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2948B1 -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948B1
KR0132948B1 KR1019940036962A KR19940036962A KR0132948B1 KR 0132948 B1 KR0132948 B1 KR 0132948B1 KR 1019940036962 A KR1019940036962 A KR 1019940036962A KR 19940036962 A KR19940036962 A KR 19940036962A KR 0132948 B1 KR0132948 B1 KR 0132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call
service
block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664A (ko
Inventor
신상권
나재훈
이용균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6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948B1/ko
Publication of KR96002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대역 ISDN(이하 N-ISDN으로 칭함)용 교환기에서의 N-ISDN 사용자-망 접속 신호방식을 만족하며 기능적 프로토콜의 수용이 가능한 디지틀 가입자(기본정합 가입자, 1차군정합 가입자, 기본접속다중 가입자)에게 한 가입자를 보류시켜 놓고 또다른 가입자의 호를 통화중 상태에서 삼자통화로 전환시키는 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국제 표준 규격(CCITT)의 N-ISDN 가입자-망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모든 N-ISDN 교환기에 적용가능하며N-ISD N 단말장치는 기존 기능의 추가 없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산 제어 시스템인 전전자 교환기의 개략적인 구조도,
제2도는 N-ISDN 교환기에서 디지틀 가입자 B(CR1)에게로 착신되는 기본호의 처리 절차도,
제3도는 착신 가입자B(CR1)가 통화중인 A-B(CR1) 가입자를 보류상태로 만들때의 망내부의 처리 절차도,
제4도는 착신된 B(CR1)의 호를 보류시킬 때 까지의 망내에서의 프로세서 생성, 소멸을 나타내는 절차도,
제5도는 착신된 B(CR1)의 호를 보류시킨 상태에서 B(CR2)가입자가 삼자통화를 시도할 때 망에서의 제어 프로세스의 천이도,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협대역 ISDN(이하 N-ISDN으로 칭함)용 교환기에서의 N-ISDN 사용자-망 접속 신호방식을 만족하며 기능적 프로토콜의 수용이 가능한 디지틀 가입자(기본정합 가입자, 1차군정합 가입자, 기본접속다중 가입자)에게 한 가입자를 보류시켜 놓고 또다른 가입자의 호를 통화중 상태에서 삼자통화로 전환시키는 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공중 전화 교환망(PSTN)에서 아날로그 접속방식으로 전화 사용 가입자에 제공되는 삼자 통화 서비스는 상용화된 기술이다.
그러나 기존의 망을 흡수하여 단일한 망인 N-ISDN을 구축함에 있어서 기존의 삼자통화 서비스는 N-ISDN 가입자-망과의 접속규격을 만족하지 못하여 가입자와 망간의 신호 전송 채널이 별도로 제공되지 않으므로 오직 정보 전송 채널을 통한 가청음에 의해서만 제한된 정도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공중 전화 교환망(PSTN)과는 달리 가입자와 교환기간의 접속 규격이 상이  N-ISDN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가청음만을 사용하여 가입자에게 서비스되므로 전화외의 데이터 모드 단말에는 서비스 제공이 불가하여, 전화, 데이터등 모든 N-ISDN 접속 단말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망에서의 제어와 부가서비스 사용방법의 표준화가 유리한 기능적 프로토콜(Functional Protocol)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삼자통화 기능의 구현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N-ISDN 가입자로 발신 또는 착신된 호를 보류(Hold)시켜 놓고 또다른 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중 상태에서 삼자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것으로 기존의 PSTN망과의 서비스 연동을 실현하는 N-ISDN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그리고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의 부시스템(SubSystem)을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에 있어서, 삼자통화 서비스를 제어하는 모 프로세스(Outmost Process)로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요청을 