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9115B1 -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115B1
KR0129115B1 KR1019940021919A KR19940021919A KR0129115B1 KR 0129115 B1 KR0129115 B1 KR 0129115B1 KR 1019940021919 A KR1019940021919 A KR 1019940021919A KR 19940021919 A KR19940021919 A KR 19940021919A KR 0129115 B1 KR0129115 B1 KR 0129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phor
mole
amount
organic solvent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525A (ko
Inventor
김영규
이상협
이희봉
Original Assignee
이종학
한양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학, 한양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학
Priority to KR101994002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115B1/ko
Publication of KR96000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5/81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07C45/8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6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 C07C45/63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ntroduction of halogen;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385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 being part of a ring
    • C07C49/457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alogen
    • C07C49/467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alogen polycyclic
    • C07C49/473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alogen polycyclic a keto group being part of a condensed ring system
    • C07C49/477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alogen polycyclic a keto group being part of a condensed ring system having tw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기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캠퍼와 브롬을 유기용매하에서 1∼8시간 반응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으며 물과 알콜의 혼합용매 및 염기를 부가하여 이성질화시키고 재결정 방법을 통해 하기 3-브로모캡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기용매하에서 하기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캠퍼를 브롬화반응시킨 후, 염기로 후처리하고 재결정시켜 하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3-브로모캠퍼를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3-브로모캠퍼는 입체 이성질체의 광학분할제로 사용되는 3-브로모캠퍼-9-슐폰산의 중간체 화합물로써, 상기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캠퍼는 출발물질로 하여 Agric. Biol. Chem. 43(20, 395-396p, 1979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왔다.
상기 문헌에 따르면, 상기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캠퍼에 브롬(Br2)을 80℃에서 3시간동안 적가한 후 3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교반을 마친 반응액을 냉수에 부가시킨다. 그후, 생성된 침전물을 에탄올(CH3CH2OH)에서 재결정시킨 후 건조시켜 66%의 수율로 상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목적화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은 방응이므로 대량생산을 위한 공장에 적용시 교반에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에탄올을 사용하여 재결정시킬 경우, 결정화되지 않은 하기 구조식(Ⅲ)으로 표시되는 상기 3-브로모캠퍼의 이성질체 및 하기 구조식(Ⅳ)로 표시되는 더브로 모캠퍼가 여액에 다량함유되어 있어 수율이 낮을 뿐만아니라 처리해야 할 폐기물이 다량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절한 용매의 선정을 통해 대량생산시 교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 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반응의 부산물일 상기 구조식(Ⅲ)으로 표시되는 브로모캠퍼 이성질체 및 상기 구조식(Ⅳ)으로 표시되는 디브로모 캠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하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캠퍼와 브롬을 유기용매하에서 1~8시간 반응시킨 후 감압증류 시켜 상기 용매를 제거한 다음, 물과 알콜의 혼합용매 및 염기를 부가하여 환류시키고, 환류종료 후 천천히 상온까지 냉각시켜 재결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캠퍼를 유기용매하에서 브롬을 적가한 후 교반한 다음,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 및 염기를 부가하여 환류시키므로써 반응 부산물인 상기 구조식(Ⅲ)로 표시되는 브로모캠퍼 이성질체의 이성질화반응과 상기 구조식(Ⅳ)으로 