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8627B1 -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627B1
KR0138627B1 KR1019940018970A KR19940018970A KR0138627B1 KR 0138627 B1 KR0138627 B1 KR 0138627B1 KR 1019940018970 A KR1019940018970 A KR 1019940018970A KR 19940018970 A KR19940018970 A KR 19940018970A KR 0138627 B1 KR0138627 B1 KR 0138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heet
article
hood
poro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721A (ko
Inventor
유끼오 아베
미끼오 쯔쯔이
다까유끼 야마우찌
Original Assignee
하세가와 가쯔즈기
가부시기가이샤 메이난 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세가와 가쯔즈기, 가부시기가이샤 메이난 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하세가와 가쯔즈기
Publication of KR950005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62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27Suction retaining means
    • B65G21/2036Suction retaining means f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38Venee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는 베니어판재를 도면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이송하기위해 제공된다. 여러개의 공기구멍을 가지는 다공성 이송벨트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위에서 회동하도록 주위에 걸쳐진다. 다공성 이송벨트의 내부에서, 다공성의 컨베이어벨트의 회동방향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 공기통로를 가지는 흡인후드는 그안에 더이상의 댐퍼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설치된다. 댐퍼는 원하는 베니어판재만 선택적으로 흡인되어 분배이송을 하도록 간헐적으로 회전하여 흡인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며 그 결과 각각의 인접한 두 베니어판재들 사이의 갭을 미리 한정하거나 또는 베니어판재를 천공할 위험이 제거된다. 그러므로, 갭을 한정하는 시기에 그 위에 가해진 장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상 또는 파단에 베니어판재를 노출시키지 않고 고속으로 분배작동을 수행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의 일부파단 측면 설명도.
제2도는 제1도의 분배장치의 요부의 동작설명도.
제3도는 제1도의 분배장치의 요부의 동작설명도.
제4도는 제1도의 분배장치의 요부의 동작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파단 측면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 11 : 벨트컨베이어2, 2a, 2b, 12 : 베이어판재
13 : 다공성 무단이송벨트5, 15 : 흡인후드
6, 16 : 흡인부7, 17 : 댐퍼
본 발명은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에 관하 것이다.
종래, 예를들면, 베니어판재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정형화된 시이트상 물품의 처리공정에 있어서는, 벨트컨베이터 등의 반송기구를 거쳐서 순차 소정의 경로로 반송되는 다수의 시이트상 물품의 내부로부터, 품질별의 분급(分級), 퇴적소요시간의 확보, 퇴적장소의 변경등등, 다양한 요구에 응하여 원하는 시이트상 물품을 소정 경로로부터 이탈하는 다른 경로로 분배하는 처리를 필요로 하는 예가 많이 있고, 상기 처리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가지의 처리장치가 실용화 되어있다.
그런데, 예를들면 “박판을 겹쳐쌓는 장치”(일본국 특공고 29-473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시이트상 물품사이에 갭을 설치하고 이 갭에 방향전환기를 개입시키는 장치에 있어서는 갭을 설치하는 경우의 반송 속도의 차이에 기인하는 인장력의 작용에 수반하여 연약한 시이트상 물품이 판단하기 쉬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는, 예를들면 “베니어판재의 분리반송장치”(일본국 실공평 5-6304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시이트상 물품을 자착(刺着)반송하는 자착반송체를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시이트상 물품에 자착상(刺着傷)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고, 또 예를들면 “베니어판재의 연속절단처리장치”(일본국 특공평 3-48000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시이트상 물품을 경사상방과 경사하방으로 분배반송하는 분배컨베이어를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시이트상 물품의 선단부의 진폭이 극히 넓고 또 시이트상 물품을 경사하방으로 분배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공기저항에 의한 양력의 존재 등으로 인해 고속대응성에 난점이 있는 등, 어느것도 많은 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결점을 제겋나 실용적인 분배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정된 통로를 따라서 시이트상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제1컨베이어수단; 상기 제1컨베이어수단의 위를 회동하기 위한 제1컨베이어수단; 상기 다공성 이송수단을 거쳐서 상기 예정된 통로를 따라 반송되는 상기 시이트상 물품에 대향하는 관계로 개방되는 흡인부를 가지며 상기 제1컨베이어수단의 위에 제공된 흡인후드; 상기 흡인부를 개방하여 상기 다공성 이송수단을 개재하여 원하는 시이트형 물품을 흡인하기 위해 상기 흡인후드내에서 상기 흡인부를 따라서 슬라이드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흡인후드내에 취부됨과 아울러 상기 흡인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간헐적으로 이동하기에 적합한 댐퍼: 및 상기 흡인된 시이트형 물품을 받아들여서 상기 시이트형 물품이 상기 예정된 통로 이외의 다른 통로를 따라서 이탈하여 반송되도록 흡인후드의 상기 흡인부의 하류측에 제공된 제2컨베이어수단을 구비하는,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 될 것이다.