받은 디지틀 삼자통화 처리 블럭은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을 검색하여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가 등록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제1단계;삼자통화 서비스를 제어하는 모 프로세스(Outmost Process)로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요청을 받은 디지틀 삼자통화 처리 블럭은 삼자통화 서비스 제어를 전담하는 자 프로세스(Child Process)를 생성시키고 가입자로 부터 해제 요구시 자신의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리턴하는 제2단계;자 프로세스는 가입자를 제어하는 프로세스와 통신하기 위한 각종 데이타를 계산하고 가입자 A(임의로 가입자 A, B, C설정)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통신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계산하고 가입자 A에게 보류음을 연결하고 가입자 A와 가입자 C의 통화로를 연결하도록 가입자 A쪽의 제어프로세스에게 요구하고 가입자로 부터 해제 요구시 자신의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리턴하는 제3단계; 자 프로세스(Child Process)는 보류가입자(CR1)의 제어 프로세스로 서비스 천이 요구를 하여 서비스 천이 응답이 없으면 통화중인 가입자(CR2)는 통화중 상태로 기본호 처리 블럭으로 제어를 인계하고 리턴하는 제4단계; 자 프로세스(Child Process)는 보류가입자 B(CR1)의 제어 프로세스를 서비스 천이 요구를 하여 서비스 천이 응답을 받고 통화중인(CR2) 가입자 C로부터 서비스 천이 요구를 하여 서비스 제어 천이 응답을 받으면 기존의 통화로 연결을 단절한후 삼자 통화 장비 할당을 요구하는 제5단계;삼자통화중 특수서비스 코드[*14]를 사용하여 C가입자와 CMX(Conference Mixer)를 해제한 후 자 프로세스는 가입자 B(CR1)로 호 재개를 위해 재개 요청을 하고 자신의 자 프로세스는 소멸되고 리턴하는 제6단계; 삼자통화중 가입자 A(CR1)가 호 해제를 요구하면 자 프로세스는 모든 CMX를 해제 한후 다시 재개를 위해 B 채널을 재 할당해 주고 가입자 B(CR2)로 재 통화를 통보하고 기본호 처리 블럭으로 천이요청을 하여 제어천이 확인 통보를 받으면 호 재개 확인 통보후 양자통화로 연결후 기본호 처리 블럭으로 제어를 인계하고 리턴하는 제7단계; 삼자통화중 가입자 C(CR2)가 호 해제를 요구하면 자 프로세스는 모든 CMX를 해제한후 자 프로세스는 가입자 B(CR1)로 호 재개를 위해 재개 요청을 하고 자신의 자 프로세스는 소멸되고 리턴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점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N-ISDN 가입자-망 인터페이스를 만족하는 사설 교환기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음성 교환망(PSTN)과의 연동을 충분히 고려하여 기본망의 수정없이 디지틀 가입자 삼자통화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국제 표준 규격(CCITT)의 권고안에 바탕을 두어 N-ISDN 가입자-망의 신호방식을 만족하는 N-ISDN 교환기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독립된 블럭으로 그 기능을 구현하므로 타 기능과 수행하는 블럭과 독립성이 유지되어 호처리 기능과 효율성을 도모하여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모듈성(Modularity)를 좋게한다.
그리고, 기존의 PSTN 망에서 삼자통화 기능을 수행시에는 삼자통화 기능 가입자는 삼자 통화를 완료하면 그 호가 제대로 통화로가 연결 또는 해제되었는지 알수 없었으나 N-ISDN 망에서는 가입자 단말의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하여 서비스 성공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서 시각적인 확인도 가능하게 되었고, 삼자통화 서비스 실패시 실패메시지를 단말의 LCD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능동적으로 행동을 취할수 있도록 하였으며 삼자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한층 더 향상 시킨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로서,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그리고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의 3개의 부 시스템(Subsystem)으로 구성된다.
상기 ASS는 가입자 및 트렁크 인터페이스, 시간스위치, 각종 신호장치, 패킷 핸들러(Packet Handler)등을 구비하여 대부분의 호처리 기능과 자체 기능등을 수행하여 시스템적으로 수평 분산구조를 갖는다.
