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1198B1 -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198B1
KR0141198B1 KR1019940010350A KR19940010350A KR0141198B1 KR 0141198 B1 KR0141198 B1 KR 0141198B1 KR 1019940010350 A KR1019940010350 A KR 1019940010350A KR 19940010350 A KR19940010350 A KR 19940010350A KR 0141198 B1 KR0141198 B1 KR 014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data
unit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200A (ko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10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198B1/ko
Publication of KR95003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6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481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optimisa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탈 형태로 1차 복원된 신호로부터 직접 클럭신호를 복원한 후, 복원된 클럭신호를 다시 자동전위제어부에 귀환시켜 진폭변화가 심한 재생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재생함으로써, 최적의 데이타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재생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를 출력하는 진폭제어부와, 상기 진폭제어부로부터 인가된 동위상의 신호로부터 소정레벨 이상의 전위만을 검출하고 상기 진폭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역위상의 신호로부터 소정레벨 이상의 전위만을 검출하는 전위검출부와, 상기 전위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를 조합하여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 형태로 복원하는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와,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인가받아 재생 클럭신호를 검출하는 클럭재생부와,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인가받고, 상기 클럭재생부로부터 재생클럭을 인가받아 디지탈 데이타를 재생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자동전위 제어부를 통하여 입력신호의 진폭에 대응하는 적정전위를 설정하여 정확한 데이타의 검출이 가능하고, 복원된 데이타에서 재생클럭을 추출하여 이를 이용하여 자동전위 제어량을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클럭을 확보할 수 있어, 데이타 복원에 대한 비트에러율을 개선할 수 있다. 이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탈 데이타를 재생하는 모든 장치에 사용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제1도는 종래의 데이타 복원장치의 개략적 블럭도,
제2도의 (a)~(g)는 제1도에 도시된 각부 파형도,
제3도는 복합신호와 파일럿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
제4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의 개략적 블럭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전위검출부의 상세 블럭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자동전위 제어부의 상세 회로도,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의 상세 회로도,
제8도는 제4도에 도시된 각부 파형도,
제9도는 제6도에 도시된 각부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재생헤드 11:비데오 테이프
12:재생증폭부 13:재생 이퀄라이저
14:진폭제어부 15:비반전 진폭제어기
16:반전 진폭제어기 17:전압비교부
18,19,28,29:비교기 20:데이타 복원부
21:데이타-클럭 동기부 22:필터부
23:클럭재생부 24:전위검출부
25: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 26: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
27:자동전위 제어부 30:제1지연기
31:제2지연기 32,33:앤드게이트
34:스위치 35:적분부
35a:반파정류회로 35b:적분회로
36,37:증폭기 38:이득조정부
Vcc:정전압 Q1:스위칭용 트랜지스터
R1~R4:저항 VR:가변저항
C1:컨덴서
이 발명은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기록/재생 또는 송/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지탈 형태로 1차복원된 신호로부터 직접 클럭신호를 복원한 후, 복원된 클럭신호를 다시 자동전위 제어부에 귀환시켜 진폭변화가 심한 재생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재생함으로써, 최적의 데이타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타 복원장치라 함은 디지탈 형태로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경우 재생데이타가 원래의 데이타와 동일하게 복원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데이타 복원장치에 대하여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데이타 복원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인 바, 제생헤드(10)는 비데오 테이프(11)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탈 정보를 재생하여 재생증폭부(12)에 출력한다. 이때, 비데오 테이프(11)로부터 재생된 디지탈 정보에는 복합신호(영상신호+음성신호)와 파일럿(Pilot)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재생증폭부(11)는 재생헤드(10)에 의해 재생된 디지탈 정보를 신호처리할 수 있는 적합한 크기로 증폭시킨다. 즉, 비데오 테이프(11)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경우, 재생된 신호의 크기가 원신호의 크기보다 작아져서 신호처리하기에 부적합하므로, 이를 일정한 크기로 증폭시킨 후 신호처리하면 원신호에 가까운 상태로 재생할 수 있다.
재생 이퀄라이저(Equalizer:13)는 재생증폭부(12)에서 출력된 재생신호를 인가받아 재생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보상한 후, 진폭제어부(14)에 출력한다.
