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7283B1 -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283B1
KR0137283B1 KR1019890018760A KR890018760A KR0137283B1 KR 0137283 B1 KR0137283 B1 KR 0137283B1 KR 1019890018760 A KR1019890018760 A KR 1019890018760A KR 890018760 A KR890018760 A KR 890018760A KR 0137283 B1 KR0137283 B1 KR 0137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econdary battery
charging current
curre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401A (ko
Inventor
가쓰도시 아마노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00012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장치 특히 비수계(非水系) 2차 전지에 적합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초기의 최대전류로 부터 이 초기의 최대전류의 대략 10%의 안정된 낮은 레벨의 충전전류로 시간의 함수로서 급격하게 저하되는 충전전류를 생성하는 비수계 유기전해질 리튬 2차 전지에 정전압(定電壓)을 생성하여 인가하는 수단과, 상기 충전전류가 상기 안정된 낮은 레벨의 충전전류와 대략 같은 설정치 보다 작아졌을 때에, 상기 충전전류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검출회로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비수계 2차 전지를 정전압으로 충전하고, 충전전류의 값이 설정치 보다 작아졌을 때에 충전을 제어하도록 하여, 안전하고도 확실하게 만충전(萬充電)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전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충전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충전특성을 나타내는 특성도.
제3도는 니켈타드뮴 전지의 충전특성을 나타내는 특성도.
제4도는 납축전지의 충전특성을 나타내는 특성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각각 니켈카드뮴 전지의 단자전압에 의거한 충전방식을 나타내는 특성도.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니켈카드뮴 전지의 온도에 의거한 충전방식을 나타내는 특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전류검출회로16:전자스위치
Ice:충전전류
본원 발명의 충전장치 특히 비수계(非水系) 2차전지에 적합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비수계 2차전지를 충전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비수계 2차전지를 정전압(定電壓)으로 충전하고, 충전전류의 값이 설정치 보다 작아졌을 때에 충전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도 확실하게 만충전(滿充電)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반복층·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에는 수용계의 전해액을 사용한 것과 유기계의전해액을 사용한 이른바 비수계 2차전지가 있다.
수용계의 전해액을 사용한 2차전지에는 예를 들면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등이 있으며, 비수계 2차전지에는 예를 들면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등이 있으며, 비수계 2차전지에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62(1987)-82670호 공보, 동 특개소 62(1987)-8267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망간리튬전지, 카본리튬전지 등의 리튬계전지가 있다.
이들 2차전지에는 종류에 따라 특유의 충전특성이 있으며, 각각의 충전특성에 적합한 충전방식이 있다. 따라서, 2차 전지의 충전장치는 각각 충전방식에 적합한 구성을 갖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제3도에는 니켈카드뮴전지의 충전특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충전특성은 정전류(定電流)충전이다. 전지의 단자전압 Vce의 시간적 변화는 산형(山形)을 나타내고 있으며, 산형의 피크 Pvce가 만충전의 레벨 Lfu이 된다. 한편, 충전전류 Ice는 항상 일정한 값 예를 들면 IA를 유지하고 있다.
제4도에는 납축전지의 충전특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충전특성은 정전압 충전이다. 전지의 단자전압 Vce의 시간적 변화를 보면, 충전초기의 단계에서는 비교적 급속히 상승하고, 소정전압에 달하면 상승하는 정도가 매우 완만하게 되어 정전압이 된다. 한편, 충전전류 Ice는 충전 초기의 단계부터 대략 일정한 값 예를 들면 IA를 유지하고 있다.
상술한 니켈카드뮴전지의 충전특성에 다른 충전방식이 제5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중, 제5도 내지 제7도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 Vce을 검출하여 충전을 제어하는 방식이며, 제8도 및 제9도는 전지의 온도 Tce르르 검출하여 충전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제5도의 충전방식은 단자전압 Vce에 일정한 리미트 Lvce를 설정하고, 2차전지의 단자전압 Vce이 리미트 Lvce에 달했다는 것을 검출한 단계에서 충전을 중단하는 것이다.
