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892B1 - 커플링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upling) - Google Patents
커플링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upling)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6892B1 KR0136892B1 KR1019940034837A KR19940034837A KR0136892B1 KR 0136892 B1 KR0136892 B1 KR 0136892B1 KR 1019940034837 A KR1019940034837 A KR 1019940034837A KR 19940034837 A KR19940034837 A KR 19940034837A KR 0136892 B1 KR0136892 B1 KR 01368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mping
- rotatable
- control
- reservoir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etard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9)
-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부분들에 각기 비회전식으로 교대로 연결된 마찰 요소(15, 17)를 갖고, 점성 유체로 충전되고 저장조(26)에 연결되고 그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 부재(22)를 수용하고 회전 하우징(20) 내에 있는 가압 챔버(21)의 일단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피스톤(19)에 의해 하중이 부과된 상태 하에 있을 수 있는 마찰 커플링(12)을 포함하며,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두개의 부분(14, 20; 16, 24) 사이에서 토오크를 전달하는 커플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가압 챔버(21)에 대한 회전 부재(22)의 회전 시에 피스톤(19)에 인가된 압력이 주연방향으로의 두개의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된 전단채널(38) 내에 들어 있는 점성 유체의 전단 작용에 의해 발생되고, 피스톤에 하중을 부과하기 위하여 유체가 상대 회전 방향에 대하여 전단 채널(38)의 후방단을 구성하도록 해제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부분들의 상대 회전 방향의 함수로서 저장조(26)로부터 전단 채널(38)에 유체를 공급하는 과정과 전단 채널(38)로부터의 압력을 해제하는 과정이 재차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가압 챔버(21) 내에 상대 회전 방향의 함수로서 상이한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압력 생성을 위한 유효 채널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저장조(26)와 전단 채널(38)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한 부분과의 직접 연결부를 두개의 상대 회전 방향 중 하나에 추가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가압 챔버(21) 내에 상대 회전 방향의 함수로서 상이한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압력 생성을 위한 유효 채널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전단 채널(38)의 단부들 사이에 배열된 부분과 가압 챔버(21)와의 직접 연결부를 두개의 상대 회전 방향 중 하나에 추가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제어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유체의 점성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보상할 목적으로 저장조(26)와 가압 챔버(21) 사이에서의 드로틀 채널(4)의 자유 단면을 증가한 온도에 따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제어 방법.
-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부분(14, 20; 16, 24)들에 비회전식으로 교대로 연결된 마찰 요소(15, 17)를 갖고, 점성 유체로 충전되고 저장조(26)에 연결되고 그 회전 하우징(20)이 회전가능한 부분(14, 20) 중 하나와 이와 함께 회전하는 피스톤(19)에 의해 형성되며 회전가능한 부분(16, 24)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회전 부재(22)가 그 안에서 회전하게 되는 가압 챔버(21)의 일단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피스톤(19)을 하중 부과 상태로 둘 수 있는 마찰 커플링(12)을 포함하며,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두개의 