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106B1 - 종방향 기록용 집적 트랜스듀서-서스펜션 구조 - Google Patents
종방향 기록용 집적 트랜스듀서-서스펜션 구조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9106B1 KR0129106B1 KR1019930017598A KR930017598A KR0129106B1 KR 0129106 B1 KR0129106 B1 KR 0129106B1 KR 1019930017598 A KR1019930017598 A KR 1019930017598A KR 930017598 A KR930017598 A KR 930017598A KR 0129106 B1 KR0129106 B1 KR 01291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e piece
- thin film
- layer
- pole
- 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0)
- 종방향 기록용의 조합형 박막 자기 헤드 트랜스듀서 및 서스펜션 시스템에 있어서, a) 자극단(pole tip)을 갖는 수평 박막의 제1극편, b) 서로 대향하고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1 및 제2박막 표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박막 자기 갭층(magnetic gap layer), c) 상기 박막 자기 갭층의 자기 제2수직 박막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자극단을 가지는 수직부 및 상기 제1극편과 자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상기 제1극편에 인접하고 평행인 수평부를 가지는 박막 제2극편-상기 제1및 제2극편은 후방 갭 영역(back gap region)에서 자기적으로 접속되나, 그 자극단에서는 상기 자기 갭에 의해 자기적으로 분리됨-, d) 사기 제1 및 제2극편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이들을자기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를 둘러싸는 박막 코일, 및 e) 적어도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제2극편과 상기 코일로부터 전기적으로 그리고 자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 갭 영역을 지나 연장되어 있는, 탄성 재료로 된 박막층의 서스펜션층(suspension layer)을 포함하고, 1) 상기 제1 및 제2수직 박막 표면은 래핑(lapping) 없이 박막 피착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2) 상기 막막 자기 갭층의 상기 제1박막 표면은 상기 수평 박막의 제1극편의 자극단과 직접 접촉하고 있으며, 3) 상기 제1및 제2극편은 상기 후방 갭 영역에서 폭이 넓고 상기 자극단에서 폭이 좁은 구조이며, 4)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은 수평이며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5) 상기 제1극편은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에 인접한 하강 경사부(downwardly sloping portion)를 가지며,6) 상기 제1극편은 상기 경사부에서 그 자극단으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며, 7) 상기 제2극편의 상기수직부는 상기 자기 갭층에 인접한 단부 상에 본질적으로수직인 수직부(essentially vertical portion)를 가지며 기 본질적인 수직부로부터 이각된(angled away from) 제2단부 상의 부분을 가지고 있어 상기 제2편의 수평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종방향 기록용의 조합형 박막 자기 헤드 트랜스듀서 및 서스펜션 시스템.
- 디스크 드라이브 조립체에 있어서, a) 하우징, b)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고, 위에 마련된 트랙들에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경질의 프래터(rigid platter), c)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경질의 플래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 d)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고, 자유 단부를 가지며, 상기 자유 단부를 상기 경질의 플래터의 하나의 트랙에 근접하게 배치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아암, e) 상기 액츄에이터아암을 상기 경질의 플래터 상의 특정의 트랙에 가까이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 및 f) 상기 액츄에이터 암의 자유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종방향 기록용의조합형 박막 자기 헤드 트래스듀서 및 서스펜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조합형 박막 자기헤드 트랜스듀서 및 서스펜션 시스템은 1) 자극단(pole tip)을 갖는 수평 박막의 제1극편, 2) 서로 대향하고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1 및 제2박막 표면을 가지는, 실직적으로 수직인 박막 자기 갭층(magnetic gap layer), 3) 상기 박막 자기 갭층의 상기 제2수직 박막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자극단을 가지는 수직부 및 상기 제1극편과 자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상기 제1극편에 인접하고 평행인 수평부를 가지는 박막 제2극편-상기 제1 및 제2극편은 후방 갭 영역에서 자기적으로 접속되나, 그 자극단에서는 상기 자기 갭에 의해 자기적으로 분리됨-, 4) 상기 제1 및 제2극편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이들을 자기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를 둘러싸는 박막 코일, 및 5) 적어도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제2극편과 상기 코일로부터 전기적으로 그리고 자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 갭 영역을 지나 연장되어 있는, 탄성 재료로 된 박막층의 서스펜션층(suspension layer)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수직 박막 표면은 래핑 없이 박막 피착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박막 자기 갭층의 상기 제1박막 표면은 상기 수평 박막의 제1극편의 자극단과 직접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극편은 상기 후방 갭 영역에서 폭이 넓고 상기 자극단에서 폭이 좁은 구조이며,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은 수평이며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상기 제1극편은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에 인접한 하강 경사부(downwardly sloping portion)를 가지며, 상기 제2극편의 상기 수직부는 상기 자기 갭층에 인접한 단부 상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수직부를 가지며 상기 본질적인 수직부로부터 이각된 제2단부상의 부분을 가지고 있어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디스크드라이브 조립체.
