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6402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02B1
KR0126402B1 KR1019950052924A KR19950052924A KR0126402B1 KR 0126402 B1 KR0126402 B1 KR 0126402B1 KR 1019950052924 A KR1019950052924 A KR 1019950052924A KR 19950052924 A KR19950052924 A KR 19950052924A KR 0126402 B1 KR0126402 B1 KR 0126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main body
arm member
engagement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337A (ko
Inventor
도모아끼 아오시마
Original Assignee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6003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49Fastening of other buckle elements to the main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15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07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with additional cavity for engaging different projection
    • Y10T24/4561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with additional cavity for engaging different projection having common means actuating or releasing interlocking components or surfaces
    • Y10T24/45618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with additional cavity for engaging different projection having common means actuating or releasing interlocking components or surfaces and interlocking with independently associated or dissociated projection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39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pivotally connect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44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pivotally connect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개의 벨트 단부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결합을 해제할 때에 버클 본체의 전면측에서 배면측을 향한 누름조작을 요하지 않는 결합해제기능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암부재 본체(21)내의 걸어맞춤부재(30)는 탄성편에 의해서 항시 부착부(22)측으로 탄지된다. 걸어맞춤부재(30)의 걸어맞춤단부(31)에는 부착부(22)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걸어맞춤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수부재(10)는 암부재 본체(21)에 끼워지는 삽입부(11)를 구비한다. 이 삽입부(11)에는, 암부재 본체(21)내로 끼워넣어질 때에 암부재 본체(21)의 부착부(22)측과 대향하는 측부내벽(21d')을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암부재 본체(21)내의 걸어맞춤부재(3)의 걸어맞춤돌기(32)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암부재 본체(21)의 부착부(22)측에 있는 통공(23a)에는 탄성편(33)의 탄성에 의해서 조작돌기(34)가 돌출되어 있다. 이 조작돌기(34)를 누름조작하면, 암부재(20)의 걸어맞춤부재(30)의 걸어맞춤돌기(32)와 수부재(10)의 삽입부(11)의 걸어맞춤돌기(13)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Description

버클
제 1 도는 버클(B)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버클(B)의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 - A 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B - B 선 단면도.
제 5 도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6 도 내지 제 10 도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 11 도는 암부재(20)의 정면도.
제 12 도는 암부재(20)의 측면도.
제 13 도는 제 11 도의 C - C 선 단면도.
제 14 도는 제 11 도의 D - D 선 단면도.
제 15 도는 제 12 도의 E - E 선 단면도.
제 16 도는 수부재(10)의 정면도.
제 17 도는 수부재(10)의 측면도.
제 18 도는 수부재(10)의 요부 확대도.
제 19 도는 제 16 도의 F - F 선 단면도.
제 20 도는 제 17 도의 H - H 선 단면도.
제 21 도는 제 16 도의 G - G 선 단면도.
제 22 도는 걸어맞춤부재(30)의 정면도.
제 23 도는 걸어맞춤부재(30)의 평면도.
제 24 도는 걸어맞춤부재(30)의 저면도.
제 25 도는 걸어맞춤부재(30)의 측면도.
제 26 도는 걸어맞춤부재(30)의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1 : 제 1 벨트,B - 2 : 제 2 벨트,
B - 3 : 제 3 벨트,B : 버클,
10 : 수부재,11 : 삽입부,
13 : 걸어맞춤돌기,20 : 암부재,
21 : 암부재 본체,21a : 삽입구멍,
21d' : 측부내벽,22 : 부착부
23a : 통공,30 : 걸어맞춤부재,
31 : 걸어맞춤단부,32 : 걸어맞춤돌기.
본 발명은 3개의 벨트를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 1, 제 2 벨트의 일단부가 각각 부착되는 1쌍의 수부재와, 이 1쌍의 수부재가 끼워져 결합됨과 아울러 제 3 벨트의 일단부가 부착되는 암부재로 구성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3개의 벨트를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61-147012호에 개시되어 있는 「벨트 연결구」, 일본국 특허공개 평6-284916호에 개시되어 있는 「버클장치」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공개 소51-147012호에 개시되어 있는 벨트 연결구는, 벨트에 연결된 케이스 본체와 다른 벨트에 연결된 삽입체로 구성됨과 아울러, 끼워진 삽입체를 케이스 본체와의 사이에서 협지(挾持)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내에 수용된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삽입체측의 반대측으로 탄성변형시킴과 동시에 삽입체가 판스크링에서 떨어지도록 요동시켜서 삽입체와 케이스 본체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 전면에 형성된 조작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특허공개 평6-284916호에 기재되어 있는 버클장치는 버클 본체와 1쌍의 혀붙이 플레이트로 구성됨과 아울러, 버클 본체내에 끼워진 1쌍의 혀붙이 플레이트와 각각 독립하여 걸어맞춰지도록 탄지돈 상기버클 본체내에 수용된 1쌍의 걸어맞춤부재와, 버클 본체의 베이스 부재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며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1쌍의 걸어맞춤부재를 회동시켜서 상기 혀붙이 플레이트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상기 버클 본체 전면측에 형성된 버튼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벨트 연결구를 삽입체를 판스프링과 케이스 본체와의 상이에서 협지하여 결합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판스프링과 케이스 본체와의 회동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판스프링을 요동시킬 필요가 있고, 또 벨트 연결구에서는 그 사용의 편리성에서 케이스 본체를 편평한 통형상 혹은 박형의 상자형상을 구성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판스프링은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61-147012호 공보의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케이스 본체의 전면측에 그 요동단이 위치하도록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 결과,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할 때에는 케이스 본체의 전면측에서 상기 판스프링을 배면측을 향하여 누르도록 상기 판스프링에 연결된 조작부를 누름조작하는 구성을 채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었다.
