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2745B1 -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745B1
KR0132745B1 KR1019940024104A KR19940024104A KR0132745B1 KR 0132745 B1 KR0132745 B1 KR 0132745B1 KR 1019940024104 A KR1019940024104 A KR 1019940024104A KR 19940024104 A KR19940024104 A KR 19940024104A KR 0132745 B1 KR0132745 B1 KR 0132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main controller
pin pad
car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750A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백두정보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백두정보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1994002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745B1/ko
Publication of KR96001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3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combining multiple encryption tools for a trans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와 IC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IC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은행의 컴퓨터에 기록되어 있는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될 때 한하여 대금결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IC 카드와 메인콘트롤러내에 암호화등에 필요한 키를 집어넣어 만약 헤커가 접근할 경우 메인콘트롤러내의 잠금장치가 자동적 구동되어 자료의 절대적인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메인콘트롤러와 프린터 또는 메인콘트롤러와 핀 패드 사이의 통신이 유선 또는 무선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현금을 휴대하지 않고 IC 카드만 있으면 원활한 상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중 메인콘트롤러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중 핀 패드의 블럭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핀 패드 연결부2,26 : 키입력부
3 : 전원부4,28 : IC 카드 조회/기록장치
5 : IC 카드형 인증부6 : 마그네틱 카드 조회기
7,23 : 액정표시부8,27 : CPU
9,21 : ROM 10,22 : RAM
11 : 선불용 정보수집장치12 : 실시간 처리부
13 : 프린터 연결부14 : 변복조장치
15 : LAN 연결부16 : 연결부
17 : 바코드용 스캐너24 : 보호된 암호키부
25 : 단말기 연결부100 : 메인콘트롤러
200 : 핀 패드300 : 프린터
본 발명은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마그네틱카드와 IC 카드(일명 스마트카드라고도 함)를 모두 조회/기록할 수 있음과 동시에 헤커가 접근할 경우 자동적으로 잠금장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자료의 보안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기 알려진 카드로는 신용카드, 전화카드, 현금일출카드 및 각종 신용카드등이 있는데, 이들은 주로 마그네틱을 이용한 데이타 기억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자석등이 마그네틱에 근접될 경우 마그네틱 테이프 또는 마그네틱 박막에 기억된 각종 정보들이 지워질 우려가 있으므로 그 휴대가 매우 조심스러울 뿐만 아니라, 만약 정보가 지워졌을 경우 카드를 재발급 받아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카드를 조회할 수 있도록 개발된 종래의 단말장치는 상기 카드들의 등록번호 및 신용도등을 통신선로를 통해 은행의 컴퓨터에 전송하고 승인이 떨어질 경우 가맹점에서 전표를 직접 인쇄하여 서명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누구라도 카드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었다.
즉, 각 카드들에 대한 비밀번호 또는 암호키등이 없이 카드 소지자의 서명에만 의존하게 되므로 비슷한 서명을 실시할 수만 있다면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어 카드를 분실 또는 도난당했을 경우 이를 습득 또는 훔친자가 많은 금액의 물건을 사게되어 카드주인한테 청구되어 오는 카드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들어서는 기존의 카드 혀앙을 갖는 합성수지판에 CPU등을 구비한 소형 컴퓨터 칩을 설치한 IC 카드가 개발되어졌는 데, 이는 현금을 소지하지 않고 카드로써 현금 결재를 대신할 수 있으며 그 카드에 기억된 정보는 카드가 파손되지 않는한 영구히 기억되어지는 것으로 선불용 IC 카드와 직불용 IC 카드등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때, 선불용 IC 카드는 카드의 CPU내에 소정의 입력절차등을 거쳐 현금에 상응하는 금액데이타를 기억시켜 놓고, 비교적 소액인 물건을 사고 대금을 지불할시 각 가맹점에서 이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금액에서 원하는 금액을 빼내고 나머지의 금액을 계속 기억하도록 구성되어져 있음과 동시에 이 카드내의 금액데이타는 비밀번호에 의해 보호되어 타인이 쉽게 사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직불용 IC 카드는 의뢰자의 통상계자에서 은행을 통해 가맹점 계좌로 직접 필요한 금액(비교적 많은 금액)을 입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틱 