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6574B1 - 발효에 의한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효에 의한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574B1
KR0136574B1 KR1019910701666A KR910701666A KR0136574B1 KR 0136574 B1 KR0136574 B1 KR 0136574B1 KR 1019910701666 A KR1019910701666 A KR 1019910701666A KR 910701666 A KR910701666 A KR 910701666A KR 0136574 B1 KR0136574 B1 KR 013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phenoxy
propionic acid
acid
phenoxypropionic acid
phenoxyprop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455A (ko
Inventor
브리안 쿠퍼.
볼프강 라드너
베른하르트 하우어
하르도 지겔
Original Assignee
라이싱거, 방에르트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싱거, 방에르트,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라이싱거, 방에르트
Publication of KR92070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52Propionic acid; Butyr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42Hydrox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을 사용하여 2-페녹시프로피온산을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으로 산화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발효에 의한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발효에 의한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은 특히 제초제 제조용으로 중요한 중간체이다.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라세미체 및 순수 에난티오머를 제조하기 위한 화학적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방법은 히드로퀴논을 출발 물질로 하고, 제거하기는 곤란하지만 제거가 필수적인 부산물이 생성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미생물이 방향족 화합물을 히드록실화할 수 있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디히드록실화 화합물 또는 각종 부분 이성질체 혼합물이 생성된다 [비르데(R. J. W. Byrde), 우드쿡(D. Woodcook)의 Biochem. J. 제65권, 제682페이지 (1957)참조].
2-페녹시프로피온산을 미생물에 의해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으로 부분 선택성으로 산화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각종 미생물이 가치있는 2-페녹시프로 피온산을 고도의 부분 선택성으로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으로 산화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미생물 존재 하의 호기성 조건 하에서 2-페녹시프로 피온산 또는 그의 염을 산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발효에 의해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 피온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미생물, 특히 진균 및 박테리아가 이 방법에 적합하다. 유용한 진균은, 예를들면 토양 시료, 특히 부식토 시료로부터 단리할 수 있다. 반응에는 특히 흑색 국균(Aspergillus niger) 균주가 적합하다. 또한, 베아우베리아(Beauveria), 패실로마이세스 (Paecilomyces), 스클레로티움(Sclerotium) 및 코프리누스(Coprinus)속으로 부터의 다수의 진균이적합하고, 이들은 예를 들면 균주 콜렉션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으며 간단한 예비 시험에 의해 히드록실화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적합한 박테리아는 또한 토양 시료 자체로부터 단리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박테리아는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속 균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벙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합한 균주를 2-페녹시프로피온산을 함유한 영양 배지에 접종하고, 특정 미생물에 의한 성장 및 생산을 위해 바람직한 조건 하에서 호기성 배양한다. 발효는 1 내지 10일 동안 연속식으로 또는 회분식으로 수행한다. 미생물의 세포는 잠복기의 비성장 세포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세포를 기질에 직접 작용시켜도 좋다. 통상적인 배양 방법 모두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발효기로서는 침지 통기 진탕식 탱크 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액상 영양 배지의 배양에 의해 매우 양호한 결과가얻어진다.
적합한 영양 배지는 탄소 및 질소원, 및 무기염 및 적합하다면 소량의 미량 원소 및 비타민을 함유한다.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은 무기 또는 유기 질소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이다. 예로서는 암모늄염, 질산염, 옥수수 침지액, 브로이어의 이스트 자기 용해물, 대두분, 밀 글루텐, 이스트 추출물, 이스트, 우레아 및 감자 단백질이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탄소원의 예로서는 글루코오스와 같은 당류, 글리세롤과 같은 폴리올류, 또는 대두유와 같은 지질이 있다.
무기염의 예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망간, 칼륨, 아연, 구리, 철 및 다른 금속의 염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염의 음이온은 인산 이온이다. 비오틴, 리보플라빈 또는 다른 비타민과 같은 성장인자를 영양 배지에 첨가할 수 있다. 혼합물 중의 상기 영양분의 비율은 발효 유형에 좌우되며 각 경우에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수행하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1 내지 100g/, 바람직하게는 약 5내지 50g/ 농도의 페녹시프로피온산이 적합하다. 가능한 최상의 수율을 얻도록 배양조건을 선택한다.
