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4484Y1 -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484Y1
KR0134484Y1 KR2019960020535U KR19960020535U KR0134484Y1 KR 0134484 Y1 KR0134484 Y1 KR 0134484Y1 KR 2019960020535 U KR2019960020535 U KR 2019960020535U KR 19960020535 U KR19960020535 U KR 19960020535U KR 0134484 Y1 KR0134484 Y1 KR 0134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ust
collecting plate
plate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813U (ko
Inventor
백정현
Original Assignee
백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현 filed Critical 백정현
Priority to KR2019960020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484Y1/ko
Publication of KR980006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8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4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정화장치에 사용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집진극판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극봉 고정공과 통과공이 다수개 천공된 집진극판이 케이스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적층되고, 상기 집진극판이 다수의 전극봉에 고정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을 다각형으로 형성한 후 일정간격으로 고정홈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집진극판의 고정공을 상기 전극봉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집진극판을 전극봉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용 전지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집진극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극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극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극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극봉의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3 ; 전극봉
4,5 : 집진극판 6 : 고정공
7 : 통과공 8 : 요홈부
9 : 돌출부 10 : 고정홈
본 고안은 공기정화장치에 사용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집진극판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정화장치중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전극을 발생시키는 집진극판을 전극봉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중 전기집진방식에 의한 공기정화장치는 전극을 발생시키는 전기집진기의 전·후방에 각각 프리휠터와 최종휠터를 설치하여 전방의 프리휠터에서는 비교적 입자가 큰 먼지를 제거하도록 한 후 상기 프리휠터를 통과한 미세먼지를 전기집진기에서 성장시켜 최종휠터로 포집함으로서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기집진 방식에 의한 먼지제거장치는 프리휠터에서 비교적 입자가 큰 먼지를 제거한 뒤 상기 프리휠터를 통과한 미세먼지를 이온화장치에 의하여 + 또는 -전하로 대전시킨 후 집진극판의 집진부에서 + 또는 -전하로 대전된 먼지를 - 또는 +극판에 전기적 인력으로 흡착시켜 먼지를 성장시킨 후 성장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집진기는 외곽틀을 이루고 있는 케이스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집진극판이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집진극판은 다수의 전극봉에 지지되어 있되, 상기 집진극판은 교대로 +와 -전하를 띄우도록 전극봉에 교대로 한개씩 건너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전극봉은 +전원이 통전되는 전극봉은 +전극봉끼리 연결하고, -전원이 통전되는 전극봉은 -전극봉끼리 연결하며, 상기 전극봉에는 집진극판을 고정하되, 한개의 집진극판을 +전극봉에 고정을 하면 그 다음에 일정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집진극판은 -전극봉에 고정을 하고, 그 다음의 집진극판은 다시 +전극봉에, 그 다음은 -전극봉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집진극판을 전극봉에 고정한 구조로 되어 있어 인접해 있는 집진극판에 서로 상반된 +와 -전하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전극봉에 집진극판을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구조는 전극봉에 원통형의 간격유지구를 삽입한 후 집진극판을 삽입하고, 그 다음에 다시 간격유지구를 삽입한 후 집진극판을 삽입하며, 그 다음에 다시 간격유지구를 삽입한 후 집진극판을 삽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즉, 종래에 전극봉에 집진극판을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에 절연재(17)를 설치한 후 +전극봉(12)을 고정하고, -전극봉(13)은 상기 케이스(11)에 직접 고정한 후 길이가 짧은 거리유지구(16')를 +전극봉에 삽입하고, 통상의 길이를 가진 거리유지구(16)는 -전극봉(13)에 삽입한 후(그러나 상기와 반대로 길이가 짧은 거리유지구를 -전극봉에 삽입할 수도 있음) +집진극판(14)을 설치한 뒤 +전극봉(12)에 거리유지구(16)를 삽입하고, -집진극판(15)를 설치한 후 -전극봉(13)에 거리유지구(16)를 설치하며, 다시 +집진극판(14), 그 다음에 -집진극판(15)을 교대로 거리유지구(16)와 함께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때, 상기 + 및 -집진극판(14 및 15)에는 크기가 다른 구멍이 인접하여 교대로 천공되어 있어 +집진극판(14)이 +전극봉(12)에 접촉할때에는 -전극봉(13)에 접촉이 되지 않고, -집진극판(15)이 -전극봉(13)에 접촉할때에는 +전극봉(12)에 접촉이 되지 않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케이스(11)에 다수의 +전극봉(13)을 고정한 후 각각의 거리유지구(16,16') 1개씩을 삽입하여 +집진극판(14)과 -집진극판(15)을 설치한 뒤 다시 각각의 전극봉(12,13)에 거리유지구(16)를 1개씩 삽입한 후 집진극판(14,15)을 재차 설치하는 방법을 수차례 반복하여야만이 하였기때문에 작업에 어려움이 많았으며,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많았다.