제6도의 충전방식은 이른바 V테이프 제어방식이며, 2차전지의 단자전압 Vce이 피크 Pvce에 달했다는 것을 검출한 단계에서 충전을 중단하는 것이다.
제7도의 충전방식은 이른바(-ΔV)제어방식이며, 2차전지의 단자전압 Vce이 피크 Pvce에 달하고 나서 소정의 전압 ΔV 저하한 것을 검출한 단계에서 충전을 중단하는 것이다.
제8도의 충전방식은 전지의 온도 Tce에 의거한 제어방식이다. 충전말기의 전지의 온도 Tce는 급격히 상승하여 예를 들면 40도-50도쯤 되기 때문에, 이 온도상승을 센서로 검출하여 충전을 준단하는 것이다.
제9도의 충전방식은 이른바(ΔT)제어방식이다. 충전말기에 가까워지면 전지의 온도 Tce는 통상의 온도보다 온도 ΔT 만큼 상승한다. 그러면, 이 온도상승을 센서로 검출한 단계에서 충전을 중단하는 것이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납축전지의 충전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2차전지의 단자전압 Vce이 소정치에 달했다는 것을 검출한 단계에서 충전을 중단하는 것과, 충전시간을 타이머로 설정하여 소정시간 경과 후에 충전을 중단하는 것이 있다.
상술한 비수계 2차전지의 충전에 있어서는 수용계의 전해액을 사용한 2차전지의 충전방식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 전지의 충전방식을 적용하는 것을 우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니켈카드뮴 전지의 충전방식 중, 제5도에 도시한 단자전압 Vce이 리미트 Lvce에 달할 때까지 충전하는 방식은 충전율이 80%정도밖에 되지 않으므로, 만충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제6도에 도시한 V테이프 제어방식 및 제7도에 도시한(-ΔV)제어방식은 비수계 2차전지의 충전특성이 산형이 아니고 피크 Pvce를 갖지 않기 때문에 어느 것이건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전지의 온도 Tce에 의거한 제어방식도 비수계 2차전지의 충전방식으로서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제8도의 충전말기에 있어서의 전지의 온도 Tce의 상승을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특히 리튬계 2차전지의 경우, 푹발할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다음에 납축전지의 충전방식 예를 들면 타이머로 충전시간을 설정하는 충전방식을 적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충전방식도 문제가 있다. 즉, 충전전류는 전지의 주위온도에 따라 현저히 변화하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을 설정했다고 해도, 충전전류 Ice가 전지의 주위온도에 의해서 현저히 변화하고, 그 결과 충전율이 안정화되지 않아 확실한 만충전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납축전지의 충전방식으로서 사용되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 Vce의 검출에 의한 충전방식도 2차전지의 단자전압 Vce이 소정치에 달해도 충전전류 Ice가 전지의 주위온도에 의해서 현저히 변화한다는 것과, 2차전지의 성능의 불균일에 의해 확실한 만충전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비수계 2차전지를 안전하고도 확실하게 만충전할 수 있는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은 비수계지를 2차전지를 충전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비수계 2차전지를 정전압으로 충전하고, 충전전류의 값이 설정치보다 작아졌을 때에 충전을 제어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비수계 2차전지의 충전특성 때문에,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충전전류의 값은 급격히 저하된다. 그래서, 본원 발명에 관한 충전장치에서는 비수계 2차전지를 정전압으로 충전하는 동시에, 충전전류의 값을 모니터하여, 만약 충전전류의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만충전시의 충전전류의 값과 같아졌을 때는 충전전류를 차단하든가 또는 보통충전으로 전환하도록 하여 제어한다.
