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6336B1 -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상호간섭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상호간섭 방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336B1
KR0136336B1 KR1019940016274A KR19940016274A KR0136336B1 KR 0136336 B1 KR0136336 B1 KR 0136336B1 KR 1019940016274 A KR1019940016274 A KR 1019940016274A KR 19940016274 A KR19940016274 A KR 19940016274A KR 0136336 B1 KR0136336 B1 KR 013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lnb
vertical
feed horn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122A (ko
Inventor
이민재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4001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336B1/ko
Publication of KR96000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6Auxiliary devices for mode selection, e.g. mode suppression or mode promotion; for mod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65Auxiliary devices for rotating the plane of polarisation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전면덮개에 설치되며 위성안테나에 집속된 원편파를 90˚ 위상차를 갖는 수평 및 수직편파로 변환하는 피드혼과, 후면 덮개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피드혼의 동일 축상에 마련되는 반사판과, 전, 후면 덮개 사이에 배치되며 피드혼의 도파도 직경과 반사판의 직경에 일치하는 원형의 그라운트 패턴이 프린트되고 상기 원형 그라운트 패턴내에 90˚각도차를 갖는 제1, 2 입력 프로브가 프린트 되는 LNB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공용 수신용 LNB에서 수직 및 수평편파 신호상호간의 간섭을 최소화시켜 스케터링 효과를 줄이는 것으로 수신감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반사판의 내부에 상기 제1, 2 입력 프로브중 어느 하나와 평행하게 반사막대를 설치하여 두 편파신호에 대한 반사파의

Description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상호간섭 방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수평 및 수직 편파신호 공용 수신용 LNB의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공용 수신용 LNB의 구조도.
제3도는 (a)(b)는 각각 제2도의 a-a 및 b-b선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LNB 회로기판14……제1입력 프로브
15……제2입력 프로브16……반사판
17……그라운드 패턴18……제1LNA
19……제2LNA20……반사막대
본 발명은 위성방송 수신 시스템용 LNB의 입력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편파 신호와 수직편파 신호의 공용 수신용 LNB에서 두편파 신호 상호간의 간섭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상호간섭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성방송 수신시스템에서 옥외에 설치되는 LNB는 수 내지 십수 GHz대의 마이크로파의 위성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1GHz의 중간주파수로 주파수 변환한 다음 옥내에 설치되고 위성방송튜너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LNB는 저잡음 증폭기(LNA), 필터, 믹서, 발진기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저잡음 증폭기에는 도파로상에서 입력 프로브에 의해 검출된 위성 편파신호가 입력된다.
제1도는 종래의 수직 및 수평편파 공용 수신이 가능한 LNB의 개략적인 구조도로서 이는 파라블라 안테나에 의해 집속된 전파가 입력되며 전면 덮개(11)에 고정설치되는 피드혼(10)과, 상기 전면 덮개(11)에 결합 조립되는 후면 덮개(12)의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반사판(16)과, 상기 전 후면 덮개(11, 12)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피드혼(10)과 반사판(16)의 동일 축상에 원띠 형상의 그라운드 패턴(17)이 마련되고 그 내측으로는 90˚각도차를 갖는 제1, 2입력 프로브(14, 15)가 형성되는 LNB 회로기판(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2입력 프로브(14, 15)가 수신된 수평편파 신호 및 수식편파 신호는 각각의 LNA(18, 19)에서 저잡음 증폭된 후 후단의 믹서들(도시생략)을 거쳐 옥내의 위성방송 튜너 측으로 전송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위성방송 편파 공요 수신용 LNB에서는, 파라블라 안테나(도시생략)에 의해 집속된 원편파 형태의 위성신호가 피드혼(10)에 입력되면 이는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가지는 두개의 직선 편파 신호로 변환되어 LNB내에 형성되는 도파로를 따라 전파하여 후면 덮개(12)의 반사판(16)에서 반사된다.
이때 상기 반사판(16)으로부터거리에 배치되는 LNB회로기판 상의 원형 그라운드 패턴(17) 내에 마련된길이의 제1, 2입력프로브(14, 15)에는 각각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가 검츨되게 되며, 이러한 각각의 편파 신호는 제1, 2LNA(18, 19)를 독립적으로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믹서, 발진기 필터에 의해 1GHz대의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후 옥내의 위성방송 튜너측으로 전송되게 된다.
여기에서, 제1, 2 입력프로브는 일종의 다이플 안테나로서 다이플 안테나의 기본적인 수신 특성을 고려할 때 이론상 아이솔레이션(분리)특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실제로는 각 프로브의 구조와 편파손실(Polarization Loss)과 각각의 수평 및 수직편파용 프로브에 의한 스캐터링에 의해 상호간섭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체 신호의 수신감도를 떨어뜨려 설계된 대로의 LNB의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종의 편차 발생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한 종래의 LNB에서 나타나게 되는 분리 특성저하 및 수신감도 특성 저하를 개선시킬 수 있는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상호간섭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후면 덮개 상에 마련되는 반사판내에 어느 한 편파 신호에 대하여 반사파()거리에 편차를 발생하기 위한 반사막대를 돌출 삽입시킨다는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제2도 및 제3도(a)(b)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LNB의 전면 덮개(11)에는 파라블라 안테나(도시생략)에 의해 집속된 원편파 신호를 받아 서로 90˚위상차를 갖는 제1, 2직선편파로 변환하는 피드혼(10)에 마련되고, 상기 LNB의 후면 덮개(12)에는 상기 피드혼(10)의 위치에 동일축상에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반사판(16)이 마련된다.
상기 전, 후면 덮개(11, 12)사이에 배치되는 LNB기판(13)에는 상기 피드혼(10)의 직경과 반사판(16)의 직경에 일치하며 이들의 축상에 놓여지는 원형 그라운드 패턴(17)을 프린트하고, 또한 상기 원형 그라운드 패턴(17)내에는 상호 90˚각도차로 제1, 2입력 프로브(14, 15)를 프린트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2프로브(14, 15)는 반사판(16)으로부터거리에 위치되며, 상기 제1, 2입력 프로브(14, 15)의 길이도길이로 설계된다.
특히, 상기 반사판(16)내에는 제1입력 프로브(14) 또는 제2입력 프로브(15)에 나란하게 반사막대(2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장치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위성 파라블라 안태나에 의해 집속된 원형대 신호는 LNB의 피드혼(10)에 입력되어 90˚위상차를 갖는 제1, 2 직선편파, 즉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로 변환되어 도파로를 따라 전파한다.
이러한 신호들은 후면 덮개(12)의 반사판(16)에서 반사되어, 이 반사판(16)으로 부터거리에 위치한 제1, 2 입력 프로브(14, 15)에 검출되게 된다.
이때, 어느 한 입력 프로브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 반사판(16)내의 반사막대(20) 의해서 해당 편파 신호를 검출하는 하나의 입력 프로브는 정확히거리에서 약간 벗어나 있게 되고, 다른 입력 프로브는 정확한거리에 놓여지는 조건이 된다.
따라서 제1입력 프로브에 의해 수평 편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입력 프로브는 해당 반사지점으로부터의를 달리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제2입력 프로브에 의해 수직 편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1입력프로브와 해당 반사지점과의 거리가에서 다소 벗어나게 되므로 수직 및 수평편파 신호 상호간의 신호 간섭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반사 막대(20)의 폭과 두께는 현재의 위성방송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를 고려할 때 각각 2mm 정도에서 최적의 본 발명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가령 반사막대의 사이즈가 상기 2mm를 훨씬 초과하게 되면 반사판과 프로브와의 사이의 거리가를 벗어나 수신이 불가능하게 되고, 반대로 반사막대(20)의 사이즈가 보다 훨씬 못 미치는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편파와 신호 상호간섭 방지에 유효하지 못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LNB의 구조에 큰 변경을 가하지 않으면서 단지 후면 덮개 상의 반사판 상에 반사 막대를 설치하는 것으로 수평 및 수직편파 공용 수신용 LNB에서의 두 편파 신호의 분리특성을 현저히 개선 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전면 덮개(11)에 설치되며 우성 안테나에 접속된 원편파를 90˚ 위상차를 갖는 수평 및 수직 편파로 변환하는 피드혼(10)과,
    후면 덮개(12)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피드혼(10)의 동일축상에 마련되는 반사판(16)과,
    전, 후면 덮개(11, 12) 사이에 배치되며 피드혼의 도파로 직경과 반사판의 직경에 일치하는 원형의 그라운드 패턴(17)이 프린트되고 상기 원형 그라운드 패턴내에 90˚ 각도차를 갖는 제1, 2 입력 프로브(14, 15)가 프린트되는 LNB 회로기판(13)을 포함하는 수평 및 수직 편파 신호 공용 수신용 LNB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16)은 수직 및 수평 편파신호에 대한 반사판의길이 사이에 편차가 발생되게 하기 위하여 내부에 상기 제1, 2 입력 프로브(14, 15)중 어느 하나와 평행하게 반사판과 같은 재질의 반사막대(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 편파신호 상호 간섭 방지장치.
KR1019940016274A 1994-07-07 1994-07-07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상호간섭 방지장치 KR013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274A KR0136336B1 (ko) 1994-07-07 1994-07-07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상호간섭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274A KR0136336B1 (ko) 1994-07-07 1994-07-07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상호간섭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122A KR960006122A (ko) 1996-02-23
KR0136336B1 true KR0136336B1 (ko) 1998-06-01

