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8450Y1 -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 Google Patents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450Y1
KR0138450Y1 KR2019960004309U KR19960004309U KR0138450Y1 KR 0138450 Y1 KR0138450 Y1 KR 0138450Y1 KR 2019960004309 U KR2019960004309 U KR 2019960004309U KR 19960004309 U KR19960004309 U KR 19960004309U KR 0138450 Y1 KR0138450 Y1 KR 0138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tor
fixed
doorwa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013U (ko
Inventor
서덕용
Original Assignee
신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미숙 filed Critical 신미숙
Priority to KR2019960004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450Y1/ko
Publication of KR970055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0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05F15/7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using light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2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 E06B3/928Doors or windows of the lazy 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또는 대형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된 자바라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본체(10) 내측으로 설치된 플레이트(11)의 상면에 고정된 모터(30)와, 상기 모터(3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본체(10)의 내측상부에 고정된 구동부(40)와, 상기 구동부(40)를 조작하기 위하여 본체의 일측면 외부에 고정된 스위치(41)와, 상기 모터(3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감속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저면에 고정되며 모터(30)와 벨트(31)로 연결된 감속기(50)와, 상기 감속기(50)로 전달된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클러치(52)가 포함된 감속축(51)과, 상기 감속축(51)으로 전달된 동력을 체인(62)으로 전달받아 회전되며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61) 양측에 고정된 종동축(60)과, 상기 본체(10)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70)로 구성되며, 리모콘 조작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출입구를 개폐하는 자바라를 모터의 구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출입구의 개폐 작업이 간단해짐은 물론 전방의 식별이 어려운 기후 조건에서도 출입차량의 운전자들이 대차의 이동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용 대차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용 대차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용 대차가 출입구 자바라를 개폐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a)는 자바라가 절첩되어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
(b)은 자바라가 펼쳐져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임.
제4도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대차가 출입구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대차 10 : 본체
11 : 플레이트 30 : 모터
31 : 벨트 40 : 구동부
41 : 스위치 50 : 감속기
51 : 감속축 52 : 클러치
60 : 종동축 61 : 바퀴
62 : 체인 70 : 적외선 센서
71 : 스토퍼 72 : 리미트스위치
80 : 수신안테나 90 : 경보등
본 고안은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또는 대형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된 자바라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통행이 잦은 공장의 출입구 또는 대형 건물의 출입구에는 개폐가 용이하며 폐쇄시 벽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바라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지면에 안내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레일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는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역 U자형의 지주를 다수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지주가 상호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각 지주 사이에 한 쌍의 가동편을 상호 교차되게 설치하여 출입구를 개방시에는 각 지주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출입구가 개방되며 폐쇄시에는 각 지주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출입구를 폐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출입구 개폐용 자바라는 출입구를 개폐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사람이 지주를 밀어야 하며 출입구의 크기가 클 때에는 여러 명이 동시에 지주를 밀어야 하므로 출입구 개폐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음은 물론 비 또는 눈이 오는 악천우 시에는 출입구 개폐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모터의 구동으로 이동되는 대차를 출입구 자바라의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대차가 이동함에 따라 출입구에 설치된 자바라가 함께 이동되도록 하여 출입구 자바라의 개폐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의 구조는 본체 내측으로 설치된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본체의 내측상부에 고정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조작하기 위하여 본체의 일측면 외부에 고정된 스위치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감속하기 위하여 본체의 저면에 고정되며 모터와 벨트로 연결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로 전달된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클러치가 포함된 감속축과, 상기 감속축으로 전달된 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회전되며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가 양측에 고정된 종동축과, 상기 본체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본체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출입구의 양측에 스토퍼를 설치하고 이에 접속되어 본체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스위치를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도록 본체의 저면 일측에 설치하여 구성하거나,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이 본체 이동시에 점등되는 경보등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에 의하면, 출입구를 개폐하는 자바라를 모터의 구동으로 자동 개폐하여 출입구의 개폐 작업이 간단해 짐은 물론 전방의 식별이 어려운 기후 조건에서도 대차의 이동을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이하 본 고안을 도시한 첨부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용 대차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용 대차의 종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용 대차가 출입구 자바라를 개폐시키는 상태도로서, 본체(10)의 전면에는 일측에 경첩(2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손잡이(22)가 설치된 도어(2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으로 설치된 플레이트(11) 상면에는 구동력이 발생되는 모터(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내측상부에는 모터(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40)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41)가 본체(10)의 일측면 외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모터(3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감소하기 위한 감속기(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30)와 감속기(50)는 벨트(31)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감속기(50)의 일측에 설치된 감속축(51)에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는 클러치(52)가 포함되어 있고 본체(10)의 저면에는 양측으로 바퀴(61)가 고정된 종동축(6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축(60)과 감속축(51)은 체인(62)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이동 범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10)의 전,후면에 적외선 센서(70)가 설치되어 있고 리모콘(도면 미도시)에 의한 작동을 위해서는 본체(10)의 일측에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 수신부와, 그 신호를 구동부(40)로 전달하는 수신 안테나(8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눈이나 비가 내릴 때 또는 전방의 식별이 어려운 안개속이나 야간등 가시 거리가 짧을 때에도 대차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상면에 상기 본체(10)가 이동할 때 점등되는 경보등(90)을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 (a)와 같이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를 폐쇄시키고자 할 때에는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된 스위치(41)중 전진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스위치(41)에 의해서 구동부(40)는 모터(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모터(30)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벨트(31)를 통하여 감속기(50)로 전달되며 상기 감속기(50)로 전달된 회전력은 일정한 회전수로 감속되어 감속축(51)으로 출력된다.