카드와 IC 카드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카드단말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현금을 휴대하지 않고 상기같은 카드들을 이용하여 원활한 상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다목적 카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와 IC 카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IC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은행의 컴퓨터에 기록되어 있는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될 때 한하여 대금결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네번째 목적은, IC 카드와 메인콘트롤러내에 암호화등에 필요한 키를 집어 넣고 만약 해커가 접근할 경우 메인콘트롤러내의 잠금장치가 자동적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자료의 절대적인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목적은, 메인콘트롤러와 프린터 또는 메인콘트롤러와 핀 패드 사이의 통신이 유선 또는 무선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단말장치는, 각종 신용카드로써의 마그네틱 카드와 선불 및 직불용 카드로써의 IC 카드를 조회/기록, 비밀번호 및 금액등의 암호화, 은행 컴퓨터와의 통신, 결제금액등을 입력 및 프린트 명령의 발생등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콘트롤러(100)와, 상기 메인콘트롤러(100)로 부터 명령을 받아 영수증등을 인쇄하는 프린터(300)와, 상기 메인콘트롤러(1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IC 카드의 비밀번호등을 입력시켜 주는 핀 패드(200)로 구성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콘트롤러(100)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무선을 통해 핀 패드(200)와의 각종 정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핀 패드 연결부(1)와, 숫자키를 포함하여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어 소정의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2)와, 각부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부(3)와 IC 카드내에 수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읽어들임과 동시에 CPU(8)로 부터 전송되어지는 소정의 정보를 IC 카드에 기록시켜 주는 IC 카드 조회/기록장치(4)와, 카드운용을 위한 암호키를 가지고 단말기 자체를 인증하는 IC 카드형 인증부(5)와, 마그네틱 카드내에 수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읽어 주는 마그네틱 카드 조회기(6)와, 결재금액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문자 및 숫자로 표시해 주는 액정표시부(7)와, 소정프로그램에 의해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CPU(8)와, 시스템운용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각종 정보가 기억되어지는 ROM(9)과, 시스템 운용중 소정의 정보가 일시 저장되는 RAM(10)과, 고객들의 카드번호, 구입금액등과 같은 각종 거래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오프 라인(Off-Line) 후 은행 컴퓨터와 정산시 이를 출력시켜 주는 선불용 정보수집장치(11)와, 은행 컴퓨터의 시간과 카드 단말기의 시간을 일치시켜 거래시간을 정확히 하는 실시간 처리부(12)와, 유,무선을 통해 프린터(300)와의 각종 인쇄정보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프린터 연결부(13)와, 전화선로를 통해 은행의 컴퓨터와 정보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변복조장치(14)와, 한지역 안에서 소정정보를 공유하고 통신하기 위해 전용선과 연결되는 LAN 연결부(15)와, 은행 컴퓨터 이외의 타 단말기와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정보통신을 하기 위한 연결부(16)와, 각종 물품에 인쇄된 바 코드를 해독하여 CPU(8)에 입력시켜 주는 바코드용 스캐너(17)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핀 패드(200)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패드의 운용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각종 정보가 기억되는 ROM(21)과, 시스템 운용중 소정의 정보가 일시 저장되었다가 필요에 따라 출력되는 RAM(22)과, 카드 소지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문자 및 숫자로 표시해 주는 액정표시부(23)와, 예측불가능한 암호키를 기억하고 있다가 비밀번호등이 입력되면 이를 암호화시켜 주고 해커가 접근하면 정보의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보호된 암호키부(24)와, 유,무선을 통해 메인콘트롤러(100)와의 각종 정보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말기 연결부(25)와, 숫자키를 포함하여각종 기능키를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키입력부(26)와, 소정프로그램에 의해 핀 패드 시스템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CPU(27)와, IC 카드내에 수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읽어들임과 동시에 CPU(27)로 부터 전송되어오는 소정의 정보를 IC 카드에 기록시켜주는 IC 카드 조회/기록장치(28)로 구성한다.
