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7080Y1 - 자동차 실내의 햇빛가리개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의 햇빛가리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080Y1
KR0127080Y1 KR2019940037705U KR19940037705U KR0127080Y1 KR 0127080 Y1 KR0127080 Y1 KR 0127080Y1 KR 2019940037705 U KR2019940037705 U KR 2019940037705U KR 19940037705 U KR19940037705 U KR 19940037705U KR 0127080 Y1 KR0127080 Y1 KR 0127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frame wire
holder
fram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7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012U (ko
Inventor
강창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7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080Y1/ko
Publication of KR960021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0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3Additional support bracket releasably holding the sun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52Structure of the support 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는 햇빛가리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붓과 피붓 홀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부품으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용접없이 간단한 프레스공정 만으로도 피붓의 결합구조를 달성 하기 위하여, 피봇(4)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절삭된 걸림턱(9)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9)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탄성부(5)를 프레임 와이어(2)의 일단에 형성하며, 피붓(4)이 유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피봇삽입구멍(8)을 갖는 피봇 홀더(3) 일단에 프레임 와이어(2)의 타단을 압착시키고 중간에는 절개부(7)를 형성하여 프레임 와이어(2)의 타단을 압착시키고 중간에는 절개부(7)를 형성하여 프레임 와이어(2)의 탄성부(5)가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실내의 햇빛가리개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제1도는 페레임 구성도.
제2도는 피봇과 피봇 홀더부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피봇 홀더 절개부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제4도는 피봇과 피봇 홀더부의 결합상태 횡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피봇과 피봇 홀더부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프레임 와이어 3 : 피봇 홀더
4 : 피봇 5 : 탄성부
6 : 압착부 7 : 절개부
9 : 걸림턱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는 햇빛가리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봇과 피봇 홀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햇빛가리개는 제5도와 같이 헤드 라이닝(천정)에 설치되는 피봇(21)의 단부 일측에 걸림턱(22)을 형성하고, 햇빛가리개 내부에서 프레임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23)의 양단 간에 피봇 홀더(24)를 스폿트 용접하여 상기 피봇(21)을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바 상기 피봇 홀더(24)는 피봇(21)이 삽이될 수 있는 피봇삽입구멍(25)과 피봇(21)의 걸림턱(22)이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근 절개부(26)를 형성하도록 밴딩된 후 프레임 와이어(23)양단을 용접하고 나서 그 중간을 홀더고정클립(27)으로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할 경우 부품수가 많아질 뿐 아니라 철판을 트리밍과 브랭킹 등의 프레스 공정과 밴딩공정을 거쳐 피봇 홀더를 성형해야 하며 프레임 와이어와 피봇 홀더를 용접시켜야 하는 등 작업공정과 작업성면에 있어서 코스트가 많이 드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부품으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용접없이 간단하 프레스공정 만으로도 피봇의 결합구조를 달성할 수 있는 햇빛가리개의 피봇과 피봇 홀더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봇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절삭된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탄성부를 프레임 와이어의 일단에 형성하며, 피봇이 유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피봇삽입구멍을 갖는 피봇 홀더 일단에 프레임 와이어의 타단을 압착시키고 중간에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프레임 와이어의 탄성부가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체(1)내에 프레임을 이루는 프레임 와이어(2)와, 이 프레임 와이어(2)와 결합되는 피봇 홀더(3) 및 이 피봇(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봇(4)을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 와이어(2)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이 U 자형으로 구부러진 탄성부(5)를 이루고 있고 타단은 피봇 홀더(3)에 압착된다.
피봇 홀더(3)는 파이프를 단순 프레스작업하여 압착부(6)를 형성하고 중간을 컷팅작업하여 절개부(7)를 형성한 것으로, 내경은 피봇(4)이 헐겁게(유동가능하게)삽입될 수 있는 피봇삽입구멍(8)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피봇 홀더(3)의 압착부(6)에는 프레임 와이어(2)의 타단이 압착되고 절개부(7)에는 프레임 와이어(2)의 탄성부(5)가 삽입된다.
