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2876B1 -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 및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876B1
KR0132876B1 KR1019930009749A KR930009749A KR0132876B1 KR 0132876 B1 KR0132876 B1 KR 0132876B1 KR 1019930009749 A KR1019930009749 A KR 1019930009749A KR 930009749 A KR930009749 A KR 930009749A KR 0132876 B1 KR0132876 B1 KR 0132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low tone
bass
sur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0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876B1/ko

Links

Landscapes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위상이 반대인 좌, 우측채널 오디오신호의 소정주파수대역의 저음을 각각 강조하기 위한 저음강조처리수단과, 저음이 강조된 좌, 우측채널 오디오신호의 분리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서라운드신호처리수단과, 저음강조처리수단 및 서라운드신호처리수단을 동작시킬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으로 구성되어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기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 및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처리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회로를 나타낸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음강조처리수단 16 : L채널저음강조부
17 : R채널저음강조부 20 : 서라운드신호처리수단
26 : L채널증폭부 27 : R채널증폭부
30 : 선택부 LS, RS : 좌, 우 스피커
본 발명은 휴대용 오디오기기에 있어서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기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신호의 주파수대역 즉, 가청주파수대역은 20Hz~20KHz이다. 그리고 오디오신호 중 음성성분은 대략 1KHz부근에 분포되고, 오디오신호 중 음향성분은 전가청주파수대역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특히 음향성분 중 북, 첼로, 베이스기타 등과 같은 저음악기의 음향성분은 저주파영역에 분포하며 저음전용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오디오신호의 그림자 즉, 임장감(현장감)을 살리기 위한 신호를 서라운드신호라고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음강조처리와 서라운드신호처리를 각각 분리하여 수행하고 있다.
제1도에 의하면, 저음강조처리수단(10)의 (L+R)신호발생부(11)에서는 좌, 우 헤드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좌측, 우측 채널오디오신호(L,R)를 좌측, 우측 채널오디오신호의 합신호(L+R)로 출력한다. 저역통과필터(LPF; 12)에서는 상기(L+R)신호발생부(11)의 출력신호 중 250Hz 이내의 오디오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제1오디오증폭부(13)에서 증폭한 후 저음전용 스피크(14)로 출력한다.
한편, 서라운드신호처리수단(20)의 (L-R)신호발생부(21)에서는 좌, 우 헤드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좌측, 우측 채널오디오신호(L,R)를 좌측, 우측 채널오디오신호의 차신호(L-R)로 출력한다. 지연부(22)에서는 상기 (L-R)신호발생부(21)의 출력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제2오디오증폭부(23)에서 증폭한 후 좌, 우측 오디오신호를 각각 좌, 우 스피커(LS,RS)로 출력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기능을 각각 분리해서 처리하므로 처리회로가 고가이고, 휴대용 오디오기기와 같은 저급제품에는 채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 오디오기기와 같은 저급제품에 채용될 경우 처리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오디오기기에 있어서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기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을 실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은 휴대용 오디오기기에 있어서, 서로 위상이 반대인 좌, 우측채널 오디오신호의 소정주파수대역의 저음을 각각 강조하기 위한 저음강조처리과정, 상기 저음강조처리과정에서 출력되는 저음이 강조된 상기 좌, 우측채널 오디오신호의 분리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서라운드신호처리과정 및 상기 저음강조처리과정 및 상기 서라운드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회로는 좌, 우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오디오기기에 있어서, 서로 위상이 반대인 좌, 우측채널 오디오신호의 소정주파수대역의 저음을 각각 강조하기 위한 저음강조처리수단, 상기 저음강조처리과정에서 출력되는 저음이 강조된 상기 좌, 우측채널 오디오신호의 분리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서라운드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저음 강조처리수단 및 상기 서라운드신호처리수단을 동작시킬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회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블럭도의 구성은, 우선 크게 저음강조처리수단(10)과 서라운드신호처리수단(20)과 선택부(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저음강조처리수단(10)은 선택부(30)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L채널오디오신호의 저음을 강조하기 위한 L채널저음강조부(16)와, 선택부(30)에서 출력되는 선택기호에 따라 R채널오디오신호의 저음을 강조하기 위한 R채널 저음강조부(17)로 구성된다.