도면에서, 벨트컨베이어(1)는 그의 상류측에 제공된 벨트컨베이어(1a)로부터 베니어판재(2, 2a)를 받아들여서 이 베니어판재들을 예정된 통로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한다.
많은 공기유통구멍(3a)을 가지는 다공성 무단이송벨트(3)는 어느 하나의 열이 구동측 풀리이고 다른 열이 종동측 풀리인 2열의 풀리(4, 4a) 위에 걸쳐져 있고, 동시에 상기 다공성의 무단이송벨트(3)는 상기 벨트컨베이어(1) 위를 화살표방향으로 지나가며 이후에 기술될 흡인후드(5)의 하측면에 형성된 개구부(6b) 위를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되어있다.
대향한 단부들이 폐쇄된 중공실린더의 형태로된 흡인후드(5)가 상기 벨트컨베이어(1) 위에 제공된다. 상기 흡인후드(5)에는 흡인부(6)가 형성된다. 상기 흡인부(6)는 상기 다공성의 이송벨트(3)를 거쳐서 벨트컨베이어(1)상의 베니어판재(2, 2a)에 대향하는 위치로 개방되는 외측개구(6b)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통로(6´)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통로(6´)는 다공성 이송벨트(3)의 회동방향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다수의 격벽(5a)에 의해 세분화되어 있다. 상기 공기통로(6´)는 임의직경을 갖는 가상적인 원통분할면을 한정하기 위해 흡인후드(5)의 내측원주에 형성된 내측개구(6a)를 가진다(이 실시예에서는 후드 자체가 중공실린더 이기 때문에, 내측개구는 반드시 중공 실린더 내측면의 분할된 부분을 이루도록 제공된다).
댐퍼(7)는 보스(7a), 암(7b) 및 림(7c)을 포함하며 상기 림(7c)이 흡인후드(5)의 흡인부(6)의 내측개구(6a)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면에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었지만, 상기 댐퍼(7)는 벨트컨베이어(1, 1a)를 따라 바로 전의 단계에 배치된 베니어판재 절단장치와 같은 그러한 신호공급원으로부터 베니어판재 절단신호, 베니어판재들 사이의 경계면을 검출하는 감지지로부터 경계면 검출신호,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수동적인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적합한 제어기구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서보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간헐적인 구동기구의 도움으로 임의의 베니어판재의 공급과 동시에 베니어판재 공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상기 흡인후드(5)와 공기흡인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흡인호스(9)가 제공된다. 참조부호10는 상기 다공성 이송베르(3)를 거쳐서 분배되는 베니어판재용의 보조벨트 컨베이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는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댐퍼(7)는 후드(5)내의 공기통로(6´)를 폐쇄하기 위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원하는 베니어판재, 예를들면 베니어판재(2a)를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경우에는, 제2도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원하는 베니어판재(2a)의 선단부의 이동에 동기시켜서 댐퍼(7)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면, 흡인후드(5)의 공기통로(6´)가 서서히 개방되어, 베니어판재(2a)가 그의 선단부로부터 차례대로 다공성의 이송벨트(3)에 흡착된다.
비록 흡인후드(5)의 흡인부(6)내의 공기통로(6´)가 조만간에 충분히 개방된다고 할지라도, 흡인후드(5)에 대한 다공성의 이송벨트(3)로의 베니어판재(2a)의 흡착은 공기통로(6´)의 구역에 한정된다. 그 결과, 베니어판재(2a)는 상기 판재가 이 구역을 통과할 때 그의 선단부로부터 시작하여 흡착에서 점진적으로 해제된다. 그후, 베니어판재는 보조벨트 컨베이어(10)상으로 점진적으로 이송된다. 한편, 댐퍼(7)는 제3도에 도시한 위치까지 회전한 후에 잠시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되고, 베니어판재(2a)의 후단부가 통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후, 제4도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베니어판재(2a)의 후단부의 이동에 동기시켜서 댐퍼(7)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면, 흡인후드(5)의 공기통로(6´)가 서서히 폐쇄된다. 그러므로, 베니어판재(2a)의 후단부만 여전히 다공성 컨베이어벨트(3)에 흡착되는 한편, 후속하는 베니어판재(2a)의 후단부는 다공성 컨베이어벨트(3)에 흡착하지 않고 예정된 통로를 따라서 벨트컨베이어(1)상으로 반송된다.
