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7898Y1 - 수냉식 에어콘의 개량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수냉식 에어콘의 개량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898Y1
KR0127898Y1 KR2019960004848U KR19960004848U KR0127898Y1 KR 0127898 Y1 KR0127898 Y1 KR 0127898Y1 KR 2019960004848 U KR2019960004848 U KR 2019960004848U KR 19960004848 U KR19960004848 U KR 19960004848U KR 0127898 Y1 KR0127898 Y1 KR 0127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frigerant
evaporator
water tank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537U (ko
Inventor
정필하
Original Assignee
정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필하 filed Critical 정필하
Priority to KR2019960004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898Y1/ko
Publication of KR970055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5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8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수냉식에어콘의 냉매라인을 개선하여 물의 소비량을 줄일수 있게 한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수냉식에어콘은 응축수의 양이 부족할시 상수도를 공급하여야하므로 물의 소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증발기를 순환한 다음의 냉매를 물탱크내의 방열기로 순환시켜 냉매의 잔류냉기가 물탱크내의 물을 냉각시키도록 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상수도 공급이 거의 없어도 항상 원활한 냉각작용이 이루어짐.

Description

수냉식 에어콘의 개량 냉각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냉매순환회로도.
제2도는 본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발기 2 : 물탱크
3 : 물받침 4 : 응축수유입관
5a, 5b : 방열기 6 : 콤푸레샤
7, 7' : 냉매공급관 8 : 모세관
9, 9' : 냉매회수관 10 : 솔레노이드밸브
11 : 상수도유입관 12 : 배수관
본고안은 공냉식 실외기가 필요없이 실내기에서 물로 냉매를 냉각시키도록된 수냉식 에어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발기를 순환한 다음 콤푸레샤로 재순환될때 냉매에 남아있는 냉기로 물탱크내의 물을 냉각시키고, 상기 작용에 의해 냉각된 물이 증발기로 들어가는 냉매를 냉각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냉매의 온도를 손실없이 최대한 활용하여 물의 소비량을 줄이면서 냉각작용을 더욱 원활히 하게끔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기존의 수냉식에어콘은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이용하거나, 응축수가 모자랄 경우 온도감지에 의해 상수도 물을 공급토록 되어있는데, 이러한 이유에 의해 소비되는 상수도물의 낭비적인 요소를 감안하여야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 냉매는 증발기를 순환하면서 냉기를 발산한후 콤푸레샤에서 압축되면 자연열이 발생하고 모세관을 통과하면서 다시 급속냉각되는 것으로서, 증발기를 순환한후에 콤푸레샤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당히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어서, 이를 잘 이용하면 냉매의 냉각을 더욱 원활하게할수 있을 것이다.
이에따라 본고안은 증발기를 순환한후 냉매에 남아있는 냉기를 이용하여 물탱크내의 물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물탱크내의 물로 콤푸레샤의 압축에 의해 뜨거워진 냉매를 냉각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물탱크내의 물과 자연공급되는 응축수의 공급외에 상수도물의 공급이 거의 필요없이도 에어콘의 작용이 가능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것인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증발기(1)의 하부에 물탱크(2)를 설치하여, 물받침(3)에 고인 응축수가 응축수유입관(4)을 통해 물탱크(2)로 유입되게하고, 물탱크(2)내에는 냉각핀이 형성된 공지의 방열기(5a)(5b)를 2개 설치하여 일측의 방열기(5a)에는 콤푸레샤(6)와 연결되는 냉매공급관(7)을 유입시킨후 배출되는 쪽에는 냉매공급관(7')과 모세관(8)을 통하여 증발기(1)로 유입시켰다.
또 증발기(1)를 순환한 다음의 냉매는 냉매회수관(9)을 통해 또다른 방열기(5b)에 유입시키고 배출되는 쪽은 냉매회수관(9')을 통해 콤푸레샤(6)로 유입되도록 하였으며, 물탱크(2)의 일측에는 물탱크(2)내의 물온도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10)가 달린 상수도유입관(11)을 연결하였고, 다른 일측에는 배수관(12)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고안의 작용과 그에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물탱크(2)내에 물이 가득찬 상태에서 에어콘을 작동시키면 콤푸 레샤(6)가 작동하여 냉매가 냉매공급관(7)을 통해 물탱크(2)내의 방열기(5a)를 통과하면서 냉각이되고, 다시 냉매공급관(7')을 흘러 모세관(8)을 통과하여 급속냉각된 상태로 증발기(1)를 순환하게된다.
증발기(1)를 순환하면서 냉기를 발산한 냉매는 냉매회수관(9)을 통해 방열기(5b)로 유입되는데, 아직 냉매에는 차가운 냉기가 그대로 남아있으므로 방열기(5b)를 순환하면서 물탱크(2)내의 물을 냉각시킨후 냉매회수관(9')을 타고 콤푸레샤(6)로 재유입되는 것으로서, 방열기(5b)에 의해 냉각된 물탱크(2)내의 물이 다시 방열기(5b)내의 냉매를 식혀주는 상호열교환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또, 증발기(1)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차가운 응축수는 물받침(3)과 응축수유입관(4)을 통해 물탱크(2)로 공급되므로, 물탱크(2)내의 물온도를 향상 차갑게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은 냉수냉매에 의한 물탱크(2)내의 물냉각과 응축수유입작용에 의해서도 방열기(5b)내의 냉매가 충분히 냉각되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일 경우, 물탱크(2)내의 온도감지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10)가 개방되어 상수도물이 공급되는 것이며, 더워진 일정량이상의 물은 배수관(12)을 통해 배수된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응축수를 물탱크(2)내로 유입시키거나 상수도 물공급등의 냉매냉각수단외에 증발기(1)를 순환한 다음의 냉매에 남아있는 냉기를 이용하여 물탱크(2)내의 물을 냉각시켜주므로, 상수도물의 공급이 거의 필요없으면서도 더욱 원활한 에어콘의 작용을 기대할수있어서 전기절약효과와 구조가 간단해지는 수냉식에어콘의 장점에 더하여 물의 소비를 더욱 줄일수있게되므로, 에어콘 사용에 따른 비용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뛰어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1)

