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38B1 - Power lock device - Google Patents
Power lock device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8938B1 KR0138938B1 KR1019950029153A KR19950029153A KR0138938B1 KR 0138938 B1 KR0138938 B1 KR 0138938B1 KR 1019950029153 A KR1019950029153 A KR 1019950029153A KR 19950029153 A KR19950029153 A KR 19950029153A KR 0138938 B1 KR0138938 B1 KR 01389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power supply
- power lock
- switch
- lock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6—Modifications for ensuring a fully conducting state
Landscapes
- Power Sourc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파워 락 스위치와; 인가되는 키신호 입력이나 파워 락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파워 락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와;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파워 락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각 작동 회로롤 공급하는 전원 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워 락 장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부주의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전원 공급 스위치가 오프되어도,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하여 데이타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재 작업중인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A power lock switch; A power supply controller which determines whether an applied key signal input or a power lock switch is operated and outputs a corresponding power lock signal; The power lock device including a power holding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spective operating circuits in which the operation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wer lock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is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e, even if the power supply switch is turned off,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ower supply state to prevent data loss, and to continue to perform the function currently being worked on.
Description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락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1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발명은 파워 락 (power lock)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자 기기 제품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나 외부의 영향으로 인하여 전원 공급 스위치 오프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작동중인 기능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워 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lock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lock device, in which a power supply is cut off when a power supply is switched off due to user's negligence or external influences, thereby preventing a functioning function from being stopped. It relates to a power lock device for.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자 기기 제품에 장착되어 있는 전원 공급 스위치를 작동시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general, when a user wants to perform a desired function by supplying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product, a user operates a power supply switch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product so that power is supplied.
전원 공급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전자 기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다가, 사용자가 임의로 작동 상태를 중지하고자 하는 경우나, 수행중인 기능의 종료에 따라 작동 상태를 중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다시, 전원 공급 스위치를 작동시켜 오프시키면, 전자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수행중인 기능이 중지된다. 상기와 같이 전저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전자 기기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전원 공급 스위치를 작동시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거나, 또는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전원 공급 스위치가 오프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현재 수행중인 중요한 기능이 중지되어 그에 따른 데이타 삭제 등이 손실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If the user wants to stop the operation state arbitrarily or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switch, the power supply switch is operated again. When turned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is cut off and the function being performed is stoppe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al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is switched off by operating the power supply switch due to user's carelessness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in operation, or by the external vibration or shock.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the important func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is stopped, resulting in loss of data deletion.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부주의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전원 공급 스위치가 오프되어도,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하여 데이타 손실 등을 방지하기 위한 파워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in electronic devices, even when the power supply switch is turned off due to user's negligence or external shock, the power supply state is maintained to prevent data loss. It is to provide a power lock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파워 락 스위치와; 인가되는 키신호 입력이나 파워 락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파워 락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와;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파워 락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변되여 인가되는 전원을 각 작동 회로로 공급하는 전원 유지부로 이루어진다.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for achieving the said objective is a power lock switch; A power supply controller which determines whether an applied key signal input or a power lock switch is operated and outputs a corresponding power lock signal; An operation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a power lock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power applied to each operation circuit.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락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1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락 장치의 구성은, 파워 락 스위치(S3)와, 전원 공급 스위치(S1,S11)와, 상기 파워 락스위치(S3)의 작동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신호와, 사용자의 키신호 입력에 따라 전원 공급의 락 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파워 락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20)와,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파워 락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가변되는 전원 유지부(1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peration of the power lock switch S3, the power supply switches S1 and S11, and the power lock switch S3. A power supply control unit 20 which determines whether a power supply is locked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according to a state and a key signal input of a user, and outputs a corresponding power lock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0. It is made of a power hold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state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lock signal applied.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원 유지부(10)는 일측 단자가 전원 단자에 연결된 코일(L1)과 스위치(S2)로 이루어진 릴레이(RL)와, 콜렉터 단자가 상기코일(L1)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20)의 출력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1)로 이루어진다.The power holding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lay (RL) consisting of a coil (L1) and a switch (S2), 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and the collector terminal is the other terminal of the coil (L1) The base terminal is composed of a transistor T1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0.
상기의 파워 락 스위치(S3)는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뾰족한 송곳 등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스위치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The power lock switch (S3)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 1, it is made of a switch to operate by using a pointed awl, not operated by a constant pressure, so that the operation is not easily made.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락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owe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장착된 전원 버튼을 누르게 되면, 첨부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원 공급 스위치(S1, S11)가 온되어, 사용 전원(AC)이 전원 공급 스위치(S1, S11)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전자 기기의 각작동 회로로 공급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mounted power button to use the electronic device, the power supply switches S1 and S11 are turned on as shown in FIG. 1, and the power supply AC is used as the power supply switches S1 and S11. Is supplied to each operation circuit of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전원 공급 스위치(S1, S11) 작동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각 작동회로가 구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한 전원 공급 차단이나 주위의 충력으로 인한 전원 공급 차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부한 제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별도의 해당하는 키신호를 입력하거나, 뾰족한 송곳등을 이용하여 파워 락스위치(S3)를 작동시킨다.In the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switches (S1, S11) and each operation circuit is driven,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inadvertentl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or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due to the surrounding electric shock, As shown in the drawing, a separate key signal is input or a pointed awl is used to operate the power lock switch S3.