또한 최대 60개의 ASS를 통하여 연결이 가능하고, 소스(Source)상태의 ASS는 하나로 존재하지만 응용 단계에서는 ASS_S(SubsCR1ber), ASS_I(ISDN SubsCR1ber), ASS_T(Trunk) 그리고 ASS_7(No.7 Signaling System)으로 분류되며, ASS_S에서는 교환기에 수용된 가입자에 대한 호 처리 기능과 ISDN 가입자에 대한 호 처리 기능을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가, ASS_T에서는 수용된 국간 회선 호처리 기능을 ASP가, ASS_7에서는 No.7신호 방식의 메시지 전달부(MTP:Message Transfer Part)와 신호 연결 제어부(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의 기능을 ASP와 SMHP(Signaling Message Handling Processor)가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INS에서는 각 ASS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호 처리 기능인 번호 번역 기능과 루팅 제어 기능 그리고 공간 분할 스위치 제어 기능을 NTP(Number Translation Processor)와 INP(Interconnection Network Processor)가 각 수행하며, CCS에서는 시스템의 운용 및 보전 기능 타 시스팀과의 데이타 채널 연결 기능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하드웨어 구조의 전전자 교환기에서 디지틀(ISDN) 가입자 삼자통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대상은 서브시스템 ASS이고, ASS내에 디지틀 삼자통화 처리 소프트웨어 블럭인 DMULC(Digital MULtic way Call)을 탑재하여 기존의 기본호 서비스 블럭들과 상호작용하여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지틀 삼자통화 기능이 구현되는 시점은 기존의 한 호를 보류시키고 새로운 가입자와 통화중 상태에서 삼자통화가 이루어지므로 기본호 처리과정부터 기술하고 이후 본 발명에 대하여 기술한다.
전전자 교환기 디지틀 기본호 처리를 위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 블럭은 DCC(Digital Circuit Control), UPC(User Part Control), NTR(Number TRanslation), RCO(Rute COntrol)이고 호 믹서(Call Mixer)를 연결하기 위하여 GSC(Global Service Control) 블럭이 있다. 여기서 NTR은 INS 서브시스템에, 나머지 블럭은 ASS 서브시스템에 탑재된다. 그리고 디지틀 가입자로부터 보내지는 각종 요구(Request) 및 응답(Connect)메시지가 DCC 블럭으로 전달되어지고 DCC 블럭은 각 메시지를 검토하여 메시지 내용(요구)에 따라서 처리를 한다.
제2도는 N-ISDN 교환기에서 디지틀 가입자 B로 착신되는 기본호의 처리 절차도로서, 기본호 처리과정을 일괄처리(Enbloc) 방식(CCITT 권고사항 Q.931 참조)을 전제로 하여 살펴본다.
발신 가입자A(sub-A)로 부터 호설정(SETUP) 메시지를 받은 발신측 DCC-a 블럭은 요구되어진 호가 음성(Speech)인가를 확인하고, 착신번호를 구하여 NTR 블럭으로 국번호 번역요구(Pfx TransRQ)를 하고, NTR블럭으로 부터 자국호통보(IntCallRP) 또는 타국호 통보(OutgoingCallRP)를 받는다.
그러면 발신 DCC-a 블럭은 NTR 블럭으로 착신번번호번역요구(CdNoTransRQ)를 하고 NTR 블럭이 착신 DCC-b 블럭으로 착신점유요구(DigCdSubsSzRQ)를 한다. 이후 발신 DCC-a 블럭으로 착신 DCC-b 블럭이 발신정보요구(DigCgInfoRQ)를 하며 발신에서는 음성스위치(시간 스위치, 공간 스위치) 연결를 하고 착신으로 전화 호의 속성값을 보낸다(DigCgInfoRP).
발신정보를 통보받은 착신 DCC-b 블럭은 착신 디지틀 가입자 B(sub-B)로 호설정(SETUP) 메시지를 내려보내 호 착신 통보를 한다.
이후 착신 DCC-b 블럭은 착신 디지틀 가입자B(sub-B)로부터의 호출(ALERT) 및 응답(CONNECT) 메시지를 발신 DCC-a 블럭으로 전송하며 호는 통화상태로 들어간다. 통화상태에서 호 해제는 발신, 착신 디지틀 가입자중 아무라도 선해제 할 수 있으며 해제 통보(DICONNECT)를 가입자로부터 받은 DCC 블록은 상대 DCC 블럭으로 해제 (DigCgRelRP, DigCdRelRP)를 통보하여 호 해제를 완료한다(RELEASE, REL COMP).