  1. 증발기(1)의 하부에 물탱크(2)를 설치하여 그 내부에 두 개의 방열기(5a)(5b)를 설치하고 일측의 방열기(5a)에는 콤푸레샤(6)의 연결되는 냉매공급관(7)을 연결시켜 배출쪽에는 냉매공급관(7')과 모세관(8)을 통해 증발기(1)로 공급되게 하며, 증발기(1)를 순환한 냉매는 냉매회수관(9)을 통해 또 다른 방열기(5b)를 유입시킨후 콤푸레샤(6)로 재유입 되도록 구성하여, 방열기(5b)에 의해 물탱크(2)내의 물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에어콘의 개량 냉각장치.
KR2019960004848U 1996-03-11 1996-03-11 수냉식 에어콘의 개량 냉각장치 KR0127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848U KR0127898Y1 (ko) 1996-03-11 1996-03-11 수냉식 에어콘의 개량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848U KR0127898Y1 (ko) 1996-03-11 1996-03-11 수냉식 에어콘의 개량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537U KR970055537U (ko) 1997-10-13
KR0127898Y1 true KR0127898Y1 (ko) 1999-01-15

Family

ID=1945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848U KR0127898Y1 (ko) 1996-03-11 1996-03-11 수냉식 에어콘의 개량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8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903A (ko) * 2017-07-05 2019-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903A (ko) * 2017-07-05 2019-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537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1790A (en) Air-cooled absorption-type water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CN212057611U (zh) 一种集成双冷源冷水机组
NO339882B1 (no) Kjøleenhet
WO2011019226A2 (ko) 태양열 시스템의 온수를 이용한 냉방기
KR0127898Y1 (ko) 수냉식 에어콘의 개량 냉각장치
KR20060093329A (ko) 공기중의 열에너지를 이용한 열펌프식 온수기
CN216620015U (zh) 一种空调
CN214891611U (zh) 水循环空调
KR100295966B1 (ko) 수냉.공냉식일체형냉방기와냉난방기
KR20130028616A (ko)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
KR200212807Y1 (ko) 냉난방 일체형 수냉각장치
KR0127897Y1 (ko) 수냉식 에어콘의 응축수 재순환장치
KR20100013010A (ko) 공중목욕탕용 에너지절약형 물공급장치
CN221705902U (zh) 双蒸发制冷设备冷却机构
KR200204576Y1 (ko) 실외기 없는 에어컨
CN201050908Y (zh) 高效多功能空气能源设备
KR100255296B1 (ko) 실외기가 필요없는 자체 냉각식 에어콘
KR100212299B1 (ko) 수냉식 에어콘의 냉매 냉각장치
CN219390025U (zh) 一种空调冷凝热回收系统
CN215810282U (zh) 一种酿酒用的闭环水冷器
CN220528423U (zh) 数据中心冷却系统及数据中心
KR100419480B1 (ko) 냉난방 증대형 멀티 히트펌프시스템
CN218120263U (zh) 一种空调水冷冷凝器
KR980009091U (ko) 실외기가 없는 자체수냉식 에어콘의 냉매냉각장치
KR101175635B1 (ko) 무제상 냉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3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7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7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