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2707B1 -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707B1
KR0132707B1 KR1019940004671A KR19940004671A KR0132707B1 KR 0132707 B1 KR0132707 B1 KR 0132707B1 KR 1019940004671 A KR1019940004671 A KR 1019940004671A KR 19940004671 A KR19940004671 A KR 19940004671A KR 0132707 B1 KR0132707 B1 KR 013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upport member
support
bottom plate
wing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용환
Original Assignee
석용환·조용균
협신엠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용환·조용균, 협신엠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용환·조용균
Priority to KR101994000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70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실내의 측벽에 장치하는 건식 벽체 받침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바닥판과,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바닥판에 직각으로 형성된 2개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ㄷ''자형의 받침재(100); 측벽(10)에 부착되는 장방향의 받침대(210), 바닥판(221)과 이 바닥판에 직각으로 형성된 2개의 측판(222)으로 이루어진 죔쇠(220), 및 상기 받침대(210)와 죔쇠(220)를 연결하여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23)로 구성되는 고정수단(200); 상기 받침재(100) 2개를 개구부(120)를 마주보게 교차하여 결합하는 크로스 클램프(300A; 300B; 300C); 및 상기 받침재(100) 2개를 개구부(120)를 마주보게 나란히 결합할 때 받침재의 양쪽 단부(102)가 동시에 걸리도록 된 홈(402)이 형성된 받침재 클램프(4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목재를 이용한 측벽 받침재를 측벽에 설치한 상태의 부분 파단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을 측벽에 설치한 상태의 부분 파단 사시도.
제3a, 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재를 제1실시예의 고정구에 결합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와 사시도.
제4a, 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재를 제2실시예의 고정구에 결합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와 사시도.
제5a, 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재를 제3실시예의 고정구에 결합한 상태를 부분 측면도와 사시도.
제6a, 6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재를 제4실시예의 고정구에 결합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와 사시도.
제7a, 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재를 제5실시예의 고정구에 결합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와 사시도.
제8a, 8b, 8c도는 가로 세로 받침재를 교차 결합할 때 사용하는 3가지 크로스 클램프의 사시도.
제9도는 가로 세로 받침재를 교차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파단 사시도.
제10a, 10b도는 2개의 받침재를 나란히 결합할 때 사용하는 클램프의 사시도와, 이 클램프를 이용해 받침재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파단 사시도.
제11a, 11b도는 받침재를 측벽에 보강하기 위한 보강 클램프의 사시도와, 이 클램프에 받침재를 결합한 상태의 부분 파단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측벽 20 : 각재
50 : 마감재 100, 110, 130, 140 : 받침재
200 : 고정구 300A, 300B, 300C : 크로스 클램프
400 : 받침재 클램프 500 : 보강 클램프
본 발명은 건물 실내의 측벽에 장치하는 건식 벽체 받침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건물 실내의 측벽과 마감재 사이에서 단열재를 부착하고 마감재를 지지하기 위한 벽체 받침재로는 대부분 각목 등의 목재로 현장에서 틀을 짜 맞추어 시공하고는 하였다. 제1도에는 종래의 이와 같은 받침재 시공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시공법에서는, 콘크리트나 벽돌 등으로 이루어진 측벽(10)의 표면에 미송 등의 나무로 된 다수의 각재(20)를 격자형태로 설치하고 수평 고정받이(30)와 철못(40) 등으로 각재(20)를 고정한 뒤, 이 각재(20)위에 석고보드 등의 마감재(50)를 최종적으로 설치하곤 하였다.
이와같은 종래의 측벽 받침 시스템에서는, 미송 등의 수입목 각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재비가 상당히 비쌀 뿐만 아니라 목재 자체의 미틀림에 의해 마감재가 뒤틀리는 경향이 있었고, 가연성이 있어서 화재 등의 경우에는 불이 붙기 쉽고, 일단 사용한 뒤에는 재사용할 수 없으므로 자원의 낭비가 크다. 또, 현장에서 목수 등의 전문 기능공이 시공을 하여야 하므로 공기가 오래 걸리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었다.