또, 상기한 버클장치는, 상기 벨트 연결구와 마찬가지로 혀붙이 플레이트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걸어맞춤부재를 역시 버클 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버클 본체의 전면측에 그 요동단이 위치하도록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할 때에는 버클 본체의 전면측에서 상기 버튼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걸어맞춤부재를 버클 본체의 배면측을 향하여 누르도록 상기 버튼 플레이트를 누름조작하는 구성을 채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벨트 연결구 등은 그 본체부의 배면측을, 이 벨트 연결구에 의하여 결합되는 벨트에 의해서 시트 등에 고정되는 상기 벨트 장착자의 복부등에 접촉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벨트 연결구의 결합을 해제할 때에 상기 본체부의 전면측에서 배면측을 향한 상기 조작부의 누름조작을 하게 되면, 벨트 장착자의 복부 등이 이 누름조작에 의해서 압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 벨트 연결구 등을 유모차나 자동차의 차일드 시트등과 같이 유아들을 구속하는 벨트 결합에 이용하는 경우, 상기 누름조작에 따른 복부 등의 압박은 유아들에게는 견디기 어려운 것이 되는 경우가 있어 그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또, 상기 벨트 연결구의 배면측과 접촉되는 벨트 장착자의 복부 등은 부드러운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의 누름조작에 따라 벨트 연결구 전체가 이 복부측으로 함께 이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고, 이 결과 상기 삽입체와 이 삽입체와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진 판스프링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데 충분한 누름조작을 하였더라도 상기 판스프링이 탄성변형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원활한 걸어맞춤해제가 방해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벨트 장착자의 복부와 벨트 연결구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와의 사이에 손가락을 끼우고서 이 케이스 본체를 전면측과 배면측에서 손가락으로 눌러서 상기 걸어맞춤의 해제조작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을 누르는 조작부는 케이스 본체에 대한 판스프링의 회동축부를 중심으로 그 요동단이 원호상으로 요동되기 때문에, 이 조작부를 케이스 본체의 배면측을 향하여 곧바르게 누룰 수 없어, 이 누름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3개의 벨트 단부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클에 있어서, 이 결합을 해제할 때에 버클 본체의 전면측에서 배면측을 향한 누름조작을 요하지 않는 결합해제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1쌍의 제 1 및 제 2 벨트(B-1, B-2)의 일부가 각각 부착되어 사용되는 1상의 수부재(10,10)와; 상기 수부재(10)가 끼워지는 삽입구멍(21a)을 양단에 구비한 암부재 본체(21)와,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양 삽입구멍(21a, 21a)사이에 있어서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 3 벨트(B-3)의 일단부가 부착되는 부착부(22)를 구비한 암부재(20)로 이루어진 버클(B)이, 우선 상기 암부재(20)의 암부재 본체(21)내에, 상기 삽입구멍(21a)을 향하는 걸어맞춤단부(31)와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제 3 벨트(B-3)의 부착부(22)측과 대향한 측부내벽(21d')에 선단측을 접촉시키는 탄성편(33)을 구비한 걸어맞춤부재(30)를 구비한 것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부재(30)가 상기 탄성편(33)에 의해서 항시 암부재(20)의 상기 부착부(22)측으로 탄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상기 걸어맞춤단부(31)에 이 부착부(22)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걸어맞춤돌기(32)를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수부재(10)는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삽입구멍(21a)에 끼워지는 삽입부(11)를 구비하며, 또한 이 삽입부(11)에는 상기 삽입구멍(21a)에 끼워졌을 때에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부착부(22)측과 대향한 측부내벽(21d')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 본체(21)내에 구비된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상기 걸어맞춤돌기(32)와 서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13)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부착부(22)측에는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통공(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23a)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재(30)가 상기 탄성편(33)의 탄성에 의해서 항시 그 일부를 하측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통공(23a)에서 돌출되어 있는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일부를 상기 탄성에 저항하여 상기 암부재(20)의 상기 부착부(22)측과 대향한 타측부측을 향하여 누름조작함으로써, 상기 암부재(20)의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걸어맞춤돌기(32)와 상기 수부재(10)의 삽입부(11)의 걸어맞춤돌기(13)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버클(B)은, 수부재(10)의 삽입부(11)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3)와 