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2926Y1 - 다목적 조적블록 - Google Patents

다목적 조적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926Y1
KR0132926Y1 KR2019940031840U KR19940031840U KR0132926Y1 KR 0132926 Y1 KR0132926 Y1 KR 0132926Y1 KR 2019940031840 U KR2019940031840 U KR 2019940031840U KR 19940031840 U KR19940031840 U KR 19940031840U KR 0132926 Y1 KR0132926 Y1 KR 0132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onry
masonry block
present
assembl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791U (ko
Inventor
윤형원
Original Assignee
윤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원 filed Critical 윤형원
Priority to KR2019940031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926Y1/ko
Publication of KR9600177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7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적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적블록의 상,하면에 서로 위치가 상이한 조립공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공에 조립봉을 끼워 조적하되 다양한 형태로 조적가능케되므로 조립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외적미려감의 제공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다목적 조적블록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벽돌은 이들을 조적할 때 벽돌 상부에 몰탈을 깔고 그 상부에 다시 벽돌을 조적시키는 형태로 벽돌들의 수평과 수직을 맞추는데 따른 작업이 어려워 작업의 숙련이 요구되었고 어느 정도의 높이까지 조적하면 몰탈이 굳는 시간이 필요하여 비경제적이었으며 벽돌을 쌓은 후에는 벽돌사이에 노출된 몰탈을 다듬질하는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조적블록의 상,하면에 서로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된 조립공에 조립봉을 끼워 조적하되 하면 일측에 형성된 돌기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조적하므로 조립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수평력에도 우수한 견고성이 제공되고 조적블록의 양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1,2경사면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조적가능하여 외적미려감의 제공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다목적 조적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조적블록
제1도는 본 고안의 조적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제2도는 조립공이 단수개 형성된 경우이고,
제3도는 조립공이 복수개 형성된 경우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조적블록을 조적하는 데 사용되는 조립봉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조적블록을 조적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조적블록을 조적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조적블록을 조적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조적블록을 조적하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제9도 및 제10도는 본 고안의 조적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11도는 제9도의 조적블록의 조적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제12도의 (a)(b)는 제9도 및 제10도의 조적블록을 조적하는데 사용되는 조립편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a)는 제9도의 조적블록을 조적하는데 사용되는 사각조립편이고,
(b)는 제10도의 조적블록을 조적하는데 사용되는 원형조립편이다.
제13도는 본 고안의 조적블록을 조적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조적블록의 조적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몸체 3 : 조립공
5 : 지지돌기 8,9 : 제1,2경사면
10 : 조립봉 10 : 조립봉
13a : 사각조립홈 13b : 원형조립홈
13c : 홈부 15a : 사각조립편
15b : 원형조립편 15c : 조립바
본 고안은 조적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몸체상에 형성된 지지돌기나 별도의 조립봉을 이용하여 수직, 수평방향으로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조적가능하게 됨은 물론 다양한 형태로 조적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우수하게 되는 다목적 조적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벽돌은 상기 벽돌 상부에 몰탈을 깔고 그 상부로 다시 벽돌을 조적시키는 형태로 조적하게 되는데 벽돌의 수평 및 수직으로 일정하게 조적하는데는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게 되고, 이 경우에도 조적시마다 그 몰타르이 두께등에 의한 조적오차가 발생되어 외관상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벽돌의 경우 어느 정도의 높이 까지 조적이 이루어지게 되면 몰탈이 굳는 시간이 요구되고, 벽돌을 조적한 상태에서는 돌출된 몰탈을 다듬질하는 별도의 후작업이 요구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한 벽돌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한 벽돌이 여러 가지 형태로 알려진바 있는데 이는 상,하면에 돌조와 돌조요입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면과 일측면 