이 경우에, 흡인후드의 공기통로가 너무 크다면, 댐퍼에 의한 국부적인 폐쇄가 불완전하게 되어, 후속하는 베니어판재의 선단부에도 과대한 흡인력이 작용할 염려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각각의 인접한 베니어판재들 사이에 갭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분배장치에 있어서, 흡인부(6)는 다공성 컨베이어벨트의 회동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작은 공기통로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후속하는 베니어판재의 선단부에는 흡인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고, 따라서 비록 각각의 베니어판재들이 간극이 없이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상태에 있다고 할지라도, 잘못된 분배처리가 행해질 염려가 없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분배방법에 의하면, 처리하는 베니어판재에 돌자상(突刺傷)이 잔존할 염려가 없는 것은 물론이고, 베니어판재 반송속도를 사전에 차별화 시킴으로써 베니어판재들 사이의 간극을 생기게할 필요가 없으므로, 처리하는 베니어판재가 연약하여 판단하기 쉬운 경우에는 각 베니어판재를 간극없이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베니어판재 선단부의 진폭이 너무 적어서 베니어판재에 공기저항에 의한 양력이 작용할 여지가 없으므로, 고속도로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종래의 분배장치의 제결점을 제거한 양호한 분배처리가 가능하다.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니어판재(12, 12a)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벨트컨베이어(11a)로부터 이들을 받아들인후 벨트컨베이어(11)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11)의 상방에는 보조 벨트컨베이어(20)로 연결하는 다른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설비가 제공된다. 특히, 그 안에 다수의 공기유통구멍을 갖는 다공성 이송벨트(13)는 풀리(14, 14a)의 열들의 주위를 회동하며, 이들중 어느 한 열이 구동측 풀리가 되어있고, 로울(14b, 14c)이 회동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더욱이, 밀폐된 구조의 흡인후드(15)는 벨트컨베이어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흡인후드(15)에는 흡이부(16)가 형성되는데, 이 흡인부(16)는 예정된 통로를 따라 반송되는 베니어판재를 향한 부분에서 후드확대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드확대부는 흡인부(16)가 다공성 이송벨트(13)의 회동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배치되도록 다수의 격벽(15a)에 의해 제한되는 다수의 공기통로(16´)의 형태로 분할된 형식으로 제공된다. 더욱이, 보스(17a, 17b, 17c)로 구성된 댐퍼(17)는 축(18)을 중심으로 간헐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도 흡인후드(15)는 흡인호스(19)를 거쳐서 공기 흡인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다시, 공기통로(16´)는 주어진 직경의 가상적인 제1원통분할면을 한정하기 위해 배열되는 내측개구(16a)를 가진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상기 공기통로(16´)는 내측개구(16a)보다 직경이 더 큰 가상적인 제1원통분할면을 한정하기 위해 배열되는 외측개구(16b)를 가진다. 댐퍼(17)는 내측개구(16a)에 의해 한정된 가상적인 제2원통분할면을 따르도록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반면, 다공성의 이송벨트(13)는 외측개구(16b)에 의해 한정된 가상적인 원통분할면을 따르도록 작동된다(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에 비하여 처리공간을 더욱 크게 하지않고, 작은 곡률로서 분배를 행할 수가 있고, 비교적 만곡하기 어려운 시이트형 물품의 처리에 매우 적합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분배장치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의 장치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베니어판재의 선단부의 이동에 동기시켜서 도시된 위치에서 정지되어있는 댐퍼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면, 후드확대부의 공기통로가 서서히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원하는 베니어판재가 그의 선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다공성 이송벨트의 흡착되어서, 상기 베니어판재가 보조벨트컨베이어(20)측으로 이송될때까지 그 위에 부착된다. 더욱이, 흡인구의 직전위치에서 댐퍼의 회전을 잠시 정지시켜두고, 원하는 베니어판재의 후단부의 이동에 동기시켜서 댐퍼의 회전을 재개시키도록 제어하면, 후드 확대부의 공기통로가 서서히 폐쇄된다. 따라서, 후속하는 베니어판재는 결코 다공성 이송벨트에 흡착되지 않고, 예정된 통로를 따라서 벨트컨베이어측으로 연속하여 반송되는 것에 의해 원하는 분배처리를 수행할 수가 있다.
