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5137B1 -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137B1
KR0135137B1 KR1019940029171A KR19940029171A KR0135137B1 KR 0135137 B1 KR0135137 B1 KR 0135137B1 KR 1019940029171 A KR1019940029171 A KR 1019940029171A KR 19940029171 A KR19940029171 A KR 19940029171A KR 0135137 B1 KR0135137 B1 KR 013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magnesium
lens holder
focusing
magn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123A (ko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29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137B1/ko
Publication of KR960019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1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자기회로로 레네즈홀더의 상, 하이동과 정, 역회전의 구동력을 얻으면서 자기스프링 역할도 겸하도록 하여 별도의 탄성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에 따른 제작비의 절감과 함께 장시간 사용에 의해서도 성능의 지하를 방지함은 물론 설계시 렌지홀드의 스므스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위해 본 발명은 픽업베이스(1)에 고정된 고정 마그네트(2)와, 렌즈홀더(3)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마그네슘(2)와 함께 자기축 역할을 하는 가동 마그네슘(5)와, 사익 렌즈홀더(3)에 고정되어 포커싱시 전원을 공급받아 유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포커싱 코일(6)과, 상기 포커싱 코일의 외측에 부착되어 트랙킹시 전원을 공급받아 유기전을 발생시키는 트랙킹 코일(7)로 구성하여 포커싱시 렌즈홀더(3)가 상, 하이동하거나 트랙킹시 정, 역회전할 때 고정 마그네슘(2)와 가동 마그네슘(5)가 자기력에 의해 자기축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과 함께 렌즈홀드(3)에 탄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제1도는 종래 픽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 픽업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픽업장치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 픽업장치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C-C선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 픽업장치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 픽업장치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D-D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픽업베이스 2 : 고정 마그네슘
2A : 삼각요입홈 3 : 렌즈홀더
3a : 구멍 4 : 대물렌즈
5 : 가동 마그네슘 6 : 포커싱
7 : 트랙킹 코일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마그네슘와 가동 마그네슘에 의해 자기축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포커싱(Focusing)작용 및 트랙킹(Tracking)작용시 렌즈홀더가 자기축에 의해 상, 하이동하거나 정, 역회전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픽업장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기록매체인 광 디스크(이하 디스크라 한다)의 기록신호를 읽어내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없어서는 안될 매우 주요한 장치인데, 상기한 픽업장치의 종래 구조는 픽업베이스(11)에 중심부로 중심축(12)이 압입된 포커싱 요크(1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포커싱 요크에는 포커싱 마그네슘(14)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픽업베이스(11)에는 포커싱 요크의 양측에 위치되게 트랙킹요크(15)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트랙킹 요크에는 트랙킹 마그네슘(16)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포커싱 요크(13)에 압입된 중심축(12)에는 대물렌즈(17)를 갖는 렌즈홀더(18)가 상, 하동 및 정, 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면에는 포커싱 마그네슘(14)와 대향되게 포커싱 코일(19)이 고정됨과 함께 양측면에는 트랙킹 마그네슘(16)와 대향되게 트랙킹 코일(20)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랜즈홀더(18)에는 일체화된 탄성고무(21)의 일단이 고정됨과 함께 픽업베이스(11)에는 탄성고무(21)의 타단이 고정되어 사이 렌즈홀더(18)가 탄성고무(21)에 의해 탄력을 갖고 있다.