- 조합형 박막 자기 헤드 트랜스듀서 및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웨이퍼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웨이퍼 기판 상에 오프셋 영역(offset region)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웨이퍼 기판 상에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분리층 상에 상기 오프셋 영역에 인접한 ABS 영역을 가진,자성 재료로 된 제1극편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형성된 제1극편상에 패턴화된(patterned) 후방 갭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제1극편상에 서스펜션부의 길이를 따라 내마모층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내마모층 상에 적어도 상기 제1극편층과 상기 서스펜션부의 길이에 걸쳐있는 가지적 및 전기적 절연층을 제1서스펜션층으로서 형성하는 단계, h) 상기 절연층 상에 도전 재료로 된 박막 코일의 제1절반부를 형성하는 단계, i) 적어도 상기 박막 코일의 절반부를 덮는 제1전기적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j) 상기 절연층 상에 자성 재료로 된 패턴화된 제2극편층의 수평부를 형성하고 이를 상기 제1 및 제2극편층의 자극단 영역에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후방 갭부재로 접속시키는 단계, k) 적어도 상기 제2극편층을 덮는 제2전기적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l) 상기 제2절연층 상에 도전 재료로 된 박막 코일의 제2절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절반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완성된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m) 상기 박막 코일의 제2절반부상에 상기 서스펜션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자기적 및 전기적 절연층을 제2서스펜션층으로서 형성하는 단계, n) 상기 형성된 후 방 갭층의 반대편에 있는 상기 제1극편층의 단부를 덮도록 상기 형성 단계들에 의해 제조된 조립체의 자유단부를 자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자기갭층을 형성하는 단계, o) 상기 자기 갭층 상에 자성 재료로 된 제2극편층의 수직부를 형성하는 단계, p) 상기 제2극편층의 상기 수직부 위를 덮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q) 상기 분리층을 용해함으로써 형성된 층으로부터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를 순서에 관계없이 포함하는 조합형 박막 자기 헤드 트랜스듀서 및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r)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서스펜션부의 길이를 따라 상기 코일의 제1절반부(first one-half of the coil)에 접속된 도전 재료로 된 제1도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s) 상기 제2절연층 상에 상기 서스펜션부의 길이를 따라 상기 코일의 제2절반부(second half of the coil)에 접속된 도전 재료로 된 제2도 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t) 상기 제1 및 제2극편의 반대편에 있는 상기 서스펜션부의 단부 근처에 상기 제1 및 제2도전체층에 대한 도전체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합형 박막 자기 헤드 트랜스듀서 및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재료로 된 제1극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성 재료로 된 페턴화된 제2극편층의 수평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성 재료로 된 패턴화된 제2극편층의 수직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극편이 상기 후방 갭 부재에서의 표면이 넓고 상기 자극단 영역에서의 표면이 더 좁은 구성이 되도록 하는 조합형 박막 자기헤드 트랜스듀서 및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조방법.