부분(14, 20; 16, 24) 사이에서 토오크를 전달하는 커플링에 있어서,회전 부재(22)의 회전면들과 가압 챔버(21)에 위치한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대향면들이 벽에 의해 축방향으로 제한되고 두 단부들 사이에서 주연방향으로 연장되는 홈(37)과 이홈을 덮고 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표면(36)에 의해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식 전단 채널(38)을 구성하고, 펌핑 및 제어 부재(23)가 회전하우징(22)에 대한 두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제한된 범위로 회전가능하고,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두개의 단부 위치들에서 상대 회전 방향에 대하여 홈(37)의 전방단을 구성하는 위치에 배열된 제어 개구가 저장조(26)에 연통되고 상대 회전 방향에 대하여 홈(37)의 후방단을 구성하는 위치에 배열된 제어 개구가 가압 챔버(21)에 연통되도록 홈(37)이 이 홈의 단부에 배열된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제어 개구(31, 33)에 의해서 회전 하우징(20) 내에 위치한 저장조(26)에 연결되고 그리고 피스톤(19)과 회전 부재(22) 사이에 있는 가압 챔버(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에 있어서,상대 회전 방향의 함수로서 비대칭 특성을 얻도록 전단 채널(38)의 중심부가 두개의 단부 위치 중 하나에서만 저장조(26)에 연통되게 하는 추가의 제어 개구(44)를 펌핑 및 제어 부재(23)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에 있어서,상대 회전 방향의 함수로서 비대칭 특성을 얻도록 전단 채널(38)의 중심부가 두개의 단부 위치 중 하나에서만 가압 챔버(21)에 연통되게 하는 추가의 제어 개구(46)를 펌핑 및 제어 부재(23)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회전 부재(22)와 펌핑 및 제어 부재(23)를 함께 축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수단(35)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적어도 하나의 전단 채널(38)이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회전면 중 하나에서 만의 홈(37)과 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 부재(22)에서의 보족 접촉면(36)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표면들과 적어도 하나의 전단 채널(38)을 형성하는 회전 부재(22)의 보족 대향면들이 반경방향으로 평면이며 원추형 또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저장조(26)와 전단 채널(38) 사이에 있는 두개의 연결 채널(32, 34)이 서로에 대하여 각도 오프셋 2α를 가지며, 그 중간에는 전단 채널(38)로부터 챔버(21)로 이어지는 연결 채널(43)이 배열되고,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제어 개구(31, 33)가 서로에 대하여 각도 오프셋 α를 이루고, 제어 부재(23)가 각 α만큼 회전가능하고 홈(37)이 각 (360°-α)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제 1 연결 채널(30')이 저장조(26)와 전단 채널(38) 사이에 마련되고, 이에 대칭으로 전단 채널(38)로부터 가압 챔버(21)로 이어지는 두개의 연결 채널(43, 43')이 제1연결 채널에 대하여 각도 오프셋 2α로 각각 위치하고, 제어 부재(23)가 각 (360°-α)만큼 회전가능하고 홈(37)이 각 (360°-α)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제1 연결 채널(30')이 저장조(26)와 전단 채널(38) 사이에 마련되고, 이에 대칭으로 전단 채널(38)로부터 가압 챔버(21)로 이어지는 두개의 연결 채널(43, 43')이 제1 연결 채널에 대하여 각도 오프셋 α로 각각 위치하고, 제어 부재(23)가 각 α만큼 회전가능하고 서로 회전식으로 중첩된 단부들을 갖는 홈(37')이 각 (360°+α)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홈(37)의 단부들에 있는 제어 개구(31, 33)가 적어도 개구(31, 33)의 영역에서는 저장조에 이어지는 연결채널(32, 34)이 종결되는 회전 하우징(20)의 단부벽에 대하여 밀봉식으로 놓이는 일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축방향 구멍의 형태로 디스크형 펌핑 및 제어 부재(23)에 마련되고, 홈(37)이 회전 부재(22)의 단부면에 대하여 밀봉식으로 놓이는 반대쪽 제2 단부면에 위치하는 한 각각의 단부 위치에서 제어 개구(31, 33) 중 하나만이 연결채널(32 34)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11항에 있어서,가압 챔버(21)에 이어지는 