또, 콘크리트 벽체 등의 표면은 시공상 원래 완전히 편평하기가 불가능하고, 이 표면에 각재 등의 받침재를 설치하면 아무리 뛰어난 기능공이라도 수평, 수직 및 편평도를 완벽히 맞추기가 어려워, 마감재가 뒤틀리거나 도배지에 금이 생기기가 쉬웠다. 게다가, 목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목재 자체가 썩거나 흰개미 등의 벌레의 침습이나 습기에 의한 침습 등을 방비하거나 어려워 내구성이 약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기존의 받침재를 목재가 아닌 철재나 알루미늄 등의 불연재를 사용하고 자재 자체를 규격화하며 공장생산 가능케 하여 내구성이 견고할 뿐만 아니라 시공 및 조립 과정이 간단하고 신속하여 공기를 단축케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측벽 받침재로서 철재 등을 사용하므로 건물을 철거한 뒤에는 이 받침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오염과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면의 요철이 아무리 심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받침재에 의하여 마감재의 수평, 수직 및 편평도를 신속정확하고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실내 벽면이나 도배지 등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편평도를 완벽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목재가 아닌 철재 등의 불연재를 사용하여 화재위험을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습 및 방충 기능을 갖는 받침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은, 건물 측벽과 마감재 사이에 배치되는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는 바닥판과, 소정의 높이를 갖고 바닥판에 직각으로 형성된 2개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ㄷ''자형의 받침재; 측벽에 부착되는 장방형의 받침대, 바닥판과 이 바닥판에 직각으로 형성된 2개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죔쇠, 및 상기 받침대와 죔쇠를 연결하여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 상기 받침재 2개를 개구부를 마주보게 교차하여 결합하는 크로스 클램프; 및 상기 받침재 2개를 개구부를 마주보게 나란히 결합할 때 받침재의 양쪽 단부가 동시에 걸리도록 된 홈이 형성된 받침재 클램프; 포함하는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죔쇠의 2개 측판 사이의 간격이 상기 받침재의 바닥판의 폭과 동일하거나 넓고, 상기 측판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재를 삽입했을 때 받침재의 측판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받침재 단부가 걸리도록 되어있는 걸림턱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크로스 클램프는 상기 받침재와 같은 폭을 갖는 정방형의 베이스와 베이스의 4변 각각에서 휘어져 형성된 날개를 갖고, 상기 4개의 날개는 마주보는 2개의 상방으로 나머지 2개는 하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받침재의 단부가 걸리는 턱이 각각의 날개에 형성되어 있는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 상기 크로스 클램프가 상기 4개의 날개중 마주보는 2개의 날개에 평행한 날개를 더 갖고, 상기 날개에는 2개의 받침재를 결합할 때 각 받침재의 단부를 동시에 맞물 수 있는 턱이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인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받침대의 단부는 암수 형태로 요철이 되어 있어서 2개의 받침대를 나란히 결합할 때 암수 단부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있는 건식 측벽 받침대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크로스 클램프가 나머지 2개의 날개에도 상기 날개와 동일한 형태의 다른 날개가 더 달려있는 클램프인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받침재의 단부가 맞물리는 홈이 형성된 날개와 상기 측벽에 부착되는 기부를 갖는 보강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받침재(100)를 측벽(10)위에 설치하고, 그위에 마감재(50)를 부착한 상태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받침재(100)는 ''ㄷ''자 형태로 그 길이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재질은 일반적으로 철재 등으로 이루어졌다(제3b도 참조).
제2도를 참조하여, 받침재(100)를 측벽(10)에 설치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측벽(10)에 받침재(1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200)를 여러개 부착하고 이 고정구(200)에 기다란 가로받침재(110)를 개구(120)를 바깥쪽으로 향한채 물린다. 가로받침재(110)의 길이는 시공장소에 따라 필요한 길이로 할 수 있다. 이런 가로받침재(110)는 측벽(10)의 전체 면적에 필요한 간격으로 장착한다. 이렇게 가로받침재(110)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뒤, 기다란 세로받침재(130)의 개구를 안쪽으로 향하게 하고 크로스 클램프(300)(도시안됨)를 사용하여 가로받침재와 세로받침재를 맞물리게 한다(제9도 참조). 세로받침재(130) 사이의 간격은 임의로 정할 수 있지만, 가로받침재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도시된 것과 같은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가로받침재(110)와 세로받침재(130)를 격자형태로 장착한 뒤, 세로받침재(13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의 보충 받침재(140)를 가로받침재(110)위에 장착하되, 이번에는 개구를 안쪽으로 향하게 하고 받침재 클램프(400)(도시안됨)를 사용하여 가로받침재(110)와 보충 받침재(140)를 맞물리게 한다(제10도 참조).
이렇게 장착된 여러 받침재(110,130,140)는 제2도에 도시된 격자형태를 이루면서 동일평면을 형성한다. 그 뒤, 이렇게 장착된 받침재(100)위에 석고보드 등의 마감재(50)를 부착하면 된다.
