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116B1 - Method for discriminating authenticity of a ball and an appartus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criminating authenticity of a ball and an appartus therefor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8116B1 KR0138116B1 KR1019890014617A KR890014617A KR0138116B1 KR 0138116 B1 KR0138116 B1 KR 0138116B1 KR 1019890014617 A KR1019890014617 A KR 1019890014617A KR 890014617 A KR890014617 A KR 890014617A KR 0138116 B1 KR0138116 B1 KR 01381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knote
- light
- bill
- discrimination
- degre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1—Polarisation-affecting properti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07D7/202—Testing patterns thereon using pattern matching
- G07D7/205—Matching spectral propert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7—Measuring glo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지폐식별 장치에서의 발광 다이오드, 2개의 포토 다이오드 및 편광 필터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light emitting diode, two photodiodes and a polarizing filter in a banknote ident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의 실시예의 장치의 전기 회로부를 도시한 블럭회로도.2 is a block circuit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ircuit portion of the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장치의 전기회로부를 도시한 블럭회로도.3 is a block circuit diagram showing an electric circuit section of the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의한 지폐식별 장치에서의 발광 다이오드, 2개의 포토 다이오드 및 편광 필터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light emitting diode, two photodiodes, and a polarizing filter in a banknot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제3의 실시예의 장치의 전기 회로부를 도시한 블럭회로도.5 is a block circuit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ircuit portion of the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제6도는 제5도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의 흐름도.6 is a flowchart of a control program executed by the microcomputer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지폐2:광원,1: banknote 2: light source,
3a, 3b:포토 다이오드4:편광필터,3a, 3b: photodiode 4: polarization filter,
5a, 5b:전류/전압 변환회로,5a, 5b: current / voltage conversion circuit,
6:차동증폭회로7:전압비교회로,6: differential amplification circuit 7: voltage comparison unit,
8:분할회로9:솔레노이드.8: split circuit 9: solenoid.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자동서비스기, 환전기, 자동예금기등에서의 지폐식별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identific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in a vending machine, an automatic service machine, a money changer, an automatic deposit machine, and the like.
자동판매기등에서는 투입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 예를 들면 지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과 지폐표면에서의 반사광 또는 이 지폐를 통과한 투과광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소자를 마련하고, 수광소자의 출력레벨에 따라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도록한 지폐식별장치를 기계에 장착하고 있다. 또, 반사광을 2종류의 색성분 으로 구별해서 검출하여 각각의 색성분에 대해서의 검출레벨에 따라 지폐의 색을 판별하고, 이것에 의해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고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62-296292호 참조).In vending machines and the lik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the inserted banknotes. Thus, conventionally, for example,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to a banknote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for receiving reflected light on the surface of the banknote or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banknote are provided, and the authenticity of the banknote i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output leve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 banknote identifier is mounted on the machine. In addition, the reflected light is distinguished and detected by two kinds of color components, and the color of the banknote is discrimin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level for each color component, thereby identifying the authenticity of the banknot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 296292).
또한, 지폐의 표면에서 정반사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의 출력과 난반사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의 출력에 따라서 진짜 지폐를 컬러복사해서 얻은 위조지폐를 진짜 지폐에서 식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62-276685호 참조).In addition, it is known that counterfeit bills obtained by color copying real banknotes are identified in real banknotes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receiving light reflected by the surface of the banknote and the output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62-276685).
그러나 광원 및 수광소자는 주위온도의 변동에 따라 특성이 변동하고, 그 한쪽에서 투입지폐에는 지폐의 새것과 헌것, 구김살, 얼룩의 유무등 변동요인이 있다.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var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mbient temperature, and on one side of the input banknote, there are fluctuation factors such as new and old, old, wrinkled and unevenness of banknotes.
따라서 수광소자의 출력에 따라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는 경우 기준레벨의 설정이 곤한라다. 즉, 기준레벨을 진짜 지폐측의 레벨에 가깝게해서 엄격하게 설정하면 진짜 지폐도 위조 지폐로 잘못판별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위조 지폐측의 레벨에 가깝게해서 완화하게 설정하면 위조지폐를 진짜 지폐로 잘못판별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잘못판별하는 것을 없애는 것은 곤란하고, 특히 진짜 지폐를 컬러복사해서 얻은 정교한 위조지폐와 진짜 지폐를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은 곤란하다.Therefore, when identifying the authenticity of banknotes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t is difficult to set the reference level. In other words, if the reference level is set close to the level of the real banknote and strictly set, the real banknote may be misidentified as a counterfeit banknote. On the contrary, if it is set close to the level on the counterfeit bill side, the counterfeit bill may be mistaken as a real bill.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difficult to eliminate the misjudgment, an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the counterfeit money and the real banknote obtained by color copying the real banknote.