표시되는 디브로모캠퍼의 탈브롬화 반응을 동시에 수행하였으며 환류를 마친 후 천천히 냉각시키면서 재결정을 시도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람직한 유기용매로는 에탄올(C2H5OH), 디콜로로에탄(CICH2CH2CI), 사염화탄산(CCI4), 프로판올(C3H7OH), 클로로포름(CHCI3), 메탄올(CH3OH), 디클로로메탄(CH2CI2), 엑산(C6H14), 사이클로헥산(C6H12) 또는 초산(CH3COOH)등이 있고, 에탄올,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사이클로헥산 또는 초산 등이 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람직한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피리딘(C5H10N), 수산화리튬(LiOH),메톡시나트륨(NaOCH3), 에톡시나트륨(NaOC2H5) 또는 수산화칼슘(Ca(OH)2)등이 있으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리튬 등이 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기용매를 상기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캠퍼 0.1몰당 0.5∼8.0ml를 사용하여 60∼110℃에서 브롬 0.09∼0.20몰을 적가시켜 교반하므로써 전체 브롬화 반응시간을 1∼8시간으로 하였고, 상기 반응을 마친 반응물을 감압증류시켜 상기 유기용매를 제거시키고 상기 염기 0.01∼0.10몰과 물과 알콜, 바람직하게 에탄올의 혼합용매(60∼95%에탄올)를 부가시켜 10∼120분 동안 환류시키므로써 반응 부산물인 상기 브로모캠퍼 이성질체의 이성질화 반응과 상기 구조식(Ⅳ)로 표시되는 디브로모캠퍼의 탈브로화 반응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이 반응을 통하여 상기 반응부산물들을 상기 구조식(Ⅰ)의 목적화합물로 90%이상 전환시키므로써 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캠퍼와 브롬을 유기용매하에서 반응시키므로써 종래에 공장에서 상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3-브로모캠퍼를 대량생산시 문제되었던 교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수산화나트륨을 비롯한 염기를 이용하여 반응 부산물인 상기 브로모캠퍼 이성질체의 이성질화 반응과 상기 디브로모캠퍼의 탈브롬화 반응을 동시에 수행하므로써 이들을 대부분 목적화합물로 전환시켰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염기의 사용량은 상기 캠퍼 0.1몰당 0.01∼0.10몰, 바람직하게는 0.03∼0.05몰 이하에서는 반응부산물의 이성질화 반응과 탈브롬화반응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지 못하였고 0.10몰 이상에서는 반응부산물이 목적화합물로 전환되나 목적화합물이 염기에 의해 분해되는 문제점이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유기용매량은 상기 캠퍼 0.1몰당 0.5∼8.0ml이며, 바람직하게는 1.0∼3.0ml이다. 0.5ml보다 적을 경우에는 교반이 원활하지 못했으며 8.0ml이상일 때에는 반응부산물이 많이 생성되는 단점이 있다. 이때 사용된 브롬은 캠피 0.1몰당 0.09∼0.20몰이며, 바람직하게는 0.11∼0.13몰이다. 0.09몰 이하에서는 반응하지 않은 캠퍼가 많이 존재하였고 0.20몰 이상에서는 반응부산물인 상기 구조식(Ⅲ)의 브로모캠퍼 이성질체와 상기 구조식(Ⅳ)의 디브로모캠퍼로의 반응진행이 증가하였다. 반응온도범위는 60∼100℃, 바람직하게는 80∼100℃인데, 60℃이하에서는 반응속도가 느려 반응시간을 6시간이상 수행하여도 원활한 목적화합물을 얻을 수 없었고 110℃이상에서는 생성물의 파괴로 인해 수율이 감소할 뿐만아니라 착색도가 심해져 백색의 결정을 얻을 수 없었다. 반응 후 재결정용매로는 60∼95% 에탄올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75∼85%의 에탄올이 사용되는데, 에탄올이 60%이하에서는 결정이 생성되지 않고 오일 형태로 존재하며 95%이상에서는 용해도의 증가에 의해 수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절한 반응용매의 선정, 반응조건의 최적화 및 반응 후 처리공정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므로써 종래방법의 수율 66%보다 크게 향상된 90%이상의 수율로 원하는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 및 그 효과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캠퍼 15.2g(0.1몰)을 디클로로에탄 1.0ml에 녹인 후 105℃에서 브롬 9.2(0.11몰)을 3시간동안 적가하였다. 적가 종료후 2시간동안 교반하였으며 온도를 상온까지 내렸다. 반응용매인 디클로로에탄올 감압 증류하여 제거하고 80% 에탄올 5.0ml와 수산화나트륨 1.60g(0.04몰)을 부가하여 45분간 환류시켰다. 환류후 서서히 사온까지 냉각시키면서 재결정을 시도하였으며 결정화된 브로모캠퍼는 여과후 건조시켜 19.3g(수율 ; 83.5%)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순도는 99.5%였다.
(실시예2)
캠퍼 15.2g(0.1몰)을 사염화탄소 3.0ml에 녹인 후 80℃에서 브롬 8.0g(0.1몰)을 1시간동안 적가하였다. 적가 종료 후 5시간동안 교반하였으며 온도를 상온까지 내렸다. 반응용매인 사염화탄소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하고 95% 에탄올 10.0ml와 수산화나트륨 0.80g(0.02몰)을 부가하여 120분간 환류시켰다. 환류 후 서서히 상온까지 냉각시키면서 재결정을 시도하였으며 결정화된 브로모캠퍼는 여과 후 건조시켜 19.8g(수율;85.8%)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순도는 99.0%였다.
(실시예3)
캠퍼 15.2g(0,1몰)을 시이클로헥산 2.0ml에 녹인 후 75℃에서 브롬 10.4g(0,14몰)을 3시간동안 적가하였다. 적가 종료후 4시간동안 교반하였으며 온도를 상온까지 내렸다. 반응용매인 사이클로헥산을 감압증류하여 제거하고 75% 에탄올 5.0ml와 수산화나트륨 2,40g(0.06몰)을 부가하여 10분간 환류시켰다. 환류후 서서히 상온까지 냉각시키면서 재결정을 시도하였으며 결정화된 브로모캠퍼는 여과 후 건조시켜 18.5g(수율; 80.1%)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순도는 99.7%였다.