서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32)를 구비한 암부재(20)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재(30)가 탄성편(30)에 의해서 항시 부착부(22)측으로 탄지되는 구성을 구비함과 아울러 걸어맞춤돌기(13)가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부착부(22)측과 대향한 측부내벽(21d')을 향하고 있고, 또한 걸어맞춤돌기(32)가 부착부(22)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걸어맞춤부재(30)의 일부가 암부재 본체(21)의 부착부(22)측에 형성된 상기 통공(23a)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통공(23a)에서 돌출되어 있는 걸어맞춤부재(30)의 일부를 상측으로, 즉 상기 부착부(22)측과 대향한 측부내벽(21d')측을 누름으로써, 상기 수부재(10)의 삽입부(11)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3)와 암부재(20)내에 수용된 걸어맞춤부재(30)의 걸어맞춤돌기(3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버클(B)에 대한 전형적인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26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실시예의 버클(B)에 대한 전체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버클(B)을 구성하는 1쌍의 수부재(10, 10) 및 암부재(20)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제 1 도는 암부재(20)와 1쌍의 수부재(10, 10)를 분리한 상태로서 암부재(20)의 내부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암부재(20)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제 2 도는 암부재(20)에 1쌍의 수부재(10, 10)를 끼워 결합항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3 도 및 제 4 도는 암부재(20)의 1쌍의 수부재(10, 10)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버클(B)을 수평단면(제 3 도) 및 수직단면(제 4 도)의 상태로 각각 나타내고 잇다.
제 5 도는 본 실시예의 버클(B)을 유모차(K)에 적용한 예로서, 이 유모차(K)를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제 6 도 내지 제 10 도는 본 실시예의 버클(B)을 구성한 암부재(20)에 대한 수부재(10)의 걸어맞춤 및 그 해제의 과정을 이해하기 쉽도록, 암부재(20)의 일부를 절개하고 또 1쌍의 수부재(10, 10)중 일측의 수부재(10)만을 도시하고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 11 도 내지 제 15 도는 본 실시예의 버클(B)을 구성하는 암부재(20)를, 이 암부재(20)내에 수용되는 걸어맞춤부재(30)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정면(제 11 도), 측면(제 12 도), 수평단면(제 13 도), 수직단면(제 14 도)의 상태 및 이 암부재(20)의 배면(21b')부분을 제거한 상태(제 15 도)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 16 도 내지 제 21 도는 본 실시예의 버클(B)이 구성하는 1쌍의 수부재(10,10) 중 일측의 수부재(10)만을 정면(제 16 도), 측면(제 17 도), 수평단면(제 21 도)의 상태로 나타내고, 수부재(10)의 삽입부(11)를 수직단면(제 19 도), 수평단면(제 20 도)의 상태 및 그 요부를 확대한(제 18 도) 상태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 22 도 내지 제 26 도는 본 실시예의 버클(B)을 구성하는 암부재(20)내에 수용되는 걸어맞춤부재(30)를 정면(제 22 도), 평면(제 23 도), 저면(제 24 도), 측면(제 25 도)의 상태 및 그 요부를 확대한(제 26 도) 상태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각 도면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관한 버클(B)은,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재(20)의 부착부(22)에 제 3 벨트(B-3)를 부착함과 아울러, 1쌍의 수부재(10,10)의 부착부(12,12)에 제 1, 제 2 벨트(B-1, B-2)를 각각 부착하고, 암부재(20)에 대하여 1쌍의 수부재(10,10)를 각각 끼워 결합함으로써, 버클(B)로 하여금 상기 제 1, 제 2, 제 3 벨트(B-1, B-2, B-3)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관한 버클(B)에서는, 상기 암부재(20)에 끼워져 결합된 상기 수부재(10)의 결합(걸어맞춤)상태의 해제를, 암부재(20)에 있어서의 제 3 벨트(B-3)의 부착부(22)의 삽입공간(22')내를 향하여 탄지되어 통공(23a)에서 돌출된 조작돌기(34)를 이 암부재(20)의 부착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을 향하여 누름으로써 해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을 손가락(예 :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상기 삽입공간(22')으로 손가락(예 : 집게 손가락)을 끼워 상기 누름조작을 함으로써 용이하게 또는 확실하게 상기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버클(B)에 결합된 상기 제 1, 제 2, 제 3 벨트(B-1, B-2, B-3)에 의해서 구속되는 벨트 장착자는, 상기 결합을 해제하는 상기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버클(B)이 장착자의 복부등을 누르는 등의 압박감을 받는 일이 없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예에 관한 버클(B)은 자동차의 시트 벨트를 구성하는 각 벨트의 결합 등, 각종의 3점식 시트 벨트의 결합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제 5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모차(K)의 시트 벨트를 구성하는 1상의 허리 벨트(B-1, B-2)와 다리 가랑이 벨트(B-3)의 결합이나, 자동차용 베비 시트나 차일드 시트 혹은 베비 체어 등에 이용되는 시트 벨트 등의 유아용 각종 3점식 시트 벨트의 결합에 유용하다.
