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1082B1 - Inhalator - Google Patents

Inhalator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082B1
KR0131082B1 KR1019880013452A KR880013452A KR0131082B1 KR 0131082 B1 KR0131082 B1 KR 0131082B1 KR 1019880013452 A KR1019880013452 A KR 1019880013452A KR 880013452 A KR880013452 A KR 880013452A KR 0131082 B1 KR0131082 B1 KR 0131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top member
housing
latch
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006001A (en
Inventor
챨스 줄리우스 팔손 리챠드
크리론 암스트롱 존
Original Assignee
산토 제이 코스타
글락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US07/183,499 priority Critical patent/US5031610A/en
Priority to NL8801239A priority patent/NL193309C/en
Priority to BR8802287A priority patent/BR8802287A/en
Priority to CA000566481A priority patent/CA1311170C/en
Priority to ES8801462A priority patent/ES2008482A6/en
Priority to AU16060/88A priority patent/AU605295B2/en
Priority to NZ224579A priority patent/NZ224579A/en
Priority to JP63114489A priority patent/JP2845887B2/en
Priority to IT47942/88A priority patent/IT1219937B/en
Priority to GB8811168A priority patent/GB2204799B/en
Priority to FR8806389A priority patent/FR2615106B1/en
Priority to MX011447A priority patent/MX167894B/en
Priority to DE8806288U priority patent/DE8806288U1/en
Priority to DE3816276A priority patent/DE3816276A1/en
Priority to SE8803461A priority patent/SE466385B/en
Priority to DK544888A priority patent/DK544888A/en
Priority to FI884493A priority patent/FI94593C/en
Priority to NO88884342A priority patent/NO884342L/en
Priority to AT0242488A priority patent/AT398374B/en
Priority to IN689/MAS/88A priority patent/IN171518B/en
Priority to ZA887467A priority patent/ZA887467B/en
Priority to PT88725A priority patent/PT88725B/en
Application filed by 산토 제이 코스타, 글락소 인크 filed Critical 산토 제이 코스타
Priority to CH3856/88A priority patent/CH677348A5/de
Priority to KR1019880013452A priority patent/KR0131082B1/en
Priority to BE8801213A priority patent/BE1003512A5/en
Priority to PH37731A priority patent/PH27169A/en
Priority to US07/452,718 priority patent/US5119806A/en
Publication of KR90000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082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61M15/0026Hinged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6Hindering inhalation before activation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흡입 장치Suction device

제1도는 그 부품들이 비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howing that the parts are in an inoperative position.

제2도는 그 부품들이 사용 준비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제1도의 장치의 수직 단면도.FIG. 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of FIG. 1 showing the parts in a ready-to-use position. FIG.

제3도는 그 부품들이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제1도의 장치의 수직 단면도.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of FIG. 1 showing the parts in an operating position.

제4도는 제1도의 선 4-4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4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4-4 of FIG.

제5도 내지 제7도는 각기 제1도 내지 제3도와 대응하는 제2 실시예의 단면도.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econd embodiment corresponding to FIGS. 1 to 3, respectively.

제8a도 및 제8b도는 각기 제2실시예에 사용된 요우크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제8a도는 그에 부착된 스트랩의 일부를 도시하는 정면도.8A and 8B are front and plan views, respectively, of the yoke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8A shows a portion of the strap attached thereto.

제9a도 및 제9b도는 각기 제2 실시예에 사용된 멈춤 부재(sear)의 사시도 및 제9a도의 선 9b-9b를 따라 취한 단면도.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9b-9b of FIG. 9a and in a perspective view of a stop member respectively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하우징 16 : 마개 부재10 housing 16 stopper member

24 : 크레이들 32 : 스템24: cradle 32: stem

36 : 레버 38 : 노즐 부재36: lever 38: nozzle member

48 : 부리 50 : 아암48: beak 50: arm

60 : 스프링 64 : 멈춤 부재60: spring 64: stop member

70 : 래치70: latch

코 및 또는 입으로 흡입하기 위해 에어로졸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들은 많이 있다. 이런 장치들은 예를 들어 기관지 천식과 같은 기관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약제를 투여하기 위한 장치들은 잘 알려져 있다.There are many devices for dispensing aerosols for inhalation into the nose and or mouth. Such devices are well known for administering drugs to patients suffering from bronchial diseases such as, for example, bronchial asthma.

이런 에어로졸과 연관된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많은 환자들이 흡입 노력의 개시와 함께 약제 배출을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 예를 들어, 늙은 환자 및 어린이들은 이 동시 작업을 힘들어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미합중국 특허 제3,636,949호, 제3,789,843호, 제3,826,413호 및 국제공보 제85/01880호에 개재된 것과 같은 호흡 작동 장치로 경감될 수 있다. 가끔 이들 장치는 흡입 지향 에어로졸 또는 더 간단히 급기 조정 밸브(demand valve)라고도 불리운다. 간단히, 이들 장치는 환자가 부리와 접촉하는 그의 입술로 흡입할 때 자동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수동조작될 필요성을 제거한다. 계량 밸브를 작동시키는 간단한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단지 약간의 부압이 요구된다. 그후 그 장치는 계량 밸브가 다시 배출하기 전에 재설정되어야 하다. 본 출원은 이런 형식의 호흡 작동식 장치와 연관되지만, 우발적인 배출의 경우를 최소화하면서도 배출이 최소의 노력으로 수행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상술한 특허의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The most important problem associated with this aerosol is that many patients have difficulty controlling drug release with the onset of inhalation efforts. Many people, for example old patients and children, struggle with this concurrent task. This problem can be alleviated with respiratory actuation devices such as those disclosed in US Pat. Nos. 3,636,949, 3,789,843, 3,826,413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85/01880. Sometimes these devices are also called suction oriented aerosols or, more simply, demand and control valves. In short, these devices eliminate the need for manual operation by operating automatically when the patient inhales into his lips in contact with the beak. Only a slight negative pressure is required to operate the simple mechanism for operating the metering valve. The device must then be reset before the metering valve is discharged again.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this type of respiratory actuated device, but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the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patent so that the discharge can be carried out with minimal effort while minimizing the case of accidental discharge.

호흡 작동식 분배기 개발의 오래된 문제점은 배출을 위한 내부 에어로졸 밸브 스프링을 극복하기 위해 요구되는 강한 스프링과 그 장치를 개시시키기 위해 환자들에게 유용한 약한 압력 사이의 비양립성이다. 과거에는 전술한 2개 요소들 사이의 접합이 미약해서 그 재료의 표면 마찰 계수까지 고려되어야 했다. 보다 큰 기계적인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 중간 멈춤부재 요소와 다른 개선점을 도입함으로써, 본 발명은 약제 분배 장치에 요구되는 실용적이고 민감한 래칭과 통합성을 달성하였다.A longstanding problem with the development of breathable dispensers is the incompatibility between the strong springs required to overcome the internal aerosol valve springs for discharge and the weak pressures available to patients to initiate the device. In the past, the bond between the two elements described above was weak and had to take into account th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material. By introducing intermediate stop elements and other improvements to achieve greater mechanical advantages,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practical and sensitive latching and integration required for drug delivery devices.