본 발명의 목적은 위조지폐와 진짜 지폐 사이에서의 지폐표면의 광택의 정도의 차이에 따라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한다는 새로운 판별원리에 따라 주위온도 변동에 따른 지폐식별 장치의 광원 및 수광소자의 특성변동, 지폐의 구김살 및 얼룩에 의한 영향을 받는일 없이 진짜 지폐와 이것을 컬러복사해서 얻은 위조지폐를 포함한 각종 위조지폐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지폐식별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receiving device of the banknot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fluctuation according to the new principle of discriminating the authenticity of the banknot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glossiness of the banknote surface between the counterfeit bill and the real bankno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nknot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identifying a variety of counterfeit bills, including real bills and counterfeit bills obtained by color copying of the bills without being affected by wrinkles and stains.
본 발명의 지폐식별 방법은, (1) 지폐에 소정의 입사각에서 광을 조사하는 스텝,(2) 상기 지폐의 표면에서의 반사시에 편광한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지폐에서의 반사광의 광량을 검출하는 스텝, (3) 상기 편광 성분을 제거한 상기 반사광의 광량을 검출하는 스텝 및 (4) 상기 스텝(2), (3) 에서 각각 검출한 반사광의 광량에 따라 상기 지폐표면의 광택의 정도를 검출하고, 이것으로 상기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스텝을 포함한다.The banknote identification method of this invention detects the light quantity of the reflected light in the said banknote containing (1) the step which irradiates light to a banknote at a predetermined incidence angle, (2) the component polarized at the time of reflection at the surface of the said banknote. Step (3) Detecting the light amount of the reflected light from which the polarization component is removed and (4) The degree of gloss on the surface of the banknote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light amount of the reflected light detected in the steps (2) and (3), respectively. This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banknote.
본 발명의 지폐식별 장치는 지폐에 소정의 입사각에서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지폐에서의 반사광을 직접 수광가능하게 배치되고 수광량에 따라 변화하는 제1의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1의 수광소자, 상기 반사광을 수광가능하게 배치하고 편광필터를 거쳐서 받은 반사광의 광량에 따라 변화하는 제2의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제2의 수광소자, 상기 지폐와 상기 제2의 수광소자 사이의 상기 반사광의 전파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폐표면에서의 반사시에 평광한 상기 광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편광필터 및 상기 제1, 제2의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지폐표면의 광택의 정도를 검출하고 이것으로 상기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을 포함하고 있다.The banknote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n a banknote at a predetermined angle of incidence, and a first light receiving element arranged to be capable of directly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banknote and generating a first electric signal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for arranging the reflected light so as to receive the light and generating a second electrical signal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received through the polarization filter, and the propagation of the reflected light between the banknote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element. A polarization filter for removing components of the light disposed on a path and flattened upon reflection on the banknote surface, and the degree of gloss of the banknote surface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thereby And discri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본 발명의 다른 지폐식별 장치는 지폐에 소정의 입사각에서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지폐에서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수광량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광소자, 상기 지폐와 상기 수광소자 사이의 상기 반사광의 전파경로상에 개제하는 제1의 위치와 상기 반사광의 전파경로에서 퇴피한 제2의 위치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지폐표면에서의 반사시에 편광한 상기 광의 성분을 제거하도록 작동하는 편광필터, 상기 편광필터를 상기 제1의 위치와 제2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편광필터가 상기 제1, 제2의 위치를 취했을때 각각 발생하는 상기 전기신호에 따라서 상기 지폐표면의 광택의 정도를 검출하고 이것으로 상기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을 포함한다.Another banknote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to a bill at a predetermined angle of incidence, a light receiving element for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bill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etween