연결 채널(43)이 두개의 단부 위치들 각각에서 홈(37)의 단부들에 있는 두개의 제어 개구(31, 33) 중 하나와 중첩되는 반경방향 홈의 형태로 회전 하우징(20)의 단부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6항에 있어서,추가의 제어 개구(44)가 홈(37)의 중심부에서 종결되고 단부 위치 중 하나에서만 저장조(24)에 이어지는 추가의 연결 채널(45)에 중첩되는 축방향 구멍의 형태로 디스크형 펌핑 및 제어 부재(23)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7항에 있어서,추가의 제어 개구(46)가 홈(37)의 중심부에서 종결되고 단부 위치 중 하나에서만 가압 챔버(21)에 이어지고 회전 하우징(20)의 단부벽에서 반경방향 홈의 형상을 취하는 추가의 연결 채널(47)에 중첩되는 축방향 구멍의 형태로 디스크형 펌핑 및 제어 부재(23)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유체의 점성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하여 저장조(26)와 가압 챔버(21) 사이에 위치하고 그 단면이 온도의 함수로서 변화하고 갭 S를 남겨 두고 제어 부재(60)를 수용하는 바이패스(59)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펌핑 및 제어 부재(23)에서 회전 정지구(41)가 회전 하우징(20)에 마련되고 그 주연 길이가 제한된 홈(42)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하우징(14) 상에 지지되고 피스톤을 가압 챔버(21) 내의 압력에 대한 대향력으로서 작용하는 힘을 받게하는 스프링 수단(25)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하우징(14) 상에 마련되고 피스톤을 가압 챔버(21) 내의 압력에 대한 부가력으로서 작용하는 힘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수단(85)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예비 인장 상태에서 피스톤(19)과 마찰 커플링(12) 사이에 배열되어 이들을 최소의 힘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저장조(26)가 회전 하우징(20)과 이와 함께 회전하고 제한된 범위로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고 최소의 체적이 되는 방향으로 스프링 로드된 피스톤(27)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차동 구동 하우징에 지지되는 차동 캐리어(14, 114)와 서로 동축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및 제2 출력 베벨기어(161, 162)와 축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두개의 차동 베벨기어(165, 166)와, 로킹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제 1마찰 요소(15, 115)가 차동 캐리어(14, 114)에 비회전식으로 고정되고 제2 마찰 요소(17, 117)가 두개의 엑슬축 기어의 제1 엑슬축 기어(161)상에 비회전식으로 고정된 마찰 커플링(112)과, 점성 유체로 충전되고 그 회전 하우징(20, 120)이 차동 캐리어(14, 114)와 이와 함께 회전하는 가동 피스톤(19, 119)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가압챔버(21, 121)를 갖는 제어 기구(13, 113)를 포함하며 자동차의 구동 라인에 사용되는 로킹 효과를 갖는 차동 구동부에 있어서,제1 엑슬축 기어(161)에 비회전식으로 연결된 회전 부재(22, 12)가 가압 챔버(21, 121) 내에서 회전하고, 회전 하우징(20, 120)의 대향면들과 함께 이 회전 부재(22, 122)의 회전면들이 벽(54, 55)들에 의해 측방향으로 제한되고 주연방향으로 두개의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홈(37)과 이 홈을 덮고 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표면(36)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식 전단 채널(38)을 구성하며, 전단 채널(38)을 형성하는 부분들 사이의 속도차의 경우에 피스톤(19, 119)은 전단 채널 내의 압력 생성의 결과로 마찰 커플링(12, 112)의 방향으로 변위되고 이 마찰 커플링(12, 112)을 하중 상태에 두고, 가압 챔버(21, 121)가 가변 크기를 갖는 저장조(26, 126)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4항에 있어서,마찰 커플링(12, 112)에 대하여 피스톤(19, 119)의 반대쪽에 축방향으로 위치하고 출력 베벨기어(161, 162)가 토오크를 받지 않을 때에는 차동 캐리어(14, 114)의 단부면(179) 상에 지지되고 출력 베벨기어(162, 162)가 토오크를 받을 때에는 적어도 두개가 마련된 차동 베벨기어(165, 166) 상에 지지된 출력 베벨기어(116) 중 하나에 의해서 마찰 커플링(12, 112) 방향으로 변위되어 이 마찰 커플링(12, 112)에 하중을 부과하는 조정가능한 