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8837B1 - 전기 커넥터용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용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837B1
KR0138837B1 KR1019940006888A KR19940006888A KR0138837B1 KR 0138837 B1 KR0138837 B1 KR 0138837B1 KR 1019940006888 A KR1019940006888 A KR 1019940006888A KR 19940006888 A KR19940006888 A KR 19940006888A KR 0138837 B1 KR0138837 B1 KR 0138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ab
passage
axis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 클레머 로버트
에스. 크로젝조우스키 로날드
비. 페로자 커크
이. 웬드 러셀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permanent deformation of contact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47Assembling terminal to base
    • Y10T29/49151Assembling terminal to base by deforming or shap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터미널(12,16)이 완전 삽입 위치까지 삽입 방향(A, C)로 삽입되는 터미널 수용 통로(24,74)를 갖는 유전성 하우징(18,50)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14)를 위한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래치면(22b, 76b)가 통로에 인접한 하우징 내에 삽입 방향에 면하여 형성된다. 구부림 가능한 탭(42,72)가 터미널 상에 제공되고 래치면에 대해 구부려지게 되어 있다. 구부림 가능한 탭은, 터미널이 완전히 삽입된 위치일 때 탭의 모서리부(42a, 72a)를 래치면 위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삽입 방향에 대체로 평행한 축(46, 80)에 대해 구부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용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수의 수형 터미널을 장착한 전기 커넥터의 부분 절취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취한 부분 수직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커넥터의 수형 터미널 중 하나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수의 암형 터미널을 채용하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5-5를 따라 취한 부분 수직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커넥터의 암형 터미널 중 하나의 사시도.
제7도는 구부림 가능 탭이 구부림 이전 위치이고 탭의 구부림을 실행하는 적절한 공구가 가상선으로 도시된, 제1도의 커넥터의 수형 터미널 중 하나의 부분 사시도.
제8도는 제4도에 도시된 커넥터의 암형 터미널 중 하나의 탭을 구부리는 적절한 공구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제7도와 유사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4:커넥터12, 16:터미널
18, 50:하우징22, 76:벽
24, 74:통로42, 72:탭
42a, 72a:모서리부82, 86:공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기 커넥터를 위한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에 지금까지 채용된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은 터미널 위치 보장을 위한 별도의 부품의 사용을 대체로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하면 터미널이 커넥터 하우징의 터미널 수용 통로로 삽입된 후, 별도의 부품이 하우징 내에서 터미널 수용 통로와 연통하는 개구로 삽입된다. 기본적으로 이 별도의 부품은 터미널들을 보조적으로 로크하고 모든 터미널이 제 위치에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기능도 어느 정도 갖는다.
별도의 터미널 위치 보장 부품의 사용은 누전 또는 아크 트랙킹이 일어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 부품의 부가 때문에 그러한 시스템의 사용자는 커넥터 하우징 및 너미널 뿐만 아니라 별도의 터미널 위치 보장 또는 로킹 부품의 재고까지 유지하여야 한다. 누전 또는 아크 트랙킹의 가능성은 별도의 부품이 터미널의 일부분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하우징 내의 개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별도의 로킹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실질상 각 터미널의 일체로 된 부분을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보조로킹부로 사용하는, 개량된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일체로 된 부분은 구부림 가능 탭으로 제공된다.
구부림 가능 탭은 이제까지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 내의 개개의 터미널 수용 통로에 로킹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구부림 가능 탭은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없었다.
