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1293B1 -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 Google Patents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293B1
KR0141293B1 KR1019940040048A KR19940040048A KR0141293B1 KR 0141293 B1 KR0141293 B1 KR 0141293B1 KR 1019940040048 A KR1019940040048 A KR 1019940040048A KR 19940040048 A KR19940040048 A KR 19940040048A KR 0141293 B1 KR0141293 B1 KR 014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signal
output
data clock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40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28614A (en
Inventor
곽재봉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101994004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293B1/en
Publication of KR96002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6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29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데이타클럭신호 생성회로는 IOM2버스에서 제공되는 데이타클럭신호를 무선기지국과 핸드세트에서 이루어지는 ADPCM방식에 의한 음성정보처리에 적합한 신호로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회로는 프레임동기신호에 동기되어 클리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클리어신호 생성부 : 제 1 클리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클리어되고, 오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트하기 위한 제 1 카운터, 데이타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무선기 지국의 음성코딩 방식에서 처리하는 초당 최대 처리 비트수를 검출하는 검출부 : 검출부의 출력 신호에 동기되어 제 1 카운터에서 인가되는 데이타 클럭 신호의 1/4주기에 해당되는 값을 일시 저장하는 버퍼 : 데이타 클럭신호의 에지에서 클리어되어 오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클럭신호를 카운트하는 제 2 카운터 : 버퍼의 출력 신호와 제 2 카운터의 출력 값을 비교하는 비교기 : 데이타 클럭 신호의 에지신호와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조정된 데이타클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플립플롭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is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is for generating a data clock signal provided from the IOM2 bus to a signal suitable for voice information processing by the ADPCM method which is performed at the radio base station and the handset. To this end, the circuit comprises: a first clear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lear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 first counter for clearing the first clear signal generator and a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a data clock A detector which counts signals and detects the maximum number of processed bits per second to be processed by the voice coding method of the radio base station. Stored buffer: A second counter that is cleared at the edge of the data clock signal and counts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Comparator that compares the output signal of the buffer with the output value of the second counter. Flip-flop to generate the data clock signal adjusted by the output signal of It is configured to include.

Description

데이타클럭신호 생성회로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클럭신호 생성회로도이고,1 is a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회로도의 일부 동작타이밍도이다.FIG. 2 is a timing diagram of a part of the circuit diagram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IOM2버스 유니트 110 : 제 1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00: IOM2 bus unit 110: first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or

120 : 오실레이터 130 : 제 2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20: oscillator 130: secon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40 : 제 3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 150 : 카운트 수단140: thir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50: counting means

160 : 버퍼 170 : DCL검출부160: buffer 170: DCL detection unit

180 : 제 4 카운터 190 : 비교기180: fourth counter 190: comparator

200 : 플립플롭200: flip flop

본 발명은 덱트(DECT : Digital European Codeless Telecommunication)방식의 무선기지국과 종합정보통신망(ISDN) 교환기 간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덱트방식의 무선기지국내의 종합정보통신망 접속방식의 모듈러(ISDN Oriented Modulo : IOM2)버스에서 사용되는 데 이터클럭신호(DATA CLOCK : 이하 DCL이라 함)를 무선 기지국과 핸드세트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주기를 갖도록 생성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device between a DECT (Digital European Codeless Telecommunication) wireless base station and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 switch, and in particular, an ISDN Oriented Modulo It relates to a circuit for generating a data clock signal (DATA CLO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DCL) used in an IOM2 bus having a period suitable for use in a wireless base station and a handset.

덱트방식의 무선기지국은 유럽의 원격통신 표준위원회에서 규정한 개인 휴대통신방식을 채용한 고정국으로서, ISDN교환기와 핸드세트(또는 단말기)간의 통신을 위하여 IOM2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IOM2버스는 프레임동기신호(Frame SYNC : FSC), 데이타 클럭신호(Data Clock : DCL), 상향전송데이타(Data Up : DUP) 및 하향전송데이타(Data Down : DDP)로 구성되어 FSC는 125usec를 주기로 하여 클럭신호가 발생하고, DCL은 1프레임내에 192개의 클럭신호가 발생되도록 되어 있고, 데이타클럭 2개를 상향전송데이타, 하향전송데이타의 한 데이타전송에 사용하여 한 프레임내에서 96비트씩의 상하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Dect-based radio base stations are fixed stations that employ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defined by the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ttee, and use the IOM2 bus for communication between ISDN exchanges and handsets (or terminals). IOM2 bus is composed of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ame SYNC: FSC), data clock signal (Data Clock: DCL), uplink data (DUP) and downlink data (Data Down: DDP). The clock signal is generated, and the DCL generates 192 clock signals in one frame. Two data clocks are used for one data transmission of uplink data and downlink data. It is possible to send and receive.