본 명세서에 기재된 대로, 본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에어로졸 모듈을 수납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있는 크레이들, 배출 스템을 수납하기 위해 하우징내에 장착됨으로써 배출 노즐 부재를 향한 크레이들의 운동이 스템을 그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배출 노즐 부재, 하우징에 대한 크레이들의 상기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하우징 내에 장착된 레버, 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레버를 편의시키는 레버에 연결된 스프링 수단, 및 상기 작동 방향으로의 상기 레버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한 수단은 레버와 결합될 수 있는 멈춤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멈춤 부재와 결합함으로써 스템이 작동되지 않게 되는 위치에 레버를 배치시키는 래치, 및 스프링으로 하여금 배출 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는 위치로 레버를 이동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멈춤 부재로부터 래치를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며, 배출을 방지하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배출을 허용하는 작동 위치로 본체부에 대해 이동될수 있는 배출 스템과 본체부를 갖는 에어로졸 모듈과 함께 사용되기 위한 구조를 갖고 있다. 레버는 레버의 피봇 운동이 한편으로는 스템을 작동시킬 수 없는 방향으로 크레이들을 이동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크레이들을 이동시키도록 크레이들에 연결된다. 스프링 수단의 반대편에 있는 레버를 스템을 작동시킬 수 없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할 수 있는 레버에 연결된 코킹 수단이 있고, 코킹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코킹 수단을 작동 중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있다. 래치는 일단부에서 피봇 지지되며 사용자가 흡입 노력에 의해 배출 개시에 곤란을 느끼는 경우에 멈춤 부재로부터 래치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수동 변위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아암을 그 타단부에 갖는다. 하우징은 밸브와 결합함으로써 분사되는 에어로졸이 그곳을 통해 투사되는 노즐 부재에 인접한 개구를 가지며, 스템이 작동될 수 없는 위치로 팽창된 스프링과 레버를 유지하기 위해 스프링에 마개 부재를 연결하는 수단과 배출 개구를 폐쇄하도록 된 마개 부재가 있다.As described herein, the device is movable relative to the housing, the housing and mounted within the housing for receiving the cradle in the housing for receiving the aerosol module, the discharge stem, thereby causing movement of the cradle towards the discharge nozzle member to move the stem. A discharge nozzle member for moving to its operating position, a lever mounted in the housing that can be operated to achieve said movement of the cradle relative to the housing, spring means connected to the lever for biasing the lever in the direction for operating the stem, and the Mean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lever in the actuation direction, the limiting means for positioning the lever in a position where the stem becomes inoperative by engaging the stop member to secure the stop member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lever. Latches and springs to actuate the discharge stem Means for disengaging the latch from the stop member to allow the lever to be moved to an open position, the discharging stem and the body part being movable relative to the body part from an inoperative position to prevent discharging from the non-operating position to allow discharging. It has a structure for use with an aerosol module having. The lever is connected to the cradle such that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lever moves the crad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em cannot be operated on the one hand 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m can be operated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aulking means connected to the lever that can be operated to move the lever opposite the spring means to a position where the stem is inoperable, there is a means for activating the caulking means and for disabling the caulking means. . The latch is pivotally supported at one end and at the other end an arm accessible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for manual displacement in the direction of disengaging the latch from the stop member in case the user experiences difficulty in initiating discharge by the suction effort. Have The housing has an opening adjacent to the nozzle member through which the aerosol ejected by engaging the valve is projected therethrough, and means for connecting the closure member to the spring to hold the spring and lever inflated to a position where the stem cannot be operated. There is a closure member adapted to close the opening.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면, 챔버(12,14)를 한정하는 하우징(10)을 갖는 장치가 도시된다. 마개 부재(16)은 일단부에서 핀(18)에 의해 챔버(12)의 한 측부에 힌지되며, 그 타단부에 하우징상의 래치 요소(22)와 상호 결합할 수 있는 래치 요소(20)을 구비한다.1 through 4, an apparatus having a housing 10 defining chambers 12, 14 is shown. The closure member 16 is at one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chamber 12 by a pin 18 and at its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latch element 20 capable of mutually engaging a latch element 22 on the housing. do.

크레이들 부재(24)가 내부의 수직 운동을 위해 챔버(12) 내에 장착된다. 크레이들(24)는 챔버 내에 배치된 에어로졸 모듈(A)의 길이 및 단면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치수와 형상의 반원형 측별(26)과 그 스템(32)이 저벽(28)을 통해 크레이들 하방의 챔버내로 신장하는 챔버내에의 역 위치로 모듈을 지지하기 위해 원형 개구(30)을 보유하는 저벽(28)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크레이들(24)는 저부(28)와 견고히 결합하게 모듈을 유지하기 위해 모듈의 저부와 결합하도록 그 상단부에 캐핑요소(34)를 갖는다. 크레이들(24)은 하우징(10)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크레이들(24)을 상승 위치에 유지시키는 하나의 위치와 크레이들을 함몰 위치에 유지시키는 또 다른 위치에서 작동되는 요우크 형상 레버(36) 형태의 수단이 존재한다.Cradle member 24 is mounted in chamber 12 for internal vertical movement. The cradle 24 is provided with a semicircular flank 26 and its stem 32 through the bottom wall 28, below the cradle, having dimensions and shapes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nd cross section of the aerosol module A disposed in the chamber. It has a bottom wall 28 that holds a circular opening 30 for supporting the module in an inverted position in the chamber that extends into the chamber. Preferably, the cradle 24 has a capping element 34 at its upper end to engage with the bottom of the module to hold the module in firm engagement with the bottom 28. The cradle 24 can be moved vertically within the housing 10 and the yoke shaped lever is operated in one position to hold the cradle 24 in the raised position and in another position to hold the cradle in the recessed position. (36) Means of form exist.