또, 벽면에 전기콘센트 등을 부착하기 위한 힘을 받는 곳에는 보강 클램프(500)를 측벽(10)에 부착하고 이것에 세로 받침재(130)를 결합하여 세로받침재를 보강할 수도 있다.
이상의 받침재 설치 방법에 관한 설명은 단지 예를 든 것 뿐이고, 상기 설명에서 가로받침재와 세로받침재의 설치방법에서 가로 세로는 서로 바뀔수도 있으며, 또, 세로받침재 후면에도 보충 받침재(140)를 동일한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받침재와 세로받침재와 보충 받침재의 형태는 모두 동일하다.
이하, 제3∼11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설치방법을 각 부위별로 자세히 설명한다.
제3∼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재(100)중에서도 가로받침재(110)를 측벽(10)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구(200)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고정구(20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도면에서 보다시피, 본 발명의 고정구(200)는 측벽(10)에 부착되는 받침대(210), 가로받침재(110)를 맞물게 되어있는 죔쇠(220), 및 받침대(210)에 죔쇠(220)를 장착하기 위한 볼트(230)로 구성된다. 죔쇠(220)는 바닥판(221)과 바닥판에 직각으로 형성된 2개의 측판(222)으로 구성되고, 2개의 측판(222)사이의 간격은 받침재(100)의 바닥판(1010)의 폭과 동일하다.
제3a도는 고정구(200)에 받침재(100)를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제3b도는 동일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죔쇠(220)의 2개의 측판(222)중 한쪽 측판의 단부에는 요홈부(223)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판의 단부(224)는 안쪽으로 휘어져있다. 이들 2개의 측판(222)은 어느정도 탄성이 있으므로, 측판의 단부(224)에 받침재(100)의 측판의 단부(102)를 걸고 다른쪽 단부(102)를 죔쇠(220)의 요홈부(223) 안쪽으로 밀어넣어서 죔쇠(220)에 받침재(10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된 받침재(100)는 일부러 힘을 주어 죔쇠(220)의 측판(222)을 벌린 뒤 받침재(100)를 빼내지 않는한, 임의로 죔쇠에는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받침대(210)는 못이나 나사 등의 체결구에 의해 측벽(10)에 단단히 고정되고, 죔쇠(220)는 2개의 볼트(230)에 의해 받침대(210)에 연결된다. 볼트(230)의 단부 가까이에는 환형홈(231)이 형성되고, 이 홈(231)은 받침대(210)의 체결부(211)에 걸린채 헛돌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볼트(230)에 의해 죔쇠(220)가 받침대(210)에 장착되고, 죔쇠(220)의 높낮이는 볼트를 회전시켜서 조절할 수 있다. 즉, 2개의 볼트(230)의 회전에 의해 죔쇠(220)를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측벽(10)의 표면이 아무리 불규칙하더라도, 볼트(230)의 회전에 의해 죔쇠(22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죔쇠에 결합된 받침재(100)의 높낮이가 조정되어, 측벽면 전체를 완벽할 정도록 편평하게 할 수 있다.
제4a, 4b도는 본 발명의 고정구(200)의 제2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의 고정구의 구성과 기능은 제1실시예의 고정구와 동일하지만, 단지 죔쇠(220)의 측판(222)의 양단부가 모두 단부(224)처럼 안쪽으로 휘어져서 받침재(100)의 단부(102)에 맞물리게 되어있다.
제5a, 5b도는 본 발명의 고정구(200)의 제3실시예이다. 이 고정구도 전기 실시예들과 구성과 기능은 동일하지만, 단지 1개의 볼트(230)만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또, 죔쇠(220)가 ''ㄷ'' 형태이고 2개의 측판(222) 사이의 간격이 상기 실시예보다는 넓으며, 한쪽 단부(224)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고, 다른쪽 단부(225)에는 볼트(230)가 체결되도록 되어있다. 이 죔쇠(220)는 간격이 넓어서 받침재(100)를 옆으로부터 끼울 수 있다.
제6a, 6b도는 본 발명의 고정구(200)의 제4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의 죔쇠(220)의 2개 측판(222)의 단부에는 모두 제1실시예와 같은 요홈부(223)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요홈부 안쪽으로 받침재(100)를 끼우면 된다.
제7a, 7b도는 본 발명의 고정구(200)의 제5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의 죔쇠(220)의 2개 측판(222)의 단부의 양쪽 끝에는 받침재(100)의 단부를 물어주는 돌기(226)가 각각 2개씩 4개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 측판의 2개 돌기(226)는 측판(222)에서 90°휘어져 형성되고, 다른쪽 측판의 2개 돌기(226)는 받침재(100)의 단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되어있다.