제3도는 착신 가입자B(sub-B)가 통화중인 발신 가입자(sub-A)를 보류(Hold) 상태로 만들때의 망내부의 처리 절차도로서, DSSC-a는 DCC-a로 부터 발신 가입자A(sub-A)의 제어를 승계받은 부가서비스 처리블럭이고, DSSC-b(CR1)는 DCC-b로 부터 발신 가입자A(sub-A)와 착신 가입자B(sub-B)간의 제어를 승계받은 부가서비스 처리블럭을 각각 나타낸다.
먼저, 디지틀 착신 가입자B(sub-B)가 보류키(Hold Key)를 누르면 착신 가입자(sub-B)의 DCC-b에서 보류(HoldIC) 메시지를 받아 부가서비스 호보류 천이 블럭인 DSSC(Digital SubsCR1ber Service Control)블럭으로 보류 요구(HoldRQCS)메시지를 보내고 자신(DCC Process)은 소멸된다.
부가서비스 천이 요구 메시지를 받은 DSSC-b는 착신 DCC의 프로세서 인식 번호를 인계 받아 전전자 교환기에서 제공되는 상위레벨 운영체계(CROS:Concurrent Real Time Operating System)의 프리미티브를 사용하여 착신 DCC-b를 중지(STOP)시키고 자신의 자 프로세스(Child Process)를 생성시켜 제어를 넘겨준다.
새로 생성된 착신 DSSC-b(CR1) 블럭은 발신 DCC-a 블럭으로 서비스 천이 요구(SubsSvcRQ) 메시지를 보내고 발신 DCC-a 블럭은 발신 DSSC-a로 부가 서비스 천이 요구(DigSubsSvcCtrlRQ) 메시지를 보낸다.
발신 DSSC-a는 착신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발신 DCC-a 블럭은 소멸되고 발신 DSSC-a 블럭으로 제어를 인계한다.
발신측에 새로 생성된 DSSC-a는 착신 DSSC-b(CR1) 블럭으로 서비스 천이 확인 메시지(SubsSvcACK)를 보내고 착신 DSSC-b(CR1) 블럭은 메시지를 받아 착신가입자로 보류 확인 메시지(HoldAckCI)를 보내고 발신 DSSC-a 블럭으로 보류음 연결 요구(HoldToneConnRQ) 메시지와 가입자 서비스 통보(SubsSvcRP)를 한다.
발신 DSSC-a는 보류음 연결 요구를 받으면 기존의 시간스위치를 해제하고 발신 가입자에게 보류음(HoldTone)을 연결함으로서 디지틀 발/착신 가입자(sub-A, sub-B)(CR1)간에는 부가서비스 제어 블럭인 DSSC가 제어하는 보류상태가 된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도와 제3도의 호 보류 방식은 기본적으로는 PSTN에서 제공되는 방식과 동일한 개념에서 설계되었으나 키패드 프로토콜(Keypad Protocol)만을 사용하던 PSTN망과는 달리 기능적 프로토콜(Functional Protocol)을 이용하여 보류키를 사용한 기본호의 보류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단말이 지능화 됨에 따라 2개(2B+D)의 호 참조 번호(Call Reference Number)의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PSTN과는 다른 새로운 개념으로의 망에서의 구현 방식을 제4도에서부터 기술한다.
제4도는 착신된 B(CR1)의 호를 보류시킬 때 까지의 망내에서의 프로세서 생성, 소멸을 나타내는 절차도로서, 제2도와 제3도를 간소화시켜 가입자의 제어를 담당하는 망에서의 프로세스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틀 가입자(sub-A, sub-B)(CR1)간 정상통화시에는 DCC에서 이들을 제어하다가 착신 가입자B(sub-B)가 호를 보류 시켰을 때 망에서의 제어 프로세서가 DCC에서 DSSC 블럭으로 제어 이전을 하고 DCC 블럭은 소멸된다.
제5도는 착신된 B(CR1)의 호를 보류시킨 상태에서 B(CR2)가입자가 삼자통화를 시도할때 망에서의 제어 프로세스의 천이도로서, 기존의 가입자 A-B(sub-A, sub-B)(CR1)간 보류 상태에서 가입자B(sub-B)(CR2)가 새로운 착신호를 호출하여 삼자통화를 시도 할때까지의 과정을 망에서의 프로세스 생성 관점에서 나타낸 것이다.
