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8632Y1 - 수족관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632Y1
KR0138632Y1 KR2019960024424U KR19960024424U KR0138632Y1 KR 0138632 Y1 KR0138632 Y1 KR 0138632Y1 KR 2019960024424 U KR2019960024424 U KR 2019960024424U KR 19960024424 U KR19960024424 U KR 19960024424U KR 0138632 Y1 KR0138632 Y1 KR 0138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vertical
connecting means
s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030U (ko
Inventor
이용찬
Original Assignee
이용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찬 filed Critical 이용찬
Priority to KR2019960024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632Y1/ko
Publication of KR960030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6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족관의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재료를 절감하므로서 수족관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냉각기와 물순환장치 및 여과장치 등이 수납된 함체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 상측의 각 모서리부위에 이격 배치되며 상, 하측이 직각으로 내향 분기된 다수의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의 상, 하측 사이에 일정한 높이를 두고 수직므로 부착되며 단면이 ㄱ형앙을 갖는 수직간, 상기 연결수단의 좌, 우측 사이에 일정한 길이를 갖고 수평으로 부착되며 단면이 ㄱ형상을 갖는 수평간, 상기 수직간과 상기 수평간 및 이들을 구획하는 상기 연결수단의 내측에 기밀을 유지하며 부착되는 판상의 투명판체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족관의 연결장치
본 고안은 수족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족관의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재료를 절감하므로서 수족관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수족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같이, 수족관은 일반 음식점에서 해수를 저수한 상태에서 활어를 전시 보관할 때 사용하는 것므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어항과는 달리 구분된다.
또한 수족관은 이미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다수 제안 사용되고 있는데, 수족관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활어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해수를 저수해야 하고, 해수를 저수한 상태에서는 수족관이 해수에 의해 부식되거나 녹이스는 금속재질 보다는 주로 녹이슬지 않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이와같은 수족관의 대표적인 형태는 제1도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냉각기와 여과장치 및 물 순환장치 등이 수납되도록 별도의 실을 구획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측에 설치되며 적어도 어느 일면이상이 투명한 유리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내부에 보관된 활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수조(2)로 대별(大別)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일반적인 수족관의 제작과겅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체를 제작시에는 처음에 다수의 판체형상물 갖는 합성수지재로써 내부에 냉각기와 여과장치 등의 부품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함체형상으로 제작한다.
물론 본체(1)를 구성하는 다수의 판체(1-1)는 실리콘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첸(1)가 제작되면 본체의 상측에 놓여지는 수조(2)를 제작하는데 이 수조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체의 제작시와 마찬가지로 또다른 다수의 판체(2-1)를 중앙부가 개구되도록 톱 등의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하고 그 상측은 열을 가해 일방향으로 수평 절곡시킨 후 절곡된 부위의 모서리는 대략 45°정도의 각도로 모따기를 한다.
이와같이 모따기가 완료된 또 다른 다수의 판체(2-1)를 그 하단면은 상기 본체(1)의 상측 테두리 부위에 일치시키고 상측의 모따기된 부분은 그들끼리 상호 일치되게 위치시킨 후 상술했던 바와같이 실리콘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 고정하므로서 틀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다수의 판체(2-1)가 접착되어 소정의 틀 형상이 완료되면 그 내측으로 투명체 즉 유리나 투명한 합성수지재를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하므로서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형상의 수조(2)가 완료되며 비로서 수족관이 완성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작업공정에 의해 수족관을 제작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수족관의 제작공정중 특히 수조(2)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판체(2-1)중앙부를 절단한 뒤 그 내측에 투명체를 부착하므로서 내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그 내측에는 투명체를 부착하기 위한 틀의 기능물 수행하도록 상단부를 열을 가해 내측으로 수평 절곡한 후 그 양측 모서리 부위를 모따기하며 이들을 접착수단에 의해 상호 접착하므로서 수족관을 제작하는데 이 과정에서 실제 수족관을 제작할 때 소비되는 판체의 양보다 버려이는 판체(l-1)(2-1)의 양이 많을 정도였다.
