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0804B1 -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804B1
KR0140804B1 KR1019940035115A KR19940035115A KR0140804B1 KR 0140804 B1 KR0140804 B1 KR 0140804B1 KR 1019940035115 A KR1019940035115 A KR 1019940035115A KR 19940035115 A KR19940035115 A KR 19940035115A KR 0140804 B1 KR0140804 B1 KR 014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head
mini
disc player
head driv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471A (ko
Inventor
김희철
권창민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4003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804B1/ko
Publication of KR96002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2Raising and lowering; Back-spacing or forward-spacing along track; Returning to starting position otherwise than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어내로 카트리지가 로딩되면 재생전용 카트리지 인지 기록재생용 카트리지인지를 판별하여 자기헤드를 구동시키는 자기헤드 구동장치에 관한 것 으로서, 자기헤드를 탑재한 아암을 포함하고 있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에 있어서, 바디부(78)와, 상기 바디부상에서 돌출된 돌부(36)와, 카트리지(2)를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부(77)로 구성된 제 1플레이트(35)와 지지면(39)과 이 지지면으로 부터 연장되어 굴곡된 당접부(34)로 구성된 제 2 플레이트(33)로 구성된 판별수단과; 픽업모터(60), 모터축(61) 및 모터기어(62)로 구성된 구동수단과,상기 픽업기어(60)와 연동되는 광픽업장치(70)와, 상기 픽업기어(60)와 연동되는 브라켓(53)과, 상기 브라켓(53)의 운동력을 받아서 아암세트(5)에 이를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되어 아암의 수직운동과 수평회전운동을 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측면도
제 5 도는 제 3 도에서 아암이 디스크의 최외주 상태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 6 도는 기록재생용 카트리지가 로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7 도는 재생전용 카트리지가 로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8 도는 재생전용 카트리지가 로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 9 도는 재생전용 카트리지가 로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10 도는 기록재생용 카트리지가 로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 11 도는 기록재생용 카트리지가 로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2 : 카트리지
4 : 자기헤드 5 : 아암
33 : 제 2 플레이트 34 : 당접부
35 : 제 1 플레이트 36 : 돌부
37 : 코일 스프링 39 : 지지면
40 : 평기어 41 : 랙기어
43 : 나선 44 : 어펄츄어
45 : 고정핀 50 : 샤프트
51, 52 : 홈 53 : 브라켓
60 : 픽업모터 61 : 모터축
62 : 모터기어 63 : 랙기어
64 : 랙기어 70 : 광픽업장치
71 : 광헤드 75 : 축
76 : 고정부 77 : 탄성부
78 : 바디부 92 : 측판
93 : 브라켓 측판 99 : 유지부
본 발명은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플레이어내로 카트리지가 로딩되면 재생전용 카트리지 인지 기록재생용 카트리지인지를 판별하여 자기헤드를 구동시키는 자기헤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는 카트리지에 내장된 디스크를 재생 및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디스크를 내장한 카트리지는 재생 전용과 기록재생용이 있다.
따라서,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는 디스크가 내장된 카트리지가 로딩될 때, 상기 카트리지에 형성된 홈을 기준으로 재생전용인지 또는 기록재생용인지를 판단한다. 재생전용 카트리지의 홈은 2.50mm 로서 비교적 깊게 형성되어 있고, 기록재생용 카트리지의 홈은 0.7 mm로서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록재생용 카트리지가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에 로딩되면, 플레이어의 구동장치가 동작되어 자기헤드가 카트리지에 내장된 디스크의 코팅면에 접근하여 기록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기헤드 구동장치를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자기헤드 구동장치는 구동모터(9)와 기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기헤드를 이송시키는 방식으로 카트리지가 플레이어내로 로딩되면 센서(도시않음)에 의해서 재생전용인지 또는 기록재생용인지를 감지하여 구동모터(9)에 의해 자기헤드를 탑재한 아암(5)과, 핀(11)에 의해 상기 아암과 연결된 홀더(12)를 이송시켜 주므로써 상기 자기헤드(4)가 이송된다.