- 종방향 기록용의 조합형 박막 자기 헤드 트랜스듀서 및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웨이퍼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마련된 웨이퍼 기판 상에 조합형 시스템의 다수의 행(rows)과 열(columns)을 만들기 위하여, 1) 상기 마련된 웨이퍼 상에서 상기 만들어진 다수의 행을 따라 각각의 행의 한쪽 모서리에 오프셋 영역을 형성하고, 2) 상기 마련된 웨이퍼 상에 그리고 상기 형성된 오프셋 영역 위로 분리층(release layer)을 형성하고, 3) 상기 형성된 분리층 상에 자성 재료로 된 제1극편들을 형성하여, 상기 오프셋 영역 상에 공기 베어링 표면들이 배치되도록 하고, 4) 각각의 제1극편 상에 패턴화된 후방 갭부재를 형성하고, 5) 상기 제1극편들 상에 그리고 서스펜션부의 길이를 따라 제1극편 각각에 대한 내마모층을 형성하고, 6) 상기 제1극편 각각에 대하여, 상기 내마모층 상에 적어도 상기 제1극편들과 상기 서스펜션부의 길이에 걸쳐 있는 자기적 및 전기적 절연층을 제1서스펜션층으로 형성하고, 7) 상기 절연층 상에 제1극편 각각에 대한 도전 재료로 된 박막 코일의 제1절반부를 형성하고, 8) 적어도 상기 박막 코일의 절반부 각각을 덮는 제1전기적 절연층을 형성하고, 9) 상기 제1극편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절연층 상에 자성 재료로 된 패턴화된 제2 극편층의 수평부를 형성하고, 10) 적어도 상게 제2극편층 각각을 덮는 제2전기적 절연층을 형성하고, 11) 상기 박막 코일의 제1절반부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2전기적 절연층 상에 도전 재료로 된 박막 코일의 제2절반부를 형성하고, 12) 상기 박막 코일의 제2절반부 각각 위에 상기 각각의 서스펜션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extending said distance for each suspension section) 자기적 및 전기적 절연층을 제2서스펜션층으로서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웨이퍼 기판 상에 있고 상기 조합형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행열로부터 하나의 행을 분리시키는 (detaching) 단계, d) 분리된 행 각각의 공기 베어링 표면을 갖는 모서리 상에서 선정된 설계(preselected design)를 래핑(lapping)하는 단계, e) 분리된 행 각각의 상기 래핑된 행 모서리 각각 위에 절연 재료로 된 자기 갭층을 형성하는 단계, f) 분리된 행 각각의 상기 갭층들의 단부 상에 상기 형성된 제2극편의 수평부에 대한 수직부를 마련하기 위해 자성 재료로 된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분리된 행 각각의 상기 제2극편의 상기 수직부 위를 덮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방향 기록용의 조합형 박막 자기 헤드 트랜스듀서 및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조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h) 분리된 행 각각으로부터 개개의 조합형 시스템을 분리하는 단계, 및 i) 상기 분리층(release layer)을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분리된 개개의 조합형 시스템 각각으로부터 상기 기판을 분리하는(releasing) 단계를 더 포함하는 종방향 기록용의 조합형 박막 자기 헤드 트랜스듀서 및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조 방법.
- 자기 헤드 조립체(magnetic head assembly)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a) 전면 모서리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수평 제1극편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수평 제1극편 상에 다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절연체 스택(insulation stack) 및 코일 조립체-상기 코일 조립체는 상기 절연층들 사이에 샌드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층을 포함함-를 형성하는 단계, c) 전면 모서리를 가지는 제2극편의 수평부를 상기 절연체 스택상에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극편의 전면 모서리 및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상에 수직갭층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갭층의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f) 상기 갭층 및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노출된 전면 모서리 상에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갭층내에 비어(via)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쪽으로의 각도로 상기 갭층을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편의 전면 모서리 부근에서는 좁은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 부근에서는 넓은 부분을 가지는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가 노출되도록 상기 갭층 내에 비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게 제거 단계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 쪽으로의 각도로 상기 갭층을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편 및/ 또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 부 상에 상기 갭층으로부터 상기 제1극편 및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후방 위치까지 연장되는 서스펜션층 또는 서스펜션층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를 가진 제1극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수평부는, 상기 제1수평부로부터 상기 제1극편의 전면 모서리에서 종단되는(terminating) 상기 제2수평부까지 하강 경사진, 상호접속부에 의해 상호접속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하부 표면을 가지는상기 제2수평부,상기 갭층 및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 상기 갭층 및 상기 제2수평부의 하부 표면에 인접하는 하부 표면을 가진 커버층을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 상에 형성하여 하부 표면이 공기 베어링 표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편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극편의 상기 상호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강 경사부를 가진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1극편 형성 단계 이전에, 상기 기판 상에 도전성 분리층(conductive release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극편을 형성하기 위한 시드층(seedlayer)으로서 상기 도전성 분리층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편의 제1수평부와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 사이에 후방 갭 접속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방 갭 접속부의 후방에 마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극편의 제1수평부와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 사이에 후방 갭 접속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극편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제1극편의 상부에 상기 절연층들 중 제1절연층을 형성하여,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를 형성한 이후에 상기 제1절연층이 상기 제1극편과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갭 접속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최소한 하나의 코일층으로부터 상기 후방 갭 접속부의 후방 위치까지 상기 제1절연층의 상부에 리드 쌍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최소한 하나의 코일층 및 리드의 상부에 상기 절연층들 중 제2절연층을 증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리드 쌍과 관련하여 상기 제2절연층 내에 한 쌍의 접촉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편 및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 전면 모서리와 인접하는 전면 모서리를 가진 상기 제1 및 제2절연층 각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갭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극편의 전면 모서리,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 및 상기 제1 및 제2절연층의 전면 모서리 상에 상기 갭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a) 상기 갭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기판 상의 행열에 다수의 상기 제1 및 제2극편 절연층, 코일층, 리드 및 접촉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판을 