단말이 2개(2B+D)의 호 참조 번호를 관리 하는것이 가능하므로 가입자B(CR2)가 새로운 착신 가입자C를 호출하기 위하여 망으로 호 설정(SETUP)메시지를 보내면 망에서는 기존의 DSSC-b(CR1)와는 전혀 별개의 프로세스인 DCC-b(CR2)가 새로이 생성되어 가입자B(CR2)를 제어한다. 새로 생성된 가입자 B(CR2)에서 새로운 발신 가입자 DCC-b(CR2)와 새로운 착신 가입자 C(DCC-c)간의 제어 절차는 제2도와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새로운 가입자 B(CR2)와 C(DCC-c)간의 통화중에 삼자통화를 요구하게되면 B(CR2)-C 가입자의 제어가 부가서비스 제어 블럭인 DSSC-b(CR2)로 제어가 인계되고 DCC-b(CR2)블럭은 소멸된다. B(DR2) 가입자는 최종적으로 삼자통화를 직접 제어하는 DMULC 블럭으로 다시 제어가 인계되고 DSSC-b(CR2)블럭은 소멸되고 망에서는 가입자 B를 제어하기 위한 2개의 프로세서(CR1, CR2)가 생성되고 A, C 가입자는 각각 하나의 프로세스가 이들을 제어한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흐름도이다.
제6A도 내지 제6B도는 CR1(호 참조 번호1)가 보류상태이고 CR2(호 참조 번호2)는 통화중에 발신 가입자B(CR2)가 삼자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삼자통화 기능 요청 코드(*34*)를 사용한 이후부터의 처리 절차도이다.
DCC-b(CR2)는 가입자B의 두 번째 호 참조 번호(CR2)로 가입자B를 제어하는 기본호 처리블럭이고, DSSC-b(CR2)는 상기 DCC-b(CR2)로 부터 가입자B의 제어를 승계받은 부가 서비스 처리블럭, DMULC는 상기 DSSC-b(CR2)로 부터 가입자B의 제어를 승계받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 블럭, DCC-c는 가입자의 제어를 담당하는 기본호 처리블럭, DSSC-c는 상기 DCC-c로 부터 가입자C의 제어를 승계받은 부가 서비스 처리 블럭을 각각 나타낸다.
가입자B(CR2)가 삼자통화를 위한 기능 요청코드(InformIC[*34*])를 디지트하면 DCC-b(CR2)블럭이 이를 받아서 DSSC-b(CR2)로 정보 메시지(InformCS)를 보내 제어가 승계되고 DCC-b(CR2)블럭은 소멸된다. DSSC-b(CR2)는 NTR 블럭으로 번호번역요구(PfxTransRQ)를 하고 NTR 블럭은 DSSC-b(CR2) 블럭으로 특수 서비스코드 통보 (SsOpCodeRP)를 하면 DSSC-b(CR2)는 특수 서비스 코드(SsOpCodeRP)를 분석하여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이면 DMULC 블럭으로 삼자통화 서비스 요구(DigTWCSvcRQ)를 하고 DSSC-b(CR2)블럭은 소멸된다.
삼자통화 처리 블럭인 DMULC 블럭은 보류된 DSSC-b(CR1)블럭으로 서비스 천이 통보 (PairSvcRP)를 하고 DSSC-b(CR1) 블럭은 신호를 받아 호 참조번호(PairSvcRPAck)를 DMULC 블럭으로 통보하면 DMULC 블럭은 이것을 분석하여 필요한 호 참조(CR) 번호를 보관해 둔다.
DSSC-b(CR1)은 발신가입자인 DSSC-a로 가입자 서비스 천이 통보(SubsSvcRP)를 한다. DMULC 블럭은 DCC-c로 가입자 서비스 천이 요구(SubsSvcRQ)를 하고 DCC-c는 부가 서비스 처리 블럭인 DSSC-c로 가입자 서비스 천이 요구(DigSubsSvcCtrlRQ) 를 하면 DSSC-c는 DMULC 블럭으로 서비스 확인 메시;지(SubsSvcACK)를 통보하고 DCC-c는 소멸된다.