제8도는 가로받침재(110)와 세로받침재(130)의 교차부분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크로스 클램프(300)를 도시한 것이다.
제8a도에 도시된 것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크로스 클램프(300A)이고, 제8b도에 도시된 것은 가로, 세로 받침재(110,130)와 보충 받침재(140)를 동시에 결합하기 위한 크로스 클램프(300B)이며, 제8c도에 도시된 것도 가로, 세로 받침재와 보충 받침재를 동시에 결합하기 위한 크로스 클램프(300C)이다.
제8a도의 클램프(300A)는 베이스(301)와 베이스의 4변에 형성된 4개의 날개(302)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날개들끼리 베이스(301)의 상하로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베이스(301)는 정사각형으로서 한변의 길이는 받침재(100)의 폭과 같고, 날개(302)의 높이는 받침재(100)의 높이와 같으며 그 폭은 받침재의 폭과 같다. 예컨대, 도시된 클램프(300A)에서, 위로 향한 날개(302)에 가로받침재(110)를 결합하면, 아래로 향한 날개(302)에는 가로받침재와 직교형태로 세로받침재(130)가 결합되게 되어, 제9도와 같은 형태로 받침재들이 직교하여 결합된다. 결합할 때는, 날개(302)의 턱(303)에 받침재(100)의 단부(102)가 걸리도록 하면 된다.
제8b도의 클램프(300B)는 제9도와 같은 식으로, 받침재들(110,130,140)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에도 클램프(300A)를 사용할 수 있지만, 클램프(300B)는 가로, 세로, 받침재(110,130)와 보충 받침재(140)를 동시에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즉, 하향 날개(302)에 일체로 형성된 추가 날개(304)에 보충 받침재(140)가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제8c도의 클램프(300C)는 제9도의 결합상태에서 세로받침재(130)뒤에 또다른 보충 받침재를 결합할 경우에 사용되는 클램프이다. 이 경우에는 추가되는 보충 받침재가 또 다른 추가 날개(305)에 맞물리게 된다.
제9도는 받침재들(110,130,140)을 교차 결합한 상태에서, 크로스 클램프(300)를 보여주기 위해 교차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원은 받침재(100)의 단부에 맞물리는 부위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원으로 도시된 확대단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받침재(100)의 단부(102)는 평평한 형태도 가능하지만, 서로 맞물린 받침재들이 어긋나지 않도록 단부(102)를 암수형태의 요철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도는 가로받침재(110)와 보충 받침재(140)의 결합관계와 이들을 결합하는 받침재 클램프(400)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재 클램프(400)는 대개 H형으로 되어있지만,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401)을 양쪽에 배치하여 받침재(100)의 바닥판(101)을 받칠 수도 있다. 클램프(400)에는 양쪽에 각각 홈(40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402)에 가로받침재와 보충 받침재의 측판 단부(102)가 동시에 맞물린다. 제10b도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재 클램프(400)를 보충 받침재(140)의 중간쯤에 삽입하여 가로받침재(110)와 보충 받침재(140)를 결합한다. 이같은 받침재 클램프(400)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같은 크로스 클램프(300B,300C)는 사용하지 않고 크로스 클램프(300A)만 사용된다.
제11도는 보강 클램프(500)를 사용하여 세로받침재(130)를 보강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1a도의 보강 클램프(500)는 측벽(10)에 부착되는 양측의 기부(501)와 세로받침재(130)의 단부(102)가 맞물리는 홈(502)이 형성된 2개의 날개(503)로 구성된다. 제11b도와 같이 측벽(10)에 볼트로 고정된 보강 클램프(500)에 세로받침재(13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은 보강 클램프(500)는 마감재에 힘을 받아 필요가 있는 곳에서 세로받침재(130)를 받쳐주기위해 필요한 것이므로, 필요한 장소에 따라 요소요소를 배치하면 된다.
