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3005Y1 -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005Y1
KR0133005Y1 KR2019950008110U KR19950008110U KR0133005Y1 KR 0133005 Y1 KR0133005 Y1 KR 0133005Y1 KR 2019950008110 U KR2019950008110 U KR 2019950008110U KR 19950008110 U KR19950008110 U KR 19950008110U KR 0133005 Y1 KR0133005 Y1 KR 0133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cold
refrigerating chamber
passage
free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212U (ko
Inventor
오길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08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005Y1/ko
Publication of KR960035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free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는, 중간단열벽(140)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냉동실(120) 및 냉장실(130)이 배치되고, 이들 냉동 및 냉장실(120)(130)의 전면 개구를 각각 개폐하도록 냉동 및 냉장실도어(190)(200)가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120)내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130)의 전측으로 유입되게 함과 동시에 냉장실(130)내의 냉기가 냉동실(120)의 후측으로 배출되게 순환시키도록 상기 중간단열벽(140)의 전측과 후측에 형성된 제1냉기통로(141) 및 제2냉기통로(142)와, 상기 제1냉기통로(141)에서 배출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도어(200)의 두께면 내부를 통하여 냉장실(130) 내부로 균일하게 확산 분출되도록 냉장실도어(200)에 제1냉기통로(141)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3냉기통로(205) 및 다수개의 냉기분출구(204)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단열벽(140)의 과다한 두께를 없앨 수 있음과 동시에 냉장실(130)로 통하는 별도의 냉기공급덕트를 없앨 수 있음은 물론 냉기공급 통로의 거리를 단축하여 냉장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제1도는 종래의 냉장고를 도시한 전체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냉장고를 도시한 전체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횡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부분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 111 : 후측단열벽
120 : 냉동실 130 : 냉장실
140 : 중간단열벽 141, 142 : 제1 및 제2냉기통로
200 : 냉장실도어 202 : 도어선반지지턱
204 : 냉기분출구 205 : 제3냉기통로
본 고안은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동실내의 냉기가 냉장실도어를 통하여 냉장실내부로 균일하게 확산 분출되도록 한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내의 상,하측에 냉동실(20)과 냉장실(30)을 구획함과 동시에 냉동 및 냉장실(20)(30)내의 냉기가 전측 상,하부를 통하여 유입되어서 후측 한곳을 통하여 냉동실(20)로 토출되게 안내하도록 설치된 중간단열벽(40)과, 순환되는 냉기를 받아 차가운 냉기로 열교환하도록 상기 냉동실(20)의 후측에 설치된 증발기(50)와, 상기 증발기(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차가운 냉기가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로 각각 순환 공급되도록 상기 증발기(50)의 상단에 설치된 송풍수단(60)과,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의 내부공간을 칸칸이 구획하여 냉동 및 냉장식품(도시안됨)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선반대(70)와, 상기 송풍수단(60)의 송풍력에 의해 송풍된 냉기를 받아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내에 균일하게 분출하도록 냉동 및 냉장실(20)(30)의 후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 및 제2댐퍼커버(80)(81)와,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내에 각각 저장 보관된 냉동 및 냉장식품을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냉동 및 냉장실(20)(30)의 전면 개구에 여닫이식으로 힌지 결합된 냉동 및 냉장실도어(90)(91)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냉동실(20)측 후측단열벽(11)의 상단에는 상기 증발기(50)를 통과하면서 차갑게 열교환된 냉기가 냉장실(30) 내부로 공급되도록 별도의 냉기공급덕트(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단열벽(40)의 전측 상,하부에는 상기 송풍수단(60)의 송풍력에 의해 냉동 및 냉장실(20)(30)내의 순환냉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연결되는 냉기유입통로(4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후측에는 상기 냉기유입구(41)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증발기(50)로 토출되도록 냉기토출통로(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댐퍼커버(80)는 상기 냉동실(20)의 후측 하단과 상단에 설치된 상기 증발기(50)와 송풍수단(60)을 커버함과 동시에 열교환된 냉기가 냉동실(20)내부로 분출되도록 그 상단에 냉기분출구(8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댐퍼커버(81)는 열교환된 냉기를 받아 상기 냉장실(30)내부로 균일하게 확산 분출시키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냉기분출구(80a)가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에 의하면, 냉동 및 냉장실(20)(30)내의 냉기가 중간단열벽(40)을 통하여 증발기(50)에 보내어져 재차 열교환되도록 중간단열벽(40)의 전측 상, 하부에 냉기유입통로(41)가 형성됨과 동시에 냉기유입통로(41)와 연결되게 그 후측에 냉기토출통로(42)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단열벽(40)의 과다한 두께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중간단열벽(40)의 