또한 서라운드신호처리수단(20)은 선택부(30)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L채널 저음강조부(16)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그 증폭된 신호를 좌 스피커(LS) 및 후술한 R채널 증폭부(27)로 출력하기 위한 L채널 증폭부(26)와, 선택부(30)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R채널 저음강조부(17)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그 증폭된 신호를 우 스피커(RS) 및 L채널 증폭부(26)로 출력하기 위한 R채널 증폭부(27)로 구성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회로를 나타낸 상세회로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회로도의 구성은, 우선 선택부(30)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L채널 저음강조부(16)는 일측입력단자에 L채널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는 저항(R1)과, 일측입력단자가 저항(R1)의 다른 일측입력단자와 접속되는 저항(R1)의 다른 일측입력단자와 저항(R3)의 일측입력단자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저항(R2)과, 콜렉터단자는 콘덴서(C1)를 통해 접지단에 접속하고, 에미터단자는 접지단에 접속되고, 베이스단자에는 저항(R20)을 통해 선택부(30)의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R채널 저음강조부(17)는 L채널 저음강조부(16)와 마찬가지로 일측입력단자에 R채널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는 저항(R11)과, 일측입력단자가 저항(R11)의 다른 일측입력단자와 접속되는 저항(R13)과, 일측입력단자가 저항(R11)의 다른 일측입력단자와 저항(R13)의 일측입력단자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저항(R12)과, 콜렉터단자는 콘덴서(C11)를 통해 접지단에 접속되고, 에미터단자는 접지단에 접속되고, 베이스단자에는 저항(R20)을 통해 선택부(30)의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11)와, 양극단자는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단자에 접속되고, 음극단자는 접지단에 접속된 콘덴서(C12)로 구성된다.
L채널 증폭부(26)는 음극단자가 저항(R3)의 다른 일측입력단자에 접속된 콘덴서(C2)와, 일측입력단자가 저항(R3)의 다른 일측입력단자와 콘덴서(C2)의 음극단자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저항(R4)와, 콜렉터단자는 저항(R5)을 통해 접지단에 접속되고, 에미터단자는 접지단에 접속되고, 베이스단자에는 저항(R20)을 통해 선택부(30)의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2)와, 일측입력단자는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일측입력단자는 R채널 증폭부(27)의 출력단에 접속된 저항(R6)과, 베이스단자는 콘덴서(C2)의 양극단자에 접속되고, 에미터단자는 저항(R9)을 통해 접지단에 접속되고, 콜렉터단자에는 저항(R8)을 통해 기준전원(B+)이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3)와,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자와 베이스단자 사이에 접속된 저항(R7)과, 양극단자는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자에 접속되고, 음극단자는 좌 스피커(LS)에 접속되는 콘덴서(C3)로 구성된다.
R채널 증폭부(27)는 음극단자가 저항(R13)의 다른 일측입력단자에 접속된 콘덴서(C13)과, 일측입력단자가 저항(R13)의 다른 일측입력단자와 콘덴서(C13)의 음극단자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저항(R14)과, 콜렉터단자는 저항(R15)을 통해 접지단에 접속되고, 에미터단자는 접지단에 접속되고, 베이스단자에는 저항(R20)을 통해 선택부(30)의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12)와, 일측입력단자는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일측입력단자는 L채널 증폭부(26)의 출력단에 접속된 저항(R16)과, 베이스단자는 콘덴서(C13)의 양극단자에 접속되고, 에미터단자는 저항(R19)을 통해 접지단에 접속되고, 콜렉터단자에는 저항(R18)을 통해 기준전원(B+)이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13)와,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단자와 베이스단자 사이에 접속된 저항(R17)과, 양극단자는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단자에 접속되고, 음극단자는 우 스피커(RS)에 접속되는 콘덴서(C14)로 구성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저음강조처리회로(10) 및 서라운드신호처리회(20)를 동작시키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선택부(30)가 오프상태가 되어 기준전원(B+)이 저항(R20)을 통해 각각 트랜지스터(Q1), 트랜지스터(Q2), 트랜지스터(Q11)와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단자로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1), 트랜지스터(Q2)와 트랜지스터(Q11)와 트랜지스터(Q12)가 온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 트랜지스터(Q2), 트랜지스터(Q11)와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단자가 0볼트전위가 되어, 좌측채널 오디오신호는 저항(R1,R2,R3,R4)에 의해 단지 레벨만 감소되고, 우측채널 오디오신호도 마찬가지로 저항(R11,R12,R13,R14)에 의해 레벨만 감소되어 각각 L채널 증폭부(26)와 R채널 증폭부(27)로 인가된다.
