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8406Y1 - Moisture-proof structure of keypad of microwave oven - Google Patents

Moisture-proof structure of keypad of microwave ov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406Y1
KR0138406Y1 KR2019950049239U KR19950049239U KR0138406Y1 KR 0138406 Y1 KR0138406 Y1 KR 0138406Y1 KR 2019950049239 U KR2019950049239 U KR 2019950049239U KR 19950049239 U KR19950049239 U KR 19950049239U KR 0138406 Y1 KR0138406 Y1 KR 0138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air
space
key
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92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44128U (en
Inventor
백윤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49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406Y1/en
Publication of KR970044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12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406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누르는 키이부분을 구비한 키이패드의 내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structure of a keypad having a key portion for selecting and pressing a desired function of an electronic product.

본 발명에 의한 키이패드는, 상하부 접촉패턴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키이부분과, 상기 키이부분을 연결하는 공기통로인 스페이스와, 상기 케이부분의 하부에서 상기 스페이스와 연통하고, 수평위치가 상이한 적어도 두 개의 에어홀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홀의 상부에는 면적이 넓어지는 광역부분을 두고, 상기 광역부분은 하단부의 에어홀과 경사유도면을 가지고 연결된다.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key portions having upper and lower contact patterns, a space which is an air passage connecting the key portions, and at least two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at a lower portion of the k portion and having different horizontal positions. It consists of two air holes, the upper part of the air hole has a wide area that is wider, the wide part is connected with the air hole and the inclined guide surface of the lower end.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키이패드의 습기방지구조Moisture-proof structure of keypad of microwave oven

제1도는 종래의 키이패드(Key pad)의 구성을 보인 일부정면도.1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key pad.

제2도는 종래의 키이패드의 단면 구성을 보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keypad.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키이패드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100 : 키이패드 12, 32 : 키이부분10, 100: keypad 12, 32: key portion

16 : 스페이스 20 : 에어홀16: space 20: air hole

24, 24' : 접촉패턴 40a, 40b : 에어홀24, 24 ': contact pattern 40a, 40b: air hole

A : 광역부분 A' : 경사유도면A: wide area A ': sloped induction plane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정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키이패드(Key pad)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이패드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pad attached to the front of an electronic product and used to select a function desired by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entering in the keypad.

키이패드는, 전자레인지와 같은 전자제품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누르면, 키이의 이면에 있는 상부 및 하부의 접촉패턴이 온(On)되면서 선택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키이패드는 박형이면서 외관이 깨끗하여 최근에는 대부분의 전자제품의 전면부의 제어판넬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keypad refers to performing a selected operation while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atterns on the back side of the key are turned on when the user selects and presses a desired function in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microwave oven. These keypads are thin and clean in appearance, and are recently used in the control panel of the front part of most electronic products.

제2도는 이러한 종래의 키이패드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이패드(10)에는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접촉패턴 키이부분(12)과 상기 키이부분(12)을 연결하기 위한 접척패턴 리이드(14)을 구비한다. 상기 접촉패턴 키이부분(12)에는 상부 및 하부에 접촉패턴이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키이부분(12)이 눌러지면 서로 온상태로 되어,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이 시작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패턴 리이드(14)는, 복수개의 키이부분을 서로 연결하거나,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하기 위한 경로이다.2 is a front view of such a conventional keypad. As illustrated, the keypad 10 includes a contact pattern key portion 12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and a contact pattern lead 14 for connecting the key portion 12. Contact patterns are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tact pattern key portion 12, and when the key portion 12 is pressed, the contact patterns are turned on to each other so that an operation for performing a selected function is started. The contact pattern lead 14 is a path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key portions to each other or to a microprocessor in a product that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상기 접촉패턴 키이부분(12)는, 상하에 접촉패턴이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키이부분(12)을 누르면 상하부의 접촉패턴이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을 떼면 상기 상하부 접촉패턴은 다시 서로 떨어져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동작은 상하부의 접촉패턴 사이에 공기층인 스페이스(1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페이스(16)은 캐이패드(10)상의 복수개의 키이부분(12)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스페이스(16)내부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에어홀(20)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contact pattern key portion 12, a contact pattern is positioned up and down, and when the key portion 12 is pressed, the contact patter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user releases the hand,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atter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gain and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This operation is because the space 16, which is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atterns. The space 16 i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key portions 12 on the pad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one side, an air hole 20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space 16 is formed. It is.