이렇게 버려지는 합성수지들에서 비교적 큰 합성수지의 일부는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판체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스러기나 조각상태의 합성수지는 수거되이 않는 산업폐기물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족관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설계, 제작하고자 하는 수족관의 어느 일면의 크기보다 다소 큰 크기의 합성수지 판체를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감을 가중시키고 그에 따라 수족관의 가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수조(2)의 제작시 판체(2-1)의 상측 양단부를 45°각도로 모따기한 후 이 모딴기된 부분을 상호 일치시키며 실리콘으로 실링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어 모따기한 부분이 정교하게 일치되지 않고 그에 따라 원활한 실링작업이 이루어이지 않으므로 모따기한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탈착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고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족관의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재료를 절감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수족관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수족관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연결장치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3도의 (a) 및 (b)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연결수단을 구체적으로 보이기 위한 정면 및 배면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마감판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이고,
제7도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수조
30 : 수직간 40 : 연결데이타
41 : 수직연결부재 42 : 수평연결부재
43 : 보강판재 43',70' : 홈
44 : 볼트 45 : 넛트
50 : 수평간 60 : 투명판체
70 : 마감판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냉각기와 물순환장치로 여과장치 등이 수납된 함체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 상측의 각 모어리부위에 이격 배치되며 상, 하측이 직각으로 내향 분기된 다수의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의 상, 하측 사이에 일정한 높이를 두고 수직으로 부착되며 단면이 ㄱ형상을 갖는 수직간, 상기 연결수단의 좌, 우측 사이에 일정한 길이를 갖고 수평으로 부착되며 단면이 ㄱ형상을 갖는 수평간, 상기 수직간과 상기 수평간 및 이들을 구획하는 상기 연결수단의 내측에 기밀을 유지하며 부착되는 판상의 투명판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의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연결장치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분해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은 본체(10)와 본체(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수조(20)로 그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10)는 그 내부에 미도시한 냉각기와 물순환장치 그리고 여과장치 등이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인 함체형상을 갖게될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상측 각 모서리부위에는 일정한 높이는 갖는 ㄱ자 형상의 수직간(30)이 수직 설치되고 상기 수직간(30)은 종래와 같이, 그 하단부가 상기 본체(10)의 모서리부 상측과 실리콘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거나 또는 본체의 모서리부 하측에서 본체의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되게 부착될 수도 있지만 제2도와 같이 후술하는 본체(10)의 상측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는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수직간(30)을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수단(40)은 제2도 내지 제3도의(a) 및 (b)와 같이, 상기 수직간(30)의 상, 하단면과 면접하는 하, 상단면을 갖는 단면 ㄱ자 형상의 수직연결부재(41)를 갖는다.
상기 수직연결부재(41)의 상측에는 상기 수직연결부재(41)와 대략적으로 직각을 형성하며 90°정도의 각도를 갖고 내향 분기된 한쌍의 수평연결부재(4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들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부재들의 길이(I)보다 길게 연장된 길이(L)를 갖고 소정 구간마다 절결가능한 적어도 한개이상의 홈(43')을 갖춘 보강판재(43)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41)(42)에 연결되는 상기 수직간(30)과 상기 수평간(50)은 그 내, 외측에 별도의 접착제 등이 도포된 상태에서 상호 접착력에 의해 일체로 접착 될 수 있다.
즉 이때에는 상기 수직간(30)과 상기 수평간(50)의 양단부들은 상기 연결부재(41)(42)의 각 단부들과 면접하고, 수직간(30)과 수평간(50)의 외측은 상기 소강판재(43)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부착된다.