the bill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Movement is freely disposed between a first position interposed on the propagation path of the reflected light and a second position retracted from the propagation path of the reflected light, and operable to remove components of the polarized light upon reflection at the bill surface The polarization filter,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polarization filter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when the polarization filter takes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respectively. And discrimination means for detecting the degree of glossiness on the surface of the banknote and thereby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banknote.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지폐식별 장치는,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자동판매기에 투입되어 지폐식별 장치내의 소정위치에 반송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도록 되어 있다.The banknot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for example, a vending machine, and identifies the authenticity of the banknotes that have been put into the vending machine and convey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banknote identification device.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지폐식별 장치는 투입지폐(1)의 표면의 소정부위에 소정의 입사각 α 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예를 들면 가시광을 발생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2)와 지폐(1)의 표면에 있어서 반사각 β (=α)로 반사한 반사광을 수광할 수 있게 배치되고, 수광량에 따라서 변화하는 전기신호를 각각 발생하기 위한 제1, 제2의 수광소자를 마련하고 있다. 이 양수광소자는, 예를 들면 1개의 칩상에 인접해서 형성한 제1, 제2의 포토 다이오드(3a), (3b)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폐표면에서의 반사시에 편광한 광의 편광성분을 차단하기 위한 편광필터(4)가 지폐표면과 제2의 포토다이오드(3b)사이의 반사광의 전파경로상에서 제2의 포토 다이오드(3b)의 수광면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입시각 α 는 광의 편광의 정도를 필요로 하고, 이것으로 지폐식별 장치가 필요한 식별성능을 나타내도록 소정각도 영역내의 각도, 예를 들면 45도 이상으로 설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약 60도로 설정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banknote identification device includes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input banknote 1 at a predetermined incident angle α, for example, a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제2도의 포토 다이오드(3a),(3b)의 출력단자는 제1, 제2의 전류/전압 변환회로(5a),(5b)의 입력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양회로(5a),(5b)의 출력단자는 차동증폭회로(6)의 2개의 입력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6)의 출력단자는 전압비교 회로(7)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회로(7)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판별기준전압 Vs가 인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output terminals of the
다음에 상술한 지폐식별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banknote identific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자동판매기에 지폐(1)이 투입되면 지폐식별 장치의 도시하지 않은 종래 공지된 지폐반송 장치와 센서계가 협동해서 제1도에 도시한 지폐식별 장치내의 소정위치까지 지폐(1)을 반송하여 상기 반공위치에 일시 보유한다. 이어서 자동판매기 또는 지폐식별 장치에 마련한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제어하에서 지폐식별 장치의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해서 발광 다이오드(2)가 ON 하여 가시광이 지폐(1)표면의 소정부위에 약 60도의 입사각 α 로 조사된다.When the banknote 1 is put into the vending machine, the conventional banknote conveying apparatus (not shown) of the banknote identification device and the sensor system cooperate to convey the banknote 1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banknote ident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Hold on location temporarily. Subsequently,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a vending machine or a bill identification device, a driving circuit (not shown) of the bill identification device is operated so that the
조사광의 일부는 지폐표면 및 내부에서 반사각 β 로 반사되어서 공기중을 제1, 제2의 포토 다이오드(3a),(3b)로 향해서 전파한다. 또, 조사광의 나머지 부분에 지폐(1)에 흡수되고, 또는 지폐를 통과한다. 반사광은 지폐(1)과 의 사이에 광학적 개재물이 없는 제1의 포토 다이오드(3a)에 의해 실질적으로 감쇄되지 않고 직접 수광된다.A part of the irradiation light is reflected at the reflection angle β on the banknote surface and inside, and propagates the air toward the first and