피봇(4)에는 상기 탄성부(5)가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걸림턱(9)이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절삭가공 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턱(9)의 내면은 피봇 홀더(3)로 끼워지는 쪽에 경사면(9')이 형성되어 있고 피봇(4)의 선단은 테이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프레임 와이어(2)의 일단은 절개부(7)에 삽입되고 타단은 압착부(6)에 압착되어 있는 피봇 홀더(3)의 피봇삽입구멍(8)내로 피봇(4)의 선단을 밀어 넣으면 탄성부(5)가 탄성작용을 하여 벌어졌다가 걸림턱(9)에 걸려 탄성력을 가하게 되므로 피봇(4)의 회전마찰력은 와이어 프레임(2)의 탄성부(5)가 갖는 탄성력에 의하여 받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홀더고정클립이 필요없고 복잡한 성형공정을 거칠 필요없이 간단한 프레스작업만으로도 가능하며 용접작업 등이 필용없는 등 부품수 삭감과 제조공정 및 조립 작업의 단순화로 코스트를 대폭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원주방향으로 절삭된 걸림턱을 갖는 피봇과, 상기 걸림턱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탄성부가 일단에 형성된 프레임 와이어 및 상기 피봇이 유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피봇삽입구멍과 상기 프레임 와이어의 탄성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프레임 와이어의 타단이 압착되는 압착부가 형성되는 피봇 홀더를 구비하는 자동차 실내의 햇빛가리개.
KR2019940037705U 1994-12-29 1994-12-29 자동차 실내의 햇빛가리개 KR0127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705U KR0127080Y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 실내의 햇빛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705U KR0127080Y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 실내의 햇빛가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012U KR960021012U (ko) 1996-07-18
KR0127080Y1 true KR0127080Y1 (ko) 1998-10-01

Family

ID=1940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7705U KR0127080Y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 실내의 햇빛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0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19B1 (ko) * 2000-12-26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선 바이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012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781934A1 (fr) Element de connecteur coaxial comportant un raccord pour relier le conducteur central d'un cable coaxial au contact central de l'element de connecteur
JP4040717B2 (ja) 補強された遷移領域を有する雌側電気的接触端子
JP2004509440A (ja) 車両部品用電気的端子ソケット組立体
KR0127080Y1 (ko) 자동차 실내의 햇빛가리개
GB2062446A (en) Safety belt deflection fitting
EP0601507B1 (de) Elektrischer Zustandsfühler
JP3797054B2 (ja) ヨークとシャフトの結合構造
JPH0341141Y2 (ko)
KR100515904B1 (ko)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과 이를 갖춘 유리창용 와이퍼 및 차량과,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조하는 방법
US2468699A (en) Clip for mechanical pencils, fountain pens, and the like
KR880001954Y1 (ko) 샤아프펜슬의 필심 송출기구
US6301772B1 (en) Module jack wire crimping/cutting tool
JP3944983B2 (ja) クリップの軸筒への取り付け構造
JP3178198B2 (ja) バルブソケット
JP2604472Y2 (ja) 先端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EP0746692A1 (fr) Dispositif formant agrafe de fixation d'un element a une partie en tole d'un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 tel dispositif
KR920000672Y1 (ko) 두발용 클립
JPH11325097A (ja) 軸とヨークの結合構造
JPS634818Y2 (ko)
EP1013867B1 (fr) Module de porte de véhicule et son système de fixation d'un rail de lève-vitre
KR100224435B1 (ko) 토션액슬핀 압입용 클램프구조
JPH0745893Y2 (ja) 電線接続体
FR2672928A1 (fr) Ensemble articule et notamment arret de porte pour vehicule automobile.
JP2996901B2 (ja) 口金ピンとリード線の接続方法
JPS63475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122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2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29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7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7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