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5992Y1 -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구조 - Google Patents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92Y1
KR0135992Y1 KR2019950012976U KR19950012976U KR0135992Y1 KR 0135992 Y1 KR0135992 Y1 KR 0135992Y1 KR 2019950012976 U KR2019950012976 U KR 2019950012976U KR 19950012976 U KR19950012976 U KR 19950012976U KR 0135992 Y1 KR0135992 Y1 KR 0135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ipe
pipe
auxiliary
welded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2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001U (ko
Inventor
김영창
Original Assignee
김영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창 filed Critical 김영창
Priority to KR2019950012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992Y1/ko
Publication of KR970002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0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간의 횡방향부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토록 하는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성은 물론이고 제조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의 수직파이프부재는 일정길이로 절단되고 상단은 상부횡방향부재에 용접고정되며 하단은 하부횡방향부재에 용접고정되는 수직파이프(110)와, 상기 수직파이프(110)의 양측면에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상·하부가 각각 밴딩되어 양단이 수직파이프(110)에 접면구비되는 한쌍의 보조파이프(120)(130)와, 상기 수직파이프(110)와 보조파이프(120)(130)의 양단이 접하는 부분에 사출성형으로 성형되어 이들을 일체로 체결고정토록 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연결부재(14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난간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만을 단면하여 보인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조과정을 보인 구성도로서,
(a)는 제조전의 상태도이고,
(b)는 제조된 상태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과 대비되는 종래의 제조과정을 보인 구성도로서,
(a)는 제조전의 상태도이고,
(b)는 제조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직파이프부재 110 : 수직파이프
120,130 : 보조파이프 140 : 연결부재
본 고안은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난간의 횡방향부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토록 하는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성은 물론이고 제조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란다의 가장자리나 또는 육교, 다리, 각종 계단의 가장자리에는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길을 따라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난간이 대부분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난간은 지금까지도 여러종류가 다양하게 알려져 실제로 널리 설치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고, 이와 같은 난간은 대체적으로 첨부도면의 제1도에서 보는 바와도 같이 난간기둥(10)의 상·하부측에는 길을 따라 횡방향으로 횡방향부재(1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하횡방향부재(11)(12)의 사이에는 등간격으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횡방향부재(11)(12)들을 지지토록 하는 간격유지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난간은 대체적으로 금속 파이프를 주재료로 하여 이들을 알맞게 절곡하거나 절단하여 용접고정토록 구성하는 것이었고, 또한 난간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여 설치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난간에 있어서 상·하횡방향부재(11)(12)를 상호 연결하는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는 필연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것이었고, 이러한 간격 유지용 수직파이프는 상·하횡방향부재(11)(12)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보행자가 추락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하횡방향부재(11)(12)를 견고히 지지하게 되는 것이었으며, 또한 난간 전체의 장식효과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었다.
일예를 들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기 수직파이프의 종래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첨부도면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수직파이프의 양측에 밴딩되는 보조파이프가 용접고정되어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난간의 미적인 감각을 살리고 있는 것이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첨부도면의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파이프(13)의 상·하부 소정위치에 보조파이프(14)가 삽입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멍(15)(16)을 각각 구비하고, 이의 체결구멍(15)(16)을 통하여 하나의 파이프를 밴딩한 보조파이프(14)를 삽입한 후 이의 보조파이프(14)와 수직파이프(13)가 접면되는 부분을 용접고정하며, 또한 상기 용접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캡(17)을 끼워서 이를 점용접합하므로써 수직파이프를 구성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의 구조는 그 구성상 여러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즉, 수직파이프(13)의 상·하부에 보조파이프(14)가 상·하단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멍(15)(16)을 필연적으로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이의 천공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음과 더불어 이의 체결구멍(15)(16)이 구비되는 부분이 약하게 되어 수직파이프(13)가 쉽게 부러지거나 휘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파이프(14)는 하나의 물품으로 구비되면서도 상·하부를 각각 밴딩하여야 함으로써 이러한 밴딩작업의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수직파이프(13)에 체결시 첨부도면 제5도의 (a)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b)와 같은 상태로 그 형태를 변형시켜야 함으로써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우기 이러한 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여야 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와 더불어 제품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외에도 수직파이프(13)와 보조파이프(14)가 접면되는 용접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보조캡(17)이 필연적으로 필요하게 되는등 부품수가 그만큼 증가됨은 물론 외관이 좋지못한 등의 문제점도 야기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난간의 수직파이프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성 및 제조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난간의 간격 유지용 수직파이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관을 좋게하고, 수직파이프가 형광되게 함으로써 야간에 보행자의 길을 안전하게 안내토록 하는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 구조를 제공함에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개선된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수직파이프와 