가압판(173)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차동 캐리어(14, 114)와 두개의 엑슬축기어 중 제1기어(161) 사이의 속도차에 기인한 로킹 효과가 소정의 증가된 속도(대향 하중)에서만 일어나도록 예비 인장 스프링인 판 스프링(25, 125)이 제어 기구(13, 113)의 유효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피스톤(19, 119) 상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4항 또는 25항에 있어서,차동 캐리어(14, 114)와 엑슬축 기어 중 제1기어(161) 사이의 속도차에 무관하게 그리고 엑슬축 기어(161, 162)들 상의 임의의 토오크 하중에 무관하게 항상 소정의 최소 로킹 효과(예비 하중)가 일어나도록 예비 인장 스프링인 판 스프링(85, 185)이 제어 기구(13, 113)의 유효 방향으로 마찰 커플링(12, 112) 상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4항에 있어서,펌핑 및 제어 부재(23)가 가압 챔버(21)에 위치하고 회전 하우징(20, 120)에 대하여 두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제한된 범위로 회전가능하며, 상대 회전 방향에 대하여 전방단을 구성하는 전단 채널(38)의 단부에 배열된 제어 개구가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단부 위치들에서 저장조(26)에 연통하고 상대 회전 방향에 대하여 후방단을 구성하는 전단 채널(38)의 단부에 배열된 제어 개구가 가압 챔버(21)에 연통하도록 전단 채널(38)이 벽에 의해 측방향으로 제한되고 두개의 단부들 사이에서 주연으로 연장되는 홈(37)의 각 단부들에 배열된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제어 개구(31, 33)에 의해서 회전 하우징(20)에 위치한 저장조(26)에 연결되고 피스톤(19)과 회전 부재(22) 사이에서 가압 챔버(2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회전 방향의 함수로서의 비대칭 특성을 얻기 위하여 펌핑 및 제어 부재(23)가 전단 채널(38)의 중심부를 두개의 단부 위치 중 하나에서만 저장조(26)에 연통시키는 추가의 제어 개구(4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회전 방향의 함수로서의 비대칭 특성을 얻기 위하여 펌핑 및 제어 부재(23)가 전단 채널(38)의 중심부를 두개의 단부 위치 중 하나에서만 가압 챔버(21)에 연통시키는 추가의 제어 개구(4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회전 부재(22)와 펌핑 및 제어 부재(23)를 축방향으로 함께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수단(3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적어도 하나의 전단 채널(38)이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회전면 중 하나에서 만의 홈(37) 및 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 부재(22)에 있는 보족 접촉면(36)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제어 부재(23)의 표면들과 적어도 하나의 전단 채널(38)을 형성하는 회전 부재(22)의 보족 대향면들이 반경방향으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저장조(26)와 전단 채널(38) 사이에 있는 두개의 연결 채널(32, 34)이 서로에 대하여 각도 오프셋 2α를 가지며, 그 중간에는 전단 채널(38)로부터 가압 챔버(21)로 이어지는 연결 채널(43)이 배열되고,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제어 개구(31, 33)가 서로에 대하여 각도 오프셋 α를 이루고, 제어 부재(23)가 각 α만큼 회전가능하고 홈(37)이 각 (360°-α)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제1 연결 채널이 저장조(26)와 전단 채널(38) 사이에 마련되고, 이에 대칭으로 전단 채널(38)로부터 가압 챔버(21)로 이어지는 두개의 연결 채널이 제1 연결 채널에 대하여 각도 오프셋 2α로 각각 위치하고, 제어 부재(23)가 각(360°-α)만큼 회전가능하고 홈(37)이 각(360°-α)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제1 연결 채널이 저장조(26)와 전단 채널(38) 사이에 마련되고, 이에 대칭으로 전단 채널(38)로부터 가압 챔버(21)로 이어지는 두개의 연결 채널이 제1 연결 채널에 대하여 각도 오프셋 α로 각각 위치하고, 제어 부재(23)가 각 α만큼 회전가능하고 서로 회전식으로 중첩된 단부들을 갖는 홈(37')이 각(360°+α)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홈(37)의 단부들에 있는 제어 개구(31, 33)가 적어도 개구(31, 33)의 영역에서는 저장조에 이어지는 연결 채널(32, 34)이 종결되는 회전 하우징(20)의 단부벽에 대하여 밀봉식으로 놓이는 