크레이들(24) 하방의 하우징(10)의 부분에 개구 (40)를 보유하는 노즐 부재(38)가 고정된 위칭에 장착된다. 노즐 부재(38)는 스템(32)을 수납하기 위해 스템(32)과 정렬되게 배치된다. 개구(40)은 통로(42)에 의해 배출 개구(44)에 연결되며, 그 축은 그 안에 환상 부리(annular mouthpiece)(48)가 배치된 챔버(12)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46)에 대해 동심상으로 중심을 잡고 있다. 이렇게 배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모듈로부터의 배출은 부리(48)를 통해 노즐 부재(38)에 의해 행해진다. 스템(32)이 작동 중 노즐 부재(38) 내에 잔류하므로 소정의 처분 패턴은 항상 유지된다.The nozzle member 38 holding the opening 40 in the portion of the housing 10 below the cradle 24 is mounted in a fixed position. The nozzle member 38 is disposed in alignment with the stem 32 to receive the stem 32. The opening 4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44 by a passage 42, the axis of which is relative to the opening 46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hamber 12 with an annular mouthpiece 48 disposed therein. It is concentrically centered. Arranged in this way, the discharge from the aerosol module is performed by the nozzle member 38 via the beak 48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stem 32 remains in the nozzle member 38 during operation, the predetermined disposal pattern is always maintained.

모듈로부터의 에어로졸의 배출은 모듈의 스템(32)을 변위시키기 위해 노즐 부재(38)에 대해 크레이들(24)을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에어로졸 모듈은 스템(32)의 변위가 노즐 요소를 통해 모듈에 의해 보유된 재료의 1회분을 투여하며 그것을 부리(48)를 향하게 하도록 그 속에 계량 밸브를 갖는다. 그 1회분이 투여된 후 스템이 먼저 그 불능 위치로 되돌아 가고 다시 그 가능 위치가 되기까지 더 이상의 재료는 스템으로부터 나오지 않는다.Discharge of the aerosol from the module is done by moving the cradle 24 relative to the nozzle member 38 to displace the stem 32 of the module. The aerosol module has a metering valve therein such that displacement of the stem 32 administers a batch of material held by the module through the nozzle element and directs it to the beak 48. After the dose has been administered, no further material will emerge from the stem until the stem first returns to its incapable position and again becomes its available posi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대로 제4도의 요우크형상 레버(36)는 그 양 단부 중간의 수평축 주위로의 피봇 운동을 위해 하우징의 반대측별(54)에 피봇식으로 지지된 각각의 트러니언(52)을 구비하는 횡방향으로 이격된 아암(50)을 구비한다. 일단부에서, 요우크의 아암(50)은 각각의 트러니언(56)에 의해 크레이들의 하단부에 피봇 연결된다. 타단부에서, 레버(36)은 커플링 요소(58) 및 아암(57)에 의해 챔버(14) 내에 장착된 인장 스프링(60)의 하단부 (61.1)에 연결된다. 아암(57)은 그곳을 통해 커플링 요소(58)가 신장하는 대향 발산하는 측부(73)를 갖는 개수(71)를 보유한다. 스프링(61)의 상단부(61.2)는 챔버(14)의 벽들 사이에 고정된 핀(62)에 연결된다.As described herein, the yoke-shaped lever 36 of FIG. 4 supports each trunnion 52 pivotally supported on the opposite side 54 of the housing for pivotal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in the middle of its both ends. The arm 50 provided laterally spaced apart is provided. At one end, the arm 50 of the yoke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radle by respective trunnions 56. At the other end, the lever 36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69.1 of the tension spring 60 mounted in the chamber 14 by the coupling element 58 and the arm 57. Arm 57 has a number 71 with opposite diverging sides 73 through which coupling element 58 extends. The upper end 61.2 of the spring 61 is connected to a pin 62 fixed between the walls of the chamber 14.

챔버(14)의 하단부내에 레버(36)의 회전축과 평행한 수평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멈춤 부재(64)가 장착된다. 멈춤 부재(64)는 한 측벽(54)로부터 다른 측벽으로 챔버(14)를 가로 질러 신장하며 측벽(54) 내에 피봇식으로 지지된 트러니언(64.1)에 의해 상기 수평축 주위에서 피봇 장착된다. 멈춤 부재(64)는 레버(36)의 말단부(68)와 결합하기 위해 대략 직각부의 노치(66)를 그 중심부에 구비한다. 요소들이 결합될 때 레버(36) 상의 힘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부(68)가 피봇축과 근접한 노치(66)와 결합하도록 말단부(68)와 노치(66)의 크기 및 위치가 정해진다. 멈춤 부재(64)는 레버(36)의 말단부(68)을 하강 유지시키고(제1도) 레버의 반대 단부가 크레이들(24)을 상승 유지하여서 스템(32)을 완전히 신장시키는 하나의 위치와 레버(36)의 말단부(68)을 해제하고 에어로졸을 배출시키기 위해 스템(32)를 모듈 내로 압박하기 위한 위치로 크레이들을 하강시키기 위해 레버(36)를 스프링에 의해 수평 위치(제3도)로 상승시킬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위치 사이에서 그 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In the lower end of the chamber 14 is mounted a stop member 64 which can be rotated about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lever 36. The stop member 64 is pivotally mounted about the horizontal axis by a trunnion 641 extending across the chamber 14 from one sidewall 54 to the other sidewall and pivotally supported within the sidewall 54. The stop member 64 has a substantially right angled notch 66 at its center portion to engage the distal end 68 of the lever 36. The distal end 68 and the notch 66 are sized and positioned such that the end 68 engages the notch 66 proximate the pivot axis when the elements are engaged to minimize the force on the lever 36. The stop member 64 holds the distal end 68 of the lever 36 down (FIG. 1) and the opposite end of the lever keeps the cradle 24 raised so that the stem 32 is fully extended. The lever 36 is moved to a horizontal position (FIG. 3) by a spring to lower the cradle to a position for releasing the distal end 68 of the lever 36 and forcing the stem 32 into the module to release the aerosol. It can be rotated about its axis between yet another position that allows it to be raised.

한쌍의 아암(70a)를 갖는 래치 부재(70)은 멈춤 부재의 축과 평행한 수평축에 대해 운동하기 위해 도면 부호 72의 위치에서 측벽(54)에 피봇 장착된다. 래치(70)은 한 쌍의 인접부(74)를 갖추고 그 축 상의 대향 단부에 인접 제공되고 그 각각의 인접부는 멈춤 부재와 일체로된 각 아암(76)과 상호 결합 가능하다.A latch member 70 having a pair of arms 70a is pivotally mounted to the side wall 54 at position 72 to move about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top member. The latch 70 has a pair of adjacent portions 74 and is provided adjacent to opposite ends on its axis and each adjacent portion thereof is mutually engageable with each arm 76 integral with the stop member.