더 자세하게는, 종래 기술에 의한 구부림 가능 탭은 대체로 평면이며 터미널의 삽입 방향에 대체로 수직인 축 또는 절첩선에 따라 구부려진다. 상기 구부림 가능 탭은 터미널 수용 통로에 인접한 커넥터 하우징의 로킹면 위에 중첩되도록 구부려진다. 다시 말하면 탭은 상기 면에 대체로 평행한 축 또는 절첩선을 따라 구부려진다. 결과적으로 특정 터미널이 그것의 터미널 수용 통로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으나, 구부림 가능 탭은 터미널이 하우징에 올바르게 위치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로킹면 위에 중첩되도록 구부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터미널 로킹 기능을 가질 뿐 아니라 터미널에 대해 터미널 위치 보장 수단을 제공하는 간단한 구부림 가능 탭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롭고 개선된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그곳을 통하는 터미널 수용 통로를 구비한 벽을 갖는 유전성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사용된다. 벽은 제1 및 제2면을 한정한다. 터민널은 벽의 한 측면상의 대응부와 다른 측면상의 종단부를 갖고 통로 내에 수용되게 되어 있다. 터미널이 통로를 완전히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터미널의 완전히 삽입된 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벽의 제1면과 맞물리는 정지 수단이 터미널 상에 제공된다. 구부림 가능 탭은 터미널 상에 제공되고 터미널이 통로로 삽입될 때 벽의 제2면에 대해 구부려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구부림 가능 탭이 벽의 제2면에 수직인 축에 대해 구부려질 수 있고 터미널이 통로에 완전히 위치될 때 제2면 위에 위치되어 구성을 갖도록 한다.
더 자세하게는 벽의 제2면은 대체로 평탄하고 탭도 대체로 평면이다. 탭은 그 구부림 축에 대체로 수직인 모서리를 가지며, 이 모서리는 탭이 그 축에 대해 구부려질 때 제2면과 로킹 맞물림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터미널이 그 완전 삽입 위치에 삽입되지 않으면 탭은 축에 대해 구부려질 수 없고, 그럼으로써 터미널이 통로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신규성이 있는 것으로 믿어지는 본 발명의 특징이 특히 청구 범위를 중심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은, 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다수의 수형 터미널(12)를 장착하는 전기 커넥터(10)을 도시하고, 제4도 내지 제6도는 다수의 암형 터미널(16)을 장착하는 전기 커넥터(14)를 도시한다. 각 커넥터(10, 14)는 그 터미널(12, 16) 각각 함께 본 발명의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을 구체화한다.
더 자세하게는, (제1도 및 제2도의) 커넥터(10)은, 제4도 및 제5도의 커넥터(14)와 같은 상호 보완적 대응 커넥터의 다수의 사일로를 대응 수용하는 다수의 리셉터클(20)을 갖는 유전성 하우징(18)을 포함한다. 각 리셉터클(20)의 기부는 (제2도의) 제1면(22a) 및 제2면(22b)를 한정하는 벽(22)에 의해 한정된다. 벽은 그것을 관통하는 터미널 수용 통로(24)를 갖는다. 벽(22)의 (제1도의) 통로(25)는 단순히 하우징(18)의 성형시 사용되는 코어 추출 통로들이다.
각 수형 터미널(12)는 평탄한 또는 대체로 평면인 엽형(blade-like) 대응부(26)과 종단부(28)을 갖는다. 대응부는 제6도의 암형 터미널(16)과 같은 암형 터미널에 대응하게 되어 있다. 종단부(28)은 제2도의 절연 도체(34)와 같은 전기와이어로 종단되는 2쌍의 크림프 아암(30, 32)를 포함한다. 크림프 아암(30)은 도체 코어(34a)로 크림프되고, 반면 크림프 아암(32)는 절연 도체의 외부 피복 또는 절연체(34b)로 크림프된다.
수형 터미널(12)는 시트 금속 재료로 스탬프 가공되고 성형될 수 있으며, 이하에 설명되는 목적을 위해 탄성 말단부(38)과 견고한 정지 견부(40)을 한정하도록 캔틸레버식으로 되어 있는 한 쌍의 주 로킹 아암(36)을 포함한다. 도한 한 쌍의 구부림 가능 탭(42)가 제3도에 도시된 터미널의 초기 상태에서 터미널 엽형 대응부(26)과 대체로 같은 평면상으로 그 외측으로 돌출한다. 상기 엽형 대응부는 터미널의 보조 로크 역할을 하고, 구부림 가능 탭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터미널 위치 보장 장치로서 제공된다.