L채널 증폭부(26)와 R채널 증폭부(27)에서는 저음강조처리수단(10)으로부터 인가되는 원신호보다 레벨만 감소된 좌, 우측채널 오디오신호를 각각 트랜지스터(Q3)와 트랜지스터(Q13)에 의해 반전증폭시켜서 각각 좌, 우 스피커(LS,RS)로 출력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저음강조처리회로(10) 및 서라운드신호처리회로(20)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선택부(30)가 온상태가 되고,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는 신호가 없으므로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2)가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자가 오픈상태가 되어, 좌측채널 오디오신호는 저항(R1,R2)과 콘덴서(C1)에 의해 저음이 강조되고, 우측채널 오디오신호도 마찬가지로 저항(R11,R12)과 콘덴서(C11)에 의해 저음이 강조되어 각각 L채널 증폭부(26)와 R채널 증폭부(27)로 인가된다. 이때 좌측채널 오디오신호는 저항(R1,R2)과 콘덴서(C1)의 값에 의해 주파수의 조절 및 부스트 레벨(Boost Level)을 조정할 수 있고, 우측채널 오디오신호는 저항(R11,R12)과 콘덴서(C11)의 값에 의해 주파수의 조절 및 부스트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서라운드신호 처리회로(20)에서는 선택부(30)가 온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Q11)와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는 신호가 없으므로 트랜지스터(Q11)와 트랜지스터(Q12)가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1)와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단자가 오픈상태가 되어, L채널 저음강조부(16)에서 저음이 강조된 좌측채널 오디오신호는 트랜지스터(Q3)에 의해 반전증폭되어 좌 스피커(LS)로 출력되는 동시에 저항(R16)을 통해 R채널 증폭부(27)의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또한 R채널 저음강조부(17)에서 저음이 강조된 우측채널 오디오신호는 트랜지스터(Q13)에 의해 반전증폭되어 우 스피커(RS)로 출력되는 동시에 저항(R6)을 통해 L채널 증폭부(26)의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즉, 인가되는 좌, 우측채널 오디오신호가 서로 위상이 반대의 신호인 경우 L채널 증폭부(26)의 출력단으로부터 R채널 증폭부(27)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신호와 L채널 저음강조부(16)에서 저음이 강조된 좌측채널 오디오신호의 위상이 동일하므로 서로 중첩되어 입력이 증대되고, 마찬가지로 R채널 증폭부(27)의 출력단으로부터 L채널 증폭부(26)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신호와 R채널 저음강조부(17)에서 저음이 강조된 우측채널 오디오신호의 위상이 동일하므로 서로 중첩되어 입력이 증대되어 출력신호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좌, 우측채널의 분리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선택부(30)는 스위치 대신 마이콤 또는 차동증폭기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동시처리방법 및 회로에서는 휴대용 오디오기기에 있어서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기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동시에 처리할 수 있을뿐 아니라 회로를 간소화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좌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의 저음 강조 및 서라운드 처리를 동시에 처리하여 좌우 스피커로 출력하는 저음 강조 서라운드 동시 처리회로에 있어서, 상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유입하여 저음 대역을 강조하여 출력하는 좌측 채널 저음 강조부, 상기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유입하여 저음 대역을 강조하여 출력하는 우측 채널 저음강조부, 상기 좌측 채널 저음 강조부의 출력과 반전된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합산하고 이를 반전 증폭하여 상기 우측 스피커로 출력하는 좌측 채널 서라운드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우측 채널 저음 강조부의 출력과 반전된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합산하고 이를 반전 증폭하여 상기 우측 스피커로 출력하는 우측 채널 서라운드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저음 강조 및 서라운드 동시 처리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채널 서라운드 신호 처리부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반전된 우측 채널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좌측 채널 저음 강조부의 출력과 합산되지 않게 하는 트랜지스터(Q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우측 채널 서라운드 신호 처리부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반전된 좌측 채널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우측 채널 저음강조부의 출력과 합산되지 않게 하는 트랜지스터(Q12)를 더 구비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2,Q12)의 바이패스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음 강조 및 서라운드 동시 처리회로.
KR1019930009749A 1993-05-31 1993-05-31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 및 회로 KR0132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749A KR0132876B1 (ko) 1993-05-31 1993-05-31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 및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749A KR0132876B1 (ko) 1993-05-31 1993-05-31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 및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2876B1 true KR0132876B1 (ko) 1998-04-18

Family

ID=1935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749A KR0132876B1 (ko) 1993-05-31 1993-05-31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87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8095A (en) Acoustic apparatus
KR910008762B1 (ko) 4채널 서라운드 사운드 발생회로
US3916104A (en) Sound signal changing circuit
US6507657B1 (en) Stereophonic sound image enhancement apparatus and stereophonic sound image enhancement method
US4144790A (en) Choral generator
US3845244A (en) Sound signal changing circuit
KR0132876B1 (ko) 저음강조 및 서라운드신호 동시처리방법 및 회로
JP3198558B2 (ja) 音声強調回路
JPH06113390A (ja) 音響再生装置
JPH0424948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用音声回路
JPH01186008A (ja) 低音強調回路
JP2001245400A (ja) 重低音補正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音響装置
JP2681838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RU2098923C1 (ru) Звуковоспроизводящий агрегат
KR890009427Y1 (ko) 다기능 입체 음향 재생 시스템
JP2575455Y2 (ja) 音声信号キャンセル回路
JP2875409B2 (ja) 音声信号再生装置
JP3534572B2 (ja) 音場制御装置
KR930006192Y1 (ko) 입체효과 서라운드회로
KR940002356Y1 (ko) 휴대용 카세트의 서라운드 시스템
KR930004928B1 (ko) 서라운드 신호 처리회로
KR950003804Y1 (ko) 음성검파 출력을 이용한 써라운드 및 우퍼회로
JPH06225243A (ja) 音声出力切換回路
KR900007559Y1 (ko) 홀 (hall) 효과음 발생장치
JPH05199600A (ja) オーディオ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5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8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