여기서, 우선 본 실시예의 버클(B)을 구성하는 암부재(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암부재(20)는 양단부에 후술하는 1쌍의 수부재(10,10)의 삽입부(11)가 끼워지는 삽입구멍(21a, 21a)을 구비한 편평한 통형상의 암부재 본체(21)와, 이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양 삽입구멍(21a, 21a) 사이에 있어서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 3 벨트(B-3)의 부착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즉, 편평한 통형상을 이루는 암부재 본체(21)는 폭이 넓은 전면(21b)과 배면(21b')을 대략 평행하게 위치시킴과 아울러, 두께측의 일측부(21c)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1쌍의 지지암(22a, 22a)과, 이 1쌍의 지지암(22a, 22a)의 각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로드(22b)와, 이 1쌍의 지지암(22a, 22a)의 각 중간부에 가설되는 상하 1쌍로 된 제 3 벨트(B-3)의 권취로드(22c, 22c)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기 제 3 벨트(B-3)의 부착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부착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부(21c)의 대략 중앙에는, 이 일측부(21c)와 대향하는 타측부(21c')측을 향하여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폭방향 대략 중간정도의 위치까지의 깊이를 가지는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23)의 내측은 원호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오목부(23)의 내측에는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통공(23a)이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두께방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암부재 본체(21)내에는 제 22 도 내지 제 26 도에 나타낸 장척상의 로드형상으로 된 걸어맞춤부재(30)가 수용되어 있다.
제 1 도 및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부재(30)는 상기 양 삽입구멍(21a, 21a)측으로 각 양 걸어맞춤단부(31, 31)가 향하도록 상기 암부재 본체(21)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정도의 위치에는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부착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측부(21c')측의 측부내벽(21d')을 향하는 평평한 돌부(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부(35)의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양 삽입구멍(21a, 21a)측을 향하는 양 측부에는 각각 상기 타측부(21c')측의 측분내벽(21d')에 선단부를 접촉시키는 길이를 가진 좌우 1쌍의 판상으로 된 탄성편(33, 33)이 상기 측부내벽(21d')을 향하여 각각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1쌍의 탄성편(33, 33)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30)는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부착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부(21c)측을 향하여 항시 탄지된 상태로 암부재 본체(21)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부재(30)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정도에는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부착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부(21c)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돌출되는 조작돌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돌부(34)는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오목부(23) 내측에 형성된 통공(23a)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편(33)에 의해서 상기 통공(23a)의 양 구멍가장자리(23a', 23a')에 상기 조작돌부(34)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통공(23a)에서 상기 부착부(22)의 삽입구멍(22') 내측을 향하여 탄지됨으로써 상기 조작돌부(34)는 상기 오목부(23) 외측으로 항시 돌출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부재(30)의 상기 1쌍의 탄성편(33, 33)의 기부측이 되는 상기 돌부(35)에는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슬릿형상을 이루며,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전면(21b)측을 향한 측에서 배면(21b')측을 향한 측을 향하여 구멍(35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전면(21b)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23) 직상의 위치에는 수평단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는 돌기(24)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 3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재(30)의 중앙부의 두께치수와 암부재(20)의 중앙부의 구멍 폭이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어맞춤부재(30)는 상기 돌기(24)가 상기 구멍(25a)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 암부재 본체(21)에 대하여 요동이 없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전면(21b)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부재(30)의 상기 평평한 돌부(35)는 상기 구멍(35a)을 사이에 두고 양 측부에는 상기 구멍(35a)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35b, 35b)을 구비하고 있는 한편, 상기 돌기(24)도 상기 양 삽입구멍(21a, 21a)을 향하는 측으로 각각 경사면(24a, 24a)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걸어맞춤부재(30)를 상기 암부재 본체(21)에 조립할 때의 상기 구멍(35a)내로의 상기 돌기(24)의 끼움이, 상기 걸어맞춤부재(30)를 그 양 걸어맞춤단부(31, 31) 중 어느 일측 걸어맞춤단부(31)를 상기 양 삽입구멍(21a, 21a)중 어느 일측 삽입구멍(21a)에서 상기 암부재 본체(21)내로 끼울 때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타측부(21c')에는, 이 타측부(21c')의 전 길이에 걸쳐서 상기 끼움구멍(21a)의 전후방향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안내홈(21e)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홈(21e)의 폭은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상기 탄성편(33)의 폭과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암부재 본체(21)내에 수용된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탄성편(33)은 그 선단부가 상기 안내홈(21e)을 따라 상기 측부내벽(21d')과 접촉하면서 안내되도록 수용된다.