제1도의 장치의 비작동 위치에서, 레버(36)은 함몰 위치에 그 일단부가 스프링(60)이 부착된 커플링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부리(48)의 단부위에 끼워지는 캡(80)에 연결되는 코킹 스트랩(78)에 의해 유지된다. 캡(80)이 부리에 끼워질 때 스트랩은 커플링(58)에 의해 스피링(60)을 신장되게 그리고 레버를 그 말단부가 멈춤부재(64)와 결합하게 함몰 위치로 유지한다. 이 위치에서, 래치 부재(70)은 아암(76)과 결합된다. 래치 부재(70)은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래치의 위치에서 챔버(14)의 벽(82)와 평행하며 이 평행 위치에서 벽의 개구(84)를 덮어씌우는 바람 개비(79)를 그 말단부에 연결한다. 그 장치의 비작동 위치에서, 캡(86)은 부리(48)와 결합되며, 바람 개비는 개구(84)를 덮어 씌우기 위해 벽(82)과 결합되고 스텝(32)이 완전히 신장되게, 즉 차단 위치가 되게 링크가 스피링(60)에 의해 제1도에 도시한 위치로 유지된다.In the non-operational position of the device of FIG. 1, the lever 36 is connected to a coupling with one end of the spring 60 attached to the recessed posi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tted over the end of the beak 48. Is held by a caulking strap 78 that is connected to the < RTI ID = 0.0 > When the cap 80 is fitted in the beak, the strap keeps the spring 60 extended by the coupling 58 and the lever in a recessed position so that its distal end engages the stop member 64. In this position, the latch member 70 is engaged with the arm 76. The latch member 70 is parallel to the wall 82 of the chamber 14 in the position of the latch as shown in FIG. 1 and covers the wind vane 79 covering the opening 84 of the wall in this parallel position. Connect to the distal end. In the non-operational position of the device, the cap 86 is engaged with the beak 48 and the wind vane is engaged with the wall 82 to cover the opening 84 and the step 32 is fully elongated, ie shut off. The link is maintained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1 by the spring 60 so as to be in the position.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준비하기 위해 캡(80)은 부리(48)로부터 분리된다(제2도). 캡의 분리는 단지 레버(36)가 멈춤 부재를 회전시키는 그 말단부 위치(68) 외부에서 운동할 수 없으며 멈춤 부재가 래치 부재(70)의 접촉부(74)와 아암(76)의 결합 때문에 회전할 수 없다는 사실에 의해 레버(36)의 말단부가 억제되어 유지되도록 스트랩(78)이 아암(57)의 말단부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한다. 캡(80)이 제거되면 장치는 사용할 수 있게 준비된다. 사용자가 부리(48)를 통해 흡입하여 챔버(14) 내압력을 낮출 때, 바람 개비(70)는 벽(82)과 결합하는 위치로부터 제3도의 좌측을 향해 피봇한다. 좌측으로의 바람 개비(79)의 운동은 래치 부재(70)의 접촉부(74)를 아암(76)으로부터 이탈시켜서 멈춤 부재(64)가 자유롭게 회전하게 한다. 따라서, 스프링(60)은 레버(36)의 우측 단부를 상향하여 당길 수 있다. 레버(36)가 트러니언(52)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피봇 운동하기 위해 장착되므로 그것은 레버(36)의 좌측 단부가 하향하여 이동하여 크레이들(24)을 그것과 함께 운반하다. 크레이들(24)의 하향 운동은 스템(32)을 부리와 노즐을 통해 모듈로부터 에어로졸을 배출하는 모듈내로 변위시킨다. 흡기가 중단될 때 바람개비는 중력의 영향하에 그 폐쇄 위치를 취한다.The cap 80 is separated from the beak 48 to prepare the device for use (FIG. 2). The detachment of the cap can only move outside its distal position 68 where the lever 36 rotates the stop member and the stop member can rotate due to the engagement of the arm 76 with the contact 74 of the latch member 70. The fact that it is not possible allows the strap 78 to free the distal end of the arm 57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lever 36 is held down. Once the cap 80 is removed, the device is ready for use. When the user inhales through the beak 48 to lower the pressure in the chamber 14, the wind vane 70 pivots toward the left side of FIG. 3 from the position where it engages with the wall 82. Movement of the wind vane 79 to the left disengages the contact portion 74 of the latch member 70 from the arm 76, causing the stop member 64 to rotate freely. Thus, the spring 60 can pull upward the right end of the lever 36. Since the lever 36 is mounted for pivoting about the housing by the trunnion 52, it moves downward with the left end of the lever 36 to carry the cradle 24 with i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radle 24 displaces the stem 32 through the beak and the nozzle into the module to expel the aerosol from the module. When intake is stopped, the pinwheel is in its closed position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흡입 후 사용자는 캡(80)을 파지하며 스프링(60)에 의해 스트랩(78)을 통해 작용하는 힘에 대해 그 위에서 하향으로 당긴다. 그 후 사용자는 부리(48) 상에서 캡(80)을 재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된다. 특히 레버(36), 멈춤 부재(64) 및 래치 부재(70)가 제1도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알수 있으며, 이것이 발생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이제 간략히 기재하기로 한다. 캡과 스트랩이 아래로 당겨짐에 따라 레버(36)는 제1도 내지 제3도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트러니언(52)에 의해 피봇되며 말단부(68)가 멈춤 부재(64)의 중심 지역의 노치(66)와 접촉하게 되는 한 지점에 도달된다. 캡과 스트랩의 하향운동이 계속됨에 따라 노치(66)와 말단부(68) 사이의 결합은 멈춤 부재(64)를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시킨다. 이 반시계 방향 피봇 운동 중 아암(76)은 각 래치 부재 아암(70a)의 하부를 타격하며 따라서 래치 부재(70)는 아암(76)이 통과할 수 있게 작은 각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하게 된다. 아암(76)이 각 접촉부(74)를 지나면 래치 부재(70)는 중력의 영향하에 자유롭게 제1도에 도시한 위치로 떨어지며, 아암(76)은 각기 접촉부(74) 뒤에 결합한다. 이 지점에서 제1도에 도시된 형상이 얻어진다.After inhalation, the user grips the cap 80 and pulls downward on it against the force acting through the strap 78 by the spring 60. The user can then reengage the cap 80 on the beak 48. Thus, the device is return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lever 36, the stop member 64 and the latch member 70 are returned to the position of FIG. 1, and the manner in which this occurs will now be briefly described. As the cap and strap are pulled down the lever 36 is pivoted by the trunnion 52 clockwise as shown in FIGS. 1 to 3 and the distal end 68 is notch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stop member 64. 66 is reached. As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ap and strap continues, the engagement between the notch 66 and the distal end 68 pivots the stop member 64 counterclockwise. During this counterclockwise pivoting motion, the arm 76 strikes the bottom of each latch member arm 70a so that the latch member 70 pivots counterclockwise at a small angle so that the arm 76 can pass. . As the arms 76 pass through each contact 74, the latch member 70 freely falls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1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and the arms 76 engage behind the contacts 74, respectively. At this point the shape shown in FIG. 1 is obtained.