이러한 IOM2버스는 ISDN교환기를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어, 음성정보 처리시 초당 64K비트가 전송되도록(ISDN교환기 에서는 펄스코드 변조(PCM)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처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데이터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기지국과 핸드세트간과 핸드세트내부에서는 적응펄스코드변조(Adaptive Pulse Code Modulation : ADPCM)방식에 의하여 초당 32K비트의 음성신호를 처리하도록 되어 있어 ISDN교환기에 비해 음성 신호를 2배 압축처리하므로 IOM2버스에서 제공되는 데이타클럭신호를 무선기지국과 핸드세트에 그대로 사용하는데에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These IOM2 buses are designed based on ISDN exchanges, which generate data clock signals so that 64K bits per second are transmitted when processing voice information (since ISDN exchanges process voice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PCM)). . However,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handset, and inside the handset, the IOM2 is compressed twice as much as the ISDN switch because it processes 32K bits per second by the adaptive pulse code modulation (ADPCM). It is difficult to use the data clock signal provided from the bus as it is for the radio base station and the handse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OM2버스에서 제공되는 데이타클럭신호를 무선기지국과 핸드세트에서 이루어지는 ADPCM방식에 의한 음성정보처리에 적합한 신호로 생성하기 위하여 IOM2버스에서 생성되는 데이타클럭신호를 2배 빠르게 생성하기 위한 데이타클럭신호 생성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data clock signal generated on the IOM2 bus twice as fast as a data clock signal provided on the IOM2 bus to a signal suitable for voice information processing by the ADPCM method performed at the wireless base station and the handset. To provide a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 또는 단말기와의 데이타 송수신을 위하여 프레임동기신호(FSC), 데이타 클럭신호(DLC)를 발생하는 종합정보 통신망 접속방식의 모듈러(IOM2)버스 유니트와 고주파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를 구비한 무선기지국에서 이루어 지는 음성코딩방식에 적합한 데이타클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 프레임동기신호와 오실레이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클리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클리어신호 생성부 : 제 1 클리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클리어되고, 오실 레이터에서 출력되는 클럭 신호를 카운트하기 위한 제 1 카운터 : 제 1클리어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클리어되고, 데이타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무선기지국의 음성코딩방식 에서 처리하는 초당 최대 처리 비트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 :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동기되어 제 1 카운터에서 인가되는 데이타 클럭신호의 1/4주기에 해당되는 값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 : 데이타 클럭신호의 에지에서 클리어 되어 오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클럭신호를 카운트하기 위한 제 2카운터 : 버퍼의 출력신호와 제 2카운터의 출력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값을 갖는 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비교기 : 데이타 클럭 신호에 대한 에지신호에 의하여 리세트되고, 비교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프리세트되어 음성코딩 방식에 적합하도록 조정된 데이타클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플립플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ar IOM2 connection system for generating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SC) and a data clock signal (DLC)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witch or terminal. A circuit for generating a data clock signal suitable for a voice coding method performed by a radio base station having a bus unit and an oscillator generating a high frequency clock signal, the signal synchronization being synchronized with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A first clear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lear signal: A first counter for counting clock signals cleared by the first clear signal generator and output from the oscillator: To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lear signal generator. Cleared by the user, counting the data clock signal, and the voice coding room of the wireless base st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maximum number of processing bits per second to be processed by the buffer: Temporarily storing a value corresponding to a quarter period of the data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count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A buffer of the data clock signal A second counter for counting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cleared at the edge and output from the oscillator. A comparator for detecting a point having the same value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buffer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cond counter. An edge signal for the data clock signal. And a flip-flop for generating a data clock signal, which is reset by and is adjusted by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and adjusted to be suitable for the voice coding scheme.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클럭신호 생성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IOM2버스 유니트(100), 오실레이터(120), IOM2버스 유니트(10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동기신호(FSC)와 오실레이터(12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클리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10), IOM2버스 유니트(10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 클럭신호(DCL)와 오실레이터(12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클리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30), 상기 데이타 클럭신호의 역상신호(/DCL)와 오실레이터(12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클리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3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30), 제 2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30)와 제 3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데이타 클럭신호(DCL) 또는 역상의 데이터 클럭신호(/DCL)의 폴링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에지검출부(G4). 제 1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클리어되고 오실레이터(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트수단(150), IOM2 버스 유니트(100)에서 출력되는 DCL신호를 카운트하여 32번째 DCL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DCL검출부(170), DCL 검출부(170)에서 동기되어 카운트수단(150)에서 카운트된 값중 DCL주기의 1/4주기에 해당되는 고주파 클럭신호의 갯수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160), 에지검출부(G4)에 의해 클리어 되어 오실레이터(12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클럭신호를 카운트하기 위한 제 4 카운터(180), 버퍼(160)에서 출력된 신호와 제 4 카운터(18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190). 비교기(19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프리세트(/PR)되고 에지검출부(G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리세트(/RESET)되어 조정된 DCL신호를 출력 하기 위한 플립플롭(200)으로 구성된다. 제 2도는 제 1도에 도시된 일부분의 동작 타이밍도이다.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SC and an oscillator output from an IOM2 bus unit 100, an oscillator 120, and an IOM2 bus unit 100. The first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10 and the data clock signal DCL output from the IOM2 bus unit 100 and the oscillator 120 to generate a clear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120. The secon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30 for generating a clear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to be clear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reverse phase signal (/ DCL) of the data clock signal and the oscillator 120 The data clock is generated by signals output from the thir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30, the secon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30, and the thir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40 for generating a signal. Signal (DCL) or the edge detection unit (G4) for detecting whether the polling of the reverse phase of the data clock signal (/ DCL). The counting means 150 for counting the signal cleared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ng unit 110 and output from the oscillator 120 and the DCL signal output from the IOM2 bus unit 100 are counted. To temporarily store the number of high frequency clock signals corresponding to a quarter cycle of the DCL cycle among the values counted by the DCL detector 170 and the DCL detector 170 to detect the 32nd DCL signal A fourth counter 180 for counting a high frequency clock signal cleared by the buffer 160 and an edge detector G4 and output from the oscillator 120, a signal output from the buffer 160, and a fourth counter 180. Comparator 190 for compar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 It is configured as a flip-flop 200 for outputting a DCL signal which is preset (/ PR)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190 and reset (/ RESET)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edge detector (G4) and adjusted. do. 2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a portion shown in FIG.