또,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양 걸어맞춤단부(31, 31)에는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부착부(22)측을 향하여 선단(32a)이 돌출되도록 갈고리형상의 걸어맞춤돌기(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특히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단부(31)에는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삽입구멍(21a)을 향한 측에서 상기 일측부(21c)측의 측부내벽(21d)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2b)과, 이 경사면(32b)에 연이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측부내벽(21d)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평면(32c)과, 이 수평면(32c)에 연이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조작돌기(34)와 대향하는 걸어맞춤면(32d)을 구비한 상기 걸어맞춤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암부재(20)의 걸어맞춤부재(30)는 상기 탄성편(33)에 소요의 탄성변형특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연질 또는 반경질의 플라스틱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등을 주체로 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관한 버클(B)을 구성하는 수부재(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버클(B)을 구성하는 1쌍의 수부재(10, 10)는, 각각 상기 암부재(20)를 구성하는 암부재 본체(21)의 삽입구멍(21a)에 끼워지는 삽입부(11)와; 이 삽입부(1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의 환상틀(12a)과, 이 환상틀(12a)의 상기 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일변부(一邊部)(12')와 이것에 상대향하는 타변부(12a'')사이에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가설되는 1쌍의 제 1 또는 제 2 벨트(B-1, B-2)의 권취로드(21b, 12b)로 구성되는 부착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수부재(10, 10)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재 본체(21)의 전면(21b)측에서 볼때,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좌측 삽입구멍(21a)에 끼워지는 수부재(10)와 우측 삽입구멍(21a)에 끼워지는 수부재(10)로 그 형상이 선대칭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좌측 삽입구멍(21a)에 끼워지는 수부재(10)만을 제 16 도 내지 제 21 도에 도시함과 아울러 이들 각 도면에 의거하여 수부재(10)를 설명하고,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우측 삽입구멍(21a)에 끼워지는 수부재(10)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수부재(10)의 상기 삽입부(11)에는, 이 삽입부(11)를 상기 암부재(20)의 삽입구멍(21a)에 끼워넣었을 때에, 상기 암부재(20)의 수용되어 있는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걸어맞춤단부(31)가 협지(狹持)되게 끼워 맞춰지는 1상의 돌부(11a, 11b)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1쌍의 돌부(11a, 11b)중 상기 걸어맞춤부재(30)에 대하여 하측에서 접촉하는 돌부(11a)의 선단부에는,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걸어맞춤단부(31)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돌기(32)와 서로 걸어맞춰져서 상기 수부재(10)를 암부재(20)에 결합시키는, 암부재 본체(21)의 타측부(21'c)측에 있는 측부내벽(21d')측으로 그 선단을 향하게 한 갈고리형상의 걸어맞춤돌기(1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특히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돌부(11a)의 선단부에는, 이 선단부에서 상기 부착부에서 상기 부착부(12)의 일변부(12a')측을 향하여 점차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3a)과, 이 경사면(13a)에 연이어 형성되는 수평면(13b)과, 이 수평면(13b)에 연이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부착부(13)의 일변부(12a')과 대향하는 걸어맞춤면(13c)을 구비한 걸어맞춤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부재(10)의 상기 1쌍의 돌부(11a, 11b)사이에는, 상기 암부재(20)내로 끼워넣어질 때에 상기 암부재(20)의 전면(21b)측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판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판부(14)에는 상기 걸어맞춤돌기(13)를 투사할 수 있는 대략 사각형상의 통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부재(10)의 암부재(20)에 대한 걸어맞춤/해제의 과정 및 사용방법에 대하여 제 6 도 내지 제 10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부재(10)에는, 제 1 또는 제 2 벨트(B-1, B-2)를 상기 환상틀(12a)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10)의 상기 판부(1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서 상기 환상틀(12a)의 타변부(12a'')와 권취로드(12b)사이로 제 1 또는 제 2 벨트(B-1, B-2)의 단부를 끼운 후, 이 벨트(B-1, B-2)를 권취로드(12c)에 감고서 다시 권취로드(12b)의 상측을 통하여 상기 권취로드(12b)와 타변부(12a'')사이에서 외측으로 빼냄으로써 부착할 수 있다.