제2도는 이러한 키이패드(1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의 공기통로인 스페이스(16)의 상하부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층(21, 21')이, 그리고 그 상하부에는 접촉패턴(Contact pattern)층(24, 24')이 자리한다. 상기 폴리우레탄층(21, 21')은 키이부분(12)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접착제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패턴층(24, 24')은 실질적으로 신호의 전달을 하게 되는 층이다. 상기 접촉패턴층(24, 24')의 상하에는 절연성 접촉시트(Contact sheet)층(26, 26')이 있다.2 shows a cross section of this keypad 10. As shown, polyurethane layers 21 and 21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pace 16, which is an air passage in the center, and contact pattern layers 24 and 24'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do. The polyurethane layers 21 and 21 'are not formed in the key portion 12 and basically serve as adhesives. In addition, the contact pattern layers 24 and 24 ′ are layers that substantially transmit signals. Above and below the contact pattern layers 24 and 24 ', there are insulating contact sheet layers 26 and 26'.

그리고 상기 상부접촉시트(26)의 상부로는 통상 전자제품에서 전면으로 보일 수 있는 부분으로서 접착을 위한 알미늄테이프(27)와, 양면에서 접착시키기 위한 양면접착제층(28)과, 전면에서 사용자에게 보이는 해당기능을 인쇄하기 위한 프론트 필름(29), 그리고 최상부에는 외부에서의 상처에 대하여 본 키이패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비닐(30)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 구성에 대한 것은 본 고안의 요지와는 무관한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ntact sheet 26 is a portion that can be generally seen from the front of the electronic product, an aluminum tape 27 for adhesion, a double-sided adhesive layer 28 for adhesion on both sides, and a front surface to the user. The front film 29 for print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be seen, and the protective vinyl 30 for protecting the keypad against the wound from the outside are formed in turn. This stacking configuration i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키이부분(12)의 상하부 접촉패턴(24, 24')의 사이에는 일정한 공기층인 스페이스(16)이 위치하고 있는 점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spect to the fact that the space 16, which is a constant air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atterns 24 and 24 ′ of the key portion 12.

전자레인지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키이부분(12)을 누르면 상하의 접촉패턴(24, 24')이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인 회로 구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스(16)이 없으면 항상 상하부 접촉패턴(24, 24')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회로구성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스(16)에 공기의 통로인 에어홀(20)이 없으면 접촉패턴의 상하 사이가 진공상태로 되어, 접촉시트를 눌러도 키이부분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접촉패턴(24, 24')의 사이에는 스페이스(16)을 두어야 하고, 각각의 키이부분(12)을 서로 연결하는 스페이스(16)의 통로에 공기통로인 에어홀(20)을 두고 있다.When the key portion 12 is pressed to operate the microwave oven,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atterns 24 and 24 'contact each other to form an electric circuit. If the space 16 is not present,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atterns 24 and 24 'are alway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circuit structure is not formed. If there is no air hole 20 that is a passage of air in the space 16,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tact pattern are in a vacuum state, and the key portion does not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even when the contact sheet is pressed. Therefore, a space 16 must be provided between the contact patterns 24 and 24 ', and an air hole 20, which is an air passage, is provided in a passage of the space 16 that connects each of the key portions 12 to each other. .

상기 에어홀(20)은 몇 개의 키이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일측에 하나를 두고 있다. 즉 각각 스페이스(16)를 통하여 연결되는 키이부분에 있어서는 하나의 에어홀(20)을 두고, 상부의 몇 개의 키이부분을 연결하는 다른 부분에 다른 하나를 두고 있으나 이러한 홀은 서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The air hole 20 has one on one side connecting several key parts to each other. That is, in each of the key portions connected through the space 16, one air hole 20, and the other one in the other part connecting a few key portions of the upper, but these hole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이러한 키이패드는 통상 전자제품의 전면부에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붙어있고, 내부로는 제품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있다. 다른 자정용 전자제품도 동일하나, 전자레인지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자레인지의 동작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존재하게 된다.These keypads are usually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electronics for easy use by the user, and internally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s of the products. The same is true for other midnight electronics, but in the case of the microwave oven, for example, moisture generated inside the microwave oven is present.

