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5306Y1 - 도어용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 부재 - Google Patents

도어용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 부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306Y1
KR0125306Y1 KR2019950008429U KR19950008429U KR0125306Y1 KR 0125306 Y1 KR0125306 Y1 KR 0125306Y1 KR 2019950008429 U KR2019950008429 U KR 2019950008429U KR 19950008429 U KR19950008429 U KR 19950008429U KR 0125306 Y1 KR0125306 Y1 KR 0125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hinge
door
bearing
support
pivo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812U (ko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이장우
향상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우, 향상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장우
Priority to KR2019950008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306Y1/ko
Publication of KR960034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8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도어용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버트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버트 부재를 축받이(10) 그리고 지지부(11)가 돌설된 복잡한 형태의 다이캐스팅 상부 부재(1)와 평판 형태의 하부 부재(2)로 구성하여 합체 시킴으로서 경량체이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한 상부 피버트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 부재
제1도는 본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제2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4도는 본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5도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부재 2 : 하부 부재
10 : 축받이 11 : 지지부
20 : 용접부 21 : 체결부
22 : 체결공 100,200 : 결합돌봉
101,201 : 결합공
본고안은 도어용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버트(pivot) 부재를 축받이 그리고 지지부가 형성되어 모양이 복잡한 다이캐스팅 상부 부재와 평판인 하부부재로 구성하여 합체 시킴으로서 경량체이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며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한 피버트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용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는 문틀의 상부에 설치되어 피버트 축에 의해 문이 원활히 여닫힐 수 있게 하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피버트 부재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스틸재로 제작된다.
그러나 스틸재로 제작된 피버트 부재는 강도가 큰 잇점은 있으나 자중이 많아 나가고 성형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축받이 그리고 지지부가 돌설된 복잡한 형상을 갖는 피버트 부재의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주조에 의한 제작방법만을 사용할 수 있어 외관 디자인이 투박해질 수 밖에 없었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피버트 부재를 축받이 그리고 지지부가 돌설된 복잡한 형태의 다이캐스팅 상부 부재와 평판 형태의 하부 부재로 구성하여 합체 시킴으로서 경량체이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한 상부 피버트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고안의 목적은 복잡한 형상의 축받이 및 지지부가 돌설된 다이캐스팅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의 하부에 합체되는 평판 형상의 하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돌봉 및 결합공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이하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받이 및 지지부를 구비한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버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10) 및 지지부(11)가 돌설된 다이캐스팅 상부 부재(1)와, 상기 상부 부재(1)의 하부에 합체되는 평판 형상의 하부 부재(2)와, 상기 상부 부재(1) 및 하부 부재(2)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돌봉(100)(200) 및 결합공(101)(201)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봉(100)(200)을 결합공(101)(201)에 삽입하고 프레싱 작업 하여 상부 부재(1)를 하부 부재(2)와 합체 시켜서 된 것이다.
상기 상부 부재(1)는 복잡한 형상인 축받이(10) 및 지지부(11)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성형성이 양호하여 다이캐스팅이 가능한 알루미늄 또는 황동재로 제작되며, 하부 부재(2)는 피버트 부재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스틸재로 제작된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의 피버트 부재는 결합돌봉(100)(200)을 결합공(101)(201)에 삽입되게 상부 부재(1)와 하부 부재(2)을 겹쳐 놓은 상태에서 프레싱 작업을 하여 겹쳐진 상부 부재(1)와 하부 부재(2)를 합체 시킴으로서 제작되어진다.
제4도는 이렇게 상부 부재(1)와 하부 부재(2)가 합체된 피버트 부재를 문틀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받이(10)에는 피버트 축(3)이 설치디고 지지부(11)에는 위치조절구(4)가 설치되게 된다.
본고안에 있어서 복잡한 형상의 축받이(10) 및 지지부(11)가 돌설된 상부 부재(1)가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상부 부재(1)에 합체된 하부 부재(2)는 피버트 부재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는 역활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부 부재(1)와 하부 부재(2)가 합체된 본고안의 피버트 부재는 외관이 미려하고 경량이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갖게 되는 것이다.
성형성이 양호한 상부 부재(1)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작되고, 하부 부재(2)는 평판 형상이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용이해지게 된다.
제5도a,b는 취부수단을 갖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으로서, 하부 부재(2)에 취부부위를 일체로 돌설하여서 된 것이다.
제5도a는 용접부(20)를 하부 부재(2)의 양측에 일체로 돌설하여서 된 것이고, 제5도b는 체결공(22)이 형성된 체결부(21)를 하부 부재(2)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본고안은 복잡한 형상의 축받이(10) 및 지지부(11)가 돌설된 복잡한 형태의 다이캐스팅 상부 부재(1)와 평판 형태의 하부 부재(2)로 구성하여 합체 시킴으로서 경량체이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며, 대량생산이 용이한 상부 피버트 부재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축받이 및 지지부를 구비한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버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10) 및 지지부(11)가 돌설된 다이캐스팅 상부 부재(1)와, 상기 상부 부재(1)의 하부에 합체되는 평판 형상의 하부 부재(2)와, 상기 상부 부재(1) 및 하부 부재(2)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돌봉(100)(200) 및 결합공(101)(201)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봉(100)(200)을 결합공(101)(201)에 삽입하고 프레싱 작업 하여 상부 부재(1)를 하부 부재(2)와 합체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버트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2)의 양측으로 용접부(20)를 돌설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버트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2)에 체결공(22)이 천공된 체결부(21)를 돌설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버트 부재.
KR2019950008429U 1995-04-25 1995-04-25 도어용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 부재 KR0125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429U KR0125306Y1 (ko) 1995-04-25 1995-04-25 도어용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429U KR0125306Y1 (ko) 1995-04-25 1995-04-25 도어용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812U KR960034812U (ko) 1996-11-21
KR0125306Y1 true KR0125306Y1 (ko) 1999-05-01

Family

ID=1941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429U KR0125306Y1 (ko) 1995-04-25 1995-04-25 도어용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3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653B1 (ko) * 2022-11-03 2023-04-04 (주)케이솔루텍 도어용 상로드 보강대 제조방법 및 상로드 보강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653B1 (ko) * 2022-11-03 2023-04-04 (주)케이솔루텍 도어용 상로드 보강대 제조방법 및 상로드 보강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812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59538U (ko)
KR0125306Y1 (ko) 도어용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 부재
US20050204632A1 (en) Door system opening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KR0138284Y1 (ko) 조립식 간판
JPS5915984Y2 (ja) 郵便受箱
JPS5834951Y2 (ja) 家具用扉
CN100412480C (zh) 电冰箱用门
JPH022858Y2 (ko)
JPH0316144U (ko)
JP2527878Y2 (ja) 戸用吊下げ鈴
JP4603191B2 (ja) 手摺用ブラケット
KR0127412Y1 (ko) 현관문의 장식판넬 프레임
JP4386713B2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KR960022120A (ko) 트럭의 리어포스트 구조
JPH0332232Y2 (ko)
JP4843300B2 (ja) 貯金箱
JPS6211666Y2 (ko)
JP2740905B2 (ja) 内動片引き窓の召合せ下部水密構造
JPH0461288U (ko)
KR200147485Y1 (ko) 조립식 사물함
JPH06339570A (ja) パチンコ機の球皿取付構造
JPH10323241A (ja) 壁面取り付け下駄箱
KR950001621Y1 (ko) 현관물 장식판넬
KR950008158Y1 (ko)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벗부재
CN2401650Y (zh) 球形门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4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6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