냉기토출통로(42)로 토출되면서 증발기(50)를 통과할때 차갑게 열교환된 냉기가 후측단열벽(11)의 상단에 설치된 별도의 냉기공급덕트(12)를 통하여 냉장실(30)로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냉기가 공급되는 거리가 멀고 구조가 복합함은 물론 냉장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중간단열벽의 과다한 두께를 없앰과 동시에 냉장실로 통하는 별도의 냉기공급덕트를 없앰은 물론 냉기공급통로의 거리를 단축하여 냉장효율을 상승시키도록 한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냉장순환장치는, 중간단열벽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냉동실 및 냉장실이 배치되고, 이들 냉동 및 냉장실의 전면 개구를 각각 개폐하도록 냉동 및 냉장실도어가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내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의 전측으로 유입되게 함과 동시에 냉장실내의 냉기가 냉동실의 후측으로 배출되게 순환시키도록 상기 중간단열벽의 전측과 후측에 형성된 제1냉기통로 및 제2냉기통로와, 상기 제1냉기통로에서 배출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도어의 두께면 내부를 통하여 냉장실 내부로 균일하게 확산 분출되도록 냉장실도어에 제1냉기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3냉기통로 및 다수개의 냉기분출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냉장고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내의 상,하측에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을 구획하면서 냉동실(120)내의 냉기가 냉장실(130)내부로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냉장실(130)내의 냉기가 냉동실(120)내부로 순환되도록 설치한 중간단열벽(140)과, 순환되는 냉기를 받아 차가운 냉기로 열교환하도록 상기 냉동실(120)의 후측에 설치된 증발기(150)와, 상기 증발기(1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차가운 냉기가 상기 냉동실(120)을 거쳐 냉장실(130)로 순환 공급되도록 상기 증발기(150)의 상단에 설치된 송풍수단(160)과, 상기 냉동 및 냉장실(120)(130)의 내부공간을 칸칸이 구획하여 냉동 및 냉장식품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선반대(170)와, 상기 송풍수단(160)의 송풍력에 의해 송풍된 냉기를 받아 상기 냉동실(120)에 분출하도록 냉동실(120)의 후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댐퍼커버(180)와, 상기 냉동실(120)의 개구를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90)와, 상기 냉장실(130)의 개구를 개폐함과 동시에 냉동실(120)내의 냉기를 받아 냉장실(130)내부로 균일하게 확산 분출하는 냉장실도어(20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냉장실(120)측 후측단열벽(111)의 상단에서 중간까지의 거리에는 냉장실(130)내의 냉기가 상기 중간단열벽(140)의 후단을 통하여 상기 냉동실(120)내에 설치된 증발기(150)로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냉기배출구(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단열벽(140)의 그 전측에 상기 냉동실(120)내의 냉기가 냉장실도어(200)를 통하여 냉장실(130)로 유입되도록 제1냉기통로(14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측에는 냉장실(130)내의 냉기가 냉동실(120)로 배출되도록 제2냉기통로(1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냉기통로(141)의 하단에는 상기 냉장실도어(200)와 긴밀하게 면접촉되도록 돌출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냉기통로(142)는 상기 냉장실(130)측 후측단열벽(111)에 형성된 냉기배출구(131)와 통로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댐퍼커버(180)는 상기 냉동실(120)의 후측 하단과 상단에 각각 설치된 상기 증발기(150)와 송풍수단(160)을 커버함과 동시에 열교환된 냉기가 냉동실(120)내부로 분출되도록 그 상단에 냉기분출구(18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200)는 단열부재(201)와, 상기 단열부재(201)의 내면 양측에 일체 발포성형되어 각각 돌출 형성된 도어선반지지턱(202)과, 냉장식품들을 보관하도록 상기 도어선반지지턱(202)의 사이에 대하여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개의 도어선반(2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도어선반지지턱(202)에는 상기 냉동실(120)내의 냉기가 상기 중간단열벽(140)의 제1냉기통로(141)를 통하여 냉장실(130)내에 균일하게 확산 분출되도록 다수개의 냉기분출구(204)를 가진 제3냉기통로(20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냉기통로(205)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제3냉기통로(205)와 제1냉기통로(141)가 일치시 그 사이틈새를 통하여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가스켓(206)이 부착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10은 압축기, 211은 제상수그릇, 212는 보조응축기, 213은 제빙실, 214는 특선실, 215는 야채실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냉동 및 냉장실(120)(130)이 소정의 설정온도로 도달하기 위하여 메인스위치(도시안됨)를 온 동작시키면,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된 압축기(210)가 가동되고, 이 압축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가스가 주응축기(도시안됨)의 내부를 따라 흐르면서 응축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기체냉매는 냉장고의 주위온도인 실온보다 다소 높은 온도의 고압액체냉매로 상변화되어 모세관(도시안됨)을 통과함으로써 감압되고, 이 감압된 액체냉매가스는 증발기(150)로 유입되어 팽창됨으로써 저온저압으로 기화됨과 동시에 증발하여 냉각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메인스위치의 온 동작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송풍수단(160)이 가동되면, 이 송풍력에 의해 냉동 및 냉장실(120)(130)내부의 냉기가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방향과 같이 순환작용됨으로써 냉동, 냉장, 제빙, 특선, 야채실(120)(130)(213)(214)(215)내에 저장된 각종류의 식품들을 신선하게 냉동 및 냉장시키게 된다.