따라서,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의해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가 도시하지 않은 턴테이블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할 때 픽업장치를 구성하는 픽업베이스(11)가 가이드수단(도시는 생략함)의 안내를 받아 디스크의 내측둘레면 쪽에서 외측둘레면 쪽으로 수평이동하므로 상기 픽업베이스(11)에 고정된 포커싱 요크(13) 및 트랙킹 요크(15)와 포커싱 요크(13)의 중심축(12)에 설치된 렌즈홀더(18)가 함께 이동하는데, 이때 렌즈홀더의 대물렌즈(17)를 통해 레이저빔이 조사되고 이 조사된 레이저빔은 회전하는 디스크의 트랙에 부딪히면서 상기 디스크의 트랙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므로 재생이 행하여 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픽업베이스(11)가 이동하면서 렌즈홀더(18)의 대물렌즈(17)를 통해 레이저빔이 조사될 때 회전하는 디스크의 자체적인 휨이나 기타 다른 요인에 의해 상기 대물렌즈(17)와 디스크의 거리가 적정거리를 유지하지 못하거나 대물렌즈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이 디스크의 트랙을 정확하게 찾아가지 못한다면 상기 디스크의 트랙에 기록된 신호를 대물렌즈(17)가 정확하게 읽어내지 못함에 따라 움질이나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재생시 포커싱과 트랙킹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럼 d여기서 포커싱과 트랙킹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렌즈홀더(18)의 대물렌즈(17)가 디스크의 트랙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는 빔은 메인빔인데, 상기 대물렘즈에서 메인빔이 조사될 때 포커싱빔과 트랙킹빔이 함께 조사되어 상기 포커싱빔에 의해 대물렌즈(17)와 디스크의 거리를 적정거리로 유지시켜 주도록 하고 트랙킹빔에 의해 대물렌즈(17)에서 조사되는 메인빔이 디스크의 트랙을 정확히 찾아가도록 한다.
즉, 포커싱 빔에 의해 대물렌즈(17)와 디스크의 거리가 적정거리보다 멀어졌거나 가까워졌을 경우에는 렌즈홀더(18)의 하부면에 고정된 포커싱 코일(19)로 전원이 곡급되므로 상기 포커싱 코일에 유기전력이 발생되고 이 포커싱 코일(19)의 유기전력은 포커싱 요크(13)에 고정된 포커싱 마스네슘(16)의 자력에 영향을 받음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거리차 값에 비례된 거리만큼 렌즈홀더(18)가 포커싱 요크(13)의 중심부에 압압된 중심축(12)에 안내되어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하므로 결과적으로 대물렌즈(17)와 디스크의 거리가 적정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트랙킹 빔에 의해 대물렌즈(17)에서 조사된 메인빔이 디스크의 트랙에 정확히 부딪히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렌즈홀더(18)의 양측면에 고정된 트랙킹 코일(20)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트랙킹 코일에 유기전력이 발생되고 이 트랙킹 코일(20)의 유기전력은 트랙킹 요크(15)에 고정된 트랙킹 마그네슘(16)의 자력에 영향을 받음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오착ㅂㅅ에 비례된 각도만큼 랜즈홀더(18)가 포커싱 요크(13)의 중심부에 압입된 중심축(12)을 중심으로 정회전 하거나 역회전하므로 결과적으로 대물렌즈(17)에서 조사되는 메인빔이 디스크의 트랙에 정확하게 부딪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픽업장치는 대물렌즈와 디스크의 거리를 걱정거리로 맞춰주기 위한 포커싱 작용시 렌즈홀더가 상, 하이도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해서나 대물렌즈에서 조사되는 메인빔이 디스크의 트랙을 정확하게 찾아가기 위한 트랙킹 작용시 렌즈홀더가 정, 역회전할 때 중심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중심축을 필요로 함은 물론 상기 렌즈홀다가 상, 하 이동할때나 정, 역회전할 때 탄력을 부여해 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재인 탄성고무를 필요로 하므로 아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부품수가 증가되어 제작비가 향상되었다.
둘째, 장기간 사용시 온도변화에 따라 탄성고무가 쉽게 변화되어 성능이 저하되었다.