이러한 수분은 상기 에어홀(20)을 통해 들어와서, 상기 키이부분(12)에 침투하게 되면, 키이부분(12)의 상하접촉패턴 사이에는 상기 수분에 의하여 전기적 단락현상이 일어난다.When the moisture enters through the air hole 20 and penetrates the key portion 12, an electrical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the vertical contact patterns of the key portion 12 by the moisture.

본 고안은 이렇게 키이패드 내부로 들어오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 키이패드의 에어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궁극적으로는 전기적 단락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신뢰성이 있는 키이패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the air hole of the keypad that can remove the moisture coming into the keypad. Ultimately, the goal is to provide a reliable keypad that does not cause electrical short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키이패드의 구조는, 상하부 접촉패턴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키이부분과, 상기 키이부분을 연결하는 공기통로인 스페이스와, 상기 키이부분의 하부에서 상기 스페이스와 연통하고, 수평위치가 상이한 적어도 두 개의 에어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은, 그 상부에 성형되고, 면적이 넓어지는 광역부분과 연결되어 있다.The structure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key portion having an upper and lower contact pattern, a space which is an air passage connecting the key portion,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at the bottom of the key portion And at least two air holes having different horizontal positions. The air hole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connected to a wide area portion having an enlarged area.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에어홀속으로 침투한 수분이 사기 광역부분에서 물방울로 되고, 두 개의 에어홀중에서 하단부의 에어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서 키이패드 내부의 상하부 접촉패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enetrating into the air hole becomes water droplets in the wide area,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hole at the bottom of the two air holes,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filling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atterns inside the keypad. You can do it.

다음에는 제3도를 기초로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FIG.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키이패드의 정면도로서, 제1도에 도시한 종래의 구조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의 키이부분(32) 및 이를 연결하기 위한 접촉패턴은 생략하고 있다.2 is a front view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shown in FI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key portion 32 and a contact pattern for connecting the same are omitted.

본 고안에 의한 스페이스(36)에는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2개의 에어홀(40a, 40b)을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ace 3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two air holes 40a and 40b which are not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본 고안에 의한 키이패드(100)는, 복수개의 키이부분(32a, 32b, 32c)과, 상기 키이부분을 연결하는 에어통로인 스페이스(36)을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스(36)은 각각의 키이부분(32a, 32b, 32c)의 상하부 접촉패턴의 중간에서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면서 서로를 이격시키고, 이와 동시에 복수개의 키이부분(32a, 32b, 32c)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The keyp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key portions 32a, 32b, and 32c, and a space 36 that is an air passage connecting the key portions. The spaces 3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occupying a certain space in the middle of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atterns of the respective key portions 32a, 32b, and 32c, and at the same tim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key portions 32a, 32b, and 32c to each other. Doing.

그리고 상기 스페이스(36)의 일정부분에는 두 개의 에어홀(40a, 40b)이 외기와 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에어홀(40a, 40b)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에어홀은 가능하면 키이부분(32)에 비하여 하단에 두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렇게 하단에 두는 것은 침투한 수증기가 가능하면 외부의 압력없이 위로 올라갈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wo air holes 40a and 40b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pace 36 so as to communicate with outside air. The two air holes 40a and 40b are not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be advantageous to place the air hole at the bottom as compared to the key portion 32 if possible. This is placed at the bottom so that the infiltrated water vapor cannot rise upward without external pressure if possible.