그러면 제 1도 및 제 2도를 결부시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하기로 한다.The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우선, IOM2버스 유니트(100)는 IOM2버스 마스터 콘트를러(101) 및 슬레이브 콘트를리(102)를 포함하고, 도시되지 않은 교환기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D채널과 B채널로 각기 분리 하여 도시되지 않은 단말기 또는 무선 기지국내의 다른 장치로 하향신호 처리할 수도 있고, 도시되지 않은 단말기 또는 무선기지국의 다른 장치로 부터의 데이타를 도시되지 않은 교환기로 상향신호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IOM2버스 유니트(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동기신호(이하 FSC라 함), 데이타 클럭신호(이하 DLC라 함), 상향 전송데이타(DUP) 및 하항 전송데이타(DOP)전송라인으로 구성된다.First, the IOM2 bus unit 100 includes an IOM2 bus master controller 101 and a slave controller 102, and separates data received from an exchanger, not shown, into D and B channels, respectively. Downlink processing may be performed to an unillustrated terminal or another device in a wireless base station, or data from a non-illustrated terminal or another device of a radio base station may be uplinked to a non-illustrated exchange. As described above, the IOM2 bus unit 100 include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FSC), a data clock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DLC), an uplink transmission data (DUP), and a downlink transmission data (DOP) transmission line. .