상기 보호된 암호키부(24)는 별도의 밧데리(BAT)에 의해 전원전압을 공급받는데, 이때 상기 밧데리(BAT)는 핀 패드의 상,하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암호키부(24)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다가 어떤 원인으로 인해 케이스가 분해되면 그 접촉이 분리되어 암호키부(24)내의 암호정보가 지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린터(300)는 메인콘트롤러(100)와 유,무선을 통해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회로적 구성이 기존에 널리 알려진 프린터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콘트롤러(100)가 내장된 단말기 본체(도시생략됨)의 상부에는 IC 카드를 꽂기 위한 IC 카드 조회/기록장치(4)와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마그네틱 카드 조회기(6)가 공동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카드 단말기 IC 카드는 물론 마그네틱 카드를 모두 적용시킬 수 있어 종래의 카드 단말기에 비해 그 호환성이 향상된다.
즉,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가 마그네틱 카드 조회기(6)에 꽂아지면, CPU(8)에서는 이 카드의 번호등을 읽어들여 변복조장치(14)를 통해 은행의 컴퓨터로 송신하여 승인을 받은 다음, 결재코자하는 대금을 키입력부(2)를 통해 입력시켜 주므로써 신용대출등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그네틱 카드를 이용하여 결재된 내역이 담긴 영수증은 프린터 연결부(13)를 통해 정보통신이 이루어지는 프린터(300)에 의해 인쇄될 수도 있고, 기존의 방식과 같이 별도의 카드 인자기에 의해 인쇄될 수도 있다.
또한, 비밀번호 및 암호키등을 포함하여 각종 정보가 칩내에 기억되어 있는 IC 카드가 IC 카드 조회/기록장치(4)에 꽂아지면, 상기 CPU(8)에서는 IC 카드형 인증부(5)를 통해 카드운용을 위한 암호키가 입력된 단말기로 인증을 받은 후, 상기 IC 카드의 번호 및 어떤 용도의 카드인지 등을 파악하게 된다.
물론, 상기 IC 카드가 카드운용을 위한 암호키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IC 카드 인증부(5)에서 이를 단말기 자체로 인증하지 않게 되므로 그 IC 카드를 통해서는 어떠한 결재도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IC 카드가 단말기 자체로 인증되면 가맹점의 조작자는 키입력부(2)를 통해 결재코자 하는 금액을 입력시키게 되는데, 이때의 금액은 액정표시부(7)에 표시됨과 동시에 핀 패드 연결부(1)를 통해 핀 패드(200)에 상기에서의 결재금액과 함께 비밀번호 입력요구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카드 소지자가 핀 패드(20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시킴으로 인해 암호화된 비밀번호 및 금액등이 메인콘트롤러(100)로 입력되면 상기 CPU(8)는 이를 입력받아 변복조장치(14)를 통해 은행의 컴퓨터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은행 컴퓨터에서는 상기에서 보내진 비밀번호를 해독하여 만약 소정 IC 카드의 비밀번호가 맞으면 이를 승인하고 그 IC 카드에 기록되어진 계좌로 부터 결재금액을 빼내어 가맹점의 계좌로 이체시켜 준다.
그러나, 상기에서 입력시킨 IC 카드의 비밀번호와 은행에 기등록된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지 않으면(즉, 도난 또는 분실된 카드를 타인이 사용함으로 인해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시키지 않았을시)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와같이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IC 카드 내부에서는 자동으로 잠금기능이 작동되어 IC 카드의 원래 주인의 의사와 달리 대금이 지불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IC 카드중 직불용 IC 카드가 꽂아졌을 경우의 작동상태이다.