셋째, 렌즈홀더가 중심축에 접촉된 상태로 상, 하로 이동하거나 정, 역회전하므로 설계시 스므스(Smooth) 성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기회로로 렌즈홀더의 상, 하이동과 정, 역회전의 구동력을 얻으면서 자기스프링 역할도 겸하도록 하여 별도의 중심축과 탄성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에 따른 제작비의 질감과 함께 장시간 사용에 의해서도 성능의 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설계시 렌즈홀더의 스므스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른 픽업베이스에 고정된 고정 마그네슘와, 렌즈홀더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마그네슘와 함께 자기측 역할을 하는 가동 마그네슘와, 상기 렌즈홀더에 고저되어 포커싱시 전원을 공급받아 유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포커싱 코일과, 상기 포커싱 코일의 외측에 부착되어 트랙킹시 전원을 공급받아 유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트랙킹 코일로 구성하여 포커싱시 렌즈홀다가 상, 하이동하거나 트랙킹시 정, 역회전할 때 고정 마그네슘와 가동 마그네슘가 자기력에 의해 자기축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과 함께 렌즈홀더에 탈력을 부여하는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본 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5도 내지 제7도와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5도는 본 발명 픽업장치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 픽업장치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7도는 제6도의 C-C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 일실시예는 픽업베이스(1)에 한쌍의 고정 마그네슘(2)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 마그네슘에는 일체형성된 한쌍의 구멍(3a)을 통해 끼워지도록 대물렌즈(4)를 갖는 렌즈홀더(3)를 설치하며,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면 내측에는 고정 마그네슘(2)와 함께 자기축 역할을 수행하도록 가동 마그네슘(5)를 고정하고, 상기 렌즈홀더(3)의 하부면 외측에는 포커싱시 전원을 공급받아 유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포커싱 코일(6)을 고정하며, 상기 포커싱 코일의 외측에는 트랙킹시 전원을 공급받아 유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쌍의 트랙킹 코일(7)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작용 설명중 재생시 디스크의 트랙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는 과정은 종래에는 설명된 과정을 참조하면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되어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포커싱과 트랙킹이 이루어지는 과정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면으로 가동 마그네슘(5)가 고정된 렌즈홀더(3)가 일체형성된 한쌍의 안내장공(3a)을 통해 픽업베이스(1)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 마그네숨(2)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마그네슘와 가동 마그네슘(5)의 상호 자기력에 의해 렌즈홀더(3)는 부상되어 있게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렌즈홀더의 대물렌즈(4)에서 메인빔이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들일 때 상기 메인빔과 함께 조사되는 포커싱빔에 의해 대물렌즈(4)와 디스크의 거리가 적정거리보다 멀어졌거나 가까워졌을 경우에는 렌즈홀더(3)의 하부면 외측에 고정된 포커싱 코일(6)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포커싱 코일에 유기전력이 발생되고 이 포커싱 코일(6)의 유기전력은 가동 마그네슘(5)의 자력에 영향을 받음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렌즈홀더(3)가 거리차 값에 비례된 거리만큼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하므로 결과적으로 대물렌즈(6)와 디스크의 거리가 적정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렌즈홀더(3)가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할 때 상기 렌즈홀더에 고정된 가동 마그네슘(5)와 픽업베이스(1)에 고정된 고정 마그네슘(2)가 서로 자기력을 주고 받으므로 자기축 역할을 하고 이에따라 상, 하로 이동되는 렌즈홀더(3)는 탄원상태로 복귀되려는 성질을 갖는다.
또한 트랙킹 빔에 의해 대물렌즈(4)에서 조사된 메인빔이 디스크의 트랙에 정확히 부딪히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포커싱 코일(6)의 외측에 부착된 한싸의 트랙킹 코일(7)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트랙킹 코일에 유기전력이 발생되고 이 트랙킹 코일(7)의 우기전력을 픽업베이스(1)에 고정된 고정 마그네슘(2)의 자력에 영향을 받음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오차값에 비례된 각도만큼 렌즈홀더(3)가 정회전(시계방향회전)하거나 역회전(반시계방향회전)하므롤 결과적으로 대물렌즈(4)에서 조사되는 메인빔이 디스크의 트랙에 정확하게 부딪히게 된다.
상기에서 렌즈홀더(3)가 정회전 하거나 역회전 할 때 상기 렌즈홀더에 고정된 가동 마그네슘(5)와 픽업베이스(1)에 고정된 고정 마그네슘(2)가 서로 자기력을 주고 받으므로, 정, 역회전하는 렌즈홀더(3)는 탄력을 받아 원상태로 복귀될려는 성질을 갖는다.
이상의 작용중 포커싱 작용에 렌즈홀더(3)가 간섭이 없이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은 상기 렌즈홀더에 한쌍의 구멍(3a)이 형성되어 이 구멍을 통해 렌즈홀더(3)가 고정 마그네슘(2)에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한데, 이는 픽업장치를 박형화하기 위함이므로 상기 렌즈홀더(3)에 꼭 구멍(3a)이 형성될 필요는 없고 이때에는 포커싱시 렌즈홀더(3)가 고정 마그네슘(2)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 하로 이동하면 된다.