진폭제어부(14)는 비반전 진폭제어기(15)와 반전 진폭제어기(16)로 구성되어, 재생 이퀄라이저(13)로부터 재생신호를 인가받아 동위상과역위상으로 진폭조절한 후, 전압비교부(17)에 출력한다.
전압비교부(17)는 두개의 비교기(18), (19)로, 구성되어, 진폭제어부(14)에 의해 진폭조절된 재생신호중 기준전압(±ref)크기 이상인 부분의 신호만을 구형파로 변환하여 데이타 복원부(20)에 출력한다.
데이타 복원부(20)는 전압비교부(17)에서 인가된 구형파를 조합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복원한 후, 데이타-클럭 동기부(21)에 출력한다.
한편, 재생증폭부(12)에서 출력된 재생신호(복합신호+파일럿신호)는 재생 이퀄라이저(13)와 함께 필터부(22)에도 인가되는데, 필터부(22)는 데이타를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 디지탈 데이타와 함께 기록되어 있던 저주파수의 파이럿 신호를 필터링한 후, 클럭재생부(23)에 출력한다.
클럭재생부(23)는 필터부(22)로부터 저주파수의 파일럿 신호를 인가받아 클럭신호를 복원하여 데이타-클럭 동기부(21)에 출력한다.
데이타-클럭 동기부(21)는 데이타 복원부(20)로 부터 데이타를 인가받고, 클럭재생부(23)를 통하여 재생된 클럭신호를 동시에인가받아 클럭신호와 동기된 데이타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데이타 복원장치에 대하여 제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비데오 테이프(10)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탈신호(제2도의 (a)참조)는 재생헤드(10)에 의해 재생되어 재생증폭부(12)에 의해 증폭되고, 재생 이퀄라이저(13)는 재생증폭부(12)에 의해 증폭된 재생신호(복합신호+파일럿 신호)를 인가받아 주파수를 보상하여 출력한다.
재생 이퀄라이저(13)에 의해 주파수가 보상된 재생신호는 진폭제어부(14)내에 구성된 비반전 진폭제어기(15)와 반전 진폭제어기(16)에 각각 인가되어 비반전 진폭제어기(15)를 통하여 동위상으로 진폭조절되고, 반전 진폭제어기(16)를 통하여 역위상으로 진폭조절되며, 이렇게 진폭조절된 각각의 재생신호는 전압비교부(17)내에 구성된 비교기(18), (19)의 비반전단(+)에 각각 인가된다.
한편, 비교기(18), (19)의 반전단(-)에는 기준전압이 인가되는데, 이때 각각의 비교기(18), (19)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은 미리 설정된 고정된 전압값이며, 그 값은 각각 +Vref와 -Vref이다(제2도의 (b)및 (c)참조).
비교기(18)는 진폭제어부(14)에서 출력된 동위상의 재생신호와 기준전압(+Vref)을 비교한 후 그 결과를 출력하고, 비교기(19)는 진폭제어부(14)에서 출력된 역위상의 재생신호와 기준전압(-Vref)을 비교한 후 그 결과를 출력하는데, 이때, 비교기(18)를 통하여 비반전 진폭제어기(15)에서 출력된 값과 기준전압(+Vref)을 비교한 결과는 제2도의 (d)에 도시된 바와 같고, 비교기(19)를 통하여 반전 진폭제어기(16)에서 출력된 값과 기준전압(-Vref)을 비교한 결과는 제2도의 (e)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2도의 (d)및 (e)에 되시된 바와 같은 비교기(18), (19)의 출력은 데이타 복원부(20)에 각각 인가되고, 데이타 복원부(20)는 각각의 비교기(18), (19)에서 출력된 출력파형을 조합하여 제2도의 (f)의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탈 데이타로 복원한 후, 데이타-클럭 동기부(21)에 출력한다.
한편, 재생증폭부(12)에서 출력된 재생신호(복합신호+파일럿신호)는 필터부(22)에 동시 인가되고, 필터부(22)는 인가된 재생신호중 파일럿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파일럿 신호를 클럭재생부(23)에 출력한다.