여기서 지폐(1)의 표면에서의 광의 반사율은 지폐표면의 광택의 정도에 따라 변화하여 광택이 부족한 진짜 지폐표면에서의 반사광은 광량이 적고, 진짜 지폐를 컬러복사해서 얻은 광택이 풍부한 위조지폐(이하 단순히 위조지폐라 한다)의 표면에서의 반사광은 광량이 많다. 따라서, 지폐(1)의 표면 및 지폐내부에서의 반사광을 수광한 제1의 포토 다이오드(3a)에서의 수광량에 따라 변화하는 출력전류 Da 진짜 지폐에 대해서 작은 값을, 위조지폐에 대해서는 큰 값을 취한다.Here, the reflectance of the light on the surface of the banknote 1 chang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glossiness on the banknote surface, and the reflected light on the real banknote surface lacking the gloss is low in light, and is rich in gloss-rich counterfeit money obtained by color copying the real banknote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surface of the surface simply referred to as counterfeit money) is large. Therefore, the output current Da varying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한편, 지폐표면에서 제2의 포토 다이오드(3b)로 향하는 반사광은 제2의 포토 다이오드(3b)에 도달하기전에 이 포토 다이오드의 앞쪽에 배치된 편광필터(4)에 이른다.On the other hand,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banknote surface directed to the
발광 다이오드(2)에서의 광은 지폐(1)의 표면에서의 반사시 지폐표면과 평행한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부분 편광된다. 그리고 편광필터(4)는 반사광의 수평방량으로 편광한 성분의 통과를 저지한다. 이 결과, 제2의 포토 다이오드(3b)에 의해 수광된 편광성분을 제거한 반사광의 광량은 제1의 포토 다이오드(3a)에 의해 직접 수광되고, 편광성분도 포함하는 반사광의 광량에 비해서 감소된다.Light in the
제2의 포토 다이오드(3b)는 이와 같이 감소된 수광량에 따라서 변화하는 출력전류 Db 를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조지폐인 경우 지폐(1)에서의 반사광은 표면 반사광, 즉 편광한 성분을 많이 포함하여 출력전류 Db 는 편광량만큼 감소하고 출력전류 Da 보다 상당히 작게 된다.The
제1, 제3의 포토 다이오드(3a),(3b)에서의 출력전류Da, Db는 제1, 제2의 전류/전압 변화회로(5a),(5b)에서 각각 전압으로 변환된후 차동증폭회로(6)에 인가된다. 그리고, 출력전류 Da, Db 의 편차 X (= Da-Db)에 대응하는 회로(6)의 출력전압이 전압 비교회로(7)에서 판별기준전압 Vs 와 비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편광필터(4)를 거치지 않고 수광되고 편광성분을 포함하는 반사광의 광량을 나타내는 출력전류 Da 와 편광필터(4)를 거쳐서 수광되는 편광성분이 제거된 반사광의 광량을 나타내는 출력전류 Db의 편차 x 는 광택이 부족한 진짜 지폐보다 광택이 풍부한 위조지폐에 대해서 크게 된다. 따라서 이 편차 x 를 나타내는 회로(6)에서의 출력전압은 진짜 지폐에 대해서 작은 값을, 위조지폐에 대해서는 큰 값을 취한다.The output currents Da and Db in the first and
판별기준전압 Vs 는 양자의 중간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진짜 지폐가 자동판매기에 투입된 경우에 비교회로(7)의 출력은 진짜 지폐를 나타내는 L 레벨로, 위조지폐인 경우는 위조지폐를 나타내는 H 레벨로 된다. 이와같이 비교회로(7)의 출력은 진짜 지폐의 투입시와 위조지폐의 투입시에 의해 상이한 레벨을 취하여 지폐의 진위를 나타낸다.Since the discrimination reference voltage Vs is set to the intermediate value of both, the output of the
종래 공지된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는 비교회로(7)의 출력레벨을 참조해서 진짜 지폐가 투입되었을때에는 정상 동작하는 한편, 위조지폐의 투입시에는 위조지폐를 판매기의 외부로 반화하도록 작동한다.As known in the art, the control device of the vending machine operates normally when the real banknote is inserted with reference to the output level of the
제3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지폐식별 장치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a banknot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 실시예의 장치는 상기 제1의 실시예의 장치에 비해서 차동증폭회로(6)대신에 분할회로(8)을 사용한 점이 다르고 그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편광필터94)를 거치지 않고 수광한 반사광의 광량의 편광필터(4)를 거쳐서 수광한 반사광의 광량의 편차가 아니라 양자의 비율에 따라서 지폐(1)의 진위를 식별하도록 하고 있다.Th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e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상세하게 설명하면, 편광필터(4)를 거치지않고 수광된 편광성분을 포함하는 반사광의 광량을 나타내는 제1의 포토 다이오드(3a)의 출력전류 Da 와 편광필터(4)를 거쳐서 수광되는 편광성분이 제거된 반사광의 광량을 나타내는 제2의 포토 다이오드(3b)의 출력전류 Db 가 제1, 제2의 전류/전압 변화회로(5a),(5b)를 거쳐서 분할회로(8)의 2개의 입력단자에 각각 인가되고, 양출력전류의 비 x' (=Da/Db) 를 나타내는 분할회로(8)에서의 출력전압을 전압 비교회로(7)에서 판별기준값 Vs' 와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In detail, the polarization component received through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전류 Da, Db 의 편차는 지폐(1)이 광택이 부족하고 표면반사광(반사광의 편광성분에 대응)의 광량이 적은 진짜 지폐인 경우에 비해 비교적 작고, 광택이 풍부하고 표면반사광이 많은 위조지폐의 경우에는 크다. 따라서 양출력전류의 비 x' (=da/db)는 지폐(1)이 진짜 지폐인 경우에1보다 크고, 또한1에 가까운 값을 취하고, 위조지폐인경우에는 1보다 상당히 큰값을 취한다. 판별기준값 Vs' 는 양자의 중간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전압 비교회로(7)은 진짜 지폐의 경우에 L 레벨을, 위조지폐 의 경우에는 H 레벨을 취하여 지폐의 진위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ation of the output currents Da and Db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banknote 1 lacks the gloss and the light amount of the surface reflection light (corresponding to the polarization component of the reflection light) is small, rich in the gloss and surface reflection light. In the case of many of these counterfeit bills. Therefore, the ratio x '(= da / db) of the positive output current is larger than 1 when the banknote 1 is a real banknote, and close to 1, and considerably larger than 1 when the banknote 1 is a fake banknote. The discrimination reference value Vs' is set to the intermediate value of both, and the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의한 지폐식별 장치를 설명한다.4 to 6, a banknote ident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 실시예의 장치는 상기 제1의 실시예에 비해서 2개의 포토 다이오드와 그 한쪽의 앞쪽에 배치한 편광필터 대신에 1개의 포토 다이오드와 반사광의 전파경로상에 퇴피가 자유롭게 배치된 편광필터를 사용하는 점이 주로 다르다.Th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uses a polarization filter freely disposed on the propagation path of one photodiode and reflected light instead of two photodiodes and a polarization filter disposed in front of one of them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point is mainly different.