한편 첨부도면 제8도는 본 발명 픽업장치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9도는 본 발명 픽업장치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10도는 제9도의 D-D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구성중 기 설명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유사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면 도면상에 일실시예에서 부여한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한다.
이하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픽업베이스(1)에 전, 후로 상각요입홈(2a)이 형성된 고정 마그네슘(2)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 마그네슘에는 일체형성된 구멍(3a)을 통해 끼워지도록 대물렌즈(4)를 갖는 렌즈홀더(3)를 설치하며,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면 내측에는 끝단이 상기 고정 마그네슘(2)에 형성된 삼각요입홈(2a)의 꼬지점과 접촉되어 고정 마그네슘와 함께 자기축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쌍의 가동 마그네트(5)를 고정하고, 상기 렌즈홀더(3)의 하부면 외측에는 포커싱시 전원을 공급받아 유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쌍의 포커싱 코일을(6)을 고정하며, 상기 포커싱 코일의 외측에는 트랙킹시 전원을 공급받아 유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쌍의 트랙킹 코일(7)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해 포커싱과 트랙킹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면으로 한쌍의 가동 마그네슘(5)가 고정된 렌즈홀더(3)를 일페형성된 한쌍의 구멍(3a)을 통해 픽업베이스(1)에 고정된 고정 마그네슘(2)에 끼운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마그네슘와 가동 마그네슘(5)의 상호 자기력에 의해 렌즈홀더(3)는 부상되어 있게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렌즈홀더(3)의 대물렌즈(4)에서 메인빔이 조사되어 디스크의 트랙에 기록된 신호를 읽어들일 때 상기 메인빔과 함께 조사되는 포커싱 빔에 의해 대물렌즈(4)와 디스크의 거리가 걱정거리보다 멀어졌거나 가까워졌을 경우에는 렌즈홀더(3)의 하부면 외측에 고정된 포커싱 코일(6)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포커싱 코일에 유기전력이 발생되고 이 포커싱 코일(6)의 유기전력은 픽업베이스(1)에 고정된 고정 마그네슘(5)의 자력에 영향을 받음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렌즈홀더(3)가 거리차 값에 비례된 거리만큼 상부로 이동하도록 함부로 이동하므로 결과적으로 대물렌즈(6)와 디스크의 거리가 적정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렌즈홀더(3)가 상부로 이동하도록 이동할 때 상기 렌즈홀더에 고정된 가동 마그네슘(5)와 픽업베이스(1)에 고정된 고정 마그네슘(2)가 서로 자기력을 주고 받으므로 자기축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상, 하부로 이동되는 렌즈홀더(3)는 탄력을 받아 원상태로 복귀되려는 성질을 갖는다.
또한 트랙킹 빔에 의해 대물렌즈(4)에서 조사된 메인빔이 디스크의 트랙에 정확히 부딪히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포커싱 코일(6)의 외측에 부착된 한쌍의 트랙킹 코일(7)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트랙킹 코일에 유기전력이 발생되고 이 트랙킹 코일(7)의 유기전력은 픽업베이스(1)에 고정된 고정 마그네슘(2)의 자력에 영향을 받음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오차값에 비례된 각도만큼 렌즈홀더(3)가 정회전(시계방향회전)하거나 역회전(반시계방향회전)하므로 겨려과적으로 대물렌즈(4)에서 조사되는 메인빔이 디스크의 트랙에 정확하게 부딪히게 된다.
상기에서 렌즈홀더(3)가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할 때 상기 렌즈홀더에 고정된 가동 마그네숨(5)가 픽업베이스(1)에 고정된 고정 마그네슘(2)가 서로 자기력을 주고 받으므로 정, 역회전하는 렌즈홀더(3)는 탄력을 방아 원상태로 보귀될려는 성질을 갖는다.