클럭재생부(23)는 필터부(22)로부터 인가되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클럭신호를 재생한 후 데이타-클럭 동기부(21)에 출력하고, 데이타-클럭 동기부(21)는 데이타 복원부(20)로 부터 인가된 재생신호와 클럭재생부(23)로부터 인가된 클럭신호를 동기시켜 출력함으로써, 유저는 비데오 테이프(11)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제2도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복원부(20)에서 출력된 각각의 데이타에 따른 딜레이시간(T1~T4)간에 서로 차이가 발생하여, 클럭재생부(23)에서 재생한 클럭신호와 동기시켜 출력하는 경우, 제2도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된 데이타가 비데오 테이프(11)에 기록되어 있던 원데이타와 상이한 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T1~T4중 어느 하나의 주기를 선택하여 선택된 주기만큼을 그룹딜레이(Group Delay)시키는 경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기는 원데이타와 동일하게 재생할수 있으나, 나머지 주기는 원데이타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데이타가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전압비교부에서 비교하기 위한 기준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진폭으로 재생되는 재생신호에 대하여 각각의 딜레이주기가 서로 상이하게 발생되어 결국 비트에러율(Bit Error Rate:BER)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럭재생을 위한 파일럿 신호를 데이타에 실어 기록함으로써, 파일럿 신호에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제2,제3고조파(제3도 참조)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어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경우, 완전한 클럭신호를 재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재생신호의 전위레벨을 연산하여 적정전위를 설정함으로써, 전폭이 다양한 데이타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원데이타와 동일한 재생데이타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재생데이타에서 직접 재생클럭을 추출하여 이것을 이용하여 자동전위제어량을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클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의 특징은, 기록매체에 디지탈형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여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를 복원하는 데이타 복원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재생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를 출력하는 진폭제어부와; 상기 진폭제어부로부터 인가된 동위상신호로부터 소정레벨 이상의 피크점을 검출하고, 상기 진폭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역위상신호로부터 소정레벨 이상의 피크점을 검출하는 전위검출부와; 상기 전위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를 조합하여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 형태로 복원하는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와;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인가받아 재생클럭신호를 검출하는 클럭재생부와;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인가받고, 상기 클럭재생부로부터 재생클럭을 인가받아 디지탈 데이타를 재생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이 발명에서 진폭제어부는 차동증폭기로 구성하여 각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의 출력이득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위검출부는 사익 전폭제어부로부터 인가된 동위상 및 역이상신호의 진폭에 맞춰 기준전위를 설정하는 자동전위 제어부와, 상기 자동전위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위를 인가받고 상기 진폭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인가된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중 상기 기준전위 이상인 영역만을 구형파로 출력시키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동위상신호에 해당하는 구형파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제1지연기와, 상기 동위상신호에 해당하는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1지연기의 출력을 논리곱연산하는 제1앤드게이트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역위상신호에 해당하는 구형파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제2지연기와, 사이 역위상신호에 해당하는 비교기의출력과 상기 제2지연기의 출력을 논리곱 연산하는 제2앤드게이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동전위 제어부는 상기 진폭제어부로부터 인가된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의 진폭을 평가하는 적분기와, 상기 클럭재생부로부터 인가된 클럭신호에 의해 상기 진폭제어부와 상기 적분기사이를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적분기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적정이득으로 조정한 후 상기 비교기의 기준전위로 인가하는 이득조정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분기는 재생신호중 그라운드 레벨 이상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반파정류회로와, 이 반파정류회로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는 상기 제1및 제2앤드게이트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를 통하여 반전된 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로 복원하는 디-플립플롭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는 상기 제1및 제2앤드게이트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논리합 연산하는 오아게이트와, 상기 오아게이트를 통하여 논리합 연산된 신호를 클럭신호 입력단으로 인가받고 상기 제1및 제2앤드게이트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로 복원하는 제이케이-플립플롭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럭재생부는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로부터 인가된 디지탈 신호를 이용하여 클럭을 재생한 후, 이 클럭신호를 상기 자동전위 제어부의 스위치로 인가하여 스위칭 시간을 조절하고, 상기 클럭신호를 상기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에 출력하여 데이타와 동기되는 클럭신호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는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로부터 인가된 디지탈 데이타와 상기 클럭재생부로부터 인가된 클럭신호를 동기시켜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인 바, 제4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발명의 필수적인 부품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4도를 보면, 전폭제어부(14)는 제1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생 이퀄라이저(13)로 부터 재생신호를 인가받아 동위상과 역위상으로 진폭조절한 후, 전위검출부(24)에 출력한다.