(실시예4)
캠퍼 15.2g(0.1몰)을 초산 4.0ml에 녹인 후 110℃에서 브롬 9.2(0.12몰)을 4시간동안 적가하였다. 적가 종료 후 1시간동안 교반하였으며 온도를 상온까지 내렸다. 반응용매인 디클로로에탄올을 감압증류하여 제거하고 80% 에탄올 5.0ml와 수산화나트륨 1.60g(0.05몰)을 부가하여 30분간 환류시켰다. 환류 후 서서히 상온까지 냉각시키면서 재결정을 시도하였으며 결정화된 브로모캠퍼는 여과 후 건조하여 16.9g(수율; 73.2%)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순도는 98.0%였다.
(실시예 5∼18)
실시예 1에서 브롬의 사용량, 유기용매의 종류, 반응온도, 염기의 종류, 염기 사용량, 재결정용매의 종류와 사용량 그리고 반응 후 환류 시간을 하기 표1에 기재된 조건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또한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Claims (13)

  1. 하기 구조식(Ⅰ)로 표시된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캠퍼와 브롬을 유기용매하에서 1∼8시간 반응시킨 후 감압증류시켜 상기 용매를 제거한 다음, 물과 알콜의 혼합용매 및 염기를 부가하여 환류시키고, 환류 종료 후 천천히 상온까지 냉각시켜 재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에탄올(C2H5OH), 디클로로에탄(CIH2CH|2CI), 사염화탄산(CCI4), 프로판올(C3H7OH),클로로포름(CHCI3), 메탄올(CH|3OH), 디클로로메탄(CH2CI2), 헥산(C6H14) 클로헥산(C6H12) 또는 초산(CH3COOH)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에탄올,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사이클로헥산 또는 초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의 사용량이 캠퍼 0.1몰당 0.5∼8.0ml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의 사용량이 캠퍼 0.1 몰당 1.0∼3.0ml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가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피리딘(C5H10N), 수산화리튬(LiOH), 메톡시나트륨(NaOCH3), 에톡시나트륨(NaOC2H5) 또는 수산화칼슘(Ca(OH)2)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리튬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의 사용량이 캠퍼 0.1몰당 0.01∼0.10몰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염가의 사용량이 캠퍼 0,1몰당 0.03∼0,05몰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롬의 사용량이 캠퍼 0.1몰당 0.09∼0.20몰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롬의 사용량이 캠퍼 0.1몰당 0.10∼0.13몰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온도가 60∼110℃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가 60∼95%에탄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KR1019940021919A 1994-08-31 1994-08-31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KR0129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919A KR0129115B1 (ko) 1994-08-31 1994-08-31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919A KR0129115B1 (ko) 1994-08-31 1994-08-31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25A KR960007525A (ko) 1996-03-22
KR0129115B1 true KR0129115B1 (ko) 1998-04-07

Family

ID=1939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919A KR0129115B1 (ko) 1994-08-31 1994-08-31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1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25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62336A (en) Synthesis of naphthalene derivatives
US4691020A (en) 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carboxylic acids
JPS6364410B2 (ko)
KR0129115B1 (ko)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US4704472A (en) Preparation of an enantiomer of a substituted fluorenyloxyacetic acid
US4009172A (en) 2,3,3A,6,7,7A-Hexahydro-thieno[3,2-b]pyridin-(4H)5-ones
KR910000239B1 (ko) 메틸 2-테트라데실글리시데이트의 제조방법
KR20050121258A (ko) 9-시스 레티노산의 제조 방법
EP0309626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ibenzothiepin derivative
US4264500A (en) Process of making 6-chloro-α-methyl-carbazole-2-acetic acid
Sisido et al. A Synthesis of Iridomyrmecin
US489143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ibenzothiepin derivative
JP2561480B2 (ja) 4,6−ジアルコキシ−2−アルキルチオピリミジン類の製造方法
JP4584625B2 (ja) 1,2−シス−2−フルオロシクロプロパン−1−カルボン酸エステル類の製法
JP2659587B2 (ja) 4―アジリジニル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US4898942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diazinon
JPS644508B2 (ko)
US4215074A (en) Process for preparing cis-bicyclooctylamines
KR920001768B1 (ko) 크로몬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US6355836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is 5-fluoro-2-methyl-1[p-(methylthio)benzyliden]-inden-3-acetic acid
KR800001045B1 (ko) 2-(4′-알킬페닐)프로피온 알데히드의 제조방법
US6278027B1 (en) 3-Substituted-2-halocycloheptenone compound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910001236B1 (ko) 2-(4-아미노페닐)-2-메틸프로필 알코올의 제조방법
HU193454B (en) Process for producing 3-phenyl-butyraldehyde derivatives
US4343953A (en) Method for preparing 4-hydroxy-3-methyl-2-(2-propynyl)-2-cyclopentenol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8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1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