호형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벽돌의 돌조와 돌조요입공을 이용하여 가 조립한 상태로 상기 호형절곡부에 몰탈을 부어 조적하도록 되므로 상기한 몰탈의 돌출방지, 수평 및 수직으로 일정하게 조적가능등의 다소 개선된 점이 있었으나 상기 벽돌상의 돌조가 운반등에 의해 파손될 경우에는 그 조적이 종래와 동일하게 되고 게다가 몰탈의 사용에 다른 작업상의 문제(몰탈의 굳는 시간요구등)와 수직, 수평방향으로 단지 돌조와 몰탈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견고성면에서도 여전히 많은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벽돌등은 그 형태가 대개 상자체로 형성되어 그 조적형태가 다양하게 제공되지 못하여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형태로의 조적에 제한을 갖게 됨은 물론 그 외적미려감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블록몸체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기에 의해 일측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조적하거나 상기 몸체의 상하면상에 서로 위치가 상이하게 조립공을 형성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별도 구비된 조립봉을 끼워 조적하게 되므로 몰탈의 사용이 배제되어 그 조립시공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수직, 수평방향으로의 조립견고성이 제공되는 다목적 조적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조적블록의 양측면으로 대향되게 제1,2경사면을 형성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조적이 가능하게 되어 외적미려감을 제공하게 되므로 제품사용에 따른 소비자의 신뢰도가 우수하게 되는 다목적 조적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블록몸체(1)의 전,후면(6)(7)을 전광후협으로 형성하고 양측면은 대향되게 제1,2,경사면(8)(9)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면일측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돌기(5)를 일체로 돌출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볼 때 상기 몸체(1)의 상,하면상에 단턱(3')을 갖는 조립홈(3)을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하되 상기 하면상의 조립홈(3)은 상면상의 조립홈(3)에 비해 지지돌기(5)의 두께만큼 어긋나는 위치로 형성되어서 상기 조립홈(3)에 이에 대응되게 형성된 조립봉(10)을 삽입하여 조적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첨부도면 제9도 내지 제12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9도에서는 몸체(11)를 직육면체로 형성하고 그 상하면상에 사각조립홈(13a)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면서 상기 사각조립홈(13a)에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사각조립편(15a)을 삽입하는 상태로 조적하게 되는 것이고, 제10도에서는 상기 직육면체로 형성된 몸체(11)의 상하면상에 원형조립홈(13b)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서 상기 원형조립홈(13b)에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원형조립편(15b)을 삽입하는 형태로 조적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직육면체로 형성된 몸체(11)의 상하면상에 가로, 세로방향으로 홈부(13c)를 직교되게 형성하여서 상기 홈부(13c)에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조립바(15c)를 삽입하는 상태로 조적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조적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보도, 화단, 수로등을 구축하도록 조적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그 조적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가 되는 조적블록을 지면상에 삽입설치 한 후 상기 블록 몸체(1)의 상면에 형성된 조립공(3)에 조립봉(10)을 삽입한 상태로 그 상부에서 다른 조적블록의 하부 조립공(3)이 상기 조립봉(10)에 끼워지는 형태로 조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적블록은 일측하부로 돌출된 지지돌기(5)가 하부의 조적블록의 몸체(1)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지지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돌기(5)의 폭만큼 몸체(1)하부의 조립공(3)과 상부의 조립공(3)이 어긋나는 위치에서 상호 조적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적블록은 상술한 수직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어긋나는 형태로 조적가능하게 되는데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의 두 조적블록 상부 중앙으로 상부 조적블록을 위치되게 하는 형태로 상호 조적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립블록은 별도로 구비된 조립봉(10)에 의해 조적가능하게 됨에 따라 그 운반작업 및 시공이 용이하여 비 숙련자에 의해서도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조적되는 블록의 경우 조립봉(10)과 블록의 일측 하부의 지지돌기(5)에 의해 블록의 내측에서 작용하는 수평력(F)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상태로 되어 밀림현상이 방지될 뿐 아니라 조립봉(10)의 전단등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견고한 상태로 조적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로 조적되는 조적블록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적·외적미려감을 주면서 다양한 형태로 조적가능하게 되는데, 제7도에서는 화단등을 원형의 형태로 조적하는 경우로서 본 고안의 조적블록이 몸체(1)의 후면(7)이 전면(6)보다 그 폭이 좁게 형성되도록 양측면으로 대향되게 제1,2경사면(8)(9)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폭이 좁게 형성된 후면(7)방향의 