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9957B1 -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 - Google Patents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957B1
KR0139957B1 KR1019950015869A KR19950015869A KR0139957B1 KR 0139957 B1 KR0139957 B1 KR 0139957B1 KR 1019950015869 A KR1019950015869 A KR 1019950015869A KR 19950015869 A KR19950015869 A KR 19950015869A KR 0139957 B1 KR0139957 B1 KR 013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hone
dedicated line
line
extension
call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529A (ko
Inventor
이인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1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957B1/ko
Publication of KR97000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폰주장치에 의한 통신기술에 관한 것으로, 지역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키폰주장치들을 전용선을 이용하여 접속시킨 경우, 다른 키폰주차장의 내선을 호출할 시 해당하는 전용선 호출코드를 자동으로 송출하도록 하는 키폰주장치의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을 사용할 시, 그 때마다 전용선 점유를 해야함은 물론, 실제 내선번호에 앞서 전용선 호출코드를 먼저 다이알해야 하므로 그 절차가 복잡하며, 특히 여러대의 키폰주장치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각 키폰주장치의 전용선 호출코드를 일일이 기억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전용선으로 연결된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을 사용할시, 전용선 점유 및 전용선 호출코드가 자동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전용선을 사용할 때마다 전용선 점유와 실제 내선번호에 앞서 전용선 호출코드를 먼저 다이알해야 하는 복잡한 절차의 해결은 물론, 여러대의 키폰주장치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 키폰주장치의 전용선 호출코드를 기억할 필요없이 키폰주장치 설치시에 시스템 프로그램에 입력만 되어 있으면 타 키폰 주장치의 내선 호출시 그내선 번호만 누르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
제1도 전용선으로 연결된 키폰주장치들 사이에 연결 상태도.
제2도 키폰주장치와 내선단말기와 전용선보드의 연결 구성 블록도.
제3도 일반적으로 키폰주장치에서 다른 키폰주장치의 내선을 호출 하는 일실시 도작 순서도.
제4도 본 발명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프로그램을 위한 동작 순서도.
제5도 본 고안을 적용하여 키폰주장치에서 다른 키폰주장치의 내선을 호출하는 일실시 동작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키폰주장치11:중앙제어부
12:주메모리부13,22A,22N,32:스위칭회로부
14:스위칭메모리브15:톤송신회로부
16:내선접속부17:전용선접속부
20A,20N:내선단말기21A,21N,31:제어부
23A,23N:스피커회로부24A,24N,34:주장치접속부
30:전용선보드33:제어용메모리부
본 발명은 키폰주장치에 의한 통신기술에 관한 것으로, 지역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키폰주장치들을 전용선을 이용하여 접속시킨 경우, 다른 키폰주장치의 내선을 호출할 시 해당하는 전용선 호출코드를 자동으로 송출하도록 하는 키폰주장치의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기업의 사업체가 여러 지역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기업 내부적으로 통화가 쉽게 되도록 하기 위해 각 사업체마다 설치되어 있는 키폰주장치에 전용선보드를 장착하여 각 전용선보드를 통해 서로 연결한다. 이때, 기본적으로 한 전용선보드는 최대 6개의 전용선들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여러대의 키폰주장치들이 각각에 장착된 전용선보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원리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 1 도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각 지역마다 설치되어 있는 키폰주장치 내에는 6개의 전용선을 가지는 전용선보드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전용선들은 각각의 키폰주장치의 전용선보드와 연결된다. 여기서, 한 키폰주장치가 6개의 전용선을 가지고 다른 여러 키폰주장치와 연결될 때, 접속되는 전용선의 개수는 통화량에 따라 나뉘어진다. 즉, 키폰주장치A와 키폰주장치B 사이에 통화량이 가장 많을 경우, 다른 키폰주장치에 접속되는 전용선의 개수보다 더많이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용선 보드는 연결되는 키폰주장치의 개수에 따라 증설이 가능하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키폰주장치 내에 장착되어 있는 전용선보드와 키폰주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도를 참조한다.
