체결 보조 장치
KR19980030326A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당김장치
JP2777533B2 (ja) 電動サイドサポート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103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1032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