이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보조파이프를 각각 별도의 물품으로 밴딩 및 절단한 후 이들을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방식으로 연결구비하여서 수직파이프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 야간에 빛을 발할 수 있는 형광물질을 첨가하여서 보행자의 안전성을 확보토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1도는 본 고안의 수직파이프부재가 적용되는 난간을 보인 구성도이고, 첨부도면의 제2도는 본 고안의 수직파이프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 수직파이프부재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는 난간의 상·하횡방향부재(11)(12)에 상·하단이 각각 용접고정되어 난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직파이프(110)와, 상기 수직파이프(110)의 양측면에 그 상·하부가 각각 반구형으로 밴딩된채로 구비되는 한쌍의 보조파이프(120)(13)와, 상기 수직파이프(110)와 보조파이프(120)(130)가 접면되는 부분에 사출성형으로 구비되어 이들을 연결고정토록 하는 연결부재(1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파이프(110)는 그 길이만이 절단된채 아무런 가공이 되지 않는 단순한 형태의 파이프이며, 또한 상기 보조파이프(120)(13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상·하부만이 반구형으로 밴딩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4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캡으로써 상기 수직파이프(110) 및 보조파이프(120)(130)의 연결부분을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이며, 이때상기 연결부재(140)에는 야간에 빛을 발하는 형광물질이 내포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빛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4도는 본 고안의 제조과정을 보인 공정도로서, 즉, 상기 도면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일정길이로 절단가공된 수직파이프(1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상·하가 밴딩된 한쌍의 보조파이프(120)(130)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보조파이프(120)(130)의 상·하단부를 수직파이프(110)의 양측면에 각각 접면한 상태에서 이의 접면부분을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합성수지 재질의 연결부재(140)가 연결부분을 감싼채로 보조파이프(120)(13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합성수지 재질의 연결부재(140)가 금속재의 파이프와 사출성형됨으로써 일체로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40)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이의 합성수지의 원료에 빛을 발하는 형광물질을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야간에는 상기 연결부재(140)가 일정한 빛을 발하게 되어 보행자에게 난간의 위치를 알리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수직파이프에 종래와 같이 채결구멍을 뚫는 등의 손상을 전혀 주지않고도 보조파이프를 체결고정할 수가 있게 됨은 물론 파이프와 파이프가 연결되는 부분을 합성수지 재질의 연결부재가 사출성형으로써 감싸는 식으로 연결고정함에 따라 그 체결력이 향상되어 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함에 따라 제조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어 지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수직파이프는 길이에 맞게 절단작업하고, 또한 양측의 보조파이프는 동일한 형태로 밴딩가공함으로써 그 제조성이 향상되어 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수직파이프를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조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양산이 가능한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파이프를 연결고정하는 연결부재에 형광물질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난간을 설치시 이의 연결부재에서 일정한 빛이 발하게 되어 보행자가 야간에도 난간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난간이 설치되는 길을 안전하게 보행할 수가 있게 되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난간의 상·하횡방향부재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수직파이프부재는 일정길이로 절단되고 상단은 상부횡방향부재에 용접고정되고 하단은 하부횡방향부재에 용접고정되는 수직파이프(110)와, 상기 수직파이프(110)의 양측면에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상·하부가 각각 밴딩되어 양단이 수직파이프(110)에 접면구비되는 한쌍의 보조파이프(120)(130)와, 상기 수직파이프(110)와 보조파이프(120)(130)의 양단이 접하는 부분에 사출성형으로 성형되어 이들을 일체로 체결고정토록 하는 합성수지재질의 연결부재(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40)에 야간에 빛을 발하는 형광물질을 첨가하여서 된 것을 포함하는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구조.
KR2019950012976U 1995-06-09 1995-06-09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구조 KR0135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976U KR0135992Y1 (ko) 1995-06-09 1995-06-09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976U KR0135992Y1 (ko) 1995-06-09 1995-06-09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001U KR970002001U (ko) 1997-01-24
KR0135992Y1 true KR0135992Y1 (ko) 1999-03-30

Family

ID=1941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2976U KR0135992Y1 (ko) 1995-06-09 1995-06-09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9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001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100B1 (ko) 조립식 난간
KR101928486B1 (ko) 휀스
ATE184942T1 (de) Schutzplankenanordnung
SE511402C2 (sv) Räcke
KR0135992Y1 (ko) 난간의 간격유지용 수직파이프구조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101307290B1 (ko)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0198997Y1 (ko) 조립식 난간
ATE268413T1 (de) Verkehrsleit- und schutzplankenanordnung
KR200467513Y1 (ko) 무단횡단 방지 분리대
KR20090013986A (ko) 가드레일 주변 식물 성장 억제 및 동물 침입 방지용덮개구조
KR101858072B1 (ko) 할렬방지부를 구비한 목재난간
ITTV20110144A1 (it) Barriera stradale
KR200236838Y1 (ko) 난간용 가이드레일 연결구
KR200199588Y1 (ko) 가변레일 부착 방호 울타리
JP4783690B2 (ja) 防護柵の横桟支持具
KR200402811Y1 (ko) 안전 유도를 위한 가이딩 벨트
KR200336513Y1 (ko) 무늬판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방호용 난간 지주
KR950001580B1 (ko) 도로경계석 커어버와 이 도로경계석 커어버의 시공방법
KR200494590Y1 (ko)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KR200320533Y1 (ko) 하부 긴장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의 보강구조
KR19980027915U (ko) 차량 방호용 난간의 가드 레일
JP7090004B2 (ja) 防護柵用照明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05585Y1 (ko) 가이드레일용 지지대
KR19990039712U (ko) 발광부를 형성한 교량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6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0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0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