크림프 아암(30, 32)가 각 터미널(12)를 절연 도체(34)에 종단시키기 위해 크림프된 후, 터미널은 (제2도)의 화살표(A) 방향으로 하우징(18) 내로 삽입된다. 터미널의 완전 삽입 위치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 정지 견부(40)이 벽(22)의 제1면(22a)와 접촉하여 맞물린 것을 볼 수 있다. 도한 주 로킹 아암(36)이 터미널이 완전 삽입 위치로부터 벗어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격벽(44) 위에 스냅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 구부림 가능 탭(42)는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도에 가장 잘 도시되고 제2도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탭(42)는 터미널 엽형 대응부(26)과 대체로 같은 평면인 제3도에 도시된 제1 또는 원래의 위치로부터 구부려져 벽(24)의 제2면(22b)위에 위치될 수 있다. 탭은 제1도의 축(46)에 대해 구부려진다. 상기 축은 (제2도의) 화살표(A)로 지시되는 터미널 삽입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고, 또는 축은 제2면(22b)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각 탭의 모서리(42a)는 제2면(22b)의 상부위의 통로로 이동된다.
수형 터미널(12) 중 하나가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위치되지 않으면 탭(42)를 축(46)에 대해 구부리려는 시도는 불가능하며, 이는 탭의 모서리(42a)가 벽(22)의 제2면(22b)를 넘지 못하기 때문이다. 탭을 구부릴 수 없다는 것은 터미널이 완전히 삽입된 위치가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나타내준다.
제4도 내지 제6도의 커넥터(14) 및 암형 터미널(16)은 제1도 내지 제3도의 커넥터(10) 및 수형 터미널(12)에 대해 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구부림 가능탭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을 나타낸다. 더 자세하게는 커넥터(14)는 (제1도의) 커넥터(18)의 리셉터클(20)과 같응 대응 커넥터의 다수의 리셉터클과 대응하기 위한 다수의 사일로(52)를 한정하는 유전성 하우징(50)을 포함한다. 암형 터미널(16) 중 하나가 각 사일로(52)내에 장착된다.
제6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암형 터미널(16)은, 활살표(B) 방향으로 대응 암형부(54)로 삽입되는 수형 터미널(12)의 엽형 대응부(26)과 같은, 수형 터미널과 대응하는 중공 대응부(54)를 포함한다. 각 암형 터미널(16)은 절연 도체(66)의 도체 코어(62)와 절연 피복에 각각 크림프되는 2쌍의 크림프 아암(58, 60)을 갖는 종단부(56)을 포함한다. 수형 터미널(12)와 마찬가지로 암형 터미널(16)은 스탬프 가공되고 성형된 시트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며, 주 로킹 아암(68)은 터미널이 그 개개의 사일로(52) 내에서 완전히 삽입된 위치일 때 하우징(50)의 (제5도의) 로킹 견부(70) 뒤에 스냅식으로 고정되기 위해 터미널의 외측으로 구부려지거나 성형된다. 이하에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터미널은 또한 커넥터(14)의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하부 모서리(72a)를 갖는 한 쌍의 구부림 가능 탭(72)를 포함한다.