전위검출부(24)는 진폭제어부(14)로부터 인가된 동위상과 역위상신호를 인가받아 그라운드 레벨 이상의 전위만을 검출한 후,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4)에 출력한다.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5)는 전위검출부(24)로 부터 인가된 그라운드 레벨 이상의 신호를 조합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복원한 후, 클럭재생부(23)와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26)에 동시 출력한다.
클럭재생부(23)는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5)에서 검출된 데이타를 신호원으로 하여 재생클럭을 복원한 후 이 재생클럭을 전위검출부(24)와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26)로 출력한다.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26)는 클럭재생부(23)로부터 인가된 재생클럭과,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5)로부터 인가된 재생데이타를 동기시켜 원데이타와 동일한 재생데이타를 출력한다.
한편, 제5도를 참조하여 전위검출부(24)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자동전위 제어부(27)는 진폭제어부(14)로부터 인가된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의 레벨을 연산하여 기준전위(Reference Voltage)를 결정하고, 이 기준전위를 비교기(28), (29)의 반전단(-)에 인가한다.
비교기(28), (29)는 진폭제어부(14)로부터 인가된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와, 자동전위 제어부(27)로부터 인가된 기준전위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구형파를 제 1, 제2 지연기(30), (31)에 출력한다.
제1, 제2 지연기(30), (31)는 두개의 비교기(28), (29)로부터 인가된 구형파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킨 후, 두개의 앤드게이트(32), (33)에 각각 출력한다.
두개의 내드게이트(32), (33)는 두개의 비교기(28), (29)로부터 인가된 구형파와, 제1,제2 지연기(30), (31)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지연된 구형파를 논리곰연산한 후,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5)에 출력한다.
한편 제6도를 참조하여 자동전위 제어부(27)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스위치(34)는 클럭재생부(23)로부터 인가된 클럭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진폭제어부(14)로부터 인가된 재생데이타가 적분기(35)에 인가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적분기(35)는 두개의 증폭기(36), (37)와 두개의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된 반파정류회로(35a)와, 다수의 저항(R1∼R4), 컨덴서(C1) 및 트랜지스터(Q1)으로 이루어진 적분회로(35b)로 구성되어 반파정류회로(35a)를 통하여 인가된 신호중 그라운드 레벨 이상의 전위를 갖는 신호만을 검출한 후, 이 신호를 적분회로(35b)에서 적정전위로 적분하여 이 결과를 이득조정기(38)에 출력한다.
이득조정기(38)는 가변저항(VR)로 구성되며, 적분기(35)의 출력을 인가받아 적정이득으로 조정한 후, 두개의 비교기(38), (39)에 출력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를 일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데오테이프(11)에 기록된 디지탈 신호제8도의 (a) 참조는 재생헤드(10)에서 재생된 후, 재생증폭부(12)에 인가되고, 재생증폭부(12)는 인가된 재생신호(복합신호+파일럿신호)를 증폭하여 재생 이퀄라이저(13)에 출력한다.
즉, 비데오테이프(11)에 기록된 디지탈 형태의 데이타를 재생하는 경우, 기록매체의 특성상 각 디지탈 데이타의 반전구간(Transistion Point)에서 진폭이 위 또는 아래로 치우친 아날로그 형태에 가까운 파형으로 변환된다.
재생 이퀄라이저(13)는 재생증폭부(12)에 의해 증폭된 재생신호의 각 주파수 특성을 보상한 후, 진폭제어부(14)에 출력한다. 이 경우, 재생 이퀄라이저(13)에 의해 주파수 특성이 보상된다 하더라도, 각 주파수의 피크치 크기는 서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진폭제어부(14: 예를 들어,자동증폭기)는 재생 이퀄라이저(13)로부터 재생신호를 인가받아 동위상과 역위상으로 진폭조절되어 적절한 크기의 동위상제8도의 (b) 참조과 역위상(제8도의 (c) 참조)으로 변환한 후, 전위검출부(24)내의 비교기(28), (29)와 자동전위 제어부(27)로 출력한다.