또, 암부재(20)에 대해서는, 상기 부착부(22)의 연결로드(22b)와 하측 권취로드(22c)사이로 상기 암부재(20)의 배면(21b')측에서 제 3 벨트(B-3)의 단부를 끼운 후, 이 벨트(B-3)를 상측 권취로드(21d)에 감고서 다시 하측 권취로드(22c)의 상측을 통하여 상기 하측 권취로드(22c)와 연결로드(22b)사이에서 외측으로 빼냄으로써 상기 제 3 벨트(B-3)를 그 단부측에서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 1 또는 제 2 벨트(B-1, B-2)가 부착된 수부재(10)의 상기 삽입부(11)를 제 3 벨트(B-3)가 부착된 암부재(20)의 삽입구멍(21a)에 대하여, 우선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1)의 1쌍의 돌부(11a, 11b)사이에 형성된 판부(14)가 암부재(20)의 전면(21b)측을 향하도록 하고서 끼워넣는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1)의 상기 1쌍의 돌부(11a, 11b)의 외측 단부간의 치수와,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일측부(21c)측의 측부내측(21d)에서 타측부(21c')측의 상기 안내홈(21e)의 하측 단면(21e')까지의 치수가 대략 동일한 치수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부재(10)의 삽입부(11)를 암부재 본체(21)의 끼움구멍(21a)내로 곧바르게 끼워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부재(10)의 삽입부(11)를 암부재 본체(21)의 끼움구멍(21a)에 끼워넣을 때에, 수부재(10)의 상기 1쌍의 돌부(11a, 11b) 사이에 걸쳐서 형성된 상기 판부(14)가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배면(21b')측에 접촉하도록 잘못 끼운 경우에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판부(14)의 단부가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이 걸어맞춤단부(31)에 맞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그 이상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수부재(10)가 암부재 본체(21)에 잘못 결합되는 사태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수부재(10)의 삽입부(11)가 암부재 본체(21)내로 끼워질 때에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1)의 선단부가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걸어맞춤단부(31)와 맞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부(11)의 돌부(11a)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돌기(13)에 상기 경사면(13a)이 형성되어 있고 또 걸어맞춤단부(31)의 걸어맞춤돌기(32)에 상기 경사면(32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 경사면(13a, 13b)이 서로 미끄럼 접촉하면서 끼워짐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부재(30)가 상기 탄성편(33)의 탄성에 저항하면서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타측부(21c')측을 향하여 점차 또 원활하게 밀려 올라간다.
그후, 상기 수부재(10)의 삽입부(11)가 암부재 본체(21)내로 더 끼워넣어져서,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11)의 상기 걸어맞춤돌기(13)의 수평면(13b)과 걸어맞춤면(13c)이 서로 접하는 정상부가 걸어맞춤부재(30)의 상기 걸어맞춤돌기(32)의 수평면(32c)과 걸어맞춤면(32d)이 서로 접하는 선단(32a)을 타고 올라가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부재(30)가 상기 탄성편(33)의 탄성에 의해서 다시 암부재 본체(21)의 일측부(21c)측을 향하여 눌려 내려가고, 이 눌려 내려간 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돌기(13)의 걸어맞춤면(13c)과 상기 걸어맞춤돌기(32)의 걸어맞춤면(32d)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양 걸어맞춤돌기(13, 32)가 서로 걸어맞춰짐으로써, 암부재 본체(21)내에서 수부재(10)의 삽입부(11)가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1쌍의 수부재(10,10)를 암부재(20) 양측에 각각 끼워넣음으로써, 1쌍의 수부재(10,10)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제 2 벨트(B-1, B-2)와 암부재(20)에 부착되어 있는 제 3 벨트(B-3)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암부재(20)에 끼워져 결합된 수부재(10)의 해제에 대해서는,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재 본체(21)의 오목부(23)에 형성된 통공(23a)에서 상기 부착부(22)의 삽입공간(22')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일부를 손가락 등으로 상기 암부재 본체(21) 내측으로 눌러서, 상기 걸어맞춤부재(30)를 상기 탄성편(33)의 탄성에 저항하면서 상기 타측부(21c')측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제 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10)의 걸어맞춤돌기(13)와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걸어맞춤돌기(32)가 서로 걸어맞춰져서 접촉하는 걸어맞춤면(13c, 23c)을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부재(10)의 삽입부(11)를 상기 암부재 본체(21)내에서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1쌍의 수부재(10, 10)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제 2 벨트(B-1, B-2)와 암부재(20)에 부착되어 있는 제 3 벨트(B-3)의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상기 암부재 본체(21)내에 수용되는 걸어맞춤부재(30)의 상기 걸어맞춤돌기(32)의 걸어맞춤면(32d)이 암부재 본체(21)의 상기 전면(21b)측에서 배면(21b')측을 향하여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걸어맞춤단부(31)에 점차 가까워지는 경사면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수부재(10)의 상기 걸어맞춤돌기(13)의 걸어맞춤면(13c)이 상기 판부(14)에 형성된 통공(14a)에 가까워짐에 따라 이 걸어맞춤돌기(13)에 형성되어 있는 돌부(11a)의 선단에 점차 가까워지는 경사면으로 하여,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걸어맞춤돌기(13, 32)가 걸어맞춰질 때에 양 걸어맞춤면(13c, 32c)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도록(제 3 도 참조), 즉 상기 걸어맞춤상태를 확실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수부재(10)를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함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돌기(13)의 걸어맞춤면(13c)의 경사는 상기 수부재(10)의 판부(14)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15)을 통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버클(B)은, 수부재(10)의 삽입부(11)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3)에 대하여 서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32)를 구비한 암부재(20)내에 수용되는 걸어맞춤부재(30)가 탄성편(33)에 의해서 항시 부착부(22)측으로 탄지되는 구성을 구비함과 아울러, 걸어맞춤돌기(13)를 상기 암부재 본체(21)의 부착부(22)측과 대향한 측부내벽(21d')을 향하여 돌출형성하고 또 걸어맞춤돌기(32)를 부착부(22)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하고, 또한 걸어맞춤부재(30)의 일부가 암부재 본체(21)의 오목부(23)내측에 형성된 상기 통공(23a)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통공(23a)에서 돌출되어 있는 걸어맞춤부재(30)의 일부를 상측으로, 즉 상기 부착부(22)측과 대향한 측부내벽(21d')측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수부재(10)의 삽입부(11)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3)와 상기 암부재(20)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재(30)의 걸어맞춤돌기(3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할 때에 암부재(20)의 전면(21b)측에서 배면(21b')측을 향하는 힘이 버클(B)에 가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걸어맞춤해제시에 상기 버클(B)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기 제 1, 제 2, 제 3 벨트(B-1, B-2, B-3)에 의해서 구속되는 벨트 장착자의 복부 등이 압박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통공(23a)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어맞춤부재(30)의 일부를 상측으로 누르는 조작만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돌기(13, 32)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해제하여 암부재(20)에서 수부재(10)를 떼어낼 수 있다.
