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3030B1 - 드릴 연삭기 - Google Patents

드릴 연삭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030B1
KR0133030B1 KR1019930018578A KR930018578A KR0133030B1 KR 0133030 B1 KR0133030 B1 KR 0133030B1 KR 1019930018578 A KR1019930018578 A KR 1019930018578A KR 930018578 A KR930018578 A KR 930018578A KR 0133030 B1 KR0133030 B1 KR 0133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fixed
shaft
grind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010A (ko
Inventor
송석정
Original Assignee
송석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정 filed Critical 송석정
Priority to KR1019930018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030B1/ko
Publication of KR950008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2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00Planing or slotting machines cutt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tool and workpiece in a horizontal straight lin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모된 드릴의 날을 연삭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드릴이 연삭숫돌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이송되므로서 드릴선단부가 정밀하게 연삭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핸들(7)을 손으로 회동함에 따라 드릴(7)이 고정된 이송측(4)이 회동됨과 동시에, 이송측(4)을 연마숫돌(1)측으로 이송시키는 공지의 연삭기에 있어서, 구동축(5)에 의하여 회동되는 캠축(23)과 캠(22)에 의하여 상판(15)이 회동축(30)을 지점으로 회동되게 하므로서 드릴이 연마숫돌측으로 원호상으로 이송되어 연삭깊이가 조절되므로서 웨브와 절삭홈의 연결부(A)가 원호상으로 정확하게 연삭되어 드릴의 절삭효율을 증대시키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드릴 연삭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부를 절결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한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연마기에 의하여 연삭된 드릴의 측면도.
제7도는 종래의 연마기에 의하여 연삭된 드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삭숫돌,4 : 이송축,
5 : 구동축,8 : 벨트,
8a, 8b : 폴리,9a : 캠판,
9b : 캠,15 : 상판,
21 : 폴리,22 : 캠,
23 : 캠축,24 : 폴리,
25 : 벨트,26 : 베아링,
27 : 로드,28 : 고정봉,
30 : 회동축,31 : 축공
본 발명은 마모된 드릴의 날을 연삭하기 위하여 드릴이 고정된 이송축을 회동과 동시에 연마숫돌측으로 이송하여 드릴의 선단부를 연삭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릴이 고정된 이송축을 연마숫돌측에 원호상으로 이송되게 장치하므로서 연삭된 드릴의 절삭날이 정밀하게 연삭되어 드릴의 절삭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드릴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멍을 뚫는 작업에 사용되는 드릴은 일정시간 사용하면 선단부의 절삭날이 마모되어 절삭효율이 저하되므로 일정기간 사용후에는 드릴의 절삭날을 연마해서 재사용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회동되는 연삭숫돌에 드릴을 손으로 잡고 절삭날을 연삭하기 때문에 숙련되지 않으면 작업을 할 수 없었고, 숙련자라도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될 뿐 아니라 정밀하게 연삭할 수 없기 때문에 드릴의 절삭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드릴을 고정하는 이송구를 연마숫돌의 일축에 장치하여 핸들을 회동함에 따라 이송축에 고정된 드릴이 회동되면서 연마숫돌측으로 이송되어 이송된만큼이 연삭되는 것이 있으며, 이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자동으로 연삭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절삭날이 정밀하게 연삭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즉, 드릴(D)의 선단부는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 두줄의 절삭날이 있고 절삭날(C)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로 대향된 홈사이에는 얇은 벽의 웨브(Web)(W)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드릴(D)의 절삭효율은 절삭날(C) 뿐만 아니라 웨브(W)와 절삭홈(R)의 연결부(A) 형상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정밀하게 연삭되지 않으면 드릴링 작업할 때 가압하는 힘이 집중되지 못하고 분산되므로 많은 저항을 받게 되어 드릴이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드릴을 연삭할 때에는 웨브(W)의 형성각과 절삭날(C)의 높이가 연결부(A)의 높이보다 높게 연삭되도록 해야한다.