배양은 20 내지 40℃, 특히 유리하게는 25 내지 3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는 3 내지 9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pH가 4 내지 7인 것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배양시간은 15 내지 100시간이면 충분하다. 이 시간 동안에 최대량의 목적 생성물이 배지에 축적된다. 산은 염, 예를 들면 나트륨염의 형태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은 출발시 또는 성장 후, 또는 배양 중에 수 회로 나누어 또는 연속적으로 영양 배지에 첨가할 수 있다. 2-페녹시프로피온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또한 그의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염으로서는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면 Na, K 및 Li염이다. 이 신규의 방법은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sic)산 라세미체 및 그의 대장체 모두를 산화시키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비대칭 중심은 그대로 남는다. 예를 들어 R-2페녹시 프로피온산이다. 상기 반응에서 다른 히드록실화 생성물은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신규의 방법은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을 선택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간단하고 더욱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예시한다.
액상 영양 배지 2종을 사용하여 다양한 박테리아 균주를 조사하였다.
5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8로 조정하였다. 글루코오스 및 인산염을 각각 따로 121℃에서 10분 동안 압열 멸균시켰다. (R)-2-페녹시프로피온산을 소량의 5N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함께 물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여 멸균시켰다. 나머지 배지를 121℃에서 10분동안 압열 멸균시켰다.
배지 B
20 g/1 글루코오스
40 g/1 옥수수 침지액
1.5 g/1 인산 2 수소칼륨
3.6 g/1 인산 수소 2 칼륨
1 g/1 (R)-2-페녹시프로피온산
5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8로 조정하였다. 글루코오스 및 인산염을 각각 따로 121℃에서 10분 동안 압열 멸균시켰다. (R)-2-페녹시프로피온산을 소량의 5N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함께 물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여 멸균시켰다. 나머지 배지를 121℃에서 45분동안 압열 멸균시켰다. 멸균 배지 20ml를 100ml의 멸균 엘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넣고 멸균 면화 마개로 막았다. 시험 박테리아 균주 1루프를 각각의 플라스크에 접종하였다. 이어서 플라스크를 28℃에서 250rpm으로 진탕하면서 3 내지 7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1000μl의 발효 브로스(broth)를 제거하고 1N HCl 100μl 및 에틸아세테이트 800μl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5초 동안 격렬히 혼합하였다. 50℃의 평이한 질소 기류 하에서 시험관 내의 유기상 700μl를 조심스럽게 제거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70μl 중에 용해시키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용 시험관에 정량적으로 도입하였다.
여기에 N-메틸-N-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MSTFA) 30μ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시료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조사하였다. 사용된 외부 표준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R,S)-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진정한 시료였다. 다음 표에 그 결과를 요약하였다.
실시예 2
각종 토양 시료로부터 DREWS의 방법[Mikrobiologisches Praktikum, 제3판, 스프링게르 베를라크(Spronger verlag) 제47-48 페이지(1976년)]에 의해서 약 400종의 상이한 신규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균주를 단리하였다. 이들 균주를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시험하였다. 다음 표에 양성으로 판정된 균주에 의한 전환율을 기재하였다.
실시예 3
다음 성분을 사용하여 액상 영양 배지를 제조하였다 :
5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8로 조정하였다. 글루코오스 및 인산염을 각각 따로 121℃에서 10분 동안 압열 멸균시켰다. (R)-2-페녹시프로피온산을 소량의 5N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함께 물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여 멸균시켰다. 나머지 배지를 121℃에서 10분동안 압열 멸균시켰다. 멸균 배지 20ml를 1000ml의 멸균 엘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넣고 멸균 면화 마개로 막았다. 흑색 국균 (Aspergillus niger) ATCC 11394 진균 균주의 포자 1루프를 사용하여 플라스크 1개에 접종하였다. 이어서, 이 플라스크를 28℃에서 250rpm으로 진탕하면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1000μl의 발효 브로스(broth)를 제거하고 1N HCl 100μl 및 에틸아세테이트 800μl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5초 동안 격렬히 혼합하였다. 50℃의 평이한 질소 기류 하에서 시험관 내의 유기상 700μl를 조심스럽게 제거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70μl 중에 용해시키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용 시험관에 정량적으로 도입하였다.