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폐식별 장치는 지폐(1)에 입사각 α 로 입사하여 지폐(1)에 의해 반사각 β 로 반사되는 발광 다이오드(2)에서의 광을 받아 수광량에 따른 출력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3')를 마련하고, 솔레노이드(9)의 가동부에 고정되고 반사광의 전파경로상에서, 또 포토 다이오드(3')의 앞쪽의 제1의 위치(제4도에 점선으로 표시)와 반사광의 전파경로에서 퇴피한 제2의 위치(제4도에 실선으로 표시)사이에서 이동이 자유자재인 편광필터(4')를 마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banknote identifying device receives light from the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가 포토 다이오드(3')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전류/전압 변화회로(5')의 출력단자는 A/D 변환기(11)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A/D 변환기(11)의 출력단자는 버퍼(2)및 마이크로 컴퓨터(13)에 내장된 입력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마이크로 컴퓨터의 중앙처리 장치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13)은, 바람직하게는 지폐식별 장치가 탑재된 자동판매기등의 기계 제어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서, 도시 하지 않는 메모리, 출력회로등을 마련하고, 그 출력회로는 발광 다이오드92)및 솔레노이드(9)를 각각 구동 하기 위한 제1, 제2의 구동회로(14),(15)에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output terminal of the current / voltage change circuit 5 'whos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hotodiode 3'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A /
이하 제3의 실시예의 지폐식별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anknote identifying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지폐(1)이 제4도에 도시한 지폐식별 장치내의 소정위치까지 반송되어 상기 위치에 일시 유지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3)은 제6도에 도시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한 처리를 개시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3)은 먼저 제2의 구동회로(15)를 거쳐서 솔레노이드(9)를 구동하여 편광필터(4')를 제4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제2의 위치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제1의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킨후 제1의 구동회로(14)를 거쳐서 발광 다이오드(2)를 ON 함과 동시에 소프트웨어 타이머 T를 리세트 하여 개선 시킨다(스텝 S1).When the banknote 1 is convey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banknote ident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4 and temporarily held at the position, the
이 결과 발광 다이오드(2)에서 조사되어 지폐(1)에 의해 반사된광이 편광필터(4')를 거쳐서 포토 다이오드(3')에 의해 수광된다. 편광필터(4')에 의해 편광성분이 제거된 반사광의 광량을 나타내는 포토 다이오드(3')의 출력전류는 전류/전압 변환회로(5')에서 전압으로 변환된후 A/D 변환기(11)에 인가된다.As a resul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13)은 타이머 T 가 타임업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스텝 S2). 타이머 T가 타임업하고, 따라서 편광필터(4')의 제1의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한다. 이동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3')의 출력전류의 변동이 없어졌다고 판별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3)은 A/D 변환기(11)에 A/D 변환명령을 송출한다(스텝 S3). A/D 변환기(11)은 이 명령에 따라 회로(5')에서의 아날로그 출력전압을 소정비트수의 디지탈 전압신호 Db' 로 변환하고, 버터(12)는 이 데이타 Db' 를 일시 기억한다. 다음에 마이크로 컴퓨터(13)은 버퍼(12)에서 리드한 데이타 Db'를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한후(스텝 S4), 제 2구동회로(15)를 거쳐서 솔레노이드(9)를 OFF 함과 동시에 제2의 소프트웨어 타이머 T'를 리세트해서 개시시킨다(스텝 S5).In this state, the
제 2의 타이머 T' 가 타임업하고, 따라서 편광필터(4')가 제 4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제1의 위치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제2의 위치로의 퇴피를 완료함과 동시에, 필터(4')의 이동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3')의 출력전류의 변동이 제어되었다고 스텝 S6에서 판별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3)은 A/D 변환기(11)에 A/D 변환명령을 송출하고(스텝 S7), 포토 다이오드(3')에 의해 수광되어 편광성분을 포함하는 반사광의 광량을 나타내는 데이타 Da' 를 버터(12)에서 리드해서 메모리에 저장하고(스텝 S8), 제1의 구동회로(14)를 거쳐서 발광 다이오드(2)를 OFF로 한다(스텝 S9).The second timer T 'is timed up, so that the polarization filter 4' completes the retra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4 to the second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and the filter (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 that the variation of the output current of the photodiode 3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4') is controlled, the