또 고주파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수직간과 수평간을 연결부재에 일체로 열융착 하며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볼트(44)와 넛트(45)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제3도의(a) 및 (b)와 같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볼트와 넛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부재와 수평, 수직간을 결합시에는 상기 볼트(44)의 머리부분은 그 체결되는 부위의 면보다 돌출되지 않고 매입되거나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넛트(45)는 동물이나 곤충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므로서 외부에서 식별하였을때 체결수단임을 은폐한 상태에어 미관을 향상시키며 체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3도참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판재(43)의 외측면에는 다양한 형상의 양각과 음각의 문양이 각인되어 미적 효과를 부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간(30)과 상기 수평간(50)은 제작하고자 하는 수족관의 크기와 길이 등에 비레하여 절단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사출과 압출 그리고 프레스 등에 의해 길게 제작될 것이다.
또한 연결수단(40)은 제1실시예와 같이, 연결수단과 보강판재를 별도로 분리 제작한 후 이를 접착에 의해 일체화 시키지 않고, 제7도와 같이, 각 연결부재와 보강판재가 단차를 갖고 일체로 구비되도록 프레스가공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직간(30)과 수평간(50) 및 각 연결부재(41)(42)와 보강판재(43)의 내측면에는 접착수단의 기층을 수행하는 실리콘 등이 도포된 상태에서 그 내측에 수조를 형성하는 투명판체(60)가 부착된다.
또한 도면표현은 생략하였지만 별도의 바닥재를 투명판체와 같이, 본체의 상면에 부착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제2도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본체의 밀패된 상측을 수조의 바닥으로 대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판체(60)는 종래와 동일하게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또한 제6도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상기 수조(20)의 연결부인 각 경계선에는 각종 문양이 양각되거나 음각되며 상술했던 보강판재(43)와 마찬가지로 선택적으로 길이를 절단하며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한개이상의 홈(70')을 갖춘 T형상의 마감판재(70)가 구비된다.
상기 마감판재(70)는 그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며 T형상 또는 L형상 등으로 절단 사용될 수도 있고 수직간 또는 수평간의 전장에 걸쳐서 복개하며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제작시에는 먼저 판체형상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함체형상의 본체(10)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제작이 완료되면 제2도와 같이 본체(10)의 상측 모서리 부위에 연결수단(40)을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부착한 뒤 이 연결수단에 구비된 각 연결부재(41)(42)의 내측단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직간(30) 또는 수평간(50)을 실리콘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 고정한다.
즉 수직간(30)을 부착시에는 수직연결부재(41)의 외측에 연장된 상기 보강판재(43)의 내측면 또는 수직간(30)의 양단부 외측면에 실리콘등을 도포한 상태에서 제2도와 같이, 수직연결부재(41)의 양, 하단부에 수직간(30)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접착한다.
물론 수평연결부재(42)에 수평간(50)을 접착할 때에도 상술했던 수직간(30)의 접착과 마찬가지로 접착한다.
이와같이 접착수단에 의애 각 연결부재(41)(42)에 수직간(30)과 수평간(50)의 접착을 완료하면 수직간(30)과 수평간(50)의 양단부는 수직연결부재(41)와 수평 연결부재(42)의 각 단부와 일치된 상태에서 접착되고, 수직간(30)과 수평간(50)의 양측 외면은 각 연결부재의 외측에서 연장된 보강판재(43)의 내측면에 면 접촉한 상태에서 접착된다.
물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족관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수평연결부재(42)와 수평간은 제2도와 같이, 볼트(44)와 넛트(45)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하며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각 연결부재(41)(42)의 측단부에 다수의 수직간(30)과 수평간(50)을 부착 완료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조(20)의 전체적인 틀 형상이 완료된다.
수조(20)의 틀 형상이 완료되면 각 수직간(30)과 수평간(50)의 내측면 그리고 각 연결부재(41)(42)들의 내측면에 실리콘 등을 도포한 후 투명판체(60)를 부착함으로써 수조(20)의 전체적인 외형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수조의 제작이 완료되면 수조와 본체가 연결되는 경계선이나 또는 수족관의 각 모서리 부위에 제6도와 같이 T 또는 L형상으로 절단된 마감판재(70)를 부착하므로서 수족관의 미감을 가일층 향상시킨 상태에서 수족관의 전체적인 제작이 완료된다.