상기 감속축(51)으로 출력된 회전력은 감속축(51)에 설치된 체인(62)을 통하여 종동축(60)으로 전달되며 상기 종동축(60)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이의 양측에 고정된 바퀴(61)로 전달되어 상기 바퀴(61)는 지면(100)에 설치된 안내 레일(101)에 안내되면서 대차(A)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대차(A)가 이동되면 대차(A)에 설치된 역 U자형 지주(102)가 함께 이동되고 상기 각 지주(102)의 사이에 설치된 가동편(103)이 힌지(104)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지주(10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므로 출입구를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폐쇄된 출입구의 개방 시에는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된 후진스위치를 누르면 모터(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출입구가 개방되는 것은 이해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대차(A)의 고장 또는 정전 등에 의해서 대차(A)를 사람이 손으로 밀고자 할 때에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20)의 손잡이(22)를 당겨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키고 감속축(51)에 포함된 클러치(52)를 일측으로 밀면 종동축(60)은 공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대차가 출입구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로서, 안내레일(101)의 양측 끝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돌출되도록 지면(100)에 한 쌍의 스토퍼(71)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본체(10)의 저면에 리미트스위치(72)를 설치하면 대차(A)가 이동하여 리미트스위치(72)가 스토퍼(71)와 접속되면 상기 대차(A)가 정지되므로 대차(A)를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출입구를 개폐하는 자바라를 모터의 구동으로 개폐하여 출입구의 개폐 작업이 간단해짐은 물론 전방의 식별이 어려운 기후 조건에서도 대차의 이동을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본체(10) 내측으로 설치된 플레이트(11)의 상면에 고정된 모터(30)와, 상기 모터(3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본체(10)의 내측상부에 고정된 구동부(40)와, 상기 구동부(40)를 조작하기 위하여 본체의 일측면 외부에 고정된 스위치(41)와, 상기 모터(3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감속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저면에 고정되며 모터(30)와 벨트(31)로 연결된 감속기(50)와, 상기 감속기(50)로 전달된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클러치(52)가 포함된 감속축(51)과, 상기 감속축(51)으로 전달된 동력을 체인(62)으로 전달받아 회전되며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61) 양측에 고정된 종동축(60)과, 상기 본체(10)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출입구의 양측에 스토퍼(71)를 설치하고 이에 접속되어 본체(10)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스위치(72)를 상기 스토퍼(71)와 대응되도록 본체(10)의 저면 일측에 설치하여 대차(A)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이 본체(10)의 이동시 점등되는 경보등(90)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리모콘 수신부와, 통상의 리모콘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상기 리모콘 수신부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방 일측에 설치한 수신안테나(80)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KR2019960004309U 1996-03-08 1996-03-08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KR0138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309U KR0138450Y1 (ko) 1996-03-08 1996-03-08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309U KR0138450Y1 (ko) 1996-03-08 1996-03-08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013U KR970055013U (ko) 1997-10-13
KR0138450Y1 true KR0138450Y1 (ko) 1999-04-01

Family

ID=1945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309U KR0138450Y1 (ko) 1996-03-08 1996-03-08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4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892U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전동 자바라 대문의 전기선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892U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전동 자바라 대문의 전기선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013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0771B2 (en) Inertial control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multiple sliding doors in a common direction
US66675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creasing the allowed motor power of a motorized garage door operator
US5448856A (en) Vehicle body with powered lift type tailgate
CA2379446A1 (en) Warning sign system for entering and exiting garage doors and entrances
EP0902157A3 (de) Sicherheitseinrichtung für motorisch angetriebene Tore
US20130067817A1 (en) Door control system
BR0008827A (pt) Conjunto de acionamento para acionar emovimentar manualmente uma porta lateraldeslizante entre as posições aberta e fechada emum corpo de veìculo
US20020152684A1 (en) Control of the movement of a sliding or swinging and sliding door in its end closing area
KR101074174B1 (ko) 자동차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0138450Y1 (ko) 출입구 자바라 개폐용 대차
KR19990029998A (ko) 여닫이식 및 미닫이식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US5936232A (en) Railway safety system having a passenger car detection
JP2562272B2 (ja) ガレージの安全管理制御装置
US3195617A (en) Door operating mechanism
US6679186B2 (en) Motorized door-locking device of reduced size
US6125589A (en) Device for reducing friction on sliding glass
JPH0786297B2 (ja) 天窓開閉装置の手動操作機構
KR200208099Y1 (ko)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JP2000198436A (ja) プラットホ―ムドア制御システム
CN112727299B (zh) 自动平滑门驱动器
IT1232972B (it) Sicura per bambini prevista per finestrini scorrevoli e sollevabili.
KR19980027202A (ko) 대형차량의 승용 발판
JPH1018731A (ja) 小動物用自動ドア
JPS5935753Y2 (ja) 引戸式扉
JPH0545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3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0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811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2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