즉, 버클(B)을 구성하는 암부재(20)의 전면(12b)측에서, 이 암부재(20)의 상기 부착부(22)측과 대향한 측부와 상기 통공(23a)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어맞춤부재(30)의 일부를 적어도 2개의 손가락이 각각 접촉하도록 버클(B)을 쥐고, 상기 누름조작만으로 상기 걸어맞춤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 상기 통공(23a)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어맞춤부재(30)의 일부를 상측으로 곧바르게 누름으로써, 원활하게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상기 통공(23a)는 상기 암부재(20)의 양 삽입구멍(21a, 21a) 사이에 있어서의 일측부인 제 3 벨트(B-3)의 일단부가 부착되는 부착부(22)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통공(23a)에서 돌출되어 있는 상기 걸어맞춤부재(30)의 일부에 다른 부재 등이 접촉하는 일이 없으며, 이 걸어맞춤부재(30)의 일부가 예기치 못하게 눌려져서 수부재(10)와 암부재(20)의 걸어맞춤이 불의하게 해제되는 사태를 발생시키기 어렵다는 특징을 가진다.

Claims (1)

1쌍의 제 1 및 제 2 벨트의 일단부가 각각 부착되어 사용되는 1쌍의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가 끼워지는 삽입구멍을 양단에 구비한 암부재 본체와, 상기 암부재 본체의 상기 양 삽입구멍 사이에 있어서의 일측부에형성된 제 3벨트의 일단부가 부착되는 부착부를 구비한 암부재로 이루어진 버클로서, 상기 암부재의 암부재본체내에서는 상기 삽입구멍을 향하는 걸어맞춤단부와 상기 암부재 본체의 상기 제 3 벨트의 부착부측과 대향한 측부내벽에 선단측을 접촉시키는 탄성편을 구비한 걸어맞춤부재(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부재는 상기 탄성편에 의해서 항시 암부재의 상기 부착부측으로 탄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상기 걸어맞춤단부에는 상기 부착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걸어맞춤돌기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상기 수부재는 상기 암부재 본체의 상기 삽입구멍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삽입부에는상기 삽입구멍(21a)에 끼워졌을 때에 상기 암부재 본체의 상기 부착부측과 대향한 측부내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 본체내에 구비된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상기 걸어맞춤돌기와서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재 본체의 상기 부착부측에는 상기 암부재본체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상기 탄성편의 탄성에 의해서 항시 그 일부를 하측으로 돌출시키고 있으며, 상기 통공에서 돌출되어 있는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일부를 상기 탄성에 저항하여 상기 암부재의 상기 부착부측과 대향한 타측부측을 향하여 누름조작함으로써, 상기 암부재의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돌기와 상기 수부재의 삽입부의 걸어맞춤돌기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19950052924A 1995-03-28 1995-12-20 버클 KR0126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93247A JPH08256809A (ja) 1995-03-28 1995-03-28 バックル
JP95-93247 1995-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337A KR960033337A (ko) 1996-10-22
KR0126402B1 true KR0126402B1 (ko) 1997-12-29

Family

ID=1407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2924A KR0126402B1 (ko) 1995-03-28 1995-12-20 버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04964A (ko)
JP (1) JPH08256809A (ko)
KR (1) KR0126402B1 (ko)
TW (1) TW31902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004A (ja) * 1998-04-30 1999-11-09 Ykk Corp バックル
US5996192A (en) * 1998-12-01 1999-12-07 Graco Children Products, Inc. Buckle assembly
EP1196055B1 (en) * 2000-01-27 2006-05-10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Three and five point buckle
US6408494B1 (en) * 2000-03-01 2002-06-25 Joseph Anscher Three-way push release buckle having improved latching capability
DE20103958U1 (de) * 2001-03-07 2001-06-28 Bernhardt Apparatebau GmbH u. Co., 22880 Wedel Schloß für Rettungsgurte
JP2003033209A (ja) * 2001-07-23 2003-02-04 Ykk Corp バックル
US6711790B2 (en) * 2001-12-06 2004-03-30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device
US6948219B2 (en) 2002-05-31 2005-09-2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Latch system for child seat
US6931695B2 (en) * 2003-12-18 2005-08-23 Joseph Anscher Buckle with push button release
ES2320506B1 (es) * 2006-05-12 2010-03-01 I.T.W. España, S.A. Anclaje de seguridad para sujeciones.