통화중인 B(CR2)-C(DSSC-c)가입자간의 제어와 A-B(CR1)가입자의 DSSC-b(CR1)는 DSSC-a로 중계 역활을 담당하게 되며 이후 DMULC 블럭이 주도가 되어 B(CR2)-A-C간 삼자 통화 서비스 연결 및 해제를 제어하게 된다. DMULC 블럭은 B(CR2)-C간의 통화중인 호를 삼자통화로 전환하기 위하여 기존의 통화중인 스위치를 해제요구(AltSwChRelRQ)하고 GSC(Global Service Control) 블럭으로 CMX(Conference Mixer) 연결 요구(CmxConnRQ)를 한다. GSC 블럭은 DMULC 블럭으로 CMX가 연결되었다는 CMX 연결 통보(CmxConnRP) 를 하면 DMULC 블럭은 A-B간의 일반호를 연결한 모든 정보를 해제한 후 착신측의 공간스위치와 CMX를 연결하고 DMULC블럭은 DSSC-b(CR1) 블럭으로 스위치 정보변경 요구(SwInfoChngRQ)를 하면 DSSC-b(CR1)블럭은 DSSC-a블럭으로 다시 중계하여 DSSC-a는 기존의 스위치 정보를 해제한후 발신측에 공간스위치와 CMX 연결을 한다.
DMULC와 DSSC-a는 CMX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로 보류음이 계속 송출되고 B(CR2)와 C간의 CMX를 연결하기 위하여 DMULC 블럭은 GSC 블럭으로 CMX(Conference Mixer) 연결 요구(CmxConnRQ)를 한다. GSC 블럭은 DMULC 블럭으로 CMX 연결 통보(CmxConnRP) 를 하면 DMULC 블럭은 DSSC-c 블럭으로 CMX채널 통보(CmxChRP)를 하고 DSSC-c 블럭은 기존의 스위치 정보를 CMX 채널로 변경한다.
DMULC 블럭에서는 음성스위치(시간 스위치, 공간 스위치) 연결을 하고 DSSC-b(CR1)블럭으로 보류음 해제 요구(HoldToneRelRQ)를 하면 DSSC-b(CR1)는 다시 DSSC-a블럭으로 보류음 해제 요구(HoldToneRelRQ)를 중계하여 A가입자의 보류음을 해제하고 음성스위치(시간 스위치, 공간 스위치) 연결을 하며 A-B-C간의 완전한 삼자통화로가 형성된다. 상기한 설명에서 표현된 A, C 가입자의 제어 프로세스 DCC와 DSSC는 PSTN망에서는 ASC와 SSCO가 같은 역할을 담당하며 삼자통화 기능 가입자만이 N-ISDN 접속 프로토콜만 만족하면 가입자 A, C 가입자는 N-ISDN이 아니더라도 연동이 가능 하도록 N-ISDN에서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PSTN 망과의 연동이 가능하다.
제7A도 내지 제7B도는 삼자통화중 기능요청 코드[*14*]를 사용한 C가입자(최종 호출 가입자)를 해제 처리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가입자 B(CR2)가 삼자통화중 기능 요청코드[*14*]를 누르면 DMULC 블럭은 NTR 블럭으로 번호번역요구(PfxTransRQ)를 하고 NTR 블럭은 DMULC 블럭으로 특수 서비스코드통보(SsOpCodeRP)를 하며 DMULC 블럭은 특수 서비스 코드를 분석하여 삼자통화 해제 코드(TWC_rel)가 아닌 다른 서비스코드이면 DMULC 블럭은 요청코드를 삭제한 후 계속 삼자통화중으로 남아있는 상태이며, 삼자통화 해제 요구(TWC_rel)를 NTR 블럭으로 부터 신호를 통보 받으면 GSC 블럭으로 CMX해제 요구(CmxRelRQ)를 보내 모든 CMX를 해제한다.
그리고 DMULC 블럭은 DSSC-c 블럭으로 발신해제통보(DigCgRelRP)를 보내고 DSSC-b(CR1)로 재개 통보(PairRetrieveRP)를 하면 DMULC 블럭과 DSSC-c 블럭의 모든 정보를 해제하고 각각의 블럭들은 소멸된다.