제 1 고속클리어(Fast-Clear)신호 생성부(110)는 3개의 D플립 플롭(111, 112, 113), 2개의 버퍼 (81, 82) 및 논리곱소자(G2)로 구성되어, IOM2버스 유니트(100)에서 출력되는 PSC신호와 후술할 오실레이터(12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후술할 카운트수단(150)과 DCL검출부(170)의 클리어신호로 생성한다.The first fast-clear signal generating unit 110 is composed of three D-flop flops 111, 112, and 113, two buffers 81 and 82, and an AND logic device G2, and an IOM2 bus. The PSC signal output from the unit 100 and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120 to be described later are generated as clear signals of the count means 150 and the DCL detector 170 to be described later.

즉, IOM2버스 유니트(100)의 데이터 전송이 시작되면서 발생되는 FSC신호는 입력단(D)과 프리세트단자(/PR)에 최고전위(Vcc)가 접속되어 있는 D플립플롭(111)의 클럭단자(CLK)로 인가된다. D플립플롭(1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125usec주기로 발생되는 FSC신호의 라이징에지(Riging Edge)에서 출력단자(Q)를 통해 하이논리신호를 출력하고 반전 출력 단자(/Q)로는 로우논리를 출력한다. D플립플롭(111)의 출력단자(Q)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다음단에 접속되어 있는 D플립플롭(112)의 입력단(D)으로 전송된다. D플립플롭(112)은 오실레이터(120)에서 출력되는 클럭 신호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되어 D입력단에 인가된 하이논리레벨을 다음단의 D플립플롭(113)의 입력단(D)으로 전송한다. D플립플롭(113) 역시 오실레이터(120)에서 출력되는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입력단(D)에 인가된 신호를 하이논리상태신호를 출력하나 여기서는 로우논리상태를 갖는 D플립플롭(113)의 반전 출력신호(/Q)만을 버퍼(B1)로 전송한다. 버퍼(B1)으로전송된 로우논리상태 신호는 버퍼(52)를 통해 논리곱소자(G1)의 일측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논리곱소자(G1)는 리세트(/RESET)신호와 버퍼(32)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여 D플립플롭(111,112, 113)을 동시에 리세트시킨다. 여기서 사용된 2개의 D플립플롭(112. 113) 및 버퍼 (B1. B2)들은 D플립플롭(111)이 FSC신호에 동기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운트수단(150) 및 DCL검출부(170)의 클리어신호를 출력한 다음, 리세트되는 시간을 지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후술한 카운트수단(150)과, DCL검출부(170)의 클리어신호로 제공되는 것은 D플립플롭 (111)의 반전출력신호(/Q) 이다.That is, the FSC signal generated when the data transfer of the IOM2 bus unit 100 starts is performed by the clock terminal of the D flip-flop 111 having the highest potential Vcc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D and the preset terminal / PR. Is applied to (CLK). The D flip-flop 111 outputs a high logic signal through the output terminal Q at the rising edge of the FSC signal generated at the 125usec cycle as described above, and outputs low logic to the inverted output terminal / Q. do.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Q of the D flip flop 111 is transmitted to the input terminal D of the D flip flop 112 connected to the next stage. The D flip-flop 112 transmits the high logic level applied to the D input terminal to the input terminal D of the next D flip flop 113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120. The D flip-flop 113 also outputs a high logic state signal for the signal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120, but here the inverted output of the D flip-flop 113 has a low logic state. Only the signal / Q is transmitted to the buffer B1. The low logic state signal transmitted to the buffer B1 is applied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logical multiplication device G1 through the buffer 52. The logical multiplication device G1 is a reset (/ RESET) signal and the buffer 32. Multiplying the output signal of < RTI ID = 0.0 >) < / RTI > The two D flip-flops 112. 113 and the buffers B1. B2 used here are cleared of the count means 150 and the DCL detector 170 as described above in which the D flip-flop 111 is synchronized with the FSC signal. After outputting the signal, the delay time is reset. Here, the inverted output signal (/ Q) of the D flip-flop 111 is provided as a clear signal of the counting means 150 and the DCL detector 170 described later.

오실레이터(120)는 고주파(High Frequency)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The oscillator 120 generates a high frequency clock signal and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ior art.