이것과 관련하여, 분배장치의 횡폭은 반드시 시이트상 물품의 횡폭과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고, 다소의 과부족이 있다고 해도, 또는 중간부가 적당한 수의 개소에 있어서 드문드문 빠져있다 하드라도, 요는 분배에 지장이 없는 흡인력이 부여될 수 있는 폭을 가지고만 있어도 족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실질적으로는 복수개의 조(組)로부터 이루어지는 흡인후드와 댐퍼의 조합을 다공성의 반송부재의 회동방향에 있어서 직렬적으로 병설하는 것에 의해 3종 이상의 분배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어느쪽이든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로서는 상기 양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것에도 많은 변경예가 거론되므로, 이하 그러한 변경예에 대하여 보충설명을 한다.
우선, 다공성 이송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양 실시예에서 개시된 다공성 이송벨트는 유연성이 풍부하므로, 단수 또는 복수의 흡인후드의 흡인부내의 공기통로의 외측개구가 가상적인 원통분할면을 따르지 않고 개구되어 있는 경우 등에도, 각별한 지장이 없이 그러한 외측개구의 전체적인 윤곽을 따르게하여 회동할 수가 있어서, 적절한 형태라고 할 수 있으나, 상기 양 실시예와같이, 흡인부의 외측개구가 임의직경의 가상적인 원통분할면을 따르도록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서는, 강성을 갖는 원통상의 다공성 이송드럼을 다공성 이송부재로 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요는 흡인후드의 흡인력을 효율좋게 중계할 수 있는 다수의 공기유통구멍을 갖는 이송부재라면 지장이 없고, 또 그의 기능으로부터 볼때 공기유통구멍은 개개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하고 수를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등, 적절한 형상의 구멍을 분산한 상태로 천공하면 족하다.
다음에, 흡인후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흡인부를 다공성의 이송부재의 회동방향에 있어서 복수개로 세분화 하는것과, 흡인부의 내측개구를 임의직경의 원통분할면을 따르게하여 개구시킨 것 이외에는 그의 형태에 특히 제약은 없고, 예를들면 흡인호스를 생략하여 공기흡인장치를 직접 연결하기도 하고, 또는 예를들면 흡인부의 공기통로의 외측개구를 타원형의 원통분할면을 따르게하여 개구시키기도 하는 등,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계변경하여도 지장이 없고 또 댐퍼에 대한 내측개구의 계합정밀도도 일반적인 슬라이드식의 것과 동등한 정도로 느슨하여도 지장이 없다. 앞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같이, 강성을 갖는 원통형의 다공성 이송드럼은 흡인부의 공기통로의 외측개구가 가상적인 원통분할면을 따르도록 설계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전체적인 구조가 간략화 될 수 있다고 할지라도, 다공성 이송벨트 대신에 이송수단으로서 비교적 소직경의 다공성 드럼을 사용하는 것은, 후드확대부의 공기통로가 제5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외측으로 팽창하도록 설계되는 경우에 절약되는 공간에 대해 반드시 적합한 것은 아니다.
다음에, 댐퍼의 변형예가 설명될 것이다. 필요한 때에 댐퍼가 흡인부의 공기통로를 폐쇠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한 그의 구조에 대해 어떠한 제약도 없다. 전술한 바와같이, 공기통로의 내측개구와의 계합정밀도는 일반적인 슬라이드식의 것과 동등한 정도로 느슨하여도 지장이 없다. 필요하다면, 밸런스목적을 위해 밸런스웨이트가 부가적으로 그곳에 취부될 수 있다.