제5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여러 면에서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의 실시예의 요소들과 상응하는 제5도 내지 제9도의 실시예의 요소들은 같은 도면 부호에 100을 추가하여 부기된다. 제5도 내지 제9도의 실시예와 제1 내지 제4도의 실시예의 상이한 점에 대해서 더 많이 논의하기로 한다.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5 to 9 are similar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4 in many respect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FIGS. 5-9 corresponding to those of the embodiments of FIGS. 1-4 are added with the addition of 100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mbodiments of FIGS. 5-9 and the embodiments of FIGS. 1-4 will be discussed further.

먼저, 멈춤 부재(164)의 구조가 설명된다. 편의상 제9도는 확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각 아암(176)은 아암(176)의 본체가 신장하는 방향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거의 반경 방향으로 신장하는 돌출부(176a)를 갖는다. 제5도와 같이 그 장치가 그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이들 돌출부(176a) 중의 하나는 대략 U자 형상이며 그 단부를 하우징의 저부에 고정한 편평 스프링(200)을 지지한다. 스프링(200)은 하우징의 측벽(154)의 하나로부터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핀(201)에 대해 신장한다. 스프링은 스프링을 핀에 대해 배치시키는 핀의 양측면 상에 배치된 상향 굴곡부(200a, 200b)를 포함한다. 스프링의 신장부(200c)는 상향하여 경사지며 요소들이 제5도의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76a)에 의해 억제된다. 따라서 편평 스프링은 멈춤 부재를 시계방향으로 편의시킨다. 그 장치의 타측부 상에는 제2 스프링이 마련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엄격히 말하자면 다른 돌출부(176a)는 불필요하다. 돌출부(176a)는 먼저 멈춤 부재가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지나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멈춤 부재가 없다면 멈춤 부재가 회전하여 노치(166)는 흡입 후 장치가 최초의 비작동 상태로 복귀(즉, 제5도의 상태로 복귀)할 때 레버(136)의 말단부(168)에 의해 결합될 위치에 있지 않게 된다. 돌출부(176a) 및 돌출부(176a)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200)의 시계 방향 편의의 존재는 노치(166)이 말단부(168)에 의해 결합 후 정확한 위치에 확실히 있게 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stop member 164 is described. For convenience, FIG. 9 show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Each arm 176 has a protrusion 176a extending almost radially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arm 176 extends. When the device is in its non-operational position as in Fig. 5, one of these protrusions 176a is approximately U-shaped and supports a flat spring 200 which has its ends fixed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The spring 200 extends against the pin 201 extending laterally from one of the side walls 154 of the housing. The spring includes upward bends 200a and 200b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in for positioning the spring relative to the pin. The extension 200c of the spring is inclined upward and restrained by the protrusion 176a when the elements are in the position of FIG. The flat spring thus biases the stop member clockwise. There is no need for a second spring to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vice, so strictly speaking no other projection 176a is necessary. The protrusion 176a first prevents the stop member from excessively rotating counterclockwise in FIGS. 5 to 7. If there is no stop member, the stop member rotates so that the notch 166 is engaged by the distal end 168 of the lever 136 when the device returns to the original non-operation state (i.e., back to the state of FIG. 5) after suction. It will not be in position. The presence of the clockwise bias of the spring 200 acting on the protrusion 176a and the protrusion 176a ensures that the notch 166 is in the correct position after engagement by the distal end 168.

스프링(200)과 결합하는 돌출부(176a)는 스프링에 의해 그 위에 작용하는 가벼운 힘을 가지며, 그것은 레버(136)의 말단부(168)에 의해 노치(166) 상에 작용하는 힘 위에서 흡입이 발생할 때 그 시계 방향 회전을 보증하기 위해 멈춤 부재에 추가적인 힘을 제공한다.The protrusion 176a, which engages the spring 200, has a light force acting upon it by the spring, which when suction occurs over the force acting on the notch 166 by the distal end 168 of the lever 136. Provide additional force to the stop member to ensure its clockwise rotation.

제9도에서, 아암(176)의 돌출부(176a)의 반대측 상에 또 다른 돌출부(176b)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아 돌출부(176b)는 하우징의 저벽과 접촉함으로써 시계 방향으로 멈춤 부재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In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other protrusion 176b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rusion 176a of the arm 176. For example, as can be seen from FIG. 7, the protrusion 176b prevents the stop member from excessively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contacting the bottom wall of the housing.

멈춤 부재의 또 다른 특징은 멈춤 부재의 노치(166) 바로 옆 부분에 요부(169)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흡입 후 장치가 제5도의 상태로 복귀하는 초기단계에서 멈춤 부재의 반시계 방향 회전은 노치(166)과 레버(136)의 말단부(168) 사이의 결합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나, 이 반시계 방향 회전의 최종 부분은 요부(169)와 레버(136) 상에 캠표면(204) 사이의 결합에 의해 달성된다. 이 점에서 요우크(136)가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요우크(36)와 약간 다르다는 것을 유념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특히, 아암(57)이 없으므로 그 후방 단부에서 연결되지 않은 한쌍의 아암(202)은 레버(136)의 주요부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된다. 스트랩의 상부는 아암(202)들 사이에 폭이 감소되고 두께가 증가된 부분(178a)과 아암의 바로 위 아래에 전체 폭을 갖고 증가된 부분을 갖는다. 아암 위 부분은 볼록하여 각 아암(202)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한 요부(203) 내에 수납된다.Another feature of the stop member is that the recess 169 is provided at the portion immediately next to the notch 166 of the stop member.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top member is achieved by engagement between the notch 166 and the distal end 168 of the lever 136 in the initial stage after the device returns to the state of FIG. 5. However, the final part of this counterclockwise rotation is achieved by the engagement between the recess 169 and the cam surface 204 on the lever 136. It will be convenient to note that in this respect the yoke 136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yoke 36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no arm 57, the pair of arms 202, which are not connected at their rear ends, extends rearward from the main portion of the lever 136. The upper portion of the strap has a reduced width and increased thickness 178a between the arms 202 and an increased width and full width just below the arm. The upper portion of the arm is convex and received in a pair of concave recesses 203 formed in each arm 202.