한편, 자동전위 제어부(27)에 인가된 재생신호는 스위치(34)에 의해 적분부(35)로 인가되는 것이 스위칭인데,이때 스위치(34)는 클럭재생부(23)로부터 인가된 클럭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치(34)에 의해 스위칭된 후 적분기(35)에 인가된 재생신호제9도의 (a) 및 (b) 참조는 증폭기(36), (37)와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된 반파정류회로(35a)를 통하여 재생신호중 그라운드 레벨 이상의 신호만이 통과된 후(제9도의 (c) 및 (d)참조), 트랜지스터(Q1)와 다수의 저항(R1∼R4) 및 컨덴서(C1)로 이루어진 적분회로(35b)를 통하여 적분된 후제9도의 (e) 참조 이득조정기(38)에 인가된다.
이득조정기(38: 일례로, 가변저항)는 적분기(35)로부터 인가된 재생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이 결과를 비교기(28), (29)의 반전단(-)에 인가한다. 즉, 이득조정기(38)는 적분기 출력(제9도의 (e) 참조)의 전체 직류전압 레벨을 제어한다.
비교기(36), (37)는 진폭제어부(14)에서 인가되는 동위상과 역위상의 차동증폭출력을 자동전위 제어부(27)로부터 인가된 기준전위에 맞추어 비교한 후, 그 기준전위이상의 구간만을 구형파로 출력시키고(제8도의 (d) 및 (e) 참조), 두개의 지연기(30), (31)를 통하여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제8도의 (f) 및 (g) 참조) 두개의 앤드게이트(32), (33)를 통하여 앞서 언급한 구형파 출력(8도의 (d) 및 (e) 참조)과 지연된 구형파(제8도의 (f) 및 (g) 참조)를 논리곱연산한다(제8도의 (h) 및 (i) 참조)
이때, 제8도의 (h) 및 (i)에 도시된 파형중 상승 에지부분(↑)이 재생파형의 피크점, 즉 기록데이타의 반전시점이 된다.
따라서, 피크 검출부(24)의 최종출력인 제8도의 (h) 및 (i)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은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5)에 인가되고,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5)는 인가된 구형파(제8도의 (h) 및 (i) 참조) 적절한 논리신호로 변환한 후 본래의 디지탈 데이타로 복원시킨다(8도의 (j) 참조). 이때,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5)는 제 7도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립플롬(Flip Flop)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복원된 디지탈 데이타가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5)의 출력이 되고, 클럭재생부(23)는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5)이 출력파형을 이용하여 재생 클럭신호를 만든 후, 이 재생 클럭신호를 각각 자동전위 제어부(27)와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6)로 출력한다.
여기서, 클럭재생부(23)는 공지된 위상동기회로(Phase Locked Loop)등으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언급은 생략한다.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26)는 클럭재생부(23)로부터 인가된 클럭신호와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25)로부터 인가된 디지탈 데이타를 인가받아 재생클럭과 동기된 데이타를 출력시킨다. 이때,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26)는 D형 플립플롭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8도의 (a)∼(j)에서 상세히 언급한 바와 같이, 비데오 테이프(11)로부터 검출된 디지탈 데이타(제8도의 (a) 참조)와 전위검출부(24)에 의해 신호처리된 디지탈 데이타(제8도의 (j) 참조)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가 정확하게 복원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에 의하면, 자동전위 제어부를 통하여 입력신호의 진폭에 대응하는 적정전위를 설정하여 정확한 데이타의 검출이 가능하고, 복원된 데이타에서 재생클럭을 추출하여 이를 이용하여 자동전위 제어량을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클럭을 확보할 수 잇어, 데이타 복원에 대한 비트에러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기록매체에 디지탈 형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여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를 복원하는 데이타 복원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재생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를 출력하는 진폭제어부와; 상기 진폭제어부로부터 인가된 동위상신호로부터 소정레벨 이상의 피크점을 검출하고, 상기 진폭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역위상신호로부터 소정레벨 이상의 피크점을 검출하는 전위검출부와; 상기 전위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소정레벨 이상의 신호를 조합하여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 형태로 복원하는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와;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인가받아 재생 클럭신호를 검출하는 클럭재생부와;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인가받고, 상기 클럭재생부로부터 재생클럭을 인가받아 디지탈 데이타를 재생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를 구비하는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제어부는, 차동증폭기로 구성되어 각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의 출력이득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검출부는, 상기 진폭제어부로부터 인가된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의 진폭에 맞춰 기준전위를 설정하는 자동전위 제어부와; 상기 자동전위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위를 인가받고, 상기 진폭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인가된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중 상기 기준전위 이상인 영역만을 구형파로 출력시키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동위상신호에 해당하는 구형파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제 1지연기와; 상기 동위상신호에 