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4649Y1 -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649Y1
KR0124649Y1 KR2019950026895U KR19950026895U KR0124649Y1 KR 0124649 Y1 KR0124649 Y1 KR 0124649Y1 KR 2019950026895 U KR2019950026895 U KR 2019950026895U KR 19950026895 U KR19950026895 U KR 19950026895U KR 0124649 Y1 KR0124649 Y1 KR 0124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output
microcomputer
signal
lamp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722U (ko
Inventor
유연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26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649Y1/ko
Publication of KR970015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6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병렬접속된 복수의 저항을 매개로 제어수단으로서의 마이컴과 555타이머를 상호 접속시켜 램프의 밝기를 간단하게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마이컴(12)의 제어하에 램프(11)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소자용 인버터를 갖춘 조명기구에서, 상기 마이컴(12)으로부터의 출력주파수제어신호에 따라 램프구동용 출력주파수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출력주파수 결정부(14)와, 상기 마이컴(12)의 제어하에 램프점멸신호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출력주파수결정부(14)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램프구동신호의 듀티비를 가변시켜서 상기 인버터로 인가하는 램프구동신호출력부(16)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사용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조명기구로서 채용되는 인버터 스탠드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11 : 램프
12 : 마이컴 14 : 출력주파수결정부
16 : 램프구동신호출력부
본 고안은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555타이머 및 상호 병렬접속된 복수의 저항을 이용하여 램프의 밝기를 간단하게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일종으로 제안되어 특정한 지역의 조도를 조절하도록 된 조명기구의 일예로서의 인버터 스탠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조명기구에 대한 임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선택버튼(10a∼10d)을 갖춘 키입력부(10)상에서 사용자가 선택버튼(10a)을 누르게 되면 형광등과 같은 램프(11)가 켜지게 되고, 선택버튼(10b)을 누르게 되면 상기 램프(11)의 조도가 에컨대 1단 밝기로 조절되며, 선택버튼(10c)을 누르게 되면 상기 램프(11)의 조도가 예컨대 2단 밝기로 조절되고, 선택버튼(10d)을 누르게 되면 상기 램프(11)의 조도가 예컨대 3단 밝기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점멸동작하는 대부분의 인버터 스탠드에는 상기 램프(1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구비되게 되는데, 그러한 구동장치로는 통상적으로 형광등 시스템의 인버터구동이 ZVS(Zero Voltage Switching)동작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IC(예컨대, KA 7521)와, 그 제어IC의 제어하에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트랜스, 그 트랜스의 2차측에 유기된 기전력에 의해 램프구동용 인버터를 동작시키는 저항과 콘덴서 등으로 구성되는 인버터구동회로, 그 인버터구동회로에 의해 인버터가 동작하게 됨에 따라 소정의 공진전류를 램프로 인가하여 그 램프가 점멸동작하도록 하는 공진회로 등이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장치의 출력은 상기 제어IC에 의해 제어되는 주파수레벨과 PWM의 듀티비(duty ratio)로서 조정되는 바, 그와 같은 구동장치는 대부분 램프의 온/오프 및 1∼3단 정도의 밝기만을 제공할 분 더 이상의 밝기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호 병렬접속된 복수의 저항을 매개로 제어수단으로서의 마이컴과 555타이머를 상호 접속시켜 램프의 밝기를 간단하게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컴의 제어하에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구동소자용 인버터를 갖춘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으로부터의 출력주파수제어신호에 따라 램프구동용 출력주파수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출력주파수결정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하에 램프점멸신호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출력주파수결정부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램프구동신호의 듀티비를 가변시켜서 상기 인버터로 인가하는 램프구동신호출력부로 구성된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주파수결정부는 상호 다른 저항치를 가진 복수의 저항이 상호 병렬로 상기 마이컴의 입/출력 공용포트에 접속되고 그 복수의 저항의 공통단자는 분압저항을 매개로 상기 램프구동신호출력부의 VCO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램프구동신호출력부는 VCO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출력주파수결정부로부터의 전압레벨을 기초로 램프구동신호의 주파수 및 듀티비를 그에 상응하게 조절하여 출력시키는 555타이머와, 베이스가 저항을 매개로 상기 마이컴의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컬렉터는 상기 555타이머의 일단에 접속된 스위칭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에 의하면, 출력주파수결정부에서 결정된 가변적인 램프구동용 출력주파수의 신호(예컨대, 전압)는 램프구동신호출력부에서 그에 상응하는 주파수 및 듀티비로 조정되어 램프구동소자용 인버터로 인가되므로, 그 인버터의 동작에 의해 램프의 밝기가 조정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래프구동제어회로도로서, 본 고안의 회로도는 마이컴(12), 출력주파수결정부(14), 램프구동신호 출력부(16)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서, 마이컴(12)은 키입력부(제1도 참조 ; 10)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해당 조명기구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IC로서, 그 마이컴(12)에는 램프점멸제어신호출력용 포트(P1)와, 입/출력 공용포트(P2, P3, P4)가 갖추어지게 된다.