다이싱(dicing)하여 개별적인 기판행(discrete substrate rows)으로 되도록 하여, 각각의 모서리가 각각의 기판 행의 기판 행 모서리에 인접하게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갭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행 모서리 중의 하나에 상기 갭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행 모서리상의 갭층상에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행 모서리 상의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 상에 상기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c) 상기 기판행을 다이싱하여 개별적인 리드 자기 헤드들을 지지하는 개별적인 기판들로 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개별적인 기판들로부터 상기 개별적인 리드 자기 헤드들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조립체 제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편의 전면 모서리에 인접한 곳에서는 좁은 부분을 가지며,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에 인접한 곳에서는 넓은 부분을 가지는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로부터 상기 제1극편의 전면 모서리에서 종단되는 상기 제2수평부까지 하강 경사진 상호접속부에 의해 상호접속되는 제1 및 제2수평부를 가진 상기 제1극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하부 표면들을 가진 상기 제2수평부, 상기 갭층 및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 상기 갭층 및 상기 제2수평부의 하부 표면에 인접하는 하부 표면을 가진 커버층을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 상에 형성하여 상기 하부 표면들이 공기 베어링 표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갭층에 비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전면 모서리쪽의 각도로 상기갭층을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편을 형성하기 이전에, 상기 제1극편의 상호접속부를 형성하도록 하강경사부를 가진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조립체 제조 방법.
- 제28항에 있어서,상기 제1극편을 형성하기 이전에, 상기 기판 상에 도전성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극편을 형성하기 위한 시드층으로서 상기 도전성 분리층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편 및/또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 상에 상기 갭층으로부터 상기 제1극편 및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후방 위치까지 연장되는 서스펜션층 또는 층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편의 제1수평부와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 사이에 후방 갭 접속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방 갭 접속부의 후방에 마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갭층 내에 비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전면 모서리 쪽으로의 각도로 상기 갭층을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조립체 제조 방법.
- 종방향 기록용의 박막 자기 헤드에 있어서, a) 자극단을 가지는 수평 박막 제1극편, b) 수평부, 및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에 대향된 자극단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직부를 가지는 박막 제2극편, c) 상부 및 하부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는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과 상기 제2극편의수직부의 자극단 사이에 샌드위치 형으로 삽입되어 있고(sandwiched),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는 래핑 없이 박막 피착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제1 및 제2박막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의 제1박막 표면은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의 제2박막 표면은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의 자극단에 직접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극편은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와 일체로 되어 있는 각부(angled portion)를 가지며, 상기 각부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노출된 단부와 직접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와 상기 노출된 단부는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상부를 래핑시키는 공정에 의해 노출되는 종방향 기록용의 박막 자기 헤드.
- 종방향 기록용의 박막 자기 헤드에 있어서, a) 자극단을 가지는 수평 박막 제1극편, b) 수평부, 및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에 대향하는 자극단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직부를 가지는 박막 제2극편, 및 c) 상부 및 하부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을 포함하고, 1)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는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과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의 자극단 사이에 샌드위치형으로 삽입되어 있고, 2)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는 래핑 없이 박막 피착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제1 및 제2박막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3)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의 상기 제1박막 표면은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의 상기 제2박막 표면은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의 자극단에 직접 결합되어 있어으며, 4) 상기 박막 자기 갭층의 상부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단부에 대향하는 개구(aperture)를 가지며, 5)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종방향 기록용의 박막 자기 헤드.
- 종방향 기록용의 박막 자기 헤드에 있어서, a) 자극단을 가지는 수평 박막 제1극편, b) 수평부, 및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에 대향된 자극단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직부를 가지는 박막 제2극편, 및 c) 상부 및 하부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을 포함하고, 1)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는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과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의 자극단 사이에 샌드위치 형으로 삽입되어 있고, 2)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는 레핑 없이 박막 피착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제1 및 제2박막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3)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의 상기 제1박막 표면은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의 제2박막 표면은 상기 제2극편의수직부의 자극단과 직접 결합되어 있으며, 4) 상기 제1극편 및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는 후방 갭에서 자기적으로접속되어 있으며, d)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과 상기 후방갭 사이에서 상기 제1극편 및 상기 제2극편의수평부를 덮으며, 상기 제1극편과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로부터 상기 후방 갭을 지나 연장되어 있는(continuing a distance past the back gap away from the first pole piece and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second pole piece), 탄성 재료로 된 박막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고, 5) 상기 박막 자기 갭층은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단부에대향하는 개구를 가지며, 6) 상기 제2극편의 상기 수직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종방향 기록용의 박막 자기 헤드.