다음에 마이크로 컴퓨터(13)은 데이타 Da'에서 데이타 Db'를 감해서 양자의 차 X(=Da'-Db')를 산출하고(스텝 S10), 이 편차 X 가 제1의 실시예에서의 값 Vs에 대응하는 Xs 와 같은가 또는 작은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 S11).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이유로 편차 X는 지폐(1)이 진짜 지폐이면 작은값을, 위조지폐이면 큰 값을 취한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13)은 스텝S11 에서의 판별결과가 긍정(XXs)이면 진짜 지폐를 나타내는 호를 출력하고, 부정이면 위조지폐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12, S13).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3)은 스텝 S11에서의 판별결과, 즉 지폐의 진위를 나타내는 값1 또는 0을 내장된 플래그 레지스터에 세트한다.Next, the
본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 3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원(2)의 색을 특히 지정하지 않았지만, 지폐(1)의 광이 조사되는 부위의 색(예를 들면, 청색)과 보조색 또는 이것에 가까운 색(예를 들면,적색)의 광을 조사하도록해도 좋다. 이 경우 지폐(1)의 표면에서의 반사의 정도는 광원(2)의 발광색에 그다지 의존 하지 않는 한편, 지폐의 색과 보조색의 광을 잘 흡수하는 지폐내부에서의 반사의 정도가 저감된다. 따라서, 지폐의 색과 보조색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색의 광을 조사하면, 편광필터를 거쳐서 수광되어 편광성분을 제거했을때의 반사광의 광량과 편광필터를 거치지 않고 수광되어 편광성분을 포함한 반사광의 광량의 편차가 광택이 풍부하여 반사광에 표면 반사광(편광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위조지폐와 광택이 부족하여 표면반사광의 기여가 적은 진짜 지페에 의해 크게 다르다. 이와 같이 보조색을 발생기키는 것에 의해 지폐의 진위판별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For example, although the color of the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폐(1)의 1개의 부위에서의 반사광의 전파경로상에 편광필터를 개재시켰을때의 수광량과 편광필터를 개재시키지 않았을때의 수광량의 편차, 또는 양자의 비율에 따라서, 바꾸어 말하자면 지폐의 1개 부위의 광택이 진짜 지폐의 해당부위의 광택과 일치하는가 아닌가에 따라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였지만, 지폐의 광택의 패턴이 진짜 지폐의 광택패턴에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별해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해도 좋다. 이 경우 지폐의 여러개의 부위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2종류의 수광량의 편차 또는 비율을 검출하고, 이들 편차 또는 비율을 미리 설정한 각각의 판별 기준값과 비교하고, 이들 비교결과에 따라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when a polarizing filter is interposed on the propagation path of reflected light in one portion of the banknote 1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when no polarizing filter is interposed, or the ratio of both, In other words, the authenticity of a banknote wa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glossiness of one part of the banknote matches the glossiness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banknote, b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loss pattern of the banknote matches the gloss pattern of the real banknote. The authenticity may be determined. In this case, deviations or ratios of the two types of light received amounts are detected for each of the various portions of the banknotes, these deviations or ratios are compared with respective determination reference values set in advance, and the authenticity of the banknote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se comparison results. do.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 종류의 진짜 지폐를 각종 위조지폐에서 식별가능하게 했지만, 여러종류의 진짜지폐에 대해서 식별가능하도록 상기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다. 이 경우 지폐 치수를 적절한 센서계로 검출하는등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진짜 지폐의 종별을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따라서 진짜 지폐의 종별수와 동일수만큼 마련하여 서로 다른 판별 기준 값을 설정한 제2도 또는 제3도와 같은 회로부에 대응하는 1개를 이것에 된련된 2개의 수광소자에 접속하도록 한다. 또는, 제6도의 스텝 S11 에서의 판별 기준값 Xs를 상기 판별 기준에 따른 값에 설정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one kind of genuine banknote is made identifiable by various counterfeit bills, but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to be identifiable with respect to various kinds of genuine banknotes. In this case, the type of the real banknote is discriminated by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such as detecting the bill size by an appropriate sensor system, and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the second number of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real banknotes is prepared and set different discrimination reference values. One corresponding to the circuit portion as shown in FIG. 3 or FIG. 3 is connected to the two light receiving elements. Alternatively, the discrimination reference value Xs in step S11 of FIG. 6 is set to a value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criterion.