키폰주장치(10)는 중앙제어부(11), 주메모리부(12), 스위칭회로부(13), 스위칭메모리부(14) 및 톤신호회로부(15)로 구성되어 있고, 키폰주장치(10)에 연결된 내선단말기(20A)(20N)는 제어부(21A)(21B)와, 스위칭회로부(22A)(22B) 및 스피커회로부(23A)(23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키폰주장치를 전용선으로 연결하는 전용선보드(30)는 제어부(31)와, 스위칭회로부(32) 및 제어용메모리부(33)로 구성된다. 여기서, 키폰주장치(10)와 내선단말기(20A)(20N)는 각각 키폰주장치(10)의 내선접속부(16)와 내선단말기(20A)(20B)의 주장치접속부(24A)(24B)를 통해 연결되고, 키폰주장치(10)와 전용선보드(30)는 각각 키폰주장치(10)의 전용선접속부(17)와 전용선보드(30)의 주장치접속부(34)를 통해 연결되어 서로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받게 된다.
키폰주장치(10)의 중앙제어부(11)는 필요한 데이터를 주메모리부(12)에 저장/검색하며, 통화로를 설정하기 위해 스위칭회로부(13)에 명령을 내린다. 그러면, 스위칭회로부(13)는 그에 알맞는 음성 스위치 정보를 스위칭메모리부(14)에 저장/검색하여 실질적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주메모리부(12)에는 송출다이알메모리가 포함 되어 있어 키폰주장치에서 송출하고자 눌려지는 번호들을 잠시 저장하였다가 톤송신회로부(15)를 통해 차례로 송출되도록 한다. 또한, 전용선을 통한 다른 키폰주장치에 연결된 내선과 통화를 하고자 내선 단말기(20A)(20B)에서 다이얼링을 하면 스위칭회로부(13)는 톤송신회로부(15)를 이용하여 지정된 다이얼링 데이터를 전용선접속부(17)를 통해 전용선 보드(30)로 전송한다. 전용선보드(30)에서는 호출된 번호가 어느 키폰주장치에 연결된 전용선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그쪽으로 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전용선을 통해 키폰주장치의 내선들이 통화를 하기위해서는 각 전용선을 통해 키폰주장치의 내선들이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각 전용선을 통해 키폰주장치의 내선들이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각 전용선에 국선이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즉, 한 키폰주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국선이 10개라면 그중 5개는 일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나머지 5개는 전용선전용 국선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전용선1번과 2번에 연결된 키폰주장치의 내선단말기와의 통화는 국선2번을 통해 하도록 하고, 전용선3번을 통한 통화는 국선3번을 통해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용선을 통해 내선통화를 할 시에는 전용선 호출코드(전용선에 연결된 키폰주장치의 호출코드)와, 그 전용선에 점유 되어 있는 국선그룹번호와, 통화를 하고자 하는 내선단말기의 내선번호를 알아야 한다.
즉, 키폰주장치A의 내선100에서 키폰주장치B의 내선200을 호출하고자할 시의 다이얼링 동작인 제 3 도와 같이 다이얼링 해야 한다.
우선, 키폰주장치A의 내선100에서 키폰주장치B의 내선200을 호출하기 위해 수화기를 오프훅시킨다(단계 S1). 그리고 키폰주장치B에 연결된 전용선에 지정된 국선을 점유한다(단계 S2). 그리고, 해당 전용선 호출코드, 예를 들어 키폰주장치B의 전용선 호출코드를 '887'이라할 때, '887'을 순차적으로 다이알한다(단계 S3∼S5). 그리고나서, 내선번호 '200'을 다이알한다(단계 S6∼S8). 키폰주장치B에서는 상기 다이알 데이터를 받아서 내선200에 링을 인가한다(단계 S9).