이와 같이, 만충전시의 충전전류의 값과 실제의 충전전류의 값의 비교에 의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비수계 2차전지를 안전하고도 확실하게 만충전할 수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리튬계의 비수계 2차전지(이하, 단지 2차전지라 함)를 충전하는 충전장치에 대해 본원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제1도의 구성에 있어서, AC 100V의 전원전압이 전원부(1)의 전원트랜스(2)의 1차측에 공급된다. 전원전압은 전원트랜스(2)로 강압(降壓)되고, 2차측에서 출력전압으로서 출력된다. 이 출력전압은 다이오드에 의해 구성되는 정류회로(3)와, 전원라인 Lv 및 어스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평활용 콘덴서(4)를 경유함으로써 직류전압이 된다. 이 직류전압을 다시 시리즈 레귤레이터(5)에 공급된다.
시리즈 레귤레이터(5)는 전원라인 Lv에 콜렉터에미터의 각 단자가 직렬로 접속되어 베이스가 후술하는 트랜지스터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와(6)와, 전원라인 Lv 및 어스 사이에 직렬접속되어 있는 저항(7),(8), 볼륨(9)과, 베이스가 볼륨(9)의 한 단자에 접속되고, 콜렉터가 상술한 트랜지스터(6)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다시 에미터가 제너다이오드(10)를 통해서 어스되어 있는 트랜지스터(11)와, 저항(12)과, 전원라인 Lv 및 어스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콘덴서(17)로 구성된다.
이 시리즈 레귤레이터(5)에 의해서 정전압화(8.2V, 최대치 8.5V)된 직류전압은 매뉴얼조작의 스우치(13)를 통해서 전류검출회로(14)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스위치(13)는 2차전지(15)를 충전하려고 할 때 자동적으로 온(開)되도록 해도 된다.
직류전압은 이 전류검출회로(14)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류치와 비교되고, 만약 충전전류의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 예를 들면 0.1A(만충전시의 충전전류 Ice의 값)과 작아졌을 때는 제어신호 Sc를 전자(電子)스위치(16)에 공급하여 전자스위치(16)를 제어한다. 직류전압은 전류검출회로(14), 전자스위치(16)를 거쳐 2차전지(15)에 공급되며, 이로써 2차전지(15)의 충전이 이루어 진다.
이어서, 2차전지의 충전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C 100V의 전원전압은 전원부(1)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되고, 이 직류전압은 정전압이 된다. 그리고, 직류전압은 스위치(13), 전자스위치(16)가 함께 온(開)일 때 2차전지(15)에 공급되어 충전된다.
제2도에는 비수계 2차전지의 충전특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특성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충전전류 Ice는 충전시간 Hce으로 0.4Hour(이하, H라 약기함)정도까지는 저하경향이 완만하고, 1.5A 정도 흘러 대략 정전류에 가까운 상태를 나타낸다.
그 후, 충전전류 Ice는 2차전지(15)의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급격하게 저하하고, 3.5H 부근에서 낮은 레벨로 안정된다.
한편, 2차전지(15)의 단자전압 Vce은 충전시간 Hce으로 0.4H 부근까지는 급격히 상승하고, 이어서 1H 부근까지는 비교적 완만하게 상승하며, 그 후 1.5H 부근에서 안정되어 정전압의 상태로 된다.