그리고 전극봉에 집진극판을 고정하는 또다른 방법으로는 치구를 사용하여 집진극판을 일정간격으로 위치시킨 후 집진극판의 고정공 및 통과공에 파이프형의 전극봉을 삽입하여 전극봉을 유압 또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확관하여 집진극판을 고정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는 집진극판과 전극봉이 선접촉을 하게 되므로 집진극판의 유동이 발생하여 +집진극판과 -집진극판과의 거리가 서로 가까워져 전기적 쇼트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극봉에 집진극판을 간단하게 고정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집진극판과 -집진극판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쇼트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전극봉 고정공과 통과공이 다수개 천공된 집진극판이 케이스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적층되고, 상기 집진극판이 다수의 전극봉에 고정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을 다각형으로 형성한 후 일정간격으로 고정홈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집진극판의 고정공을 상기 전극봉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한 구조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극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극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극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 내측에 다수의 + 및 -집진극판(4 및 5)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고, 다수의 + 및 -전극봉(2 및 3)이 상기 + 및 -집진극판(4 및 5)을 지지 고정되며, 상기 + 및 -집진극판(4 및 5)에는 + 및 -전극봉(2 및 3)에 고정되는 고정공(6)과 전극봉이 접촉되지 않고 통과되는 통과공(7)이 다수개 천공된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 및 -전극봉(2 및 3)의 외측에 길이 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여 요홈부(8)와 돌출부(9)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 및 -집진극판(4 및 5)에는 상기 전극봉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요홈부(8')와 돌출부(9')를 형성하되, 상기 + 및 -전극봉(2 및 3)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고정홈(10)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 및 -집진극판(4 및 5)의 돌출부(9')에 돌기(6')를 돌출시켜 + 및 -전극봉(2 및 3)과 접촉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극봉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봉 또는 사각봉등과 같이 그 단면 형상을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 및 -집진극판(4 및 5)을 케이스의 내측에 치구를 사용하여 일정간격으로 위치시킨후 + 및 -전극봉(2 및 3)을 삽입하여 30°정도 회동시키면 + 및 -전극봉(2 및 3)의 고정홈(10)에 + 및 -집진극판(4 및 5)의 돌출부(9')가 삽입되어 + 및 -집진극판(4 및 5)이 + 및 -전극봉(2 및 3)에 고정되는 것으로 + 및 -집진극판(4 및 5)에는 돌기(6')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 및 -전극봉(2 및 3)과 + 및 -집진극판(4 및 5)의 결착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 및 -전극봉(2 및 3)을 + 및 -집진극판(4 및 5)의 고정공(6) 및 통과공(7)에 삽입하여 회동시키면 + 및 -집진극판(4 및 5)이 + 및 -전극봉(2 및 3)에 고정이 되므로 손쉽게 + 및 -전극봉(2 및 3)에 + 및 -집진극판(4 및 5)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극판과 -집진극판의 거리가 가까워 지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적 쇼트현상의 발생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전극봉 고정공과 통과공이 다수개 천공된 집진극판이 케이스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적층되고, 상기 집진극판이 다수의 전극봉에 고정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을 다각형으로 형성한 후 일정간격으로 고정홈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집진극판의 고정공을 상기 전극봉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의 외측에 길이 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여 요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집진극판에는 상기 전극봉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요홈부와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극판이 전극봉과 접촉되는 부분에 돌기를 돌출시켜 결착력이 향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KR2019960020535U 1996-07-11 1996-07-11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KR0134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535U KR0134484Y1 (ko) 1996-07-11 1996-07-11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535U KR0134484Y1 (ko) 1996-07-11 1996-07-11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813U KR980006813U (ko) 1998-04-30
KR0134484Y1 true KR0134484Y1 (ko) 1999-01-15

Family

ID=1946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535U KR0134484Y1 (ko) 1996-07-11 1996-07-11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4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6324B (zh) * 2019-10-21 2024-02-23 无锡市易聚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静电除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813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6434A (en)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s
US5322550A (en) Electrical dust collector
RU2143327C1 (ru) Электростатический осадитель
US560375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7306655B2 (en) Corona ground element
US20070240572A1 (en) Pre-ionizer for use with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H05245411A (ja) 電気集塵機
CN103313795A (zh) 使用多交叉针离子产生器的感应式静电集尘器
KR200363531Y1 (ko) 전기집진기용 전기필터셀
EP333889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CA2649809C (en) Electrode wire retaining member fo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0134484Y1 (ko)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고정장치
CA1059930A (en)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s
CN217888301U (zh) 一种微静电空气过滤器
CA2649687C (en) Electrode wire fo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2649812C (en) Retainer for use with a corona ground element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7241330B2 (en) Air cleaner electrostatic precipitator cell
KR20190028611A (ko) 소형 공기정화기용 전기집진유닛과 이를 이용한 소형 공기정화기
KR20210145329A (ko) 미세먼지 제거기능 향상을 위한 복합대전부를 갖는 전기집진장치
KR0134483Y1 (ko) 공기정화장치용 전기집진기의 집진극판 거리유지구
KR200312736Y1 (ko) 전기집진기용 조립식 이온아이저
KR102530863B1 (ko) 중심 방전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CN220991274U (zh) 静电过滤装置及空气净化器
KR200170959Y1 (ko) 다중와이어형 전기집진장치
KR10257253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7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0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1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