즉, 구동모터(9)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10,10A)가 회전하여 기어(10A)와 맞물려 있는 랙(13)을 상향운동시키고, 상기 랙(13)에 형성된 홈(13A)을 따라 로테이터(14)에 고정된 핀의 위치(14A)가 핀의 위치(14B)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로테이터에 고정된 핀이 이동함에 따라서 로테이터(14)가 회전축(M)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로테이터(14)와 나사 결합된 홀더(12)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홀더(12)가 상승하게 되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암(5)과 연결된 핀(11)을 힌지(6)를 중심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아암(5)에 탑재된 자기헤드(4)를 디스크 코팅면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동장치는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플레이어 전체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되고 , 또한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동작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되어 포터블용으로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카트리지의 종류를 센서에 의해서 판단되므로 센서의 교체등의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트리지의 종류 구별을 센서에 의하지 않고 간단한 기구적인 장치로써 판단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이용하여 자기헤드를 픽업장치와 함께 구동시키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예로서, 자기헤드를 탑재한 아암을 포함하고 있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에 있어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상에서 돌출된 돌부와,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부로 구성된 제 1 플레이트와, 지지면과 이 지지면으로 부터 연장되어 굴곡된 당접부로 구성된 제 2 플레이트로 구성된 판별수단을 포함하여 디스크를 내장한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 아암의 수직운동 여부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아암의 수평회전운동과 광픽업장치의 수평회전운동을 연계시키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에 있어서, 픽업모터,모터축 및 모터기어로 구성된 구동수단과, 상기 픽업기어와 연동되는 광픽업장치와, 상기 픽업기어와 연동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운동력을 받아서 아암세트에 이를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아암세트는 동력전달수단으로 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서 수평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기헤드를 탑재한 아암을 포함하고 있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에 있어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상에서 돌출된 돌부와,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부로 구성된 제 1 플레이트와, 지지면과 이 지지면으로 부터 연장되어 굴곡된 당접부로 구성된 제 2 플레이트로 구성된 판별수단과; 픽업모터, 모터축 및 모터기어로 구성된 구동수단과, 상기 픽업기어와 연동되는 광픽업장치와, 상기 픽업기어와 연동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운동력을 받아서 아암세트에 이를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용 카트리지가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의 평면도이고, 제 4 도는 제3도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로딩되는 카트리지(2)가 재생전용인가 또는 기록재생용인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은 카트리지의 홈(51)의 정면에 접하여 있는 돌부(36)를 가진 제1플레이트(35)와, 상기 돌부(36)와 맞닿고 있는 당접부(34)를 포함하고 있으며 아암에 결합되어 있는 제3플레이트(33)로 구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35)는 바디부(78)와, 상기 바디상에서 돌출된 돌부(36)와, 카트리지(2)를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부(77)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는 코일 스프링(37)을 고정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의 타측은 플레이어의 플레이트에 고정된 고정부(76)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37)의 일 측이 플레이어의 기판에 고정되어 카트리지가 로딩될 때 카트리지의 가공여유에 따른 흔들림이 없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33)는 아암이 하부에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지지면(39)과 이 지지면으로 부터 연장되어 굴곡된 당접부(34)로 구성된다. 상기 당접부(34)의 형상은 U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아암(5)이 위치하고, 아암의 단부쪽에는 자기헤드(4)가 부착되어 있다. 아암(5)의 대향측에는 원호상의 어펄츄어(44)가 형성되며, 상기 어펄츄어(44)의 내에는 고정핀(45)이 제2플레이트(33)의 지지면(39)상에 고정되어 있다. 어펄츄어(44)의 바깔쪽에는 나선(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43)은 제2플레이트(33)의 지지면(39)상에 부착된 평기어(40)의 나선과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평기어는 나선(43)과 대향하는 쪽에서 랙기어(41)와 맞물려 있다.
상기 랙기어는 그 지지부(91)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지지부의 측면에는 측판(9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판의 대략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구멍내로 샤프트(50)가 삽입 된다.
이 측판(92)의 브라켓 측판(93)과 결합되어 브라켓(53)과 랙기어 지지부(91)가 연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샤프트(50)를 통하여 측판(92)과 브라켓 측판(93)이 함께 이동가능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 측판(93)은 브라켓 유지부(99)로부터 연장된 것이고, 상기 유지부의 일측에는 랙기어(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랙기어(63)는 픽업모터(60)의 축(61)에 장착된 모터 기어(62)와 맞물려 있고, 그 대향측에는 광픽업장치(70)용 랙기어(64)와 맞물려 있다.
광픽업 장치에는 주지한 바와같이 광헤드(71)가 장착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판별수단이 카트리지의 종류를 어떻게 판별하는 가를 살펴 보고 또한 자기 헤드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어떻게 상하 운동하는가를 살펴 보기로 한다.