즉, 송풍수단(160)의 송풍력에 의해 증발기(150)를 통과하면서 차갑게 열교환된 냉기는 댐퍼커버(180)의 냉기분출구(181)를 통하여 냉동실(120)로 분출됨과 동시에 확산됨으로써 냉동실(120)내의 냉동식품들을 냉동시키고, 그리고 이 냉기는 계속되는 송풍력에 의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단열벽(140)의 전측에 형성된 제1냉기통로(141)를 통하여 토축됨과 동시에 냉장실도어(200)의 도어선반지지턱(202)에 형성된 제3냉기통로(205)로 유입되면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냉기통로(205)에 형성된 다수개의 냉기분출구(204)를 통하여 냉장실(130)내부로 분출되어 균일하게 확산됨으로써 냉장실(130)내의 냉장식품들을 냉장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냉기분출구(204)는 냉장실도어(200)의 양측단에 각각 돌출된 도어선반지지턱(202)에서 수직방향으로 뚫린 제3냉기통로(205)로부터 직각되는 수평방향으로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연통되어 있으므로, 냉장실(130)내의 특선실(214)부터 야채실(215)가 빠른속도로 냉기를 확산분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장실도어(200)를 열고 닫을 때 냉기손실이 최고 많은 냉장실(130)내의 개구측 냉기온도를 상기 제3냉기통로(205)로부터 분배되어 다수개의 냉기분출구(204)로 분출되는 냉기방향에 따라서 빠른 시간내에 냉장에 필요한 온도로 낮추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냉장실(130) 내부를 순환한 냉기는 후측단열벽(111)에 형성된 다수개의 냉기배출구(131)로 배출됨과 동시에 중간단열벽(140)의 후측에 형성된 제2냉기통로(142)를 통하여 냉동실(120)내에 설치된 증발기(150)를 통과하면서 차가운 냉기로 재차 열교환됨으로써 냉기순환싸이클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에 의하면, 냉동실의 전측에서 냉장실도어를 통하여 냉장실내부의 전면으로 냉기가 확산 공급되고, 냉장실의 후측을 통하여 냉동실내의 증발기로 냉기가 순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단열벽의 과다한 두께를 없앨 수 있음과 동시에 냉장실로 통하는 별도의 냉기공급덕트를 없앨 수 있음은 물론 냉기공급통로의 거리를 단축하여 냉장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간단열벽(140)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냉동실(120) 및 냉장실(130)이 배치되고, 이들 냉동 및 냉장실(120)(130)의 전면 개구를 각각 개폐하도록 냉동 및 냉장실도어(190)(200)가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120)내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130)의 전측으로 유입되게 함과 동시에 냉장실(130)내의 냉기가 냉동실(120)의 후측으로 배출되게 순환시키도록 상기 중간단열벽(140)의 전측과 후측에 형성된 제1냉기통로(141) 및 제2냉기통로(142)와, 상기 제1냉기통로(141)에서 배출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도어(200)의 두께면 내부를 통하여 냉장실(130) 내부로 균일하게 확산 분출되도록 냉장실도어(200)에 제1냉기통로(141)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3냉기통로(205) 및 다수개의 냉기분출구(204)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냉기통로(205)는 상기 냉장실도어(200)의 내면 가장자리에 돌출된 도어선반지지턱(202)내에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냉기분출구(204)는 제3냉기통로(205)와 냉장실(130) 내부가 서로 연동되도록 제3냉기통로(205)의 다수의 소정위치에 분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KR2019950008110U 1995-04-20 1995-04-20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KR0133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110U KR0133005Y1 (ko) 1995-04-20 1995-04-20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110U KR0133005Y1 (ko) 1995-04-20 1995-04-20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212U KR960035212U (ko) 1996-11-21
KR0133005Y1 true KR0133005Y1 (ko) 1999-02-18

Family

ID=1941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110U KR0133005Y1 (ko) 1995-04-20 1995-04-20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0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212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9592C (zh) 冰箱
KR100584271B1 (ko)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JP3594544B2 (ja) 冷蔵庫
KR0133005Y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KR100455416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20170026054A (ko) 냉장고
KR10040446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0143519Y1 (ko)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분배장치
KR100414289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100455417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0138632B1 (ko) 냉장고
KR200152099Y1 (ko) 냉장고의 냉동실 급속제빙장치
KR200292004Y1 (ko) 냉장고
KR100239769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0142505Y1 (ko) 냉장고
KR20030018840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763152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0117034Y1 (ko) 냉장고의 냉기분포장치
KR19990034890A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KR0168268B1 (ko) 냉장고의 에어커튼장치
KR100451352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0168267B1 (ko) 냉장고의 에어커튼장치
KR19980010155U (ko) 냉장고의 야채상자
KR0120664Y1 (ko) 냉장고
KR0168269B1 (ko) 냉장고의 에어커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42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2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20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5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8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