즉, IC 카드 조회/기록장치(4)에 의뢰자의 통장계좌에 있는 예금액중 그 일부를 결재금액으로 가맹점 계좌에 직접 입금시키고자 직불용 IC 카드를 꽂고 조작자에게 지불금액을 입력시키도록한 후, 지불금액을 확인하고 핀 패드(200)를 통해 자신의 비밀번호를 입력시키면, 이 비밀번호와 금액등이 핀 패드내에서 암호화되어 메인콘트롤러(100)로 입력되므로 메인콘트롤러(100)내의 CPU(8)는 이 암호화된 정보를 통신선로를 통해 은행의 컴퓨터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은행 컴퓨터는 이암호를 해독하여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되면 결재를 승인하여 그 카드 주인의 계좌에서 원하는 금액을 인출시켜 가맹점의 계좌로 이체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비교적 적은 금액의 물건(예 ; 담배, 커피, 캔등)등을 사고 대금을 지불코자할 때에는 직불용 IC 카드 보다는 선불용 IC 카드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가맹점 단말기의 IC 카드 조회/기록장치(4)에 상기 선불용 IC 카드를 꽂고 지불금액을 입력시킨 다음 자신의 카드 비밀번호를 입력시키면, 이 비밀번호와 금액등이 암호화되어 메인콘트롤러(100)의 CPU(8)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CPU(8)는 이 비밀번호와 선불용 IC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되는지를 판별하여 만약 일치되면 상기 선불용 카드내에 소정의 입력절차등을 거쳐 기억되어 있는 금액정보로 부터 원하는 금액을 빼내어 선불용 정보수집장치(11)에 입력시키고 나머지의 금액을 상기 선불용 IC 카드에 재기억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선불용 IC 카드 소지자는 나머지 잔금을 이용하여 현금이 없이도 다른 물건등을 계속 구입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선불용 정보수집장치(11)는 그날 그날 고객들의 카드번호, 구입금액등과 같은 각종 거래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오프 라인(Off-Line) 후 은행 컴퓨터와 일제히 정산을 실시하게 된다.
즉, 적은 금액의 물건 대금인데도 불거하고 매번 은행 컴퓨터에 카드조회를 실시하게 되면, 그 통신비 및 시간이 불필요하게 많이 들게 되므로, 선불용 IC 카드의 자체 신용도로 일단 거래를 실시한 후, 야간등에 일괄 처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콘트롤러(100)내의 ROM(9)과 RAM(10)은 일반 시스템에서와 동일하게 소정프로그램 및 정보의 기억기능을 수행하고, 실시간 처리부(12)는 은행에 설치된 컴퓨터의 시간과 카드 단말기의 시간이 일치되지 않으면 거래대장이 상호 일치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은행 컴퓨터로 부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시간정보를 입력받아 단말기의 시간이 은행 컴퓨터 시간과 동일하게 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 단말기에는 LAN 연결부(1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소정기기(중앙제어반등)와 전용선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한지역 안에서 소정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또 연결부(16)를 통해 은행 컴퓨터 이외에도 또 다른 단말기와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콘트롤러(100)에는 바코드용 스캐너(17)도 구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바코드 스캐너를 준비하지 않고도 각종 물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해독하여 액정표시부(7)에 숫자나 문자로 나타내 줄 수 있다.
상기 핀 패드 연결부(1), 프린터 연결부(13), 타 단말기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16)는, 유선 또는 무선송,수신부가 선택적으로 내장된 것으로, 이때 무선송,수신기는 비교적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적외선 송,수신기와, 안테나를 통해 고주파를 발사시켜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고주파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핀 패드(200)는 단말기의 본체가 되는 메인콘트롤러(100)와 별개로 형성한 것으로,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자체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CPU(27), ROM(21), RMA(22), 액정표시부(23) 및 키 입력부(26)를 구비시킨 것이다.
또, 상기 핀 패드(200)에는 메인콘트롤러(100)와 소정의 정보를 입출력 받기 위해 단말기 연결부(25)가 설치되는데, 이 단말기 연결부(25)는 상기 메인콘트롤러(100)에서와 마찬가지로 유,무선 송,수신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핀 패드(200)내에는 보호된 암호키부(24)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이 암호키부(24)에서 일반 사람들이 예측 불가능한 암호키를 기억하고 있다가 메인콘트롤러(100)의 요구에 의해 키입력부(26)에서 소정 IC 카드에 대한 비밀번호등이 입력될시 이를 결재금액과 함께 암호화시켜 메인콘트롤러(100)를 통해 은행 컴퓨터로 송출시켜 주고, 또 헤커가 접근하면 정보의 잠금기능을 수행하여 정보의 보완성을 유지시켜 준다.