카운트수단(150)은 제 1 카운터(151)와 제 2 카운터(152)로 이루어져, 오실레이터 (120)에서 제 2 (A)도와 같이 제공되는 고주파 클럭신호(OSC)를 카운트하는 것으로, 제 1 고속클리어신호 생성부(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클리어상태가 제어된다. 즉, 제 1 , 2 카운터(151, 152)는 8비트 카운터로 구성되어, 제 2 카운터(152)의 최상위 출력 비트(Q7)를 제 1카운터(151)의 클럭 신호로 하여 오실레이터(120)로 부터 인가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트하는 것으로, 하나의 16비트 카운터로 대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운트된 값은 제 1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10)에서 제공되는 클리어신호에 의해 카운트된 값이 클리어되고, 카운트된 카운트된 값은 버퍼(160)로 전송된다.The counting means 150 includes a first counter 151 and a second counter 152, and counts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OSC provided by the oscillator 120 as shown in FIG. The clear state is controlled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clear signal generator 11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unters 151 and 152 are configured as 8-bit counters, and the oscillator 120 uses the most significant output bit Q7 of the second counter 152 as the clock signal of the first counter 151. By counting the clock signal applied from, it can be replaced by one 16-bit counter. The counted value is cleared by the clear signal provided by the first fast clear signal generator 110, and the count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buffer 160.

DCL 검출부(170)는 8비트 형태의 제 3 카운터(171), 다수의 인버터들(IN2 ~ 8)과는리곱소자(G5)로 구성되어 IOM2버스 유니트(100)로 부터 32번째 발생되는 DCL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32번째 발생되는 DCL을 검출하는 것은 현재 무선 기지국과 핸드세트에서 이루어지는 음성코딩 방식이 초당 32K비트의 데이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었기 때문이며, 무선 기지국과 핸드세트에서 이루어 지는 음성 코딩 방식이 초당 처리 비트가 변할 경우에 검출되는 DCL의 갯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The DCL detector 170 is composed of an 8-bit third counter 171, a plurality of inverters IN2 to 8, and a multiplier element G5 to generate a DCL generated from the IOM2 bus unit 100 for the 32nd time. To detect. In this case, the 32nd generation of DCL is detected because the current voice coding scheme used in the wireless base station and the handset is configured to transmit 32 K bits of data per second. The number of DCLs detected when the processing bits per second changes can be set differently.

즉, 제 3카운터(171)는 제 1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10)으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클리어상태가 제어되면서, IOM2버스 유니트(100)로 부터 출력되는 DCL를 카운트한다. 카운트된 결과값은 다음단에 접속되어 있는 인버터들(IN2 ~8)과 논리곱소자(G5)로 전송된다.That is, the third counter 171 counts the DCL output from the IOM2 bus unit 100 while the clear state is controlled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10. The counted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inverters IN2 to 8 and the logical multiplication device G5 connected to the next stage.

인버터들(IN2 ~ 8)과 논리곱소자(G5)는 제 3 카운터 (171)에서 출력되는 카운트값이 32가 될 때, 후술할 버퍼(160)의 클럭단자(CLK)로 하이논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논리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inverters IN2 to 8 and the logical product G5 output a high logic signal to the clock terminal CLK of the buffer 16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ount value output from the third counter 171 becomes 32. It is made up of logical structure.

버퍼(160)는 입력단(D0 ~ D7)중 D1 ~ D7입력단자는 카운트수단(150)내의 제 1 카운터 (151)의 Q0∼6출력 단자를 접속하고 D0입력단자는 제 2 카운터(152)의 Q7출력단자를 접속하고, 도시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부터 제공되는 리세트신호(/RESET)에 의하여 리세트되는 8비트 D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32번째 DCL이 발생된 시점에서의 카운트수단(150)에서 제공된 카운트값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뒤 후술할 비교기(190)의 일측 입력단(A)으로 전송한다. 이 때 카운트 수단(150)에서 제공되는 카운트값은 제 2(B) 도와 같이 인가되는 DCL의 1/4주기에 대응되는 고주파 클럭신호의 갯수가 된다.The buffer 160 is connected to the D1 to D7 input terminals of the input terminals D0 to D7 to the Q0 to 6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counter 151 in the counting means 150, and the D0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unter 152. 8-bit D flip-flop connected to the Q7 output terminal and reset by a reset signal (/ RESET) provided from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not shown). The count value provided by the means 150 is temporarily stored and then transmitted to one input terminal A of the comparator 19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count value provided by the counting means 150 is the number of high frequency clock signals corresponding to a quarter period of the DCL applied as the second (B) diagram.