그리고 적어도 2개의 에어홀(40a, 40b)를 두는 것은, 에어홀을 통하여 스페이스(36)로 침입한 수분이 하나의 에어홀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에어홀(40a, 40b)을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하부의 에어홀(40a)을 통하여 특히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에어홀을 들어온 수분이 스페이스(36)내에서 응결되어 물방울로 변하게 되고, 물방울로 변한 수분은 증력에 의하여 하단으로 떨어져서 결국 하부의 에어홀(40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실제로 제품에 부착되는 키이패드(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홀(40a, 40b)이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물방울의 배출이 충분히 가능하다.And having at least two air holes (40a, 40b) is to allow the moisture entering the space 36 through the air hole to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one air hole. In order to prevent the two air holes 40a and 40b from being dispos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e two air holes 40a and 40b are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moisture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air hole 40a. More specifically, the water entering the air hole is condensed in the space 36 is changed into water droplets, the water turned into water droplets is dropped to the lower end by the force and eventu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air hole 40a . In fact, the keypad 100 attached to the product is attached to the air holes 40a and 40b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us it is possible to discharge such droplets sufficiently.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에어홀(40a, 40b)의 상부에는 상기 에어홀의 통로(40a', 40b')에서 갑자기 면적이 넓어지는 광역부분(A)을 만든다. 그리고 상기 광역부분(A)에서 두 개의 에어홀(40a, 40b)의 통로(40a', 40b')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는 경사유도면(A')을 둔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광역부분(A)와 하부의 에어홀(40a)를 연결하는 부분에 경사유도면(A')을 두는 것이다.The upper part of the two air holes 40a and 40b makes a wide area A that suddenly widens in the passages 40a 'and 40b' of the air holes. In the wide area A, at least one of the passages 40a 'and 40b' of the two air holes 40a and 40b has an inclined induction plane A '. Preferably, the inclined guide surface A 'is provided at a portion connecting the wide area portion A and the lower air hole 40a.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정리하면, 키이패드(100)의 각각의 키이부분을 연결하는 에어통로에 두 개의 에어홀(40a, 40b)을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지 아니하는 위치에서 키이부분의 하단부측에 성형하고, 상기 에어홀의 상부에는 스페이스의 면적이 넓어지는 광역부분(A)을 둔다. 그리고 상기 광역부분(A)과 하부의 에어홀(40a)의 통로(40a')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경사유도면(A')을 둔다.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side of the key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two air holes (40a, 40b) are not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in the air passage connecting each key portion of the keypad 100 In the upper part of the air hole, a wide area A is formed in which the space of the space is increased. The inclined guide surface A 'is provided at a portion connecting the wide area portion A and the passage 40a' of the lower air hole 40a.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키이패드의 구조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function of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두 개의 에어홀(40a, 40b)을 통하여 수분이 침투하여 스페이스(36)의 내부로 들어오면, 수분자체가 가지고 있는 중력에 의하여 하단부의 에어홀(40a)을 통하여 외부로 빠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에어홀(40a, 40b)의 통로(40a', 40b')의 상부에 형성된 광역부분(A)으로 들어오면,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의 압력이 떨어져서 중력을 이길만한 힘이 없어진다. 상기 광역부분(A)에서는, 압력의 강하와 넓은 접촉면과 접촉 등에 의하여 수분은 응축되어 물방울로 된다. 이러한 물방울은, 상기 광역부분(A)의 경사유도면(A')을 따라 하부의 에어홀(40a)로 떨어져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First, when water penetrates through the two air holes 40a and 40b and enters the space 36, the water may be pulled out through the air hole 40a at the lower end by gravity. At this time, when entering the wide area A formed at the upper portions of the passages 40a 'and 40b' of the two air holes 40a and 40b, the pressure of the air containing water drops and there is no force to overcome gravity. In the wide-area portion A, moisture is condensed to form water droplets due to a drop in pressure and contact with a wide contact surface. These water drople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falling to the lower air hole 40a along the inclined induction plane A 'of the wide area portion A.

여기서 만일 상기 광역부분이 없다면,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는 스페이스(36)의 좁은 통로를 따라 계속 상승하여 상부에 있는 키이부분(32b, 32c)의 접촉패턴사이에 까지 침투할 우려가 있다.Here, if there is no such a wide area, air containing moisture continues to rise along the narrow passage of the space 36 to penetrate between the contact patterns of the key parts 32b and 32c on the upper side.