- 제36항의 종방향 기록용의 박막 자기 헤드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가 a) 하우징, b) 자기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된 수단, 및 c)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 서스펜션은 상기 제1 및 제2극편의 자극단이 상기 자기 디스크에 대해서 변환 관계로(in a transducing relationship)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 상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 종방향 기록용의 박막 자기 헤드에 있어서, a) 자극단을 가지는 수평 박막 제1극편, b) 수평부, 및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에 대향하는 자극단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직부를 가지는 박막 제2극편, 및 c) 상부 및 하부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을 포함하고, 1)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는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과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의 자극단 사이에 샌드위치형으로 삽입되어 있고, 2)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는 래핑 없이 박막 피착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제1 및 제2 박막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3)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의 상기 제1박막표면은 상기 제1극편의 자극단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하부의 제2박막 표면은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의 자극단에 직접 결합되어 있으며, 4) 상기 제1극편 및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는 후방 갭에서 자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d)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과상기 후방갭 사이에서 상기 제1극편 및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를 덮으며, 상기 제1극편과 상기 제2극편의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기 후방 갭을 지나 연장되어 있는(continuing a distance past the back gap away from the first pole piece and the horizontal conponent of the second pole piece), 탄성 재료로 된 박막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고, 5) 상기 제2극편은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와 일체로 되어 있는 각부(angled portion)를 가지며, 상기 각부는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노출된 단부와 직접 결합되어 있으며, 6) 상기 제2극편의 수평부의 상기 노출된 단부는 상기 수직 박막 자기 갭층의 상부를 래핑시키는 공정에 의해 노출되는 종방향 기록용의 박막 자기 헤드.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편의 자극부는 수평이고 상기 제2극편의 수직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상기 제1극편은 상기 제1극편의 자극부에 인접한 하강 경사부를 가지는 종방향 기록용의 박막 자기 헤드.
- 제39항에서와 같은 종방향 기록용의 박막 자기 헤드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a) 하우징, b) 자기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된 수단, 및 c)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 서스펜션은 상기 제1 및 제2극편의 자극단이 상기 자기 디스크에 대해 변환 관계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 상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17598A KR0129106B1 (ko) | 1993-09-03 | 1993-09-03 | 종방향 기록용 집적 트랜스듀서-서스펜션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17598A KR0129106B1 (ko) | 1993-09-03 | 1993-09-03 | 종방향 기록용 집적 트랜스듀서-서스펜션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9940A KR950009940A (ko) | 1995-04-26 |
KR0129106B1 true KR0129106B1 (ko) | 1998-04-18 |
Family
ID=6681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17598A KR0129106B1 (ko) | 1993-09-03 | 1993-09-03 | 종방향 기록용 집적 트랜스듀서-서스펜션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9106B1 (ko) |
-
1993
- 1993-09-03 KR KR1019930017598A patent/KR01291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9940A (ko) | 1995-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55286A (en) | Integrated transducer-suspension structure for longitudinal recording | |
EP0568257B1 (en) | Data transfer head | |
US5454158A (en) | Method of making integral transducer-suspension assemblies for longitudinal recording | |
US5995328A (en) | Multi-layered integrated conductor trace array interconnect structure having optimized electrical parameters | |
US6700747B2 (en) | Integrated lead head suspension assembly having an etched laminated load beam and flexure with deposited conductors | |
JP2614412B2 (ja) | 磁気変換器/サスペンション・アセンブリおよび製造方法並びに磁気ディスク・ドライブ・システム | |
US5737152A (en) | Suspension with multi-layered integrated conductor trace array for optimized electrical parameters | |
US5742452A (en) | Low mass magnetic recording head and suspension | |
US5745979A (en) | Magnetic head for recording with ultra low force | |
US5406695A (en) | Method for fabricating thin-film magnetic heads | |
KR100271202B1 (ko) | 자기저항 센서로부터 패드까지 무-비아 리드층을 구비한 자기헤드 | |
CN1122495A (zh) | 在薄膜磁性传感器内形成垂直间隙的过程 | |
KR0129106B1 (ko) | 종방향 기록용 집적 트랜스듀서-서스펜션 구조 | |
US7336445B2 (en) | Conductive stud for magnetic recording devic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0129107B1 (ko) | 극히 약한 힘으로 기록하는 자기 헤드 및 그것의 가공 방법 | |
CN1064161C (zh) | 用于纵向记录的组合式薄膜磁头和悬浮系统及其制造方法 | |
JPH04221414A (ja) | 薄膜磁気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9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7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10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9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0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0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1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10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1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