Family

ID=1938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274A KR0136336B1 (ko) 1994-07-07 1994-07-07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상호간섭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3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122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601B1 (ko) 이중 원편파 수신장치
US4554552A (en) Antenna feed system with closely coupled amplifier
US5619173A (en) Dual polarization waveguide including means for reflecting and rotating dual polarized signals
US6081170A (en) Dual frequency primary radiator
KR100707897B1 (ko) 전송 선로 도파관 변환기, 마이크로파 수신용 컨버터 및위성 방송 수신 안테나
US5440279A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converter
KR100684469B1 (ko) 도체가 삽입된 레이더 검출기의 혼 안테나
KR0136336B1 (ko)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상호간섭 방지장치
CA2156259C (en) Antenna system
EP0564266B1 (en) Circular polarization apparatus for micro wave antenna
KR0136335B1 (ko) 수평 및 수직편파 신호 상호간섭 방지장치
KR970000057B1 (ko) 편파 특성을 개선시킨 lnb
JP2000349535A (ja) 一次放射器
KR100423397B1 (ko) 위성방송수신장치의 듀얼 피딩시스템
KR960000142B1 (ko) 수직 및 수평 입력 프로브에서의 상호 간섭방지 장치
KR970004856B1 (ko) 편파특성을 개선시킨 저잡음 주파수 변환기(lnb)
KR0131979B1 (ko) 위성안테나용 수신컨버터
KR100415572B1 (ko) 수직/수평 편파간 아이솔레이션 개선한 피드혼
JPH07254803A (ja) 導波管同軸変換器
KR20030004793A (ko) 원형편파 및 직선편파 동시 수신하기 위한 피딩시스템
JPH0927701A (ja) 同軸導波管変換器
KR960004352Y1 (ko) 위성방송신호 편파 변환장치
JPH04274603A (ja) 平面アンテナ
US20040248525A1 (en) Radar duplexing arrangement
JP2006136016A (ja) 偏波分離構造、電波受信用コンバータおよび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7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7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5010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