각 암형 터미널(16)은 하우징(50) 내의 (제5도의) 통로(74)와 개개의 사일로 (52)에 화살표(C) 방향으로 삽입된다. 통로는 제1면(76a)와 제2면(76b)를 한정하는 벽(76)을 포함한다. 정지 수단이 사일로(52)의, 내부 정지면(77a)를 갖는 모서리 보스(77)에 의해 제공된다. 암형 터미널(16)의 완전 삽입 위치에서 터미널의 대응부(54)의 단부(54a)는 보스(77)의 정지면(77a)에 대해 접촉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의 커넥터(10) 및 수형 터미널(12)에 관하여 전술한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과 유사하게, 각 암형 터미널(16)이 제5도에 도시된 완전 삽입 위치로 삽입될 때, 구부림 가능 탭(72)의 모서리(72a)는 하우징의 개개의 통로(74) 내에서 벽(76)의 제2면(76b)에 걸리지 않는다. 그후 탭(72)는 터미널의 삽입 방향(C)에 대체로 평행한 (제6도의) 축(80)에 대해 구부려지고, 이에 따라 구부림 가능 탭이 벽(76)의 제2면(76b) 위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탭은 제2면(76b)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80)에 대해 구부림 가능하다. 터미널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 구부림 가능 탭은 벽(76)에 걸리므로 제4도 및 제5도에 되시된 위치로 구부려질 수 없으며, 이는 터미널이 제대로 위치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제7도 및 제8도는 터미널이 완전히 삽입된 위치일 때 (제7도의) 수형 터미널(12)와 (제8도의) 암형 터미널(16)의 너미널 위치 보장 탭을 구부리기 위한 다양한 공구를 도시한다.
더 자세하게는, 제7도를 보면 대체로 원통형인 공구(82)가 그 하부 주연 모서리에 한 쌍의 슬롯 또는 노치(84)를 갖는다. 노치는 공구가 커넥터 하우징(18)의 리셉터클(20)으로 하향 삽입됨에 따라 터미널(12)의 구부림 가능 탭(42)를 감싸는 치수를 갖는다. 노치가 구부림 가능 탭을 감싼 상태에서, 공구는 양방향 화살표(D)에 의해 도시된 양방향 중 하나로 회전되어 탭을 축(46)에 대해 구부려서 탭이 벽(22)의 제2면(22b)위에 위치되게 한다.
제8도를 보면 공구(86)이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소형 스크루 드라이버의 엽형부와 같은 엽형 형상을 갖는다. 공구는 제6도에 화살표(B)로 지시된 수형 터미널의 삽입과 유사하게 암형 터미널(16)의 대응부(54)로 삽입된다. 삽입된 후, 공구는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되어 탭(72)를 화살표(F) 방향으로 외측으로 구부리고, 이때 탭은 제8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4도에 도시된 위치로 구부려져 특정암형 터미널이 그것의 완전 삽입 위치로 삽입되었음을 나타낸다. 역시, 어떤 암형 터미널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거나 적절히 위치되지 않을 경우 공구(86)은 탭이 (제5도의) 벽(76)에 걸리기 때문에 탭을 구부릴 수 없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및 중심 특징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이고 제한적인 아닌 것으로 보아야 하며, 본 발명은 전술한 세부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5)

  1. 그곳을 통하는 터미널 수용 통로를 구비하고 제1면 및 제2면을 한정하는 벽을 갖는 유전성 하우징과, 벽의 한 측면상의 대응부와 다른 측면상의 종단부를 갖고 통로 내에 수용되게 되어 있는 터미널과, 터미널이 제1면을 향한 삽입 방향으로 통로를 완전히 통과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터미널의 완전 삽입 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하우징의 정지면과 맞물리는 터미널 상의 정지 수단과, 터미널이 통로에 삽입될 때 벽의 제2면에 대해 구부려지게 되어 있는 터미널 상의 구부림 가능 탭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용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응 터미널부는 전방 단부를 갖고, 상기 정지 수단은 상기 전방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방 단부에 위치된 상기 구부림 가능 탭은 벽의 제2면에 수직인 축에 대해 구부려지고 터미널이 통로에 완전히 위치될 때 제2면 위에 위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이 대체로 평탄하고 상기 탭이 대체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탭이 상기 축에 대체로 수직인 모서리를 갖고, 탭이 축에 대해 구부려질 때 제2면과 로킹 맞물림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대응부가 수형 엽형 터미널을 수용하게 되어 있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단면을 형성하는 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5. 터미널이 완전 삽입 위치까지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는 터미널 수용 통로를 갖는 전기 커넥터의 유전성 하우징에서 종방향 축을 갖는 터미널 대응 공동을 한정하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단면을 갖는 암형 터미널의 올바른 위치를 보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에 면하고 통로에 인접한 하우징 상에 래치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통로와 정렬된 제1 위치로부터 래치면 위의 제2 위치로 상기 삽입 방향과 대체로 평행한 축에 대해 구부려질 수 있는 구부림 가능 탭을 터미널 상에 제공하는 단계와, 터미널을 상기 완전 삽입 위치까지 상기 삽입 방향으로 통로에 삽입하는 단계와, 길다란 엽형 공구를 상기 터미널 대응 공동에 삽입하는 단계와, 공구 축이 대체로 터미널 대응 공동의 종방향 축과 일치하는 동안 공구의 종방향 축에 대해 공구를 이동시켜 탭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구부리는 단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터미널 위치 보장 방법.