일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축방향 구멍의 형태로 디스크형 펌핑 및 제어 부재(23)에 마련되고, 홈(37)이 회전부재(22)의 단부면에 대하여 밀봉식으로 놓이는 반대쪽 제2단부면에 위치하는 한 각각의 단부 위치에서 제어 개구(31, 33) 중 하나만이 연결 채널(32, 34)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가압 챔버(21)에 이어지는 연결 채널(43)이 두개의 단부 위치들 각각에서 홈(37)의 단부들에 있는 두개의 제어 개구(31, 33) 중 하나와 중첩되는 반경방향 홈의 형태로 회전 하우징(20)의 단부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9항에 있어서,추가의 제어 개구(44)가 홈(37)의 중심부에서 종결되고 단부 위치 중 하나에서만 저장조(24)에 이어지는 추가의 연결 채널(45)에 중첩되는 축방향 구멍의 형태로 디스크형 펌핑 및 제어 부재(23)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30항에 있어서,추가의 제어 개구(46)가 홈(37)의 중심부에서 종결되고 단부 위치 중 하나에서만 가압 챔버(21)에 이어지고 회전 하우징(20)의 단부벽에서 반경방향 홈의 형상을 취하는 추가의 연결 채널(47)에 중첩되는 축방향 구멍의 형태로 디스크형 펌핑 및 제어 부재(23)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유체의 점성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하여 저장조(26)와 가압 챔버(21) 사이에 마련되고 온도의 함수로서 변화하는 단면적을 갖는 바이패스(5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펌핑 및 제어 부재(23)에서 회전 정지구(41)가 회전 하우징(20)에 마련되고 그 주연 길이가 제한된 홈(42)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28항에 있어서,저장조(26)가 회전 하우징(20)과 이와 함께 회전하고 제한된 범위로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고 최소의 체적이 되는 방향으로 스프링 로드된 피스톤(27)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구동부.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점성 유체가 전단률 S-1의 함수로서 증가하는 점성을 갖는 팽창 매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
- 영구 피동 엑슬과, 경우에 따라서만 구동되는 엑슬과, 이 엑슬에서 구동축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토오크 전달 수단을 갖춘 차동 속도 의존 유효 커플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있어서,토오크 전달 수단은,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부분(14, 20; 16, 24)들에 비회전식으로 교대로 연결된 마찰 요소(15, 17)를 갖고, 점성 유체로 충전되고 저장조(26)에 연결되고 그 회전 하우징(20)이 회전가능한 부분(14, 20)중 하나와 이와 함께 회전하는 피스톤(19)에 의해 형성되며 회전가능한 부분(16, 24)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회전 부재(22)가 그 안에서 회전하게 되는 가압 챔버(21)의 일단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피스톤(19)을 하중 부과 상태로 둘 수 있는 마찰 커플링(12)을 포함하며,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두개의 부분(14, 20; 16, 24) 사이에서 토오크를 전달하는 커플링으로서, 회전 부재(22)의 회전면들과 가압 챔버(21)에 위치한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대향면들이 벽에 의해 축방향으로 제한되고 두 단부들 사이에서 주연방향으로 연장되는 홈(37)과 이 홈을 덮고 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표면(36)에 의해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식 전단 채널(38)을 구성하고, 펌핑 및 제어 부재(23)가 회전 하우징(22)에 대한 두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제한된 범위로 회전가능하고,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두개의 단부 위치들에서 상대 회전 방향에 대하여 홈(37)의 전방단을 구성하는 위치에 배열된 제어 개구가 저장조(26)에 연통되고 상대 회전 방향에 대하여 홈(37)의 후방단을 구성하는 위치에 배열된 제어 개구가 가압 챔버(21)에 연통되도록 홈(37)이 이 홈의 단부에 배열된 펌핑 및 제어부재(23)의 제어 개구(31, 33)에 의해서 회전 하우징(20) 내에 위치한 저장조(26)에 연결되고 그리고 피스톤(19)과 회전 부재(22) 사이에 있는 가압 챔버(21)에 연결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 