상기 수행동작과 같이, 전용선을 사용할 때마다 전용선 점유를 해야 함은 물론, 실제 내선번호에 앞서 전용선 호출코드를 먼저 다이알해야 하므로 그 절차가 복잡하며, 특히 여러대의 키폰주장치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각 키폰주장치의 전용선 호출코드를 일일이 기억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용선으로 연결된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을 사용할시, 전용선 점유 및 전용선 호출코드가 자동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방법은 키폰주장치의 주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것으로, 키폰주장치에 연결된 시스템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키폰전화기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설정 모드 버튼을 눌러 모드상태를 전용선 호출코드 모드상태로 변환시키는 제 1 단계와; 전용선 호출코드를 저장할 레코드를 설정하는 제 2 단계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상대방 키폰주장치의 내선 시작번호를 선택하는 제 3 단계와; 단축버튼을 눌러 상기 내선 시작번호를 저장하는 제 4 단계와; 상대방 키폰주장치의 호출코드를 누르는 제 5 단계와; 단축버튼을 눌러 상기 호출코드를 저장하는 제 6 단계와; 전용선으로 사용될 국선 그룹번호를 누르는 제 7 단계와; 단축버튼을 눌러 상기 국선 그룹번호를 저장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 2 단계에서 8 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제 4 단계에서 저장된 상대방 내선 시작번호만 누르게 되면 전용선으로 지정된 국선번호와 전용선 호출코드, 그리고 내선 시작번호까지 자동 다이얼링되어, 사용자는 내선 시작번호의 다음 번호만 누르면 호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 도는 본 발명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을 프로그램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일반적으로 키폰주장치에 연결된 내선단말기중 내선 번호가 제일 처음 시작하는 키폰주장치에 연결된 내선단말기중 내선 번호가 제일 처음 시작하는 키폰전화기는 시스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시스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키폰전화기에서 버튼을 눌러 프로그램을 하면 키폰주장치의 주메모리부에 메모리되어 실제 동작시 중앙제어부에서 참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키폰전화기에서 키폰주장치가 전용선 호출코드를 자동 송출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프로그램하는 순서는 우선, 전용선 호출코드 설정 모드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해당 모드버튼을 누른다(단계 T1) 그리고나서, 호출코드를 저장할 레코드를 설정하고(단계 T2), 전용선으로 연결된 상대방 키폰주장치의 내선 시작번호를 누른다(단계 T3). 그리고, 사익 단계(T3)를 저장 및 종료하기 위해 지정된 단축버튼을 누른다(단계 T4). 이때, 키폰주장치에서는 상기 단계(T2)에서 지정된 레코드에 사익 내선 시작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대방 키폰주장치의 호출코드번호를 차례로 눌러(단계 T5), 이또한 단축버튼을 눌러 저장하면서 종료하도록 한다(단계 T6). 상기 단계(T6) 후에 전용선을 사용되는 국선 그룹번호를 누루고(단계 T7), 단축버튼을 눌러 저장하고 종료한다(단계 T8). 이때, 다음 레코드 번호에 다른 호출코드를 저장시키고자 하면 다시 상기 단계(T2∼T8)들을 반복하면 된다.
상기 동작들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 및 종료를 하기 위해 사용한 단축버튼을 예를 들어 '*'라 한다.
시스템 프로그래밍용 키폰전화기에서 모드상태를 호출코드 설정 모드상태로 변환시켰을 시에, 내선번호가 '2'로 시작하는 호출코드가 '887'인 키폰주장치에 대해 레코드1에 저장하고자 한다면, 우선 레코드를 설정하기 위해 '1'을 누루고, 다음으로 내선 시작번호 '2'을 누른다. '*'을 눌러 상기 '2'을 레코드1에 저장하고, 호출코드 '887' 을 누른다. 이에따라 '*'을 눌러 저장한다. 그리고나서, 전용선으로 사용되는 국선구룹번호 '3'를 선택하여 '*'로써 저장하도록 한다.
결국, 상기에서 사용자가 프로그램하기 위해 누른 버튼은 '1-2-*-887-*-3-*' 가 된다.
그런데, 실제적으로 키폰주장치에서 수행할 시에는 '3-887-2' 순으로 동작하게 된다. 즉, 국선을 먼저 점유한 후에, 전용선 호출코드와 내선 시작번호를 송출하게된다. 이때, 사용자가 전용선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대로 키폰주장치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선 시작번호로 저장되어 있는 '2'만 입력하면 된다.
사익와 같은 실행동작을 제 5 도를 이용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키폰주장치A의 내선100에서 키폰주장치B의 내선200을 호출하기 위해 수화기를 오프훅시킨다(단계 P1). 그리고나서, 다이알 '2'를 누른다(단계 P2). 이때. 키폰주장치A에서는 현재 입력된 번호가 전용선 내선번호 시작코드인지를 판단하여(단계 P3) 아니면, 내부 코드테이블을 참조하여 처리한다(단계 P4). 상기 단계(P3)에서 맞으면 메모리되어 있는 전용선으로 사용되는 국선을 점유하고, 전용선 호출코드 '887'과 사용자 입력코드'2'를 축적하여 송출하면서 송출 다이알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P5). 즉, 송출 다이알 메모리에는 '8872'가 저장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호출하고자 하는 내선번호의 두 번째 숫자부터 끝자리까지 차례로 누르게 된다(단계 P6)(단계 P7). 이때마다 송출 다이알 메모리에 저장되는 번호는 '88720과 '887200'이 된다. 이렇게 송출 다이알 메모리에 저장된 호출번호는 키폰주장치A의 톤송신회로부를 통해 차례대로 키폰주장치B로 송출되며(8-8-7-2-0-0), 송출 다이알 메모리에 있는 다이알 메모리에 있는 다이알 정보의 송출이 완료되면 키폰주장치B는 자신의 내선200으로 링을 인가시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P8).