이상,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의 각 부위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가로받침재와 세로받침재는 그 역할이 서로 바뀌어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받침재와 클램프들을 이용하여 측벽에 격자 형태로 가로, 세로 및 보충 받침재들을 부착하면,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구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측벽과 받침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벽면의 요철이 아무리 심하더라도 격자형 받침재에 의한 평면을 편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측벽 받침재 시스템에 부착되는 마감재와 그 위에 붙여지는 도배지 등은 전혀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받침재와 클램프 등은 기존의 목재보다 저렴한 탄소강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공장에서 규격에 맞추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제조비가 상당히 절감되고 불연성이 있고, 조립이 간단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공기가 훨씬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자원이 절약되며 환경오염이 상당히 방지될 수 있다. 그외에도, 목재를 이용한 받침재보다 강도가 훨씬 강하므로, 내구성이 훨씬 강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관점 및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명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모든 특징적 사항들은 그들의 대응 균등물을 포괄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건물 측벽(10)과 마감재(50)사이에 배치되는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는 바닥판과, 소정의 높이를 갖고 바닥판에 직각으로 형성된 2개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ㄷ''자형의 받침재(100), 측벽(10)에 부착되는 장방형의 받침대(210), 바닥판(221)과 이 바닥판에 직각으로 형성된 2개의 측판(222)으로 이루어진 죔쇠(220), 및 상기 받침대(210)와 죔쇠(220)를 연결하여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23)로 구성되는 고정수단(200), 상기 받침재(100) 2개를 개구부(120)를 마주보게 교차하여 결합하는 크로스 클램프(300A;300B;300C), 및 상기 받침재(100) 2개를 개구부(120)를 마주보게 나란히 결합할 때 받침재의 양쪽 단부(102)가 동시에 걸리도록 된 홈(402)이 형성된 받침재 클램프(400); 를 포함하는 건식 측벽받침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죔쇠(220)의 2개 측판(222) 사이의 간격이 상기 받침재(100)의 바닥판의 폭과 동일하거나 넓고, 상기 측판(222)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재(100)를 삽입했을 때 받침재의 측판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받침재 단부(102)가 걸리도록 되어있는 걸림턱 수단(223;224;225;226)이 형성되어 있는 건식측벽 받침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클램프(300A)는 상기 받침재(100)와 같은 폭을 갖는 정방향의 베이스(301)와 베이스(301)의 4변 직각에서 휘어져 형성된 날개(302)를 갖고, 상기 4개의 날개(302)가 마주보는 2개는 상방으로 나머지 2개는 하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받침재(100)의 단부(102)가 걸리는 턱(303)이 각각이 날개(302)에 형성되어 있는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클램프가 상기 4개의 날개(302)중 마주보는 2개의 날개에 평행한 날개(304)를 더 갖고, 상기 날개(304)에는 2개의 받침재(100)를 결합할 때 각 받침재의 단부(102)를 동시에 맞물 수 있는 턱(306)이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300B)인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클램프가 나머지 2개의 날개(302)에도 상기 날개(304)와 동일한 형태의 다른 날개(305)가 더 달려있는 클램프(300C)인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재(100)의 단부(102)는 암수 형태로 요철이 되어 있어서 2개의 받침재를 나란히 결합할 때 암수 단부(102)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있는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재(100)의 단부(102)가 맞물리는 홈(502)이 형성된 날개와 상기 측벽(10)에 부착되는 기부(501)를 갖는 보강 클램프(500)를 더 포함하는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KR1019940004671A 1994-03-10 1994-03-10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013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671A KR0132707B1 (ko) 1994-03-10 1994-03-10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671A KR0132707B1 (ko) 1994-03-10 1994-03-10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2707B1 true KR0132707B1 (ko) 1998-04-18

Family

ID=1937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671A Expired - Fee Related KR0132707B1 (ko) 1994-03-10 1994-03-10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70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51623B2 (ko)
KR0132707B1 (ko) 건식 측벽 받침재 시스템
JP3129654B2 (ja) パネル下地固定構造
GB2091333A (en) Corner forming apparatus for a concrete wall form
JPH0261254A (ja) 壁用断熱パネル,それを用いた断熱壁及びその施工方法
JP2600244Y2 (ja) 天井下地格子枠の結合構造
JP3566533B2 (ja) 建物ユニット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JPS6013931Y2 (ja) 天井構造
JPS6114489Y2 (ko)
JPH0452345Y2 (ko)
JPH07229225A (ja) 梁受金物
KR0123864Y1 (ko) 건축용패널 고정구조립체
JPS6329056Y2 (ko)
JPH0631009Y2 (ja) 内装材の取付枠
JPS6229544Y2 (ko)
JPH0316995Y2 (ko)
KR930008555Y1 (ko) 조립식 천정반자
JPS6037931Y2 (ja) パネル取り付け具
JP2559586Y2 (ja) 天井板の施工構造
JPS6329055Y2 (ko)
JPH10299162A (ja) 天井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2194882A (ja) 床敷設構造
JP3919336B2 (ja) 野地板及び外囲体
JP2004027766A (ja) 型枠コーナー部の角締め方法及び角締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2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21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