제2경사면(9)을 맞닿는 상태로 하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8도에서는 화단, 수로등을 S자 형태로 조적하는 경우로서 상기 블록몸체(1)의 폭이 넓게 형성된 전면(6)방향의 제1경사면(8)을 맞닿는 상태로 조적하다가 다시 폭이 좁게 형성된 후면(7)방향의 제2경사면(9)을 맞닿은 상태로 조적하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조적블록은 제9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게 되는데, 이는 직육면체로 형성된 몸체(11)의 상,하부면에 각각 사각조립홈(13a),원형조립홈(13b), 가로,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홈부(13c)에 이에 대응되는 사각조립편(15a), 원형조립편(15b), 조립바(15c)를 각각 삽입하는 형태로 조적하게 되므로 운반에 의한 조립 및 시공의 작업이 용이하게 됨은물론 상기 사각조립편, 원형조립편, 조립바에 의해 각각 수평방향으로의 견고성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조적블록은 블록과 조립봉등을 분리제작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조적이 가능하게 되어 조적에 의한 외적미려감을 부여하게 되며 또한 몰탈의 사용이 배제되면서도 견고하고 용이하게 조적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일정한 형태로 되어 수직, 수평으로 되는 조적블록에 있어서, 블록몸체(1)의 전,후면(6)(7)을 전광후협으로 형성하고 양측면은 대향되게 제1,2경사면(8)(9)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면일측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돌기(5)를 일체로 돌출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적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의 상하면에 단턱(3')을 갖는 조립홈(3)을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하되 상기 하면상의 조립홈(3)은 상면상의 조립홈(3)에 비해 지지돌기(5)의 두께만큼 어긋나는 위치로 형성하여 상기 조립홈(3)에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조립봉(10)을 삽입하면서 조적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적블록.
KR2019940031840U 1994-11-29 1994-11-29 다목적 조적블록 KR0132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840U KR0132926Y1 (ko) 1994-11-29 1994-11-29 다목적 조적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840U KR0132926Y1 (ko) 1994-11-29 1994-11-29 다목적 조적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791U KR960017791U (ko) 1996-06-19
KR0132926Y1 true KR0132926Y1 (ko) 1998-12-15

Family

ID=1939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840U KR0132926Y1 (ko) 1994-11-29 1994-11-29 다목적 조적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9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360B1 (ko) * 2013-04-29 2014-07-01 강화업 조립식 완구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360B1 (ko) * 2013-04-29 2014-07-01 강화업 조립식 완구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791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128A (en) Interlocking mortarless building block system
US67391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ncrete foundation wall
KR100472394B1 (ko) 무-모르타르식벽구조용블록
EP0596371A1 (en) Building block
US20060150559A1 (en) Two piece interlocking block system
JP2000204700A (ja) ブロック組立体及びそれで建造した壁
EP1553236B1 (en) Block
DK419786D0 (da) Byggesaet til fremstilling af kompoundbygningsvaerker
KR101763540B1 (ko)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모듈형 단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WO1985005140A1 (en) Vertically assembling box type blocks
KR0132926Y1 (ko) 다목적 조적블록
GB2047768A (en) Brick laying using spacers
KR200400095Y1 (ko)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US6145267A (en) Interlocking blocks of precise height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KR200258518Y1 (ko) 건축용 단열재 조립패널
KR200210972Y1 (ko) 철근 받침대
JPH0613292Y2 (ja) 土間コンクリ−ト用鉄筋の高さ調整具
JP3709274B2 (ja) 壁面構築用ブロックおよび壁面構造物
CA2183854C (en) Interlocking mortarless building block system
JP2001355356A (ja) ブロック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JP4074893B2 (ja) 型枠
KR200167578Y1 (ko) 울타리의 장식봉
KR200216927Y1 (ko) 조립식 조적블럭
JPH0892979A (ja) 壅壁の構築方法及び壅壁用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11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11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71215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5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0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