이때, 상기 보호된 암호키부(24)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밧데리(BAT)는 핀 패드를 구성하고 있는 상,하 케이스에 의해 암호키부(24)와 상호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그 내부의 암호키 정보가 지원지지 않고 있다가, 특정인이 이 암호키를 해독할 목적등으로 케이스를 분해시키면 그 접촉이 분리되어 암호키부(24)내의 암호정보가 지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된 암호키부(24)에 기억되어 있는 암호정보는 절대 해독될 수 없는데, 이 암호키부(24)는 RAM등으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각부에서 의해 핀 패드(200)가 구성된 경우는, 전술에서 설명한 메인콘트롤러(100)에 IC 카드 조회/기록장치(4)가 설치되었을때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이고, 만약 메인콘트롤러(100)에 IC 카드 조회/기록장치(4)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이와같은 핀 패드는 적용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핀 패드(200)에는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 단말기와도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메인콘트롤러(100)와 별도로 IC 카드 조회/기록장치(28)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이 핀 패드(200)의 IC 카드 조회/기록장치(28)에서 IC 카드내에 수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음과 동시에 CPU(27)를 통해 전송되어오는 소정의 정보들을 IC 카드에 기록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로 기존의 마그네틱카드와 IC 카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둘째로 IC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은행의 컴퓨터에 기록되어 있는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될 때 한하여 대금결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째로 IC 카드와 메인콘트롤러내에 암호화등에 필요한 키를 집어 넣어 주므로써 만약 헤커가 접근할 경우 메인콘트롤러내의 잠금장치가 자동적 구동되어 자료의 절대적인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고, 네째로 메인콘트롤러와 프린터 또는 메인콘트롤러와 핀 패드 사이의 통신이 유선 또는 무선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현금을 휴대하지 않고 IC 카드만 있으면 원활한 상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각종 신용카드로써의 마그네틱 카드와 선불 및 직불용 카드로써의 IC 카드를 조회/기록, 비밀번호 및 금액드의 암호화, 은행 컴퓨터와의 통신, 결제금액등을 입력 및 프린트 명령의 발생등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메인콘트롤러(100)와, 상기 메인콘트롤러(100)로 부터 명령을 받아 영수증등을 인쇄하는 프린터(300)와, 상기 메인콘트롤러(1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IC 카드의 비밀번호 등을 입력시켜 주는 핀 패드(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100)는 핀 패드(200)와의 각종 정보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핀 패드 연결부(1)와, 숫자키를 포함하여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어 소정의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2)와, 각부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부(3)와, IC 카드내에 수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읽어들임과 동시에 CPU(8)로 부터 전송되어지는 소정의 정보를 IC 카드에 기록시켜 주는 IC 카드 조회/기록장치(4)와, 카드운용을 위한 암호키를 가지고 단말기 자체를 인증하는 IC 카드형 인증부(5)와, 마그네틱 카드내에 수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읽어 주는 마그네틱 카드 조회기(6)와, 결재금액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문자 및 숫자로 표시해 주는 액정표시부(7)와, 소정프로그램에 의해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CPU(8)와, 시스템운용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각종 정보가 기억되어지는 ROM(9)과, 시스템 운용중 소정의 정보가 일시 저장되는 RAM(10)과, 고객들의 카드번호, 구입금액등과 같은 각종 거래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오프 라인(Off-Line)시 거래은행과 연결없이 거래를 처리한 후 은행 컴퓨터와 연결하여 정산시 이를 출력시켜 주는 선불용 정보수집장치(11)와, 은행 컴퓨터의 시간과 카드 단말기의 시간을 일치시켜 거래시간을 정확히 하는 실시간 처리부(12)와, 프린터(300)와의 각종 인쇄정보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프린터 연결부(13)와, 전화선로를 통해 은행의 컴퓨터와 정보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변복조장치(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100)는 한 지역안에서 소정정보를 공유하고 통신하기 위해 전용선과 연결되는 LAN 연결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4.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100)는 은행의 컴퓨터 이외의 단말기와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정보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5.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100)는 각종 물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해독하여 CPU(8)에 입력시켜 주는 바코드용 스캐너(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패드(200)는 핀 패드의 운용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각종 정보가 기억되는 ROM(21)과, 시스템 운용중 소정의 정보가 일시 저장되었다가 필요에 따라 출력되는 RAM(22)과, 카드 소지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문자 및 숫자로 표시해 주는 액정표시부(23)와, 별도의 밧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예측불가능한 암호키를 기억하고 있다가 비밀번호등이 입력되면 이를 암호화시켜 주고 헤커가 접근하면 정보의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보호된 암호키부(24)와, 메인콘트롤러(100)와의 각종 정보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말기 연결부(25)와, 숫자키를 포함하여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키입력부(26)와,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핀 패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CPU(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7. 