그러나, 흡인부의 개방시에는, 가급적 공기의 유통을 저해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댐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기구의 형태에 대해서도 특별한 제약은 없다. 요는 원하는 시이트상 물품의 선단부의 이동에 동기시켜서 흡인부의 공기통로를 서서히 개방하도록 댐퍼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흡인후드의 흡인부의 직전에서 잠시 회전을 정지시킨다음 원하는 시이트 물품의 후단부의 이동에 동기시켜서 흡인후드의 흡인구를 서서히 폐쇄시키도록 댐퍼를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제어기구라면, 사용하는 신호의 발신원을 포함하여, 그의 형태는 자재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분배장치의 구성에 응하여 3종 이상의 분배처리를 행하는 제어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자재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에 의하면, 시이트상 물품을 손상시키는 요인을 적극적으로 배제하여, 고속으로 분배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 이상으로 적용범위를 확대시켜 시이트상 물품의 처리공정을 합리화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업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효과는 극히 크다.

Claims (4)

  1.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에 있어서,
    예정된 통로를 따라서 시이트상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제1컨베이어 수단;
    상기 제1컨베이어수단의 위를 회동하기에 적합한 다공성 이송수단;
    상기 다공성 이송수단을 거쳐서 상기 예정된 통로를 따라 반송되는 상기 시이트상 물품에 대향하는 관계로 개방되는 흡인부를 가지며 상기 제1컨베이어수단의 위에 제공된 흡인후드;
    상기 흡인부를 개방하여 상기 다공성 이송수단을 개재하여 원하는 시이트형 물품을 흡인하기위해 상기 흡인후드내에서 상기 흡인부를 따라서 슬라이드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흡인후드내에 취부됨과 아울러 상기 흡인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간헐적으로 이동하기에 적합한 댐퍼; 및
    상기 흡인된 시이트형 물품을 받아들여서 상기 시이트형 물품이 상기 예정된 통로 이외의 다른 통로를 따라서 이탈하여 반송되도록 흡인후드의 상기 흡인부의 하류측에 제공된 제2컨베이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후드는 흡인원에 연결된 중공실린더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그의 내부에서 간헐적인 회전을 하기에 적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부는 다공성 이송수단의 회동방향에 수직하게 연장하도록 상기 중공실린더본체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한정된 다수의 공기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이송수단은 상기 중공실린더본체의 외측원주위에서 슬라이드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댐퍼가 뒤따르는 가상적인 원통분할면을 한정하도록 상기 내측개구가 배열되는 그러한 실린더본체의 내측원주에 내측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후드는 흡인원에 연결되며, 상기 댐퍼는 그의 내부에서 간헐적인 회전을 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흡인부는 상기 예정된 통로를 따라 시이트형 물품을 향하는 부분에서 상기 흡인후드에 형성된 후드확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확대부는 다공성 이송수단의 회동방향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격벽에 의해 한정된 다수의 공기통로를 가지며, 상기 공기통로는 직경이 더 작은 가상적인 제1원통분할면을 한정하기 위해 배열된 내측개구를 가지며, 상기 통로는 직경이 더 큰 가상적인 제2원통분할면을 한정하기 위해 배열된 외측개구를 가지며, 상기 댐퍼는 가상적인 상기 제1원통분할면을 따르기에 적합하며, 상기 다공성의 이송수단은 가상적인 제2원통분할면을 따르기에 적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
KR1019940018970A 1993-08-02 1994-08-01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0138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10957 1993-08-02
JP21095793A JP3320852B2 (ja) 1993-08-02 1993-08-02 シート状物品の振分け装置
JP98-210957 1993-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721A KR950005721A (ko) 1995-03-20
KR0138627B1 true KR0138627B1 (ko) 1998-06-01

Family

ID=1659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970A Expired - Fee Related KR0138627B1 (ko) 1993-08-02 1994-08-01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27368A (ko)
JP (1) JP3320852B2 (ko)
KR (1) KR0138627B1 (ko)
CA (1) CA2127580C (ko)
FI (1) FI107247B (ko)
MY (1) MY111285A (ko)
TW (1) TW2412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804A (en) * 1997-10-17 2000-07-25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Apparatus for preventing jams in a folder of a printing press
JP2000294172A (ja) * 1999-04-12 2000-10-20 Kyoritsu Kogyo Kk シート材の貼付け装置
FI108292B (fi) 1999-07-19 2001-12-31 Raute Oyj Lajittelulaitteisto
US7001487B2 (en) * 2001-12-19 2006-02-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sheet from a dryer to a reel