상기 DSSC-b(CR1)은 재개통보(PairRetrieveRP)를 받은 후 CMX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스위치 정보를 해제한후 일반 통화로 스위치를 연결하기 위하여 SNC로 스위치 채널 연결 요구(SwChConnRQ)를 한다. SNC는 DSSC-b(CR1) 블럭으로 스위치 채널 연결 통보(SwChConnRP) 를 하면 DSSC-b(CR1) 블럭은 음성스위치(시간 스위치, 공간 스위치) 연결를 하고 발신가입자인 DSSC-a로 기본호 변경 요구(Norm ChngRQ)를 한다. DSSC-a 블록은 음성스위치(시간 스위치, 공간 스위치) 연결을 하고 기본호 처리블럭을 제어하는 DCC-a로 제어 요구(NormDCCCtrlRQ)를 하고 DSSC-a블럭은 소멸된다. DCC-a는 착신가입자인 DSSC-b(CR1)로 변경 확인 요구(NormChngACK)를 하고 DSSC-b는 기본호 처리블럭인 DCC-b로 제어 요구(NormDCCCtrlRQ)를 하면 양자 통화(A-B)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기본호 처리블럭인 DCC블럭으로 제어를 인계한고 DSSC-b 블럭은 소멸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삼자 통화 서비스 처리 블럭인 DMULC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데 바탕이 되는 상태 천이 흐름도로서, 이러한 흐름도의 개념의 골격이 되어 실제의 소스 프로그램을 이끌어 내게 한다.
삼자통화 서비스를 제어하는 모 프로세서(Outmost process)로 삼자통화 서비스 요구가 들어 오면(801), 모 프로세스는 삼자통화 서비스 요구를 전담하는 자 프로세스를 생성시켜, 가입자 B2(CR2)와 가입자C가 통화중에 3자 통화 서비스(DigTWCSvcRQ) 요구가 요청되는 지를 무한히 감시하다가 서비스 요청 신호가 접수되면 부가서비스를 제어하는 DSSC로 부터 제어를 승계한후 삼자 통화 서비스 제어를 수행하는 삼자통화 제어 프로세서를 생성시킨다(702).
보류중인 상대 가입자측의 DSSC의 B(CR1)가입자와 정보(호 참조번호)를 교환하여(703), 삼자통화를 실현하기 위해 실제적인 통화로 연결요구를 제어한다. 자 프로세스는 기존의 통화로를 해제한 후(704), 삼자통화 장비 할당을 요구하며(705), 보류된 가입자의 보류음 해제후 삼자통화를 형성한다(706). 삼자 통화중 자국 착신 가입자 또는 중계호의 착신 가입자가 해제를 요구하면 CMX와 해당 통화로를 해제하고 발신 가입자가 해제를 요구했을때 통화중인 모든 가입자의 CMX와 통화로를 제어하여 해제시킨다(707).
삼자 통화 서비스인 경우에는 최대 3인까지 삼자 통화가 가능하며 삼자 통화중 새로운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가 요청되면(708), 마지막 3번째 가입자(CR2)를 해제한후 서비스 요구시마다 기존의 통화자들을 보류상태에 놓고 3인 통화 장비를 추가하여 새로운 가입자를 통화에 참여 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국제 표준 규격(CCITT)의 N-ISDN 가입자-망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모든 N-ISDN 교환기에 적용가능하며 N-ISDN 단말장치는 기존 기능의 추가 없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그리고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의 부시스템(SubSystem)을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에 있어서, 삼자통화 서비스를 제어하는 모 프로세스(Outmost Process)로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요청을 받은 디지틀 삼자통화 처리 블럭은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을 검색하여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가 등록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제1단계; 삼자통화 서비스를 제어하는 모 프로세스(Outmost Process)로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요청을 받은 디지틀 삼자통화 처리 블럭은 삼자통화 서비스 제어를 전담하는 자 프로세스(Child Process)를 생성시키고 가입자로 부터 해제 요구시 자신의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리턴하는 제2단계; 자 프로세스는 가입자를 제어하는 프로세스와 통신하기 위한 각종 데이타를 계산하고 가입자 A(임의로 가입자 A, B, C설정)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통신하기 위한 각종 데이타를 계산하고 가입자 A에게 보류음을 연결하고 가입자 A와 가입자 C의 통화로를 연결하도록 가입자 A쪽의 제어프로세스에게 요구하고 가입자로 부터 해제 요구시 자신의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리턴하는 제3단계; 자 프로세스(Child Process)는 보류가입자(CR1)의 제어 프로세스로 서비스 천이 요구를 하여 서비스 천이 응답이 없으면 통화중인 가입자(CR2)는 통화중 상태로 기본호 처리 블럭으로 제어를 인계하고 리턴하는 제4단계; 자 프로세스(Child Process)는 보류가입자 B(CR1)의 제어 프로세스로 서비스 천이 요구를 하여 서비스천이 응답을 받고 통화중인(CR2) 가입자 C로부터 서비스 천이 요구를 하여 서비스 제어 천이 응답을 받으면 기존의 통화로 연결을 단절한후 삼자 통화 장비 할당을 요구하는 제5단계; 삼자통화중 특수서비스 코드[*14]를 사용하여 C가입자와 CMX(Conference Mixer)를 해제한후 자 프로세스는 가입자 B(CR1)로 호 재개를 위해 재개 요청을 하고 자신의 자 프로세스는 소멸되고 리턴하는 제6단계; 삼자통화중 가입자 A(CR1)가 호 해제를 요구하면 자 프로세스는 모든 CMX를 해제한후 다시 호 재개를 위해 B 채널을 재 할당해 주고 가입자 B(CR2)로 재 통화를 통보하고 기본호 