제2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 패드 연결부(1)와 프린터 연결부(13) 및 단말기 연결부(25)는, 유선 송,수신기가 각각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8. 제2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 패드 연결부(1)와 프린터 연결부(13) 및 단말기 연결부(25)는, 무선 송,수신기가 각각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 패드(200)는 IC 카드내에 수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읽어들임과 동시에 CPU(27)로 부터 전송되어오는 소정의 정보를 IC 카드에 기록시켜 주는 IC 카드 조회/기록장치(2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된 암호키부(24)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밧데리(BAT)는, 핀 패드를 구성하고 있는 상,하 케이스에 의해 암호키부(24)와 상호 접촉상태를 유지하다가 어떤 원인으로 인해 케이스가 분해되면 그 접촉이 분리되어 암호키부(24)내의 암호정보가 지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비교적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적외선 송,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해 고주파를 발사시켜 원거리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고주파 송,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KR1019940024104A 1994-09-24 1994-09-24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KR0132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104A KR0132745B1 (ko) 1994-09-24 1994-09-24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104A KR0132745B1 (ko) 1994-09-24 1994-09-24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750A KR960011750A (ko) 1996-04-20
KR0132745B1 true KR0132745B1 (ko) 1998-04-24

Family

ID=1939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104A KR0132745B1 (ko) 1994-09-24 1994-09-24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7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91A (ko) * 2000-09-16 2001-02-05 이동욱 금융통합 단말기 및 그 작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64A (ko) * 1999-12-31 2000-04-06 전동현 카드인식 기능을 구비한 키보드, 전자상거래 보안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물품구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91A (ko) * 2000-09-16 2001-02-05 이동욱 금융통합 단말기 및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750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2211A (en) Transaction system comprising a first transportable integrated circuit device, a terminal, and a security device
CA2665417C (en) Proxy authent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JP3790032B2 (ja) 携帯端末機器を用いた認証決済方法及びその携帯端末機器
CN1344396B (zh) 便携式电子的付费与授权装置及其方法
US5036461A (en) Two-way authentication system between user's smart card and issuer-specific plug-in application modules in multi-issued transaction device
US20030130955A1 (en) Secure transaction systems
US20040243496A1 (en) Financial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symmetrical key security algorithm and commercial transaction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S11481774B2 (en) Security aspects of a self-authenticating credit card
KR20130108639A (ko) 휴대용 자체준비형 핀 레드 통신기
CN101107635A (zh) 安全信用卡适配器
US20030004877A1 (en) Transaction terminal apparatus
KR100945415B1 (ko) 해외카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카드단말장치
KR0132745B1 (ko) 다목적 카드 단말장치
JP2000156718A (ja) プロトコル変換アダプタおよびプロトコル変換アダプタの制御方法
US20020073315A1 (en) Placing a cryptogram on the magnetic stripe of a personal transaction card
KR20010036485A (ko) 스마트 카드에 의한 온라인 결제 장치 및 방법
JPH11120310A (ja) Icカード及びicカードリーダ
KR0132746B1 (ko) 카드 단말기의 핀 패드장치
KR20010069539A (ko) 유가증권 개별번호 코드 발급, 전송부여기능을 구비한자판기
KR101052791B1 (ko) 정보 보안용 포스 단말
Read EFTPOS: electronic funds transfer at point of sale
JPH1027206A (ja) 電子財布不正防止システム
KR101532002B1 (ko) 복합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결제 방법
KR100959644B1 (ko) 선불카드 발행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101140640B1 (ko) 카드 애플릿 후발급용 단말장치와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9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