상기와 같이 전용선으로 연결된 각 키폰주장치의 내선번호 체계와 전용선 호출코드를 알기만 하면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램할 수 있는 것으로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내선 가입자가 다른 키폰주장치의 내선번호에 해당하는 숫자만 입력하여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점유 및 호출코드를 자동으로 송출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용선을 사용할 때마다 전용선 점유와 실제 내선번호에 앞서 전용선 호출코드를 먼저 다이알 해야 하는 복잡한 절차의 해결은 물론, 여러대의 키폰주장치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 키폰주장치의 전용선 호출 코드를 기억할 필요없이 키폰주장치 설치시에 시스템 프로그램에 입력만 되어 있으면 타 키폰주장치의 내선 호출시 그 내선 번호만 누르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전용선을 통해 각각 연결된 키폰주장치에서 시스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키폰전화기에 의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송출 방법에 있어서, 전용선 호출코드 설정 모드 버튼을 눌러 모드상태를 전용선 호출코드 모드상태로 변환시키는 제 1 단계와; 전용선 호출코드를 저장할 레코드를 설정하는 제 2 단계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상대방 키폰주장치의 내선 시작번호를 선택하는 제 3 단계와; 단축버튼을 눌러 상기 내선 시작번호를 저장하는 제 4 단계와; 상대방 키폰주장치의 호출코드를 누르는 제 5 단계와; 단축버튼을 눌러 상기 호출코드를 저장하는 제6단계와; 전용선으로 사용될 국선 그룹번호를 저장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용선에 연결된 키폰주장치의 내선호출시 상기 제 4 단계에서 저장된 상대방 내선 시작번호를 입력하여 제 8 단계와 제 6 단계와 현재 입력된 내선 시작번호를 축적하여 상대방 내선번호 두 번째 자리에서 끝자리까지의 숫자와 함께 차례로 송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소출 방법.
KR1019950015869A 1995-06-15 1995-06-15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 KR013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869A KR0139957B1 (ko) 1995-06-15 1995-06-15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869A KR0139957B1 (ko) 1995-06-15 1995-06-15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29A KR970004529A (ko) 1997-01-29
KR0139957B1 true KR0139957B1 (ko) 1998-07-01

Family

ID=1941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869A KR0139957B1 (ko) 1995-06-15 1995-06-15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617A (ko) * 2000-10-20 2002-05-03 김태환 일반전화기용 단축다이얼 확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29A (k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4825A (en) Method for memory dialing for cellular telephones
EP0164718B1 (en) Automatic telephone dialing apparatus
US6829337B2 (en) Telephone apparatus with capability of adding, deleting and comparing telephone numbers
US4567326A (en) Telephone apparatus for selective operation in a normal and repertory dial mode
KR0139957B1 (ko) 키폰주장치에서 전용선 호출코드 자동 송출 방법
KR100269766B1 (ko) 전화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방법
US5828741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number plan for use with a general telephone and a key telephone in a key telephone system
US6385313B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JP2919231B2 (ja) 加入者端末指定着信方式
KR0148524B1 (ko) 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검색 및 발신 제어방법
KR100397343B1 (ko) 간이교환기시스템의 발신자 자동 리다이얼링방법
KR100210749B1 (ko) 키폰시스템 주장치의 국선/내선 전용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
KR100557105B1 (ko) 키폰전화기에서 파노라마 방식에 의한 문자 정보를출력하는 방법
KR100464362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픽업 방법
JP2749890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20000040554A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이름을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JPH04264858A (ja) ダイヤル送出方式
JPH0447846A (ja) ダイヤルレス電話機
JPS6020937B2 (ja) 移動無線電話接続方式
JPS63158948A (ja) 電話通信方式
KR20000040168A (ko) 교환기 시스템에서 자동 재다이얼 장치 및 방법
JPS61146048A (ja) 電話装置
JPH0398361A (ja) オートダイヤル方式
JP2000013514A (ja) 短縮ダイヤルデータダウンロード方法
JPH01117593A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6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