DE10300234B3 (de) * 2003-01-08 2004-07-15 WINKLER + DüNNEBI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Nutzentrennung in einer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aus einer Materialbahn ausgeschnittenen Flachmaterialstücken
CA2558924A1 (en) * 2005-09-08 2007-03-08 Fpna Acquisition Corporation Pressurized air assist system for feeding overlapping sheets to an interfolder
JP2007076794A (ja) * 2005-09-13 2007-03-29 Toshiba Corp ゲート切り換え装置
JP4977596B2 (ja) * 2007-06-26 2012-07-18 株式会社名南製作所 定形のシート類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US20090084715A1 (en) * 2007-09-28 2009-04-02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 sheet separating apparatus
US7770889B2 (en) * 2007-11-02 2010-08-10 Pitney Bowes Inc. Sheet material sorter and pneumatic conveyance/diverting system therefor
JP2009226418A (ja) * 2008-03-19 2009-10-08 Hidaka Seiki Kk サクション装置及び熱交換器用フィンの製造装置
AT506764B1 (de) * 2008-04-21 2013-01-15 Gfm Beteiligungs Und Ma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bnehmen eines werkstücks von einem schneidetisch
US8123222B2 (en) * 2009-05-01 2012-02-28 Pitney Bowes Inc. Compliant conveyance system for mailpiece transport along an arcuate feed path
CN108639805A (zh) * 2018-04-10 2018-10-12 陕西理工机电科技有限公司 干法造纸纸幅转网装置及其转网方法
DE102020128265A1 (de) * 2020-10-28 2022-04-28 Voith Patent Gmbh Alternatives Saugwalzenkonzept
CN113277271B (zh) * 2021-05-24 2023-04-18 江西万达矿山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dts带式输送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12101B (da) * 1967-06-12 1968-11-11 J Carstens Apparat til fremføring af ark.
US3774907A (en) * 1971-09-16 1973-11-27 Xerox Corp Vacuum sheet stripping apparatus
DE2725546A1 (de) * 1977-06-07 1978-12-21 Womako Masch Konstr Vorrichtung zum umlenken von papierboegen
DE2856777C2 (de) * 1978-12-29 1980-11-13 Gao Gesellschaft Fuer Automation Und Organisation Mbh, 8000 Muenchen Stapelvorrichtung für flaches Fördergut
JPS60137748U (ja) * 1984-02-22 1985-09-12 株式会社 名南製作所 ベニヤ単板の分離搬送装置
JPH0348000A (ja) * 1989-07-15 1991-02-28 Fujitsu Ltd 貴金属めっき装置
JPH056304A (ja) * 1990-11-30 1993-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メモ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43575A7 (fi) 1995-02-03
FI943575A0 (fi) 1994-08-01
MY111285A (en) 1999-10-30
FI107247B (fi) 2001-06-29
KR950005721A (ko) 1995-03-20
CA2127580A1 (en) 1995-02-03
JP3320852B2 (ja) 2002-09-03
CA2127580C (en) 1997-09-09
US5427368A (en) 1995-06-27
TW241241B (ko) 1995-02-21
JPH0741226A (ja) 199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627B1 (ko) 시이트상 물품의 분배장치
US5660665A (en) Rotating transfer roll with rotating extensible platen
US5354047A (en) Method for separating a sheet from an array of sheets conveyed along a vacuum conveyor using diverting nozzles
US200201296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ociating cut sheet sections with a moving carrier web
DE69800233D1 (de) Rollen- oder Bandförderer zum Transportieren und Drehen von Artikeln niedriger spezifischer Masse
JPH0517144B2 (ko)
JPH0515625B2 (ko)
US62445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exible, flat objects
US5333851A (en) Document corner turning belt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KR970022490A (ko) 흡착반송장치
US3958683A (en) Conveyor system including article regrouping apparatus
US6234053B1 (en) Label stacker for a rotary machine/apparatus
US4627608A (en) Vacuum take-off conveyor
JPH07281495A (ja) 画像形成装置の記録材搬送装置
JPH08113403A (ja) 送りローラおよび給紙装置
JP3577667B2 (ja) カートン保持搬送装置
US4890960A (en) Vacuum metering drum assembly
JPH0515483Y2 (ko)
JPS6293142A (ja) 用紙送行装置
JPS62122918A (ja) 偏平チユ−ブ拡開装置
JPH09216750A (ja) シート材搬送装置
JPH11124248A (ja) シートの搬送方法及び装置
JPS6131931Y2 (ko)
JP2000005674A (ja) 連続ライン状パターンコーティング装置
JPS6266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2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22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