두개의 영구 피동 엑슬과,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엑슬에 이르기까지 토오크 를 분배하는 차동 구동부와, 이 엑슬들 사이에 로킹 효과를 발생하기 위한 토오크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있어서,토오크 전달 수단은,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부분(14, 20; 16, 24)들에 비회전식으로 교대로 연결된 마찰 요소(15, 17)를 갖고, 점성 유체로 충전되고 저장조(26)에 연결되고 그 회전 하우징(20)이 회전가능한 부분(14, 20) 중 하나와 이와 함께 회전하는 피스톤(19)에 의해 형성되며 회전가능한 부분(16, 24)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회전 부재(22)가 그 안에서 회전하게 되는 가압 챔버(21)의 일단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피스톤(19)을 하중 부과 상태로 둘 수 있는 마찰 커플링 (12)을 포함하며,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두개의 부분(14, 20; 16, 24) 사이에서 토오크를 전달하는 커플링으로서, 회전 부재(22)의 회전면들과 가압 챔버(21)에 위치한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대향면들이 벽에 의해 축방향으로 제한되고 두 단부들 사이에서 주연방향으로 연장되는 홈(37)과 이 홈을 덮고 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표면(36)에 의해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식 전단 채널(38)을 구성하고, 펌핑 및 제어 부재(23)가 회전 하우징(22)에 대한 두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제한된 범위로 회전가능하고,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두개의 단부 위치들에서 상대 회전 방향에 대하여 홈(37)의 전방단을 구성하는 위치에 배열된 제어 개구가 저장조(26)에 연통되고 상대 회전 방향에 대하여 홈(37)의 후방단을 구성하는 위치에 배열된 제어 개구가 가압 챔버(21)에 연통되도록 홈(37)이 이 홈의 단부에 배열된 펌핑 및 제어부재(23)의 제어 개구(31, 33)에 의해서 회전 하우징(20) 내에 위치한 저장조(26)에 연결되고 그리고 피스톤(19)과 회전 부재(22) 사이에 있는 가압 챔버(21)에 연결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 적어도 하나의 영구 피동 엑슬과, 구동축으로부터 엑슬의 구동휠에 이르기까지 토오크를 분배하기 위한 차동 구동부와, 엑슬들의 구동휠들 사이에 로킹 효과를 발생하기 위한 토오크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있어서,토오크 전달 수단은,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부분(14, 20; 16, 24)들에 비회전식으로 교대로 연결된 마찰 요소(15, 17)를 갖고, 점성 유체로 충전되고 저장조(26)에 연결되고 그 회전 하우징(20)이 회전가능한 부분(14, 20) 중 하나와 이와 함께 회전하는 피스톤(19)에 의해 형성되며 회전가능한 부분(16, 24)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회전 부재(22)가 그 안에서 회전하게 되는 가압 챔버(21)의 일단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피스톤(19)을 하중 부과 상태로 둘 수 있는 마찰 커플링(12)을 포함하며,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두개의 부분(14, 20; 16, 24) 사이에서 토오크를 전달하는 커플링으로서, 회전 부재(22)의 회전면들과 가압 챔버(21)에 위치한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대향면들이 벽에 의해 축방향으로 제한되고 두 단부들 사이에서 주연방향으로 연장되는 홈(37)과 이 홈을 덮고 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표면(36)에 의해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식 전단 채널(38)을 구성하고, 펌핑 및 제어 부재(23)가 회전 하우징(22)에 대한 두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제한된 범위로 회전가능하고, 펌핑 및 제어 부재(23)의 두개의 단부 위치들에서 상대 회전 방향에 대하여 홈(37)의 전방단을 구성하는 위치에 배열된 제어 개구가 저장조(26)에 연통되고 상대 회전 방향에 대하여 홈(37)의 후방단을 구성하는 위치에 배열된 제어개구가 가압 챔버(21)에 연통되도록 홈(37)이 이 홈의 단부에 배열된 펌핑 및 제어부재(23)의 제어 개구(31, 33)에 의해서 회전 하우징(20) 내에 위치한 저장조(26)에 연결되고 그리고 피스톤(19)과 회전 부재(22) 사이에 있는 가압 챔버(21)에 연결되는 토오크 전달 커플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 