상기 실시예에서는 진짜 지페와 이것을 컬러복사한 위조지폐를 식별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진짜 지폐의 광택과 광택이 다른 각종 위조지폐는 진짜 지폐로 부터 식별가능하다. 또,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수광소자로서 포토 다이오드를 사용했지만 각종 광원, 수광소자를 사용할 수가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real money and the counterfeit money in which the color is copied is mainly described is described,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unterfeit money in which the gloss and the gloss of the real money are different can be identified from the real money. In addition, although a light emitting diode is used as a light source and a photodiode is used as a light receiving element, various light sources and light receiving elements can be used.
상기 제1, 제2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수광소자의 출력전류의 차 또는 비율을 아날로그 회로에서 판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였지만, 제3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 출력전류를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에 따른 디지탈 처리에 의해 이 판별을 실행해도 좋다. 또, 제 3의 실시예에서는 편광필터를 거쳐서 수광했을때와 편광필터를 거치지 않고 수광했을때의 수광소자 출력전류의 차에 따라서 판별했지만 제2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광소자의 상기 2종류의 출력전류의 비율에 따라서 판별해도 좋다.In the abov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authenticity of the bills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or ratio of the output currents of the two light receiving elements with the discrimination reference value in the analog circuit. This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y digit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to be shown. Further, in the third embodiment, it is discrimin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output current when it is received through the polarization filter and when it is received without the polarization filter, but as in the second embodiment, You may discriminate according to the ratio of output current.
Claims (2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8-270977 | 1988-10-28 | ||
JP63-270977 | 1988-10-28 | ||
JP63270977A JPH07113985B2 (en) | 1988-10-28 | 1988-10-28 | Banknote identification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6892A KR900006892A (en) | 1990-05-09 |
KR0138116B1 true KR0138116B1 (en) | 1998-06-15 |
Family
ID=1749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4617A KR0138116B1 (en) | 1988-10-28 | 1989-10-12 | Method for discriminating authenticity of a ball and an appartus therefor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4990790A (en) |
EP (1) | EP0366306B1 (en) |
JP (1) | JPH07113985B2 (en) |
KR (1) | KR0138116B1 (en) |
AU (1) | AU614424B2 (en) |
CA (1) | CA1307036C (en) |
DE (1) | DE68914776T2 (en) |
ES (1) | ES2055793T3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79675U (en) * | 1992-03-24 | 1993-10-29 |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 Paper sheet identification device |
US5430664A (en) * | 1992-07-14 | 1995-07-04 | Technitrol, Inc. | Document counting and batching apparatus with counterfeit detection |
WO1994016412A1 (en) * | 1993-01-09 | 1994-07-21 | Mars, Incorporated | Detection of counterfeit objects |
US5918960A (en) * | 1994-01-04 | 1999-07-06 | Mars Incorporated | Detection of counterfeit objects, for instance counterfeit banknotes |
CA2179994A1 (en) * | 1994-01-04 | 1995-07-13 | John Geoffrey Hopwood | Detection of counterfeits objects, for instance counterfeits banknotes |
DE19605434A1 (en) * | 1996-02-14 | 1997-08-21 | Giesecke & Devrient Gmbh | Device for the detection of remitted light |
JPH1074276A (en) * | 1996-06-28 | 1998-03-17 | Laurel Bank Mach Co Ltd | Device for discriminating paper money or marketable security |
US6006668A (en) * | 1998-04-20 | 1999-12-28 | Hewlett-Packard Company | Glossy or matte-finish media detector and method for use in a printing device |
JP2000011230A (en) * | 1998-06-18 | 2000-01-14 | Omron Corp | Paper sheets discrimination device |
JP4336008B2 (en) * | 1998-11-17 | 2009-09-30 | 日本発條株式会社 | Object identification structure and identification method |
KR19990073026A (en) * | 1999-04-20 | 1999-09-27 | 이희동 | An apparatus for discerning a spurious bank note |
KR19990073025A (en) * | 1999-04-20 | 1999-09-27 | 이희동 | The circuit for discerning a spurious bank note |
ATE352077T1 (en) * | 2002-04-04 | 2007-02-15 | Landqart | DEVICE FOR VERIFICATION OF SECURITY FEATURES |
AU2003209916A1 (en) * | 2002-04-04 | 2003-10-20 | Landqart | Device for verifying security features |
EP1523415B1 (en) * | 2002-07-19 | 2011-06-29 | Landqart | Security feature for value documents |