그러나, 종래의 연삭장치는 이송축은 회동과 동시에 직선으로만 이송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드릴의 연삭깊이만을 조절할 뿐 선단부를 정밀하게 연삭할 수 없는 것으로 드릴의 선단부는 중심부가 얇게 형성되고 외주면으로 향할수록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두께의 차이를 감안하지 않는 직선운동은 웨브(W)와 절삭홈(R)의 연결부(A) 형상이 직선상으로 연삭되기 때문에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되므로 드릴이 저항을 받게 되어 쉽게 마모되어 절삭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직선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작게 하면 웨브(W)의 형상이 이상적으로 형성되나 절삭날(C)과 연결부(A)의 높이가 동일하거나 연결부(A)가 높게 되어 절삭저항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직선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크게 하면 절삭날(C)의 높이가 연결부(A)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절삭저항은 발생하지 않으나 웨브(W)의 형상이 이상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절삭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드릴을 사용하다가 드릴이 마모될 경우 이의 연삭을 최초 드릴 제작시의 형태와 동일하게 연삭되도록 함으로서 드릴링 작업시 절삭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핸들을 회동시킴과 동시에 연삭하고자 하는 드릴이 고정되는 이송축이 회동됨과 동시에 연마숫돌측으로 전, 후진되어 드릴이 연삭되도록 한 연삭기에 있어서, 상기 드릴이 고정되는 이송축이 전, 후진과 동시에 좌, 우로 이송되도록 구성하여 연삭되는 드릴이 회동과 이송을 할 뿐만 아니라 원호상으로 이송되므로, 웨브와 절삭홈의 연결부 형상이 원호상으로 연마되어 드릴의 절삭효율이 증대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축(4)과 풀리(8a)(8b)와 벨트(8)에 의하여 연동되는 구동축(5)에 드릴(D)을 고정하여 구동축(5)의 회동과 동시에, 이송축(4)의 선단부에 장치된 캠판(9a)과 캠(9b)에 의하여 이송축(4)에 고정된 드릴(D)이 연삭숫돌(1)측으로 이송되게 장치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구동축(4)과 연동되는 캠축(23)과 캠(22)에 의하여 상판(15)이 회동축(30)을 지점으로 회동되어 드릴(D)의 선단부가 연마숫돌(1)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이송되게 장치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타에 의하여 회동되는 연마숫돌(1)을 기체(2)에 장치하고 연마숫돌(1)의 일측에 구동부(3)를 장치한다. 구동부(3)는 이송축(4)과 구동축(5)을 기판(6) 상부에 장치하여 구성하여, 이송축(4)의 일측단부에 핸들(7)을 고정하고 이송축(4)과 구동축(5)에 각각 풀리(8a, 8b)를 부착하여 각각의 풀리(8a, 8b)를 벨트(8)로 연결하되 이송축(4)의 풀리(8a)와 구동축(5)의 풀리(8b)의 회전비는 2:1이 되게 하여서 핸들(7)을 일회동시키면 구동축(5)이 일회전됨과 동시에 이송축(4)은 반회전으로 연동되게 장치한다.
구동축(5)의 선단부에 캠판(9a)을 구정하고 캠판(9a)에 밀착된 캠(9b)이 고정된 밀대(10)를 부착구(11)에 회동되게 장치하며, 이송축(4)의 선단부에 분할판(12)과 콜릿척(13)을 장치하여 밀대(10)를 분할판(12)에 밀착시켜 캠(9b)의 이동에 따라 밀대(10)가 분할판(12)를 밀어 이송축(4)을 전진시킬 수 있게 장치한다. 구동부(3)는 조절나사(14)의 회동에 의하여 상판(15)에 형성된 베드(16)를 따라 연마숫돌(1)측으로 이송되게 장치하게 상판(15)의 하부에 기판(6)을 장치하여 기판(6)을 이동판(18)에 너트(19)로 체결하며, 이동판(18)은 기체(2)에 고정된 베드(19)를 따라 전후로 이동되게 장치한다.
상기한 구성은 공지의 장치이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장치들은 부가적으로 결합한 것이다.
구동축(5)의 선단부를 길게 연장하여 풀리(21)를 고정하고 하단부에 캠(22) 고정된 캠축(23)이 회동되게 상판(15)에 종으로 장치하고 캠축(23)의 상단부에 풀리(24)를 고정하여 각각의 풀리(21)와 풀리(24)를 벨트(25)로 연결하며, 캠(22)의 하방에 베어링(26)을 편심되게 장치하고 베어링(26)이 고정된 로드(27)의 단부를 고정봉(28)에 너트(29a)와 나사(29b)로 고정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5)의 일측하방에 회동축(30)을 일체로 형성하여 기판(17)에 형성된 축공(31)에 회동축(30)을 결합하되 베아링(32)에 의하여 유동되게 장치한다.
미설명부호 41은 분할판(12)을 일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분할구이고, 42는 선단부가 드릴의 절삭홈에 지지되어 드릴의 유동을 방지하는 안내봉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축(4)의 중앙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드릴(D)을 삽입하여 콜릿척(13)으로 드릴(D)을 고정하고 연마숫돌(1)을 향하여 구동부(3)가 정위치에 놓이도록 이동판(18)과 조절나사(14)를 조절하며, 분할구(41)는 분할판(12)을 정위치, 즉 초기단계의 위치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핸들(7)을 일회전시키면 구동축(5)에 고정된 캠판(9a)과 풀리(8a)는 일회전됨과 동시에 풀리(21)(24)와 벨트(8)에 의하여 이송축(4)이 반회전된다.
구동축(5)에 고정된 캠판(9a)의 높낮이면을 따라 캠(9b)이 전지되고 캠(9b)이 고정된 밀대(10)는 분할판(12)을 밀게 되므로 이송축(4)의 콜릿척(13)에 고정된 드릴(D)의 선단부가 연마숫돌(1)측으로 이송되며, 이 때 이송길이에 따라 연마깊이가 결정되는 것이다.