두개의 영구 피동 엑슬과,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엑슬에 이르기까지 토오크를 분배하는 차동 구동부와, 이 엑슬들 사이에 로킹 효과를 발생하기 위한 토오크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있어서,차동 구동부는, 차동 구동 하우징에 지지되는 차동 캐리어(14, 114)와 서로 동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및 제2 출력 베벨기어(161, 162)와 축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두개의 차동 베벨기어(165, 166)와, 로킹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제1 마찰 요소(15, 115)가 차동 캐리어(14, 114)에 비회전식으로 고정되고 제2 마찰 요소(17, 117)가 두개의 엑슬축 기어의 제1 엑슬축 기어(161) 상에 비회전식으로 고정된 마찰 커플링(112)과, 점성 유체로 충전되고 그 회전 하우징(20, 120)이 차동 캐리어(14, 114)와 와 함께 회전하는 가동 피스톤(19, 119)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가압 챔버(21, 121)를 갖는 제어 기구(13, 113)를 포함하며 자동차의 구동 라인에 사용되는 로킹 효과를 갖는 차동 구동부로서, 제1 엑슬축 기어(161)에 비회전식으로 연결된 회전 부재(22, 122)가 가압 챔버(21, 122)내에서 회전하고, 회전하우징(20, 120)의 대향면들과 함께 이 회전부재(22, 122)의 회전면들이 벽(54, 55)들에 의해 측방향으로 제한되고 주연방향으로 두개의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홈(37)과 이홈을 덮고 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표면(36)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식 전단채널(38)을 구성하며, 전단 채널(38)을 형성하는 부분들 사이의 속도차의 경우에 피스톤(19, 119)은 전단 채널 내의 압력 생성의 결과로 마찰 커플링(12, 112)의 방향으로 변위되고 이 마찰 커플링(12, 112)을 하중 상태에 두고, 가압 챔버(21, 121)가 가변 크기를 갖는 저장조(26, 126)에 연결된 차동 구동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 적어도 하나의 영구 피동 엑슬과, 구동축으로부터 엑슬의 구동휠에 이르기까지 토오크를 분배하기 위한 차동 구동부와, 엑슬들의 구동휠들 사이에 로킹 효과를 발생하기 위한 토오크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있어서,차동 구동부는, 차동 구동 하우징에 지지되는 차동 캐리어(14, 114)와 서로 동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및 제2 출력 베벨기어(161, 162)와 축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두개의 차동 베벨기어(165, 166)와, 로킹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제1 마찰 요소(15, 115)가 차동 캐리어(14, 114)에 비회전식으로 고정되고 제2 마찰 요소(17, 117)가 두개의 엑슬축 기어의 제1 엑슬축 기어(161) 상에 비회전식으로 고정된 마찰 커플링(112)과, 점성 유체로 충전되고 그 회전 하우징(20, 120)이 차동 캐리어(14, 114)와 이와 함께 회전하는 가동 피스톤(19, 119)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가압 챔버(21, 121)를 갖는 제어 기구(13, 113)를 포함하며 자동차의 구동 라인에 사용되는 로킹 효과를 갖는 차동 구동부로서, 제1 엑슬축 개어(161)에 비회전식으로 연결된 회전 부재(22, 122)가 가압 챔버(21, 121) 내에서 회전하고, 회전 하우징(20, 120)의 대향면들과 함께 이 회전 부재(22, 122)의 회전면들이 벽(54, 55)들에 의해 측방향으로 제한되고 주연방향으로 두개의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홈(37)과 이홈을 덮고 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표면(36)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식 전단채널(38)을 구성하며, 전단 채널(38)을 형성하는 부분들 사이의 속도차의 경우에 피스톤(19, 119)은 전단 채널 내의 압력 생성의 결과로 마찰 커플링(12, 112)의 방향으로 변위되고 이 마찰 커플링(12, 112)을 하중 상태에 두고, 가압 챔버(21, 121)가 가변 크기를 갖는 저장조(26, 126)에 연결된 차동 구동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P4343307.3 | 1993-12-17 | ||
DE4343307A DE4343307C2 (de) | 1993-12-17 | 1993-12-17 | Kupplung zur Übertragung von Drehmomenten zwischen zwei relativ zueinander drehbaren Teilen |