한편, 제 2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30)는 상술한 제 1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IOM2버스 유니트(100)로 부터 출력되는 DCL신호에 대한 고속 클리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the second fast clear signal generator 13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fast clear signal generator 110 and generates the fast clear signal for the DCL signal output from the IOM2 bus unit 100. It is to.

즉, 클리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 2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30)는 IOM2버스 유니트(100)로 부터 DCL신호가 출력되면, D플립플롭(131)의 클럭단자(CLK)로 제공한다. D플립플롭(131)은 제 2(A)도와 같은 주기로 클럭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DCL신호의 라이징 에지에서 제 2(C) 도와 같은 하이논리레벨을 출력하고, 논리곱소자(G3)에 의하여 리세트된다. 논리곱소자(G3)는 도시되지 않은 CPU로 부터 제공되는 리세트신호(/RESET)와 오실레이터(130)에서 제 2(A) 도와 같이 발생되는 고주파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D플립플롭(131)에서 출력되는 신호(Q)를 2개의 D플립플롭(132, 133)과 버퍼(B3, B4)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신호를 논리곱한다. 여기서 사용된 D플립플롭의 갯수는 처리시간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D플립플롭(131)에서 출력되는 고속 클리어신호는 후술할 에지 검출부(G4)로 전송된다.That is, in order to generate the clear signal, the secon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30 provides the clock terminal CLK of the D flip-flop 131 when the DCL signal is output from the IOM2 bus unit 100. The D flip-flop 131 outputs a high logic level equal to the second (C) degree at the rising edge of the DCL signal applied through the clock terminal at the same period as the second (A) degree, and is returned by the logical product element G3. Is set. The logical multiplication device G3 generates a D flip-flop 131 in synchronization with a reset signal (/ RESET) provided from a CPU (not shown) and a high frequency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A) degree in the oscillator 130. The output signal Q is logically multiplied by the signal applied via the two D flip-flops 132 and 133 and the buffers B3 and B4. The number of D flip-flops used her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time, and the high speed clear signal output from the D flip-flop 131 is transmitted to the edge detector G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 3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40)는 상술한 제 1,2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10, 130)와 동일한 구조에 인버터(IN1)를 부가한 것으로 이루어져, 제 2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되는 클리어신호와 역상을 갖는 클리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2(A)도와 같은 DCL클럭신호가 IOM2버스 유니트(100)로 부터 인가되면, 인버터(IN1)를 통해 제 2(D) 도와 같이 반전시켜 D풀립플롭(141)의 클럭단자(CLK)로 전송한다. D플립플롭(141)은 제 2 (D)도와 같이 반전되어 인가되는 클럭 신호의 라이징에지에서 제 2(E)도와 같이 하이논리 레벨로 변환된 신호를 출력단자(Q)를 통해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는 상술한 고속 클리어 신호 생성부(110, 130)에서와 같이 다음단에 구비되어 있는 D플립플롭(142, 143)과 버퍼(B5. B6)를 경유하여 논리곱소자(G3)에서 CPU(도시되지 않음)로 부터 제공되는 리세트신호(/RESET)와 논리곱되어 제 3 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40)내의 D플립플롭(141, 142, 143)을 리세트(/RES)시킨다. D플립플롭(141)의 반전출력단(/Q)에서 출력되는 고속 클리어신호는 에지 검출부(G4)로 전송된다.The thir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40 is configured by adding the inverter IN1 to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and secon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s 110 and 130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secon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30. This is for generating a clear signal having a reverse phase with the clear signal generated in the < RTI ID = 0.0 > That is, when a DCL clock signal such as the second (A) diagram is applied from the IOM2 bus unit 100, the clock terminal CLK of the D pull-flop 141 is inverted through the inverter IN1 as shown in the second (D) diagram. To send). The D flip-flop 141 outputs the signal converted to the high logic level as shown in the second (E) at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verted and applied as shown in the second (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Q). The output signal is generated by the logical multiplication device G3 via the D flip-flops 142 and 143 and the buffers B5 and B6 provided at the next stage as in the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ng unit 110 and 130 described above. Logically multiplies the reset signal / RESET provided from the CPU (not shown) to reset the D flip-flops 141, 142, and 143 in the thir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ion unit 140. . The high speed clear signal output from the inverted output terminal / Q of the D flip-flop 141 is transmitted to the edge detector G4.