상기 두 개의 에어홀(40a, 40b)에 있어서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의 출구와 입구가 따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위치의 차이를 두고 있어서, 중력과 경사 경사유도면을 통하여 주로 하부의 에어홀(40a)에 의하여 배출될 것이다.In the two air holes 40a and 40b, an outlet and an inlet of air containing water are not separately defined.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in position, it will be discharged mainly by the lower air hole 40a through the gravity and the inclined slope induction plane.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통상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전제품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키이패드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도 본 구조에 의하여 충분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sufficiently discharged by the present structure even if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keypad which is usually attached to a home appliance such as a microwave oven.

이러한 기능은 키이패드의 키이부분의 상하부에 접촉패턴 사이에 수분이 침투함으로써 일어나는 단락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자제품의 키이패드 및 전자제품 자체의 신뢰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자레인지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전기밥솥 및 냉장고 등과 같이 키이패드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제품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is function can prevent a short circuit caused by the penetration of moisture between the contact patterns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key portion of the keypad,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keypad of the electronic product and the electronic product itself. 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icrowave oven, it would be possible to apply to any product if you are using a keypad, such as an electric rice cooker and a refrigerator.

Claims (3)

상하부 접촉패턴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키이부분과; 상기 키이부분을 연결하는 공기통로인 스페이스와; 상기 키이부분의 하부에서 상기 스페이스와 연통하고, 수평위치가 상이한 적어도 두 개의 에어홀로 구성되는 키이패드의 구조.A plurality of key portions having upper and lower contact patterns; A space that is an air passage connecting the key portion; A structure of a keypad comprising at least two air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below the key portion and having different horizontal posi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은, 그 상부에 성형되고, 면적이 넓어지는 광역부분과 연결되는 키이패드의 구조.The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hole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connected to a wide area portion having an enlarged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부분은 하부의 에어홀과 경사유도면으로 연결되는 키이패드의 구조.The structure of a keypa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wide area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air hole and the inclined guide plane.
KR2019950049239U 1995-12-28 1995-12-28 Moisture-proof structure of keypad of microwave oven KR01384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239U KR0138406Y1 (en) 1995-12-28 1995-12-28 Moisture-proof structure of keypad of microwave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239U KR0138406Y1 (en) 1995-12-28 1995-12-28 Moisture-proof structure of keypad of microwave ov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128U KR970044128U (en) 1997-07-31
KR0138406Y1 true KR0138406Y1 (en) 1999-03-20

Family

ID=1943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9239U KR0138406Y1 (en) 1995-12-28 1995-12-28 Moisture-proof structure of keypad of microwave ov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40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578A (en) * 2013-11-29 201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rol panel and microwave oven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578A (en) * 2013-11-29 201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rol panel and microwave oven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128U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1178A (en) Microwave oven having a keyboard of the membrane type
EP3037760B1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190999B2 (en) Touch-sensitive pushbutton switch
EP1043922A4 (en)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US6774347B2 (en) Microwave oven with humidity sensor
KR0138406Y1 (en) Moisture-proof structure of keypad of microwave oven
JP2011058696A (en) Refrigerator
US6595115B1 (en) Temperature sensor for a cooking device
KR101058506B1 (en) Keypad assembly
EP0156651B1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CN110349789A (en) Manipulation device, the manipulation device in particular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KR930008163Y1 (en)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between key buttons
KR200244746Y1 (en) Input part structure of electronic product
CA2288945A1 (en) Safety device for a microwave oven
KR20210145971A (en) Cooking appliance
WO1998044522A3 (en) Capacitor structure
JP3702154B2 (en) Cooker operation panel
KR200357925Y1 (en) tray assembly in microwave oven
JPS6086716A (en) Operation switch
KR200356526Y1 (en) Interference Prevention Structure for Key Pad
JPH03267623A (en) Heating apparatus
KR20010055714A (en) earth-structure of controller for microwave oven
KR200147232Y1 (en) Structure of key for microwave oven
KR19980018844U (en) Microwave Door Open Detection Device
JPS6324823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2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2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