US7600302B2 (en) * 2006-07-17 2009-10-13 James Michael Dillner Safety buckle for child seat and the like
CN200994477Y (zh) * 2006-08-04 2007-12-26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扣具
US7596837B1 (en) * 2006-09-28 2009-10-06 C & K Safety, Llc Passive restraint systems for human occupants of vehicles
JP4750677B2 (ja) * 2006-11-16 2011-08-17 株式会社やまびこ 背負バンド用バックル
CN101584302B (zh) * 2008-05-22 2012-08-15 多格漫商贸(上海)有限公司 宠物用灵活项圈
TWI437969B (zh) * 2009-03-20 2014-05-21 Bp Childrens Prod Hk Co Ltd Safety buckle for infant carrier and method thereof
CN102217821B (zh) * 2010-04-19 2013-07-0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适用于婴儿承载装置的安全带扣具
US20120017347A1 (en) * 2010-07-21 2012-01-26 Strum David B Auxiliary Gear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8181318B2 (en) * 2010-09-03 2012-05-22 National Molding Llc Buckle assembly
AT12861U1 (de) * 2011-05-27 2013-01-15 Aba Hoertnagl Gmbh Gurtschnalle
AT512224B1 (de) 2011-12-02 2013-08-15 Aba Hoertnagl Gmbh Schnalle
GB201121896D0 (en) * 2011-12-20 2012-02-01 Magmatic Ltd Backpack
JP5989395B2 (ja) * 2012-05-09 2016-09-07 ドギーマンハヤシ株式会社 バックル
US9125458B2 (en) * 2012-06-06 2015-09-08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directional buckle assembly
KR101623438B1 (ko) * 2016-01-19 2016-05-23 김대길 휴대용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US9862530B2 (en) * 2016-05-27 2018-01-09 Carl Sauey Strap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strap buckle
DE102019207743A1 (de) * 2019-05-27 2020-12-03 B-S-A Gesellschaft für Kunststoffverarbeitung und -handel mbH Verschlusssystem
CN111758608A (zh) * 2020-06-16 2020-10-13 多尼斯智能科技(东莞)有限公司 隐藏式调节宠物项圈及宠物牵引器
US20230008761A1 (en) * 2021-07-12 2023-01-12 R & H Distribution Inc. Buck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9948A (en) * 1970-03-03 1972-02-08 Mc Donnell Douglas Corp Multiharness buckle
JPS61147012A (ja) * 1984-12-19 1986-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触媒バ−ナ
US4742604A (en) * 1986-07-24 1988-05-10 Ara, Inc. Central belt locking assembly
JPH0345711U (ko) * 1989-09-11 1991-04-26
JP3431205B2 (ja) * 1993-03-31 2003-07-28 タカタ株式会社 バックル装置
US5438737A (en) * 1994-04-14 1995-08-08 National Molding Corporation Snap closure type buckle with quick rel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19023U (en) 1997-11-01
US5604964A (en) 1997-02-25
KR960033337A (ko) 1996-10-22
JPH08256809A (ja) 1996-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402B1 (ko) 버클
US4672725A (en) Snap buckle
EP0681793B1 (en) Buckle which is releasable by depression of a hinged member
JPS6244649Y2 (ko)
EP1179303B1 (en) Push release buckle
EP1884170B1 (en) Buckle device
JPH0111058Y2 (ko)
US20020040515A1 (en) Buckle
JPH0719285Y2 (ja) バックル
CN102266152B (zh) 婴幼儿安全带扣具
JPH05115311A (ja) 着脱可能な雌雄型バツクル
JPS60135004A (ja) バツクル
EP1129635B1 (en) Push release buckle
CA2421946C (en) Child resistant buckle
JPH0751106A (ja) バックル
US6423049B1 (en) Disposable diaper with mechanical fastening members
JP2700380B2 (ja) ベルト用バックル
JP3213174B2 (ja) 3点式シートベルトの連結装置
JP3204590B2 (ja) バックル
KR910008298Y1 (ko) 버클
JPH06154012A (ja) バックル
CN216438655U (zh) 扣具
JPS598305Y2 (ja) コネクタ
JPH09140414A (ja) 紐の止め具
KR101415445B1 (ko)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