에지 검출부(04)는 논리합소자로 구성되어 제 2(C) 도와 같은 제 2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30)의 출력신호와 제 2(E) 도와 같은 제 3고속 클리어신호 생성부(140)의 출력신호를 논리합하여 제 2 (F)도와 같이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는 제4카운터(180)의 클리어단자(/CLR)와 후술할 플립플롭(200)의 리세트단자(/RES)로 전송된다.The edge detector 04 is composed of a logic element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or 130 such as the second (C) diagram and the third high speed clear signal generator 140 of the second (E) diagram. The output signal is logically summed and output as shown in the second (F) diagram. The out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lear terminal (/ CLR) of the fourth counter 180 and the reset terminal (/ RES) of the flip-flop 200 to be described later.

제 4 카운터(180)는 8비트 카운터로 구성되어 에지검출부(G4)에서 제 2(F)도와 같이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클리어상태가 제어되면, 오실레이터(120)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값은 8비트데이타로 출력한다. 출력되는 8비트 데이타는 비교기(190)의 일 측 입력단자(B)로 전송된다.The fourth counter 180 includes an 8-bit counter. When the clear state is controlled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edge detector G4 as shown in FIG. 2F, the fourth counter 180 counts the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120, and counts. The converted value is output as 8 bit data. The output 8-bit data is transmitted to one input terminal B of the comparator 190.

비교기(190)는 버퍼(160)로 부터 인가된 8비트 데이타값과 제 4 카운터(18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값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할 때 하이논리 레벨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제 2(H) 도와 같이 출력된다. 출력된 신호는 플립플롭(200)의 프리세트단자(/PR)로 전송된다.The comparator 190 compares the 8-bit data value applied from the buffer 160 with the data value output from the fourth counter 180 and outputs a high logic level when they match each other. The output is like a tile. The out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reset terminal (/ PR) of the flip-flop 200.

플립플롭(200)은 입력단자(D)와 클럭단자(CLK)에 최고전위(Vcc)를 접속한 D형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에지검출부(G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리세트되고, 비교기(19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프리세트되어 제 2(G)도와 같이 조정된 DCL신호를 출력한다 제 2(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플롭(200)에서 최종 출력되는 DCL신호는 초당 32K비트가 처리될 수 있도록 IOM2버스 유니트(100)에서 출력되는 제 3(8)도와 갛은 주기를 갖는 DCL보다 2배 빠르게 생성된다.The flip-flop 200 is composed of a D-type flip-flop having the highest potential Vcc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D and the clock terminal CLK, and reset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edge detector G4. A DCL signal preset by the signal output from 190 and adjusted as shown in FIG. 2G is output. As shown in FIG. 2G, the final DCL signal output from the flip-flop 200 is 32K per second. The bit is generated twice as fast as the third (8) degree output from the IOM2 bus unit 100 and a DCL having a red period so that the bit can be proces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OM2버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타클럭신호(DCL)의 주기를 2배 고속화하여 생성함으로써, 무선기지국과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음성코딩방식에 적합한 데이 타 클럭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ata clock signal suitable for the voice coding method used in the radio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by generating the data clock signal (DCL) used in the IOM2 bus by double the speed.