KR1019940006888A 1993-04-02 1994-04-01 전기 커넥터용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KR0138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42,312 US5314358A (en) 1993-04-02 1993-04-02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US8/042,312 1993-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8837B1 true KR0138837B1 (ko) 1998-06-15

Family

ID=2192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888A KR0138837B1 (ko) 1993-04-02 1994-04-01 전기 커넥터용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14358A (ko)
EP (1) EP0618645B1 (ko)
JP (1) JP2714758B2 (ko)
KR (1) KR0138837B1 (ko)
DE (1) DE6940858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4037A (en) * 1994-03-01 1996-09-10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Terminal support for use with an electronic component
IT232574Y1 (it) * 1994-11-18 2000-01-10 Toffoli Domenico Connettore per cablaggi elettrici.
US5821462A (en) * 1995-11-20 1998-10-13 Corcom, Inc. Insulated terminal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JP3679301B2 (ja) * 2000-03-03 2005-08-03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US6743060B2 (en) * 2002-07-08 2004-06-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7749C (ko) *
US3178672A (en) * 1960-10-26 1965-04-13 Kent Mfg Corp Double-ended connector for terminal board
BE636284A (ko) * 1962-08-21
FR2467490A1 (fr) * 1979-10-09 1981-04-17 Labinal Organe de connexion electrique et boitier destine a contenir un tel organe
US4359258A (en) * 1980-01-14 1982-11-16 Trw Inc. Electrical connector
JPS58115088U (ja) * 1982-01-29 1983-08-05 松下電工株式会社 さし込みプラグ
DE3326991A1 (de) * 1983-07-27 1985-02-14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Verbindungssystem fuer elektrische steckbuchsen
JP2507136Y2 (ja) * 1991-02-21 1996-08-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構造
US5147228A (en) * 1991-05-10 1992-09-15 Amp Incorporated Terminal having positive retention feature and method of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14758B2 (ja) 1998-02-16
EP0618645A3 (en) 1995-08-09
JPH06325817A (ja) 1994-11-25
US5314358A (en) 1994-05-24
EP0618645A2 (en) 1994-10-05
DE69408586D1 (de) 1998-04-02
EP0618645B1 (en) 1998-02-25
DE69408586T2 (de) 199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50067A (en) Electrical receptacle and terminal
US4516815A (en) RF filter connector
EP0572874B1 (en) Dual thickness blade type electrical terminal
US693589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US536226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latching system
US20010009817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female contact
EP0125786A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133672A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US4298242A (en) Electrical socket contact
US5306177A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tion system for input-output electrical connector
KR100354449B1 (ko) 전기커넥터및그하우징
JP3035813B2 (ja) 端子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EP3648259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es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projections provided on hinged cover
EP0509412B1 (en) Plural jack connector module
US6702623B2 (en) Connector
JP2004055485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0138837B1 (ko) 전기 커넥터용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US704481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otation prevention
KR970001619B1 (ko) 절연 전기 단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291296B1 (ko) 전기커넥터키잉시스템
WO2023192532A1 (en) Angled subassembly for an angle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EP072920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latching means
WO2020121925A1 (ja) ハーネス部品
JP3344622B2 (ja) シールド電線用コネクタ
JP2563624Y2 (ja) 端子のこじり防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