제 8 도 및 제 9 도를 참조하면, 재생전용 카트리지가. 슬레이어 로딩될 때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재생전용 카트리지가 로딩되면 상기 카트리지에 형성된 홈(52)은 그 높이가 비교적 높기때문에 상기 홈(52)과 접하게 되는 제 1 플레이트(35)의 돌부(36)가 홈(52)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제 1 플레이트(35)의 돌부(36)와 제 2 플레이트(33)의 당접부(34)는 서로 당접되지 않고 빈 공간이 생기게 되고,이에 따라 카트리지가 로딩되어도 제 2플레이트는 어떠한 외력을 받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제 2 플레이트와 결합된 아암(5)도 외력을 받지 않게 되어 아암의 위치는 변화가 없게 된다.
제 10 도 및 제 11 도를 참조하면, 기록재생용 카트리지가 플레이어 로딩될 때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기록재생용 카트리지가 로딩되면 상기 카트리지에 형성된 홈(51)은 그 높이가 비교적 낮기때문에 상기 홈(51)과 접하게 되는 제 1 플레이트(35)의 돌부(36)가 홈(51)내로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제 1 플레이트(35)의 돌부(36)와 제 2 플레이트(33)의 당접부(34)는 서로 당접되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가 로딩되면 제 3 플레이트는 외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제 2 플레이트와 결합된 아암(%)도 외력을 받게 되어 아암은 디스크의 코팅면에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재생전용 카트리지가 로딩되면, 아암은 수직운동을 하지 않게 되므로 자기 헤드(4)도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후술할 픽업모터(50)에 의한 수평운동만 하게 된다.
그러나, 기록재생용 카트리지가 로딩되면, 카트리지의 홈(51)과 당접부(34)사이에 돌부(36)가 위치하게 되므로, 당접부(34)는 돌부(36)로 인하여 오른폭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 2 플레이트(33)는 전체적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회전력은 제 2 플레이트(33)와 접하고 있는 아암(5)에 전달되어 아암의 자기헤드(4)는 하강하여 카트리지(2)내의 디스크(1)면에 닿아 기록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는 카트리지의 홈의 높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판별수단이 판별하여 아암의 수직운동관계를 살펴보았고, 이하는 아암(5)의 수평회전운동이 광픽업 장치(70)의 수평회전운동과 어떻게 연동되는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아암(5)의 수평회전운동은 픽업모터(60)의 구동에 의해서 시작되는 바, 아암(5)의 위치가 제 3 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픽업모터(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되면 상기 모터(60)의 축(61)에 장칙된 기어(6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기어(62)와 맞물려 있는 랙기어(64)에 의해 광픽업장치(7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 되어 결국 광헤드(71)는 디스크(1)의 외주쪽으로 진행된다.
상기 모터기어(62)와 또한 맞물려 있는 랙기어(63)는 기어(6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제 3 도의 아래쪽으로 운동하고, 이 랙기어(63)를 포함하는 브라켓(53)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브라켓의 운동은 브라켓 측판(93)과 결합된 랙기어 지지부(91)의 측판(92)에 의해서 랙기어(41)가 제 3 도의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랙기어(41)의 직선운동으로, 이 랙기어(41)와 맞물려 있는 평기어(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평기어(40)와 맞물려 있는 아암의 나선(43)이 동작되어 아암은 결국 축(75)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아암(5)이 축(75)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아암에 탑재된 자기 헤드(4)는 디스크(1)의 외주쪽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아암(5)이 최외주쪽으로 이동한 상태는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암(5)에는 어펄츄어(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펄츄어내에는 고정핀(45)이 있으므로 아암의 수평회전운동은 디스크의 최외주까지 제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암의 수평회전운동은 픽업모터(60)에 의해서 광픽업장치(70)의 수평회전운동과 일치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아암의 수직운동과 수평회전운동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본 발명은 아암의 수평운동을 위하여 카트리지 판별수단을 제공하여 종래의 카트리지 종류 판별용 센서를 없애고 또한 아암의 수직운동을 위한 로딩모터를 불필요하게 하도록 하는 한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상기 판별수단을 이용하여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아암의 수평회전운동이 광픽업장치의 수평회전운동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아암수평운동 구동수단을 제공하여 제품의 질적인 면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5)

  1. 자기헤드를 탑재한 아암을 포함하고 있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에 있어서, 바디부(78)와, 상기 바디부상에서 돌출된 돌부(36)와, 카트리지(2)를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부(77)로 구성된 제 1 플레이트(35)와 지지면(39)과 이 지지면으로 부터 연장되어 굴곡된 당접부(34)로 구성된 제 2 플레이트(33)로 구성된 판별수단을 포함하여 디스크를 내장한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 아암의 수직운동 여부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바디부(78)의 일측에는 코일 스프링(37)을 고정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의 타측은 플레이어의 기관에 고정된 고정부(7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37)은 카트리지(2)가 로딩되면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부(34)의 형상은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돌부(36)의 높이는 재생전용 카트리지의 홈(52)의 높이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36)의 높이는 기록재생용 카트리지의 홈(51)의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플레이트(33)의 지지면(39)에는 아암(5)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록재생용 카트리지가 로딩되면, 제 2 플레이트(33)는 회전되어, 자기헤드(4)에 디스크(1)의 코팅면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33)의 지지면(39)에는 평기어(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10. 