Claims (4)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 또는 단말기와의 데이타 송수신을 위하여 프레임동기신호(FSC), 데이타 클럭신호(DLC)를 발생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접속방식의 모듈러(IOM2)버스 유니트와 고주파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터를 구비한 무선기지국에서 이루어 지는 음성코딩방식에 적합한 데이타클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 상기 프레임동기신호와 상기 오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클리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클리어 신호 생성부 : 상기 제 1클리어신호 생성부에 의해 클리어되고, 상기 오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트하기 위한 제 1 카운터 : 상기 제 1 클리어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클리어되고, 상기 데이타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무선기지국의 상기 음성코딩 방식에서 처리하는 초당 최대 처리 비트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 : 상기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제 1카운터에서 인가되는 상기 데이타 클럭신호의 1/4주기에 해당되는 값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 : 상기 데이타 클럭신호의 에지에서 클리어되어 상기 오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상기 고주파 클럭신호를 카운트하기 위한 제 2카운터 : 상기 버퍼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 2카운터의 출력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값을 갖는 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비교기 : 상기 데이타 클럭신호에 대한 에지신호에 의하여 리세트되고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프리세트되어 상기 음성코딩 방식에 적합하도록 조정된 데이타클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플립플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클럭신호 생성회로.Comprehensive information network connection type modular (IOM2) bus unit for generating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SC) and data clock signal (DLC)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witch or terminal and an oscillator for generating a high frequency clock signal A circuit for generating a data clock signal suitable for a voice coding scheme performed at a wireless base station, the circuit comprising: a first clear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lear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A first counter cleared by the first clear signal generator and count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a first counter clear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lear signal generator, and counting the data clock signal In the voice coding scheme of the wireless base station.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maximum number of processing bits per second: A buffer for temporarily storing a value corresponding to a quarter period of the data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counter in synchronization with an output signal of the detector: The data clock signal A second counter for counting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cleared at the edge of the second oscillator; a comparator for detecting a point having the same value by comparing an output value of the buffer and an output value of the second counter: the data And a flip-flop for generating a data clock signal that is reset by an edge signal to a clock signal and preset by an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and adapted to fit the voice coding scheme. Circu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클럭신호 생성회로는 상기 IOM2버스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상기 데이타 클럭신호와 상기 오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상기 고주파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클리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클리어신호 생성부 : 상기 데이타 클럭신호의 역상신호와 상기 고주파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클리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3 클리어신호 생성부 : 상기 제 1 클리어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 2 클리어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에지 검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클럭신호 생성회로.2. The second clear signal generator of claim 1, wherein the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clear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ata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IOM2 bus unit and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A third clear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clear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an antiphase signal of the data clock signal and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performing a logical sum of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clear signal generator and the second clear signal generator And an edge detector for detecting the edg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서의 상기 초당 최대 처리 비트수는 32비트에 해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클럭신호 생성회로.The data clock signal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ximum number of processed bits per second in the detector corresponds to 32 bit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은 데이타 입력단과 클럭신호 입력단자에 최고 전위를 고정 접속한 D형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클럭신호 생성회로.3. The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lip-flop is a D-type flip flop fixedly connected to a data input terminal and a clock signal input terminal.
KR1019940040048A 1994-12-30 1994-12-30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Expired - Fee Related KR01412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048A KR0141293B1 (en) 1994-12-30 1994-12-30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048A KR0141293B1 (en) 1994-12-30 1994-12-30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614A KR960028614A (en) 1996-07-22
KR0141293B1 true KR0141293B1 (en) 1998-08-17

Family

ID=1940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40048A Expired - Fee Related KR0141293B1 (en) 1994-12-30 1994-12-30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29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614A (en)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T58172A (en) Synchronizing process for wireless systems
WO1998015084A1 (en) Synchronization in tdma systems in a non-real-time fashion
FI92359B (en) A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ensuring bit synchronization of a data sequence at a receiver
IT1253991B (en) METHOD OF MANAGEMENT OF RADIO-TELEPHONE MESSAGES ISSUED AT LOW POWER.
EP0375361B1 (en) Duplex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JP2985773B2 (en) Synchronizer between wireless base stations
JPH09181697A (en) Byte alignment and frame synchronizer
KR910000696B1 (en) Digit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having frame synchronization operation
KR0141293B1 (en)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CA2143930A1 (en)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KR0141301B1 (en) Phase-adjustable data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EP0210799A2 (en) Access port clock synchronizer
US4191849A (en) Data synchronization circuit
CA1205586A (en) Apparatus for receiving high-speed data in packet form
JP2001127744A (en) Device and method for start-stop synchronous data communication
US5260977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0131552B1 (en) Circuit to delay a data clock signal
KR0134481B1 (en) Error detection and display circuit of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KR100208932B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a circuit switching function by using signal bit in digital networking system
KR100582568B1 (en) Synchronous Control Unit of Dect System
JP2002237807A (en) Frame synchronous signal detecting system
KR0141296B1 (en) Data clock signal generator of dec base station
KR19990043119A (en) Clock generator of data communication channel
KR100198315B1 (en)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ng device for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KR0131553B1 (en) Frame Sync Reset Signal Genera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3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32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