해당하는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 1지연기의 출력을 논리곱연산하는 제 1앤드게이트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역위상신호에 해당하는 구형파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제 2지연기와; 상기 역위상신호에 해당하는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 2지연기의 출력을 논리곱연산하는 제 2앤드게이트로 구성되는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전위제어부는, 상기 진폭제어부로부터 인가된 동위상 및 역위상신호의 진폭을 평가하는 적분기와; 상기 클럭재생부로부터 인가된 클럭신호에 의해 상기 진폭제어부와 상기 적분기사이를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적분기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적정이득으로 조정한 후 상기 비교기의 기준전위를 인가하는 이득조정기로 구성되는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기는, 재생신호중 그라운드 레벨이상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반파정류회로와, 상기 반파정류회로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로 구성되는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는, 상기 제1 및 제 앤드게이트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반전시기키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를 통하여 반전된 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로 복원하는 디-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는, 상기제 1 및 제2앤드게이트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논리할 연산하는 오아게이트와; 상기 오아게이트를 통하여 논리합 연산된 신호를 클럭신호 입력단으로 인가받고, 상기 제1 및 제2앤드게이트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로 복원하는 제이케이-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재생부는,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로부터 인가된 디지탈 신호를 이용하여 클럭을 재생한 후, 이 클럭신호를 상기 자동전위 제어부의 스위치로 인가하여 스위칭 시간을 조절하고, 상기 클럭신호를 상기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에 출력하여 데이타와 동기되는 클럭신호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동기 데이타 검출부는,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상기 클럭-비동기 데이타 검출부로부터 인가된 디지탈 데이타와 상기 클럭재생부로부터 인가된 클럭신호를 동기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KR1019940010350A 1994-05-12 1994-05-12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KR014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350A KR0141198B1 (ko) 1994-05-12 1994-05-12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350A KR0141198B1 (ko) 1994-05-12 1994-05-12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200A KR950034200A (ko) 1995-12-26
KR0141198B1 true KR0141198B1 (ko) 1998-07-15

Family

ID=1938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350A KR0141198B1 (ko) 1994-05-12 1994-05-12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1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200A (ko) 199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7036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data acquisition circuit of a PCM processor and a method for improving waveform of PCM signal eye pattern
US5448424A (en) AGC circuit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GC circuit
US5548570A (en) Optical reproducing circuit having, a binarized signal pulse compensation circuit
JP2852165B2 (ja) ディジタル磁気記録再生装置のピックアップ信号補正装置
EP0414548A2 (en) Low frequency restorer
US4724496A (en) Peak detector for magnetically recorded binary signal
KR0141198B1 (ko) 자동전위제어에 의한 데이타 복원장치
EP0530776B1 (en) Timing recovering apparatus
US5576842A (en) Data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for use in a digital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KR100213032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에서 디지탈 신호 검출 장치
KR940003664B1 (ko) 디지틀 신호 검출장치
US6278749B1 (en) Data detector and method for detecting data
JP2763454B2 (ja) データ検出装置
KR0183685B1 (ko)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
JPH07296524A (ja) デイ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KR940008735B1 (ko) 디지탈 신호의 검출 시스템
KR100198529B1 (ko) 다중기록모드의 재생클럭 복원장치
JPS63234451A (ja) ドロツプアウト検出回路
KR100197095B1 (ko) 디지탈 신호의 자기기록 재생장치
JPS6340385B2 (ko)
KR0139126B1 (ko) 디지탈브이씨알의 동기클럭 안정화장치
JPH0258706A (ja) イコライザ特性補正方式
JPS60216627A (ja) デジタルデ−タ生成装置
JPH09102172A (ja) 磁気再生装置
KR980011294A (ko) 디지탈 데이타 복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51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405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