U자 형상 스트립(200)은 하나의 돌출부(176a) 상에 힘을 작요시키는 것 외에 또 한가지 목적을 갖는다. 제5도 내지 제7도와 같이 스프링의 상부는 래치 부재(170)의 아암(170a) 중 하나에 지탱된다. 이것은 제6도와 같이 캡(180)이 노즐(148)로부터 제거된 후 래치 부재(170)가 아암(176)으로부터 우연히 이탈될 수 없고 사용자가 흡입할 때만 이탈되게 한다. 스프링(200)의 존재는 아암(176)으로부터 래치 부재를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경미한 추가적인 힘이 흡입을 통해 작용되어야 하지만 이 추가적인 힘은 스프링(200)이 적절히 약하다면 경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추가적인 힘을 요구하는 스프링(200)의 효과는 제1도 내지 제4도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바람 개비 이상으로, 제5도 내지 제9도의 실시예의 바람 개비의 설계를 개량함으로써 균형을 취하게 된다. 제5도와 같이, 바람 개비(179)는 바람 개비의 주요로부터 전방으로 신장하여 거기에 거의 수직인 측벽(179a)을 구비한다. 측벽들은 각기 각 측벽(154)에 근접하여 그들의 존재는 환자가 흡입할 때 발생되는 흡입력이 바람 개비 상에 힘을 발생시키는 데 크게 효과적이게 한다. 바람 개비(179)의 주요부는 제5도의 위치에서 개구(184) 내에 수납되는 버튼(179b)를 갖는다. 그것의 주요 목적은 사용자에게 명백히 식별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원하면 흡입에 의해 자동적으로 장치를 작동하는 대신에 버튼(179b)를 눌러 바람 개비(179)를 내향 운동시킴으로써 그것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U-shaped strip 200 serves another purpose besides applying a force on one protrusion 176a. As shown in FIGS. 5-7,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is supported by one of the arms 170a of the latch member 170. This allows the latch member 170 to not be accidentally released from the arm 176 after the cap 180 is removed from the nozzle 148 as shown in FIG. 6 and only when the user inhales. The presence of the spring 200 means that a slight additional force must be applied by suction to disengage the latch member from the arm 176, but this additional force means that the spring 200 is mild if appropriately weak. And, the effect of the spring 200 requiring additional force is balanced by improving the design of the wind vanes of the embodiments of FIGS. 5-9, beyond the wind vanes us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1-4. Done. As shown in FIG. 5, the wind vane 179 has a sidewall 179a extending forward from the main of the wind vane and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hereto. The side walls are each proximate to each side wall 154 and their presence makes the suction force generated when the patient inhales greatly effective in generating a force on the wind vane. The main part of the wind vane 179 has a button 179b that is received in the opening 184 in the position of FIG.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button that can be clearly identified to the user. If desired, the user can activate it by moving the wind vane 179 inwards by pressing button 179b instead of automatically operating the device by suction.

본 설명이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의 영역 내에 있는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escrip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and change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6)