여기에 N-메틸-N-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MSTFA) 30μ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시료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조사하였다. 대조용으로서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진정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다음 성분을 사용하여 액상 영양 배지를 제조하였다 :
5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6.8로 조정하였다. 글루코오스 및 인산염을 각각 따로 121℃에서 10분 동안 압열 멸균시켰다. (R)-2-페녹시프로피온산을 소량의 5N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함께 물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여 멸균시켰다. 나머지 배지를 121℃에서 10분동안 압열 멸균시켰다. 멸균 배지 50ml를 100ml의 멸균 엘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넣고 멸균 면화 마개로 막았다. 72시간 예비 배양된 베아우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ATCC 7159((η)-2-페녹시프로피온산 5g/1 만이 존재하는 동일 배지 중에서 배양됨) 2.5ml로 접종한 후에 이 혼합물을 28℃에서 200rpm으로 진탕하면서 4 내지 5일 동안 배양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후속 분석으로 산의 98%가 히드록실화 되었음이 밝혀졌다.
(R)-2-페녹시프로피온산의 98%가 (R)-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으로 산화되었다. 2-페녹시프로피온산의 S 에난티오머 또는 라세미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결과가 동일하였다.
실시예 5
DREWS의 방법[Mikrobiologisches Praktikum, 제3판, 스프링게르 베를라크, 제51-53페이지(1976년) 참조]에 의해 부식토로부터 흑색 국균의 신규 균주를 단리하였다. 이 균주(No. 1777)를 실시예 3의 방법에 의해 시험하였다. 3일 후에 산의 99.8%가 산화되었다.
실시예 6
흑색 국균종의 추가 균주를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추가 시험하고 3 및 7일동안 발효시킨 후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에 기재되었다.
실시예 7
추가 진균을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하고 3 및 7일 동안 발효시킨 후에 분석하였다.

Claims (4)

  1. 2-페녹시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염을 진균 존재하의 호기성 조건하에서 산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발효에 의한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2. 2-페녹시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염을 박테리아 존재하의 호기성 조건하에서 산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발효에 의한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2-페녹시프로피온산의 에난티오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2-페녹시프로피온산의 에난티오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701666A 1989-03-28 1990-03-22 발효에 의한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KR0136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910024 1989-03-28
DE3910024A DE3910024A1 (de) 1989-03-28 1989-03-28 Verfahren zur fermentativen herstellung von 2-(4-hydroxipenoxi-)propionsaeure
DEP39100243 1989-03-28
PCT/EP1990/000472 WO1990011362A1 (de) 1989-03-28 1990-03-22 Verfahren zur fermentativen herstellung von 2-(4-hydroxiphenoxi-)propionsä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455A KR920701455A (ko) 1992-08-11
KR0136574B1 true KR0136574B1 (ko) 1998-04-25

Family

ID=637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666A KR0136574B1 (ko) 1989-03-28 1990-03-22 발효에 의한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296363A (ko)
EP (1) EP0465494B1 (ko)
JP (1) JP2825645B2 (ko)
KR (1) KR0136574B1 (ko)
AT (1) ATE84074T1 (ko)
CA (1) CA2047714C (ko)
DE (2) DE3910024A1 (ko)
DK (1) DK0465494T3 (ko)
ES (1) ES2054347T3 (ko)
WO (1) WO1990011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5328A (en) * 1991-10-22 1999-09-21 Basf Aktiengesellschaft Fermentative preparation of 2,5-dihydroxyphenylacetic acid with Beauveria
DE4142943A1 (de) * 1991-12-24 1993-07-01 Basf Ag Verfahren zur hydroxilierung
DE4414548A1 (de) * 1994-04-26 1995-11-02 Basf Ag Verfahren zur Biotransformation von Carbonsäuren in Gegenwart eines Mikroorganismus