아암의 수평회전운동과 광픽업장지의 수평회전운동을 연계시키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에 있어서,픽업모터(60), 모터축(61) 및 모터기어(62)로 구성된 구동수단과, 상기 픽업기어(60)와 연동되는 광픽업장치(70)와 ; 상기 픽업기어(60)와 연동되는 브라켓(53)과,상기 브라켓(53)의 운동력을 받아서 아암세트(5)에 이를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아암세트는 동력전달수단으로 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서 수평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래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세트(5)는 원호상의 어펄츄어(44) 및 나선(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세트(5)는 축(7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축(75)은 플레이트(3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펄츄어(44)의 원주 길이는 디스크(1)의 반경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펄츄어(44)내에는 고정핀(45)이 플레이트(33)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나선(43)과 맞물려 있는 평기어(40)와,상기 평기어와 맞물려 있는 랙기커(41)를 포함하고 있는 랙기어 지지부(9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평기어는 플레이트(3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 지지부(91)의 하부에는 측판(9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92)은 브라켓 측판(93)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92,93)은 동축의 구멍을 형성하며,샤프트(50)에 상기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장치(70)의 일측에는 랙기어 (6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2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3)의 일측에는 랙기어(6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2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모터(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광픽업장치(70) 및 아암 세트(5)는 시계반대방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24. 자기헤드를 탑재한 아암을 포함하고 있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에 있어서, 바디부(78)와, 상기 바디부상에서 돌출된 돌부(36)와, 카트리지(2)를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부(77)로 구성된 제 1 플레이트(35)와 지지면(39)과 이 지지면으로 부터 연장되어 굴곡된 당접부(34)로 구성된 제 2 플레이트(33)로 구성된 판별수단과 : 픽업모터(60), 모터축(61) 및 모터기어(62)로 구성된 구동수단과, 상기 픽 업기어(60)와 연동되는 광픽업장치 (70)와, 상기 픽업기어(60)와 연동되는 브라켓(53)과, 상기 브라켓(53)의 운동력을 받아서 아암세트(5)에 이를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되어 아암의 수직운동과 수평회전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나선(43)과 맞물려 있는 평기어(40)와, 상기 평기어와 맞물려 있는 랙기어(41)를 포함하고 있는 랙기어 지지부(9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KR1019940035115A 1994-12-19 1994-12-19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KR014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115A KR0140804B1 (ko) 1994-12-19 1994-12-19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115A KR0140804B1 (ko) 1994-12-19 1994-12-19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471A KR960025471A (ko) 1996-07-20
KR0140804B1 true KR0140804B1 (ko) 1998-07-15

Family

ID=1940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115A KR0140804B1 (ko) 1994-12-19 1994-12-19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8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471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9782B1 (en) Magnetic disk drive
US5737293A (en) Disc loading apparatus for loading optical discs in a cartridge or without
EP0643392A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medium and damper mechanism employed in such appartus
KR100305916B1 (ko) 디스크플레이어장치
KR0140804B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EP0697694B1 (en) Optical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042061A1 (en) Magnetic recording disk drives
EP1109167B1 (en) Disk cartridge and disk drive unit
US6046975A (en) Clumping mechanism for securely holding a disc in an optical disk player
JP3418600B2 (ja) 光ディスク用アダプタ−
JPH0719464B2 (ja) 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3012172B2 (ja) 記録再生装置
WO2006109796A1 (ja) ディスク装置
WO2000004541A1 (en) Disk apparatus
US7017169B2 (en) Disk cartridge and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960007896B1 (ko) 광학디스크플레이어
KR100739668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클램핑장치
JPH054095Y2 (ko)
JP4178695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401779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장치
JPS5824297Y2 (ja) 回転記録媒体用信号ピツクアツプ装置
JP3307621B2 (ja) カセット開放機構を備えたトレイ
KR0117658Y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장치
JPH0732732U (ja) 記録媒体の挿入装置
KR900002510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