하우징, 하우징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에어로졸 모듈을 수납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있는 크레이들, 배출 스템을 수납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장착됨으로써 배출 노즐 부재를 향한 하우징에 대한 크레이들의 운동이 스템을 그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배출 노즐 부재, 하우징에 대한 크레이들의 상기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하우징 내에 장착된 레버, 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레버를 편의시키는 레버에 연결된 스프링 수단, 및 상기 작동 방향으로의 상기 레버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한 수단은 레버와 결합될 수 있는 멈춤 부재, 멈춤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멈춤 부재와 결합함으로써 스템이 작동되지 않게 되는 위치에 레버를 배치시키는 레버, 및 스프링으로 하여금 배출 스템을 작동시킬수 있는 위치로 레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멈춤 부재로부터 래치를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며 배출을 방지하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배출을 허용하는 작동 위치로 본체부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배출 스템과 본체부를 갖는 에어로졸 모듈과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장치.Movement of the cradle relative to the housing, the cradle in the housing to receive the aerosol module and the housing to receive the discharge stem, move the stem relative to the discharge nozzle member to move the stem to its operating position. A discharge nozzle member, a lever mounted in the housing operable to achieve the movement of the cradle relative to the housing, spring means connected to the lever for biasing the lever in the direction for operating the stem, and the lever in the operating direction Means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stop member, the stop member being engageable with the lever, the lever for positioning the lever in a position where the stem is inoperative by engaging the stop member to secure the stop member, and Where the spring can actuate the discharge stem Means for disengaging the latch from the stop member to enable the lever to move and having an aerosol having a discharge stem and a body portion that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from a non-operation position that prevents the discharge to an operating position that permits discharge. S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used with the module. 제1항에 있어서, 레버는 축 주위를 피봇 운동하기 위헤 하우징의 단부들의 중간 지점에서 피봇 장착되며 상기 크레이들에 연결된 일단부와 멈춤 부재와 결합하기 위해 배치된 타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ever has a pivot mounted at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ends of the housing for pivoting about the axis and having an end disposed to engage the stop member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cradle. . 제2항에 있어서, 멈춤 부재는 레버의 피봇 운동의 축과 평행한 축 주위로의 피봇 운동을 위해 장착되며, 레버의 상기 타단부는 멈춤 부재의 피봇축에 근접하게 멈춤 부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3. The stop memb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op member is mounted for pivoting movement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ivot movement of the lever,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lever engages the stop member proximate the pivot axis of the stop memb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수단의 반대편에 있는 레버를 스템을 작동시킬 수 없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레버에 연결된 코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2.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caulking means connected to a lever operable to move the lever opposite the spring means to a position incapable of operating the stem. 제4항에 있어서, 코킹 수단을 작동 및 작동 중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5. Device according to claim 4, comprising means for actuating and deactivating the caulking means. 제5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밸브 스템을 작동시킴으로써 분사되는 에어로졸이 그곳을 통해 투사되는 배출 노즐 부재에 인접하게 개구부를 가지며, 작동 및 비작동 수단이 코팅 수단에 부착되며 코킹 수단을 작동시킬 수 없을 때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배치된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aerosol ejected by operating the valve stem has an opening adjacent to the discharge nozzle member projected therethrough, wherein the actuating and non-actuating means are attached to the coating means and are unable to actuate the caulking means. And a stopper arranged to close the opening when closed. 제6항에 있어서, 마개는 가요성 스트랩에 의해 레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 The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closure is connected to the lever by a flexible strap.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치는 일단부에서 피봇 지지되며 타단부에서 멈춤 부재로부터 래치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의 수동 변위를 위해 하우징 내 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2. The latch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latch has an arm pivotally supported at one end and accessible through an opening in the housing for manual displacement in the direction of disengaging the latch from the stop member at the other end. Devic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래치가 일단부에서 피봇 지지되며 타단부에서 하우징내에 배취된 바람 개비를 가지며, 외부와 비교할 때 하우징 내부의 감소된 압력이 멈춤 부재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바람 개비를 변위시키도록 래치가 멈춤 부재에 의해 결합될 때 하우징이 바람 개비에 의해 덮어 씌워진 1개 이상의 개구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8. The latc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tch has a wind-gap pivotally supported at one end and disposed in the housing at the other end, and the reduced pressure inside the housing separates the stop member as compared to the outside. And the housing retains one or more openings covered by the wind vane when the latch is engaged by the stop member to displace the wind vane in the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래치를 개구를 덮어 씌우는 위치로 편의시키기 위한 또 다른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A device according to claim 9, further comprising another spring means for biasing the latch to a position overlying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멈춤 부재가 작동 위치와, 래치 결합 위치 및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피봇 운동하기 위해 하우징에 피봇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 member is pivotally mounted to the housing for pivoting between the actuation position and the latch engagement position and the non actuation position. 제11항에 있어서, 레버가 스프링 수단에 의해 레버상에 작용하는 힘의 영향하에서 그 래치 결합 위치 안의 주어진 방향으로 멈춤 부재를 피봇 압박하기 위해 멈춤 부재의 협동 부분과 결합하도록 배치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2. The device of claim 11, wherein the lever has a portion arranged to engage the cooperating portion of the stop member to pivotally press the stop member in a given direction within its latch engagement position under the influence of a force acting on the lever by a spr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협동 부분은 멈춤 부재가 그 비작동 위치 안의 주어진 방향으로 더욱 피봇시키기 위해 멈춤 부재로부터 래치를 분리시킬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cooperating portion is actuated when the stop member releases the latch from the stop member to further pivot in a given direction within its non-operational posi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피봇팅을 돕기 위한 보조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4.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comprising an auxiliary spring means for assisting said further pivoting. 제12항에 있어서 연결되고 스프링 수단의 반대편에 있는 레버를 스템을 작동할 수 없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할 수 있는 코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협동 부분은 그 래치 결합 위치로 그것을 복귀시키기 위해 멈춤 부재를 상기 주어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피봇시키기 위해 그러한 이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3. The apparatus of claim 12, comprising caulking means operable to move the lever opposite the spring means, connected to the non-operable position, the cooperating portion stopping to return it to its latched position. And actuated upon such movement to pivot the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he given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멈춤 부재는 소정 범위 밖의 피봇 운동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stop member comprises means for preventing pivot movement outside of a predetermined range.
KR1019880013452A 1987-05-12 1988-10-14 Inhalator Expired - Fee Related KR01310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83,499 US5031610A (en) 1987-05-12 1988-05-03 Inhalation device
BR8802287A BR8802287A (en) 1987-05-12 1988-05-11 INHALATION DEVICE
CA000566481A CA1311170C (en) 1987-05-12 1988-05-11 Inhalation device
ES8801462A ES2008482A6 (en) 1987-05-12 1988-05-11 INHALATION DEVICE.
NL8801239A NL193309C (en) 1987-05-12 1988-05-11 Inhaler.
AU16060/88A AU605295B2 (en) 1987-05-12 1988-05-11 Inhalation device
NZ224579A NZ224579A (en) 1987-05-12 1988-05-11 Inhalation device for use with aerosol module: movable cradle activated by lever
JP63114489A JP2845887B2 (en) 1987-05-12 1988-05-11 Inhaler
IT47942/88A IT1219937B (en) 1987-05-12 1988-05-11 INHALATION APPARATUS
GB8811168A GB2204799B (en) 1987-05-12 1988-05-11 Inhalation device
FR8806389A FR2615106B1 (en) 1987-05-12 1988-05-11 INHALATION-TRIGGERED AEROSOL SPRAYER
DE3816276A DE3816276A1 (en) 1987-05-12 1988-05-12 INHALATION DEVICE
DE8806288U DE8806288U1 (en) 1987-05-12 1988-05-12 Inhaler
MX011447A MX167894B (en) 1987-05-12 1988-05-12 INHALATION DEVICE
SE8803461A SE466385B (en) 1987-05-12 1988-09-29 INHALATION DEVICE WITH AN AEROSOL MODULE
DK544888A DK544888A (en) 1987-05-12 1988-09-29 Inhalation device
FI884493A FI94593C (en) 1987-05-12 1988-09-30 inhaler
NO88884342A NO884342L (en) 1987-05-12 1988-09-30 The inhalation device.
AT0242488A AT398374B (en) 1987-05-12 1988-09-30 INHALER
IN689/MAS/88A IN171518B (en) 1987-05-12 1988-10-04
ZA887467A ZA887467B (en) 1987-05-12 1988-10-05 Inhalation device
PT88725A PT88725B (en) 1987-05-12 1988-10-11 INHALING DEVICE
CH3856/88A CH677348A5 (en) 1987-05-12 1988-10-14
KR1019880013452A KR0131082B1 (en) 1987-05-12 1988-10-14 Inhalator
BE8801213A BE1003512A5 (en) 1987-05-12 1988-10-21 INHALER DEVICE.
PH37731A PH27169A (en) 1987-05-12 1988-10-27 Inhalation device
US07/452,718 US5119806A (en) 1987-05-12 1989-12-14 Inhal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80887A 1987-05-12 1987-05-12
DK544888A DK544888A (en) 1987-05-12 1988-09-29 Inhalation device
FI884493A FI94593C (en) 1987-05-12 1988-09-30 inhaler
NO88884342A NO884342L (en) 1987-05-12 1988-09-30 The inhalation device.
AT0242488A AT398374B (en) 1987-05-12 1988-09-30 INHALER
ZA887467A ZA887467B (en) 1987-05-12 1988-10-05 Inhalation device
PT88725A PT88725B (en) 1987-05-12 1988-10-11 INHALING DEVICE
KR1019880013452A KR0131082B1 (en) 1987-05-12 1988-10-14 Inhalator
CH3856/88A CH677348A5 (en) 1987-05-12 1988-10-14
BE8801213A BE1003512A5 (en) 1987-05-12 1988-10-21 INHALER DEVICE.
PH37731A PH27169A (en) 1987-05-12 1988-10-27 Inhal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001A KR900006001A (en) 1990-05-07
KR0131082B1 true KR0131082B1 (en) 1998-04-11