이와같은 조립과정을 거쳐 완성되는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다수의 판체를 중앙부가 개구되도록 톱 등의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하고 그 상측은 열을 가해 일방향으로 수평 절곡시킨 후 절곡된 부위의 모서리를 대략 45°각도로 모따기한 후 이와같이 모따기된 부분을 상호 일치되게 위치시키며 실리콘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착 고정하고 그 내측에 유리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투명체를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하므로서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형상의 수조를 제작하던 종래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합성수지판체의 낭비를 방지하므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수족관의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재료를 절감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Claims (3)

  1. 내부에 냉각기와 물순환장치 및 여과장치 등이 수납된 함체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 상측의 각 모서리부위에 이격 배치되며 상, 하측이 직각으로 내향 분기된 다수의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의 상, 하측 사이에 일정한 높이를 두고 수직으로 부착되며 단면이 ㄱ형상을 갖는 수직간, 상기 연결수단의 좌, 우측 사이에 일정한 길이를 갖고 수평으로 부착되며 단면이 ㄱ형상물 갖는 수평간, 상기 수직간과 상기 수평간 및 이들을 구획하는 상기 연결수단의 내측에 기밀을 유지하며 부착되는 판상의 투명판체로 구비된 수족관의 연결장치.
  2.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수직간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면접하는 수직연결부재,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상, 하측에 연장 구비되며 상기 수직연결부재와 직각을 형성하며 내향 분기된 수평연결부재, 상기 각 연결부재들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재들의 길이(I)보다 길게 연장된 길이(L)를 갖고 소정구간에 절결가능한 적어도 한개이상의 홈을 갖춘 보강판재로 구비된 수족관의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재는 상기 수직, 수평 연결부재의 각 단부에서 단차를 갖고 일체로 연장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수족관의 연결장치.
KR2019960024424U 1996-08-14 1996-08-14 수족관의 연결장치 KR0138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424U KR0138632Y1 (ko) 1996-08-14 1996-08-14 수족관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424U KR0138632Y1 (ko) 1996-08-14 1996-08-14 수족관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030U KR960030030U (ko) 1996-10-22
KR0138632Y1 true KR0138632Y1 (ko) 1999-03-20

Family

ID=1946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424U KR0138632Y1 (ko) 1996-08-14 1996-08-14 수족관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6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030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629B1 (ko) 하니콤 코아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패널
CA2231130A1 (en) Composite socket with double inserts
KR0138632Y1 (ko) 수족관의 연결장치
JPH03176584A (ja) 合成樹脂製窓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74557B1 (ko) 냉장고용 강화유리선반
KR200287920Y1 (ko) 단위판넬의 조립구조
US7140671B2 (en) Multi-piece roof with reinforcement
JP2000050980A5 (ko)
US3927643A (en) Aquarium
CN201106601Y (zh) 车身钣金搭接凹槽与装饰条的装配结构
KR0126454B1 (ko) 목재문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
JPH0686228B2 (ja) 車両用リヤスポイラ
JPH0513817B2 (ko)
CN212716346U (zh) 一种门板镶嵌金属条组件及其门板
CN211280596U (zh) 车辆天窗加强框和车辆
KR920000980Y1 (ko) 조립식 거울프레임
CN210164748U (zh) 一种型材板连接结构及相关家具和装修
CN209799763U (zh) 一种金属龙骨架及基于该金属龙骨架的门
KR20130122992A (ko) 반사지의 훼손방지를 위한 델리네이터 제조방법
KR200201253Y1 (ko) 패널수조의 보온장치
CN211431766U (zh) 一种型材板连接结构及相关家具和装修结构
CN210947596U (zh) 一种用于集成墙板安装的踢脚线阴角安装结构
KR19980064905A (ko) 건축용 도어
JPH068774Y2 (ja) 仏 壇
JPH0246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81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1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8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2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