DE4424202A DE4424202C1 (de) | 1994-07-09 | 1994-07-09 | Kegelraddifferential für Kraftfahrzeuge |
DEP4424202.6 | 1994-07-0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36892B1 true KR0136892B1 (ko) | 1998-05-15 |
Family
ID=2593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34837A KR0136892B1 (ko) | 1993-12-17 | 1994-12-17 | 커플링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upling)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0136892B1 (ko) |
CN (1) | CN111173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81685A (zh) * | 2015-08-28 | 2017-03-08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扭矩管理器以及具有其的车辆 |
CN111348381B (zh) * | 2020-03-20 | 2021-01-26 | 中国矿业大学 | 一种重载调速起动装置及其控制方法 |
-
1994
- 1994-12-17 CN CN 94120779 patent/CN1111733A/zh active Pending
- 1994-12-17 KR KR1019940034837A patent/KR01368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1733A (zh) | 1995-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35036A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upling | |
US5526912A (en) | Method of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upling | |
US5690201A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upling | |
US5538121A (en) | Pressure actuated multi-disk clutch | |
US4905808A (en) | Torque transmission device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 |
US5056640A (en) | Torque transmission device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 |
EP0480175A1 (en) | Torque transmission device | |
US6394246B1 (en) | Twin-coupling with improved braking stability and less torsion | |
JP2007085551A6 (ja) | 4輪駆動車両用のトランスファ・ケース | |
JP2007085551A (ja) | 4輪駆動車両用のトランスファ・ケース | |
JPH0237034A (ja) | 駆動力配分装置 | |
US5749801A (en) | Differential unit | |
US5087228A (en) | Device to oppose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two rotatable shafts | |
EP3486517B1 (en) | Torque transmission device, braking apparatus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 |
US5890573A (en) | Coupling unit having at least one viscous coupling and one friction coupling | |
US6016896A (en) | Device for controlling a coupling | |
EP0225389B1 (en) |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utilizing viscous fluid | |
KR0136892B1 (ko) | 커플링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upling) | |
JPH01220728A (ja) | 駆動力伝達装置 | |
KR100345819B1 (ko) | 차동 속도 제어 전달 커플링 | |
KR100272804B1 (ko) | 회전전동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자동차의 동력분배장치 | |
US5967275A (en) | Transmitting coupling with maneuvering characteristics | |
JPH0464727A (ja) | ビスカスカップリング | |
JPH01220729A (ja) | 駆動力伝達装置 | |
JPH02286947A (ja) | 回転差感応型差動制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1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5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