처리 블럭으로 천이요청을 하여 제어천이 확인 통보를 받으면 호 재개 확인 통보후 양자통화로 연결후 기본호 처리블럭으로 제어를 인계하고 리턴하는 제7단계; 삼자통화중 가입자 C(CR2)가 호 해제를 요구하면 자 프로세스는 모든 CMX를 해제한 후 자 프로세스는 가입자 B(CR1)로 호 재개를 위해 재개요청을 하고 자신의 자 프로세스는 소멸되고 리턴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KR1019940036962A 1994-12-23 1994-12-23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KR013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962A KR0132948B1 (ko) 1994-12-23 1994-12-23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962A KR0132948B1 (ko) 1994-12-23 1994-12-23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64A KR960027664A (ko) 1996-07-22
KR0132948B1 true KR0132948B1 (ko) 1998-04-21

Family

ID=1940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962A KR0132948B1 (ko) 1994-12-23 1994-12-23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605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종합정보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의 호 전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605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종합정보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의 호 전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64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4266A (en) Circuit switching system for interconnecting logical links between packet switching networks
US6741610B1 (en) Universal protocol conversion
US6967972B1 (en) Universal protocol conversion
CA2314927C (en)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and a management control agent and operating protocol therefor
JPH11262039A (ja) コンピュータと電話の統合システム
UA51673C2 (uk) Система керування телекомунікаційним обслуговуванням
KR100281090B1 (ko)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US6363142B1 (en) Network directed call pickup service
US4706242A (en) Digital telecommunication system
NL1001458C2 (nl) Systeem voor signaaloverdracht tussen bedrijfscentrales.
KR0132948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용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삼자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KR100198930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회의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KR970000071B1 (ko) 협대엽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호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JP2731007B2 (ja) 回線交換システム
KR100228310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
KR97000273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No.7 신호방식 사용자부와 메시지 전달부간 정합 방법
KR960013278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디지틀 가입자 호 보류 방법
KR97000067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넘버7(No.7) 신호방식 종합정보 통신망 사용자부와 애널로그 가입자와의 정합방법
KR100263381B1 (ko) 교환기에 있어서의 v5.2 인터페이스 구현장치
KR10026337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 그룹간 호 전환방법
KR0146766B1 (ko) 분산제어 교환시스템에서 전화 사용자부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가입자의 호를 제어하는 방법
KR940007917B1 (ko) Isdn 사용자부의 구현방법
KR960008428B1 (ko) 디지틀가입자 회선호 발신처리시 통신로 설정 및 해제 방법
KR10023747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야간서비스 활성화방법
KR950010493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디지틀(isdn) 가입자 착신호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4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