US9917582B2 (en) * | 2015-10-30 | 2018-03-13 |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 Polarizer structure to control crosstalk in proximity sensor including a cover physically separates a photodetector from an object |
JP2018144989A (en) * | 2017-03-08 | 2018-09-20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Paper sheet processing unit |
CN117686438B (en) * | 2024-02-02 | 2024-05-10 | 东北大学秦皇岛分校 | A remote material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infrared polarized light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97304A (en) * | 1966-01-10 | 1970-02-24 | Arcs Ind Inc | Document color analyzing apparatus including two detectors |
US3496370A (en) * | 1966-05-16 | 1970-02-17 | Advance Data Systems Corp | Bill validation device with transmission and color tests |
CH484479A (en) * | 1969-06-12 | 1970-01-15 | Landis & Gyr Ag | Device for the optical authentication of banknotes and other stamps |
CH622896A5 (en) * | 1978-03-20 | 1981-04-30 | Landis & Gyr Ag | |
US4526466A (en) * | 1983-09-01 | 1985-07-02 | Rca Corporation | Technique for verifying genuineness of authenticating device |
JPS6352284A (en) * | 1986-08-21 | 1988-03-05 | 日本電気株式会社 | Paper money selector |
-
1988
- 1988-10-28 JP JP63270977A patent/JPH0711398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
- 1989-09-22 AU AU41630/89A patent/AU614424B2/en not_active Ceased
- 1989-09-22 CA CA000612539A patent/CA1307036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09-27 US US07/413,261 patent/US499079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10-12 KR KR1019890014617A patent/KR013811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10-12 EP EP89310438A patent/EP036630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10-12 ES ES89310438T patent/ES2055793T3/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10-12 DE DE68914776T patent/DE68914776T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614424B2 (en) | 1991-08-29 |
DE68914776T2 (en) | 1994-10-06 |
ES2055793T3 (en) | 1994-09-01 |
CA1307036C (en) | 1992-09-01 |
JPH02118792A (en) | 1990-05-07 |
DE68914776D1 (en) | 1994-05-26 |
EP0366306B1 (en) | 1994-04-20 |
US4990790A (en) | 1991-02-05 |
EP0366306A2 (en) | 1990-05-02 |
KR900006892A (en) | 1990-05-09 |
JPH07113985B2 (en) | 1995-12-06 |
AU4163089A (en) | 1990-05-03 |
EP0366306A3 (en) | 1990-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38116B1 (en) | Method for discriminating authenticity of a ball and an appartus therefor | |
KR100661440B1 (en) | Paper feature detection device and paper feature detection method | |
JP3909667B2 (en) | Bill identification device and identification method | |
JPS63276688A (en) | Banknote distinguisher | |
JPH06203244A (en) | Genuineness/counterfeit discriminating device for paper money or the like | |
JPH06203243A (en) | Genuineness/counterfeit discriminating device for sheet paper or the like | |
JPH1097663A (en) | Paper sheet identifying device | |
JP2511488B2 (en) | Paper discriminating device | |
JPH10208102A (en) | Device for discriminating counterfeit paper money | |
JP2896288B2 (en) | Banknote identification method | |
JPH04134584A (en) | Paper money discriminator | |
JPH0830834A (en) | Paper money discriminator | |
JPH06203242A (en) | Genuineness/counterfeit discriminating device for sheet paper or the like | |
JPS60146388A (en) | Sheet papers discriminator | |
JP4596594B2 (en) | Fluorescent thread detection device for paper sheets | |
JPH04217092A (en) | Device for discriminating true or fake of paper money | |
JPH0684042A (en) | Paper money identifying device | |
JPS59112385A (en) | Sheet paper discriminator | |
JP2000306136A (en) | Method and device for paper sheet discrimination | |
JP2860738B2 (en) | Paper sheet identification device | |
JPH0680279A (en) | Residual paper piece detection device for paper sheet reader | |
JPH03100787A (en) | Paper money discriminating device | |
JPH04157590A (en) | Identification and discrimination device for paper money | |
JPH06195541A (en) | Paper money discriminating method for paper money discriminating device | |
JPH08110968A (en) | Method of preparing master pattern and method and device fordiscriminating currenc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10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910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2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205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