상술한 전류검출회로(14)에서는 2차전지(15)에 대해 충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충전전류 Ice의 값을 모니터하고 있다. 만약 충전전류 Ice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감소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만충전시의 충전전류 Ice의 값), 예를 들면 0.1A가 되었을 때는 충전전류 Ice를 차단하기 위해 전류검출회로(14)로 부터 전자스위치(16)에 제어신호 Sc가 공급된다. 전자스위치(16)는 제어신호 Sc에 의해 오프(開)되어 충전전류 Ice의 공급이 정지된다. 충전전류 Ice의 값이 0.1A가 되었을 때는 98%정도의 충전이 행해지고 있으며, 만충전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정전압 하에서 충전전류 Ice를 미리 설정한 전류치와 비교하면서 2차전지(15)를 충전하고 있으므로, 안전하고도 확실하게 만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충전전류 Ice를 차단하지 않고 약간의 충전전류 Ice만을 계속흐르게 하는 이른바 보통충전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비수계 2차전지를 정전압으로 충전하고, 충전전류의 값을 감시하여, 충전전류의 값이 설정치보다 작아졌을 때에 충전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안전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만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종래의 충전방식 예를 들면 2차전지의 단자전압이 소정치에 달했다는 것을 검출한 단계에서 충전을 중단하는 충전방식, 또는 충전시간을 타이머로 설정하여 소정시간 경과 후에 충전을 중단하는 충전방식에서는 2차전지의 성능의 불균일, 전지의 주위온도 등에 의해서 충전전류가 변화하기 때문에, 만충전은 곤란하지만, 본원 발명에 의하면 확실하게 만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초기의 최대전류로 부터 이 초기의 최대전류의 대략 10%의 안정된 낮은 레벨의 충전전류로 시간의 함수로서 급격하게 저하되는 충전전류를 생성하는 비수계(非水系) 유기전해질 리튬 2차 전지에 정전압(定電壓)을 생성하여 인가하는 수단과, 상기 충전전류가 상기 안정된 낮은 레벨의 충전전류와 대략 같은 설정치보다 작았졌을 때에, 상기 충전전류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검출회로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KR1019890018760A 1989-01-20 1989-12-18 충전장치 KR0137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2480A JP2906422B2 (ja) 1989-01-20 1989-01-20 充電装置
JP89-12480 1989-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401A KR900012401A (ko) 1990-08-04
KR0137283B1 true KR0137283B1 (ko) 1998-06-15

Family

ID=1180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760A KR0137283B1 (ko) 1989-01-20 1989-12-18 충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28860A (ko)
EP (1) EP0379221A3 (ko)
JP (1) JP2906422B2 (ko)
KR (1) KR0137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4249B1 (fr) * 1991-11-25 1994-04-08 Accumulateurs Fixes Et Traction Module controleur d'alimentation pour ensemble de controle de batterie d'un appareil et batterie equipee d'un tel module.
EP0616737A4 (en) * 1991-11-29 1994-12-21 Motorola Inc BATTERY WITH PROTECTIVE CIRCUIT.
JP2967635B2 (ja) * 1991-12-13 1999-10-25 株式会社明電舎 金属ハロゲン電池の運転方法
TW226496B (en) * 1992-07-21 1994-07-11 Sanyo Denki Kk Battery charger
JPH07235332A (ja) * 1994-02-24 1995-09-05 Sanyo Electric Co Ltd 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3286456B2 (ja) * 1994-02-28 2002-05-27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方法
US5581170A (en) * 1994-12-12 1996-12-03 Unitrode Corporation Battery protector
US5652501A (en) * 1994-12-12 1997-07-29 Unitrode Corporation Voltage sensor for detecting cell voltages
US5654622A (en) * 1995-02-16 1997-08-05 Sanyo Electric Co., Ltd. Secondary battery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which controls protecting voltage level of battery protecting circuit
US5773959A (en) * 1996-01-11 1998-06-3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Lithium polymer battery charger methods and apparatus
US5747968A (en) * 1996-01-11 1998-05-05 Lockheed Martin Corp. Missiles & Space Lithium polymer battery charger apparatus
JP3368163B2 (ja) * 1996-12-18 2003-01-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機器用電源装置及び電子機器
US5898294A (en) * 1997-08-19 1999-04-27 Polystor Corporation Control loop for pulse charging lithium ion cells
JP3823503B2 (ja) * 1997-09-12 2006-09-20 宇部興産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その充電装置
US5994878A (en) * 1997-09-30 1999-11-30 Chartec Laboratories A/S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US6121751A (en) * 1999-03-11 2000-09-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a stack of multiple lithium ion battery cells
AU2002213386B2 (en) 2000-10-20 2006-11-16 Rov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charging of electrochemical cells
JP2002300728A (ja) * 2001-03-30 2002-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機能付き携帯電話