상기에서 파워 락 스위치(S3)가 작동괴거나 또는, 사용자의 파워 락 모드 선택에 따른 키신호가 입력이 되면, 전원 공급 제어부(20)는 현재의 전원 공급 모드를 파워 락 모드로 전환시킨 다음, 그에 해당하는 파워 락 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power lock switch S3 is operated or a key signal according to the power lock mode selection of the user is input,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0 switches the current power supply mode to the power lock mode, Outputs the corresponding power lock signal.
상기에서 파워 락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전원 공급 제어부(20)는 하이 상태의 파워 락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20)에서 출력된 하이 상태츠의 파워 락 신호는 전원 유지부(10)로 입력된다.As the power lock mode is selected,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0 outputs a power lock signal in a high state, and the power lock signal of the high states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0 is a power holding unit 10. Is entered.
상기 전원 유지부(10)의 트랜지스터(T1)는 전원 공급 제어부(20)에서 하이 상태의 파워 락 신호가 입력되면 턴온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됨에 따라 코일(L1)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The transistor T1 of the power holding unit 10 is turned on when a high power lock signal is input from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0, an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L1 as the transistor T1 is turned on. do.
상기 코일(L1)로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유도 작용이 발생되어 상기 스위치(S2)가 온되어, 상기 사용 전원의 전원 공급 전송로가 형성된다.As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L1, an induction action is generated, and the switch S2 is turned on, thereby forming a power supply transmission path of the used power source.
상기에서 릴레이(RL)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치(S1, S11)를 통한 전원 공급 전송로이외에도, 상기 전원 유지부(10)를 통한 전원 공급 전송로가 형성되어 도시하지 않은 각 작동 회로로 전원이 공급된다.As the relay RL is operated, in addition to the power supply transmission paths through the power supply switches S1 and S11, a power supply transmission path through the power holding unit 10 is formed to each operating circuit (not shown). Power is supplied.
따라서, 상기에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전원 공급 스위치(S1, S11)가 오프되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전원 공급 스위치(S1, S11)가 오프되어 전원 공급 전송로가 차단되는 경우에도, 전원 유지부(10)를 통하여 계속하여 각 작동 회로로 전원이 공급되어 작업중인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power supply switches S1 and S11 are turned off due to user's carelessness or the power supply switches S1 and S11 are turned off due to an external shock, the power supply transmission line is cut off. Power is supplied to each of the operation circuits continuously through (10) to continue the function in operation.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부주의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전원 공급 스위치가 오프되어도, 전원 공급상태를 유지하여 데이타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재 작업주인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파워 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power supply switch is turned off due to user's carelessness or external shock, the power supply state can be maintained to prevent data loss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lock device having an effect of continuing to perform the host func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29153A KR0138938B1 (en) | 1995-09-06 | 1995-09-06 | Power lock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29153A KR0138938B1 (en) | 1995-09-06 | 1995-09-06 | Power lock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9044A KR970019044A (en) | 1997-04-30 |
KR0138938B1 true KR0138938B1 (en) | 1998-06-15 |
Family
ID=1942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29153A KR0138938B1 (en) | 1995-09-06 | 1995-09-06 | Power lock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8938B1 (en) |
-
1995
- 1995-09-06 KR KR1019950029153A patent/KR013893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9044A (en) | 1997-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09655B1 (en) | System including electronically-controlled power strip having a plurality of receptacles | |
KR0138938B1 (en) | Power lock device | |
KR100553184B1 (en) | Power saving device and method of monitor | |
EP2308148B1 (en) | Standby circuit and electric appliance comprising such a circuit | |
KR100344063B1 (en) | The touch switch | |
CZ302029B6 (en) | Programmable control device | |
KR100318961B1 (en) |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handsfree kit | |
KR100419417B1 (en) | Power on/off apparatus using a certain key | |
KR950003929A (en) | Simulation system of image forming apparatus | |
US5986495A (en) | Key switch control device | |
KR100314711B1 (en) | Power switching circuit | |
KR970004895B1 (en) | Remote control circuit for headphone stereo | |
KR20030053381A (en) | Keyboard system for micro computer | |
KR920006430Y1 (en) | Indicating circuit for stand-by power source | |
KR910008623Y1 (en) | Main power source control circuit | |
KR940001509B1 (en) | Key matrix control circuit | |
KR0178676B1 (en) | Automatic switching circuit for speaker impedance | |
KR0121487Y1 (en) | Display system of battery state | |
KR101025905B1 (en) | Power saving circuit with soft switch | |
KR920020302A (en) | Personal integrated office system and its switching method | |
KR20010056419A (en) | Circuit controlling power supply in computer | |
KR0129176Y1 (en) | MICOM's function selection switching circuit | |
KR19990049212A (en) | Remote control circuit | |
KR100628722B1 (en) | Power Supply Circuit of Display Device | |
KR100461948B1 (en) | Switching circuit using transistor of machine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