Family

ID=2758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452A Expired - Fee Related KR0131082B1 (en) 1987-05-12 1988-10-14 Inhalator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JP (1) JP2845887B2 (en)
KR (1) KR0131082B1 (en)
AT (1) AT398374B (en)
AU (1) AU605295B2 (en)
BE (1) BE1003512A5 (en)
BR (1) BR8802287A (en)
CA (1) CA1311170C (en)
CH (1) CH677348A5 (en)
DE (2) DE3816276A1 (en)
DK (1) DK544888A (en)
ES (1) ES2008482A6 (en)
FI (1) FI94593C (en)
FR (1) FR2615106B1 (en)
GB (1) GB2204799B (en)
IN (1) IN171518B (en)
IT (1) IT1219937B (en)
MX (1) MX167894B (en)
NL (1) NL193309C (en)
NO (1) NO884342L (en)
NZ (1) NZ224579A (en)
PH (1) PH27169A (en)
PT (1) PT88725B (en)
SE (1) SE466385B (en)
ZA (1) ZA88746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5887B2 (en) * 1987-05-12 1999-01-13 セプラコー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nhaler
GR1000113B (en) * 1988-10-04 1991-06-28 Glaxo Inc Breathing apparatus
EP0705614B1 (en) 1989-04-28 2002-09-25 Riker Laboratories, Inc. Dry powder inhalation device
GB8909891D0 (en) * 1989-04-28 1989-06-14 Riker Laboratories Inc Device
US5297542A (en) * 1989-06-22 1994-03-29 Raymond J. Bacon Aerosol dispensing device
GB8919131D0 (en) * 1989-08-23 1989-10-04 Riker Laboratories Inc Inhaler
FR2658081B1 (en) * 1990-02-09 1995-06-30 Pesenti Yvan AUTOMATION AND SYNCHRONIZATION DEVICE FOR AEROSOL APPARATUS WITH DOSING PUMP.
US5192548A (en) * 1990-04-30 1993-03-09 Riker Laboratoires, Inc. Device
US6119688A (en) * 1991-08-26 2000-09-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wder dispenser
US5546932A (en) * 1992-03-25 1996-08-20 Tebro Sa Powder jet dispenser for medicament inhalation therapies
GB2264238A (en) * 1992-05-29 1993-08-25 Norton Healthcare Ltd Medicament inhalor device
GB2273660B (en) * 1992-09-11 1996-07-17 Aid Medic Ltd Drug delivery arrangement
GB2272162B (en) * 1992-11-06 1996-10-09 Paul Richard Yerbury Dust proof inhaler
JPH10139536A (en) * 1996-11-12 1998-05-26 Murata Mfg Co Ltd Dielectric porcelain composition
ES2142717B1 (en) * 1997-02-15 2001-02-01 Garcia Francisco Jose Magan SYNCHRONIZED AUTOMATIC INHALER.
US6553988B1 (en) 2000-06-09 2003-04-29 Norton Healthcare, Inc. Medicament dispensing device with a multimaterial diaphragm bounding a pneumatic force chamber
ATE506093T1 (en) 2001-06-26 2011-05-15 Norton Healthcare Ltd IMPROVED AEROSOL REGULATOR
ES2254654T3 (en) 2002-02-14 2006-06-16 Atmed Aktiengesellschaft AUXILIARY INHALER.
PT2143458T (en) 2002-03-22 2017-08-07 Clinical Designs Ltd Can fixture
US7296567B2 (en) 2002-09-25 2007-1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reath actuated aerosol dispensers
GB2398252B (en) * 2003-02-11 2005-09-21 Bespak Plc Dispensing apparatus
BRPI0715958A2 (en) 2006-08-22 2013-07-30 Glaxo Group Ltd drug dispensing device, housing assembly, catapult arrangement, assembly of an arrangement of a catapult and fluid dispensing container, and, drug dispenser
FR3050115B1 (en) * 2016-04-15 2023-05-12 Aptar France Sas FLUID PRODUCT DELIVERY DEVICE SYNCHRONIZED WITH INHALATION.
GB2567240B (en) 2017-10-09 2022-04-06 Senzer Ltd An inhaler particularly a cannabinoid inhaler and a method of assembling such an inhaler
KR102768552B1 (en) * 2022-07-01 2025-02-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Inhaler
KR102795922B1 (en) * 2022-07-01 2025-04-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Inhal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69554A (en) * 1914-01-06 1918-06-11 Frost & Chadwick Co Oil-can.
US3456644A (en) * 1967-01-19 1969-07-22 Dart Ind Inc Inhalation-actuated aerosol dispensing device
BE758834A (en) * 1969-11-13 1971-05-12 Riker Laboratoires Inc AEROSOL DISPENSER ACTIVATED BY INHALATION
GB1383761A (en) * 1971-02-25 1974-02-12 Woodcraft Dc Inhalation device for use with an aerosol container
NO134730L (en) * 1971-07-19 1900-01-01
DE3037917A1 (en) * 1980-10-08 1982-05-13 Byk Gulden Lomberg Chemische Fabrik Gmbh, 7750 Konstanz INHALER
GB8328808D0 (en) * 1983-10-28 1983-11-30 Riker Laboratories Inc Inhalation responsive dispensers
JP2845887B2 (en) * 1987-05-12 1999-01-13 セプラコー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8803461D0 (en) 1988-09-29
CH677348A5 (en) 1991-05-15
NZ224579A (en) 1990-04-26
PT88725B (en) 1995-05-31
NO884342D0 (en) 1988-09-30
IT1219937B (en) 1990-05-24
KR900006001A (en) 1990-05-07
DE3816276A1 (en) 1988-11-24
FI94593C (en) 1995-10-10
PH27169A (en) 1993-04-02
CA1311170C (en) 1992-12-08
NL193309C (en) 1999-06-02
SE8803461L (en) 1990-03-30
NL8801239A (en) 1988-12-01
JPS6446471A (en) 1989-02-20
GB8811168D0 (en) 1988-06-15
ZA887467B (en) 1989-06-28
MX167894B (en) 1993-04-21
AT398374B (en) 1994-11-25
FI884493L (en) 1990-03-31
AU605295B2 (en) 1991-01-10
DK544888A (en) 1990-03-30
GB2204799B (en) 1991-02-20
FI94593B (en) 1995-06-30
FI884493A0 (en) 1988-09-30
DE8806288U1 (en) 1988-09-15
SE466385B (en) 1992-02-10
FR2615106B1 (en) 1993-12-03
DK544888D0 (en) 1988-09-29
PT88725A (en) 1990-04-30
BE1003512A5 (en) 1992-04-14
IT8847942A0 (en) 1988-05-11
BR8802287A (en) 1988-12-13
IN171518B (en) 1992-10-31
JP2845887B2 (en) 1999-01-13
NO884342L (en) 1990-04-02
ES2008482A6 (en) 1989-07-16
ATA242488A (en) 1994-04-15
FR2615106A1 (en) 1988-11-18
GB2204799A (en) 1988-11-23
NL193309B (en) 1999-02-01
AU1606088A (en) 1988-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082B1 (en) Inhalator
US5031610A (en) Inhalation device
US5119806A (en) Inhalation device
AU578915B2 (en) Inhalation activatable dispenser
US6729324B2 (en) Inhalation actuated device for use with metered dose inhalers (MDIs)
US5408994A (en) Inhalation device
US6357442B1 (en) Inhalation actuated device for use with metered dose inhalers (MDIS)
JP4698919B2 (en) Respiratory inhalation device
CA2417575C (en) Dispenser
JPH0685802B2 (en) Inhaler administration device
PT1267971E (en) Inhaler
EP1229953B1 (en) INHALATION ACTUATED DEVICE FOR USE WITH METERED DOSE INHALERS (MDIs)
US20040237961A1 (en) Inhalation actuated device for use with metered dose inhalers (MDIs)
JP2006500171A (en) Respiratory aerosol dispensing device
JPH03207375A (en) Inhaling device, and protecting casing for inhaler
IE61720B1 (en) Inha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1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112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