이상의 작용중 트랙킹 작용에서 렌즈홀더(3)가 정, 역회전하는 픽업베이스(1)에 전, 후로 삼각요입홈(3a)이 형성된 고정 마그네슘(3)가 고정되어 있고, 렌즈홀더(3)에는 고정 마그네슘(3)에 형성된 삼각요입홈(3a)의 꼭지점에 끝단이 접촉되게 한쌍의 가동 마그네슘(5)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능한데, 렌즈홀더(3)는 회전시 고정 마그네숨(3)와 가동 마그네슘(5)의 접축점을 기준으로 회전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포커싱 작용시 렌즈홀더가 상, 하로 이동하거나 트랙킹 작용시 렌즈홀더가 정, 역회전 할 때 고정 마그네슘와 가동 마그네슘가 자기력에 의한 자기축 역할을 하면서 상기 렌즈홀더에 탄력을 부여하여 주므로 별도의 중심축과 탄성체가 필요없게 되어 부품의 절감에 따른 제작비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 설계시 렌즈홀더의 스므스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픽업베이스에 고정되어 자기력을 발생하는 고정 마그네슘와, 상기 픽업의 렌즈홀더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마그네슘의 자기력과 상호 반발하여 자기축 및 스프링 역할을 하는 가동 마그네슘와, 상기 렌즈홀더에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고정 마그네슘의 자기력과 대향하여 포커스 방향의 로렌쯔 힘을 발생시키는 포커싱 코일과, 상기 포커싱 코일의 외측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고정 마그네슘의자기력과 대향하여 트랙킨 방향의 로렌쯔 힘을 발생시키는 트랙킹 코일로 구성되어 포커싱으로 렌즈홀더가 상, 하구동할 때 및 트랙킹으로 정, 역회전할대 고정 마그네슘가 가동 마그네슘가 상호 자기력에 으해 자기축 및 자기스프링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작치.
  2. 제1항에 있어서, 픽업베이스에 고정된 고정 마그네슘는 단극 착자된 한쌍의 마그네숨가 동일극으로 원주상태 대향되게 구성되고 렌즈홀더에 고정된 가동 마그네슘는 좌, 우 홈이 파진 형태로 단극착자되어 상기 고정 마스네슘의 원주상 내부에 위치하여 동일극으로 대항되게 구성되며, 상기 각 고정 마그네슘와 가동 마그네슘가 서로 반발력을 주고 받아 자기축과 자기스프링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KR1019940029171A 1994-11-08 1994-11-08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0135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171A KR0135137B1 (ko) 1994-11-08 1994-11-08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171A KR0135137B1 (ko) 1994-11-08 1994-11-08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123A KR960019123A (ko) 1996-06-17
KR0135137B1 true KR0135137B1 (ko) 1998-04-22

Family

ID=1939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171A Expired - Fee Related KR0135137B1 (ko) 1994-11-08 1994-11-08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17B1 (ko) * 2005-12-0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광픽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17B1 (ko) * 2005-12-0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광픽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123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9510A (en) Optical head used for recording o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various thicknesses, warpage and the like
EP0121857B1 (en) Mounting arrangement and driving apparatus suitable for optical disc player or recorder and player or recorder including such an arrangement or such apparatus
US7394732B2 (en) Object lens drive device, and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20040187144A1 (en) Optical pickup actuator and method
KR0135137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장치
US20050013213A1 (en)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for an optical head
JP2002373432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220965B1 (ko)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장치
JPH02105338A (ja) 情報記録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038129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291752B1 (ko)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구동구조
KR100564447B1 (ko)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
KR20010046053A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JP3570838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277967B1 (ko)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 엑추에이터
KR200235189Y1 (ko) 광픽업액츄에이터의보빈어셈블리구조
KR200150918Y1 (ko) 축섭동 액츄에이터의 접속구조
KR0155102B1 (ko) 힌지타입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이중 대물렌즈
KR100518859B1 (ko) 광 픽업 시스템
KR100288419B1 (ko) 압전소자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930000842Y1 (ko) 광학식 디스크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JPH10241173A (ja) 光ヘッドの対物レンズ支持機構
JPH11316962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5116136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並びにこれらに用いられる対物レンズの固定機構
JPH10340466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