DE19814528A1 (de) * 1998-04-01 1999-10-07 Basf Ag Verfahren zur Erhöhung der POPS-Hydroxylierungsrate
DE102008034829A1 (de) 2008-07-23 2010-02-04 Jenabio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4-Hydroxyphenoxy)propionsäure
CN105886557A (zh) * 2015-10-27 2016-08-24 济宁森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苯氧基丙酸的制备方法
CN109536392B (zh) * 2018-12-29 2021-07-27 浙江工业大学 杂色曲霉zjb16085及合成r-2-(4-羟基苯氧基)丙酸的应用
CN109609389B (zh) * 2018-12-29 2021-07-27 浙江工业大学 草酸青霉zjb16086及其合成r-2-(4-羟基苯氧基)丙酸的应用
CN113881715B (zh) * 2021-09-15 2023-06-06 湖北工业大学 一种r-(+)-2-(4-羟基苯氧基)丙酸的生物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30569A (en) * 1983-07-27 1987-12-22 David W. Bewick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aryloxypropionic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DE3532026A1 (de) * 1985-09-09 1987-03-19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optisch aktiver (alpha)-phenoxypropionsaeure und deren derivate
GB8715574D0 (en) * 1987-07-02 1987-08-12 Shell Int Research 2-aryloxypropionic acids
GB8728064D0 (en) * 1987-12-01 1988-01-06 Shell Int Research Process for preparation of substituted phenoxy propanoic acids
FR2626288B1 (ko) * 1988-01-27 1990-05-18 Rhone Poulenc S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455A (ko) 1992-08-11
JPH04503755A (ja) 1992-07-09
EP0465494B1 (de) 1992-12-30
EP0465494A1 (de) 1992-01-15
DE3910024A1 (de) 1990-10-11
ES2054347T3 (es) 1994-08-01
JP2825645B2 (ja) 1998-11-18
US5296363A (en) 1994-03-22
DK0465494T3 (da) 1993-02-15
DE59000702D1 (de) 1993-02-11
CA2047714C (en) 1999-05-04
ATE84074T1 (de) 1993-01-15
CA2047714A1 (en) 1990-09-29
WO1990011362A1 (de) 199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0656A (en) Production of γ-decalactone
JPH0217159B2 (ko)
KR0136574B1 (ko) 발효에 의한 2-(4-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NO165032B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d1ol- og furanforbindelser ved fermentering av hyphozyma roseoniger cbs 214.83 ogatcc 20624.
EP1316613A2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mandelic acid derivatives
JPS60244295A (ja) (十)‐トランス‐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US5212078A (en) Process for producing a lactone
JPS59113896A (ja) ピロロキノリンキノンの製造方法
JPS62190092A (ja) コニフエリルアルデヒドの製法及びそのための微生物
US5128261A (en) Natural delta-lactones and process of the production thereof
US20100261251A1 (en) Microbial kinetic resolution of ethyl-3,4-epoxybutyrate
JPH05506983A (ja) 天然長鎖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US3850750A (en) Preparation of d-({31 ) pantoic acid and/or d-({31 ) pantoyl lactone
CA1302931C (en) Preparation of pyruvic acid
BG98484A (bg) Разделяне на арилалканови киселини
US2970087A (en) Hydroxylating 12alpha-deoxytetracycline with ascomyceteae
JP2802588B2 (ja) 微生物の生物学的に純粋な培養物、並びにそれを用いるジオール製造方法および環状エーテル製造方法
US5639643A (en) Preparation of 3-hydroxyphenylacetic acid
KR100249870B1 (ko) 3-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의 제조 방법
JP4261304B2 (ja) 微生物によるα−ホモノジリマイシンの製造方法
US3140239A (en) Microbiological oxidation of kojic acid to comenic acid
JP2002000292A (ja) 微生物培養法による光学活性1,2−ジオール類の製造法
JP3082973B2 (ja) 3α,7α−ジヒドロキシ−12−ケト−5β−コラン酸の製造方法
JPS60153797A (ja) メバロン酸の発酵生産法
JPH04248989A (ja) 8−ヒドロキシカルボスチリル及び/または8−ヒド            ロキシクマリ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9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109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