구동축(5)의 선단부에 고정된 풀리(21)가 회동됨에 따라 벨트(25)에 의하여 풀리(24)와 캠축(23)이 회동되므로 캠(22)은 베어링(26)을 지점으로 편심되어 상판(15)을 밀게되며, 이에 따라 회동축(30)을 지점으로 상판(15)이 원호상으로 이송된다. 상판(15)에 고정된 구동부(3) 전체가 이송되므로 드릴(D)의 선단부는 연마숫돌(1)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전진되면서 하나의 절삭날이 연삭되는 것이며, 핸들(7)을 재차일회전시키면 또다른 절삭날이 연삭되는 것으로 핸들(7)을 이회전시키므로서 작업이 완료되며 핸들의 조작에 따라 드릴선단부의 회동과 이송 및 원호상의 전진은 동시에 행하여지는 것이다. 이 때, 만일 드릴의 각도를 118도보다 크거나 작게 가공하고자 할 때에는 연삭숫돌에 드릴을 셋팅할 때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드릴이 연마숫돌측으로 원호상 이송되므로 드릴의 최선단부의 연삭량이 작고 원호상으로 진행할수록 연삭량이 크게 연삭되므로서 드릴의 중심부에서 외주면으로 향하여 점차 두께가 굵어지는 만큼 연삭되므로 웨브와 절삭홈의 연결부가 원호상으로 연삭되어 (최초 드릴을 제작했을 때와 동일한 형태로) 드릴링 작업할 때 저항을 적게 받으므로 작은 힘으로 가압할 수 있고 드릴이 쉽게 마모되지 않아 수명이 길어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핸들을 회동시킴에 따라 연삭하고자 하는 드릴이 고정되는 이송축(4)이 회동됨과 동시에 연마숫돌(1)측으로 전, 후진되어 드릴(D)이 연삭되도록 한 연삭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축(4)의 선단부에 풀리(21)를 고정하고 하단부에 캠(22)이 고정된 캠축(23)을 상판(15)에 세워 장치하며 캠축(23)의 상단부에 풀리(24)를 고정하여 이송축(4)의 풀리(21)와 벨트(25)로 연결하며, 캠(22)의 하방에 베어링(26)을 편심되게 장치하여 베어링(26)에 고정된 로드(27)의 단부를 고정봉(28)에 고정하며, 상판(15)의 회동축(30)을 기판(17)의 축공(31)에 결합하여 상기 드릴(D)이 고정되는 이송축(4)이 전, 후진과 동시에 좌우로 이송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연삭기.
KR1019930018578A 1993-09-15 1993-09-15 드릴 연삭기 KR013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578A KR0133030B1 (ko) 1993-09-15 1993-09-15 드릴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578A KR0133030B1 (ko) 1993-09-15 1993-09-15 드릴 연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010A KR950008010A (ko) 1995-04-15
KR0133030B1 true KR0133030B1 (ko) 1998-04-24

Family

ID=1936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578A KR0133030B1 (ko) 1993-09-15 1993-09-15 드릴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593B1 (ko) * 2011-11-10 2012-05-10 이병원 렌즈 테두리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593B1 (ko) * 2011-11-10 2012-05-10 이병원 렌즈 테두리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010A (ko) 199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69316B1 (en) Milling cutter with adjustable finishing insert
KR950703429A (ko) 작업편 상의 표면들을 동시에 연삭하기 위해 다수의 평행한 연마벨트를 사용하는 연삭기(griding machine utilizing multiple rarallel, abrasive belts for simultaneously grinding surfaces on a workpiece)
US67265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finishing tapered roller bearing
EP0178843A2 (en) Surface grinding machine
ES2384098T3 (es) Máquina pulecantos de piedra o mármol
CN101823218B (zh) 多功能刀具修磨机
US5154551A (en) Adjustable boring bar
KR0133030B1 (ko) 드릴 연삭기
US55825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US4984391A (en) Machine for forming woodworking tool
JP2002217135A (ja) 切削装置
JPH03142149A (ja) 工作物の回転角度のモニタ装置
JP2607415B2 (ja) ドリル刃先研削機
KR100771845B1 (ko) 곡면 형성기
KR100742657B1 (ko) 범용 공구 연삭기의 동시 3축 제어장치
KR101007981B1 (ko) 천연 다이아몬드 유니버셜 폴리싱기
IE56034B1 (en) Manufacture of drill screws
CN208584396U (zh) 一种工件支架及安装该工件支架的外圆磨床
KR200366091Y1 (ko) 라운드형 톱날 가공기의 소재셋팅장치
CA2023799C (en) Five-way adjustable form block holder with float capabilities
CN110976989A (zh) 用于机筒内孔铣槽的铣刀结构
KR200414569Y1 (ko) 자동연마장치
KR100453643B1 (ko) 궁형연삭기용 연삭축의 상하조정장치
CN118404104B (zh) 用于圆柱滚子倒角面加工的车削装置及其车削工艺
KR200215104Y1 (ko) 연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