US20040145344A1 (en) * 2001-10-19 2004-07-29 Bushong William 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charging of electrochemical cells
AR045377A1 (es) * 2003-08-15 2005-10-26 Rovcal Inc Metodo y aparato para cargar celdas electroquimicas
JP4817054B2 (ja) 2006-03-02 2011-11-16 日立工機株式会社 充電装置
US7521897B2 (en) 2006-03-27 2009-04-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Battery charge temperature control
JP5029862B2 (ja) 2006-03-31 2012-09-19 日立工機株式会社 充電装置
US20090085529A1 (en) * 2007-10-01 2009-04-02 Tom Allen Agan Power source
US9071073B2 (en) * 2007-10-04 2015-06-30 The Gillette Company Household device continuous battery charger utilizing a constant voltage regulator
JP5146726B2 (ja) 2007-10-25 2013-02-20 日立工機株式会社 充電装置
CN101471461B (zh) * 2007-12-27 2012-04-18 环鸿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方法及充电器
JP5151506B2 (ja) 2008-01-28 2013-02-27 日立工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とこれを充電する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JP2010068571A (ja) 2008-09-09 2010-03-25 Hitachi Koki Co Ltd 充電装置
JP5532331B2 (ja) * 2010-09-29 2014-06-25 日立工機株式会社 充電装置
CN102223084B (zh) * 2011-06-16 2012-11-07 湖北网安科技有限公司 一种交流恒流源电路
JP5811055B2 (ja) * 2012-07-11 2015-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ッテリシステム制御装置
US11437829B2 (en) 2016-03-07 2022-09-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 to charge lithium-ion batteries with user, cell and temperature awareness
US11258285B2 (en) 2017-06-06 2022-02-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User aware charging algorithm that reduces battery fad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656A (en) * 1974-04-22 1977-10-04 Maurice Lavell Battery charging system
US4152635A (en) * 1977-07-14 1979-05-01 Research Development Systems, Inc. Battery charger
US4233553A (en) * 1978-05-10 1980-11-11 Ault, Inc. Automatic dual mode battery charger
US4392101A (en) * 1978-05-31 1983-07-05 Black & Decker Inc. Method of charging batteries and apparatus therefor
US4209736A (en) * 1978-07-27 1980-06-24 General Electric Company Condition responsive battery charging circuit
SU974467A1 (ru) * 1981-02-10 1982-11-15 Войсковая часть 20914 Способ ускоренного зар да кислотного свинцового аккумул тора
JPS59110492A (ja) * 1982-12-15 1984-06-26 Toyota Motor Corp 浸炭同時ろう付用ろう材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4629965A (en) * 1985-02-26 1986-12-16 General Battery Corporation Battery charger termination circuit
US4740433A (en) * 1986-09-29 1988-04-26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 At&T Bell Laboratories Nonaqueous battery with special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92670A (ja) 1990-07-30
JP2906422B2 (ja) 1999-06-21
KR900012401A (ko) 1990-08-04
EP0379221A3 (en) 1991-09-11
EP0379221A2 (en) 1990-07-25
US5028860A (en) 199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283B1 (ko) 충전장치
US5576608A (en) Method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y and charger used therefor
CN100364206C (zh) 恒流电池充电器
KR100468176B1 (ko) 이차전지의충전방법
US4712055A (en) Battery charger circuit
US4233553A (en) Automatic dual mode battery charger
US7786706B2 (en) Method for charging rechargeable battery
US20060208699A1 (en) Battery charger
US3454859A (en) Nickel-cadmium battery reconditioner
JPH04183232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充電方法
US5321347A (en) Battery charger device and method
EP0580351B1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CA1128989A (en) Battery charging circuit for portable power tool
JP3306188B2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3174481B2 (ja) 二次電池の急速充電方法
JP2000014035A (ja) 充電方法及び充電装置
US3969665A (en) Automatic control circuit for battery charging systems
JPH0956080A (ja) 充電装置
JP4817054B2 (ja) 充電装置
JPH0698472A (ja) 充電方法
JP3583926B2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H05219655A (ja) バッテリーチャージャ
KR950009337B1 (ko) 배터리 충전회로
GB2167617A (en) Battery charger
JP2542278B2 (ja) 満充電になっている二次電池の再充電防止装置並びにバッテリパック及びその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1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9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3102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