출력주파수결정부(14)는 상기 마이컴(12)의 입/출력 공용포트(P2, P3, P4)의 상태(예컨대, 로우(LOW) 또는 (HIGH)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출력주파수제어신호를 근거로 하여 램프구동용 출력주파수를 가변적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주파수결정부(14)는 복수의 저항(R4, R5, R6)과 분압저항(RH, R7)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복수의 저항(R4, R5, R6)은 상호 다른 저항치를 가지면서 그 각각의 저항은 상기 마이컴(12)의 입/출력 공용포트(P2, P3, P4)에 각각 접속되는 한편 상기 복수의 저항(R4, R5, R6)의 공통단자는 분압저항(RH, R7)을 매개로 후술하는 램프구동신호출력부(16)를 구성하는 555타이머(16a)의 VCO단자(즉, 5번 핀)에 접속된다.
램프구동신호출력부(16)는 램프(제1도 참조 ; 11)를 점등/소등(멸등)시키기 위한 램프점멸신호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출력주파수결정부(14)로부터의 신호(예컨대, 전압)를 기초로 램프구동신호(예컨대, 주파수)의 듀티비를 가변시켜서 램프구동소자용 인버터(도시 생략)로 그 가변된 램프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바, 그 램프구동신호출력부(16)는 VCO단자(즉, 5번 핀)로 입력되는 상기 출력주파수결정부(14)로부터의 전압레벨을 기초로 램프구동신호의 주파수 및 듀티비를 그에 상응하게 조절하여 출력시키는 555타이머(16a)와, 베이스가 저항(R3)을 매개로 상기 마이컴(12)의 출력포트(P1)에 접속되고 컬렉터는 상기 555타이머(16a)의 일단(즉, 1번 핀)에 접속된 스위칭트랜지스터(Q)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555타이머(16a)의 일반적인 특성중 충전시간(예컨대, 출력 1)은 0.693(R1+R2)CT로 결정되고, 방전시간(예컨대, 출력 0)은 0.693(R2)CT로 결정되며, 주기는 0.693(R1+2R2)CT로 결정된다. 그리고, 그 555 타이머의 또다른 일반적인 특성중 주파수는 f=1.44/CT(R1+2R2)로 결정되고, 듀티사이클은(R1+R2)/R2로 결정된다. 도한 상기 VCO단자의 전압이 높아지면 주파수는 높아지는 반면에 듀티비는 작아지게 되고, 전압이 낮아지면 주파수는 낮아지는 반면에 듀티비는 커지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의 동작에 따르면, 먼저 상기 마이컴(12)의 출력포트(P1)에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게 되면 램프구동신호출력부(16)를 구성하는 스위칭트랜지스터(Q)가 턴온되므로, 램프(11)가 점등되고, 이어 상기 마이컴(12)의 입/출력 공용포트(P2, P3, P4)는 각각 로우 또는 하이상태가 되게 되는데, 예컨대 상기 입/출력 공용포트(P2)가 로우(LOW)이고 상기 입/출력 공용포트(P3∼P4)가 하이(HIGH)인 경우 그 하이로 된 공용포트(P3∼P4)는 하이임피던스상태로 되기 때문에 출력주파수결정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그에 따라, 상기 555타이머(16a)의 VCO단자(즉, 5번 핀)의 입력전압은 (Vcc·R4)/(RH+R4)가 되고, 상기 555타이머(16a)는 그 입력된 전압에 비레한 주파수를 램프구동신호로서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R4R5R6라고 할 때, 상기 각 공용포트의 출력레벨에 따른 램프(11)의 밝기는 상기 저항(R4, R5, R6)의 조합으로 인해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가지의 밝기레벨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의 저항의조합 및 555타이머에 의해 램프의 밝기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사용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호 병렬접속된 저항의 수를 3개로 하였으나, 그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가감될 수 있다.

Claims (3)

  1. 마이컴(12)의 제어하에 램프(11)를 구동시키는 램프구동소자용 인버터를 갖춘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2)으로부터의 출력주파수제어신호에 따라 램프구동용 출력주파수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출력주파수결정부(14)와, 상기 마이컴(12)의 제어하에 램프점멸신호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출력주파수결정부(14)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램프구동신호의 듀티비를 가변시켜서 상기 인버터로 인가하는 램프구동신호출력부(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주파수결정부(14)는 상호 다른 저항치를 가진 복수의 저항(R4, R5, R6)이 상호 병렬로 상기 마이컴(12)의 입/출력 공용포트(P2, P3, P4)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저항(R4, R5, R6)의 공통단자는 분압저항(RH, R7)을 매개로 상기 램프구동신호출력부(16)의 VCO단자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구동신호출력부(16)는 VCO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출력주파수결정부(14)로부터의 전압레벨을 기초로 램프구동신호의 주파수 및 듀티비를 그에 상응하게 조절하여 출력시키는 555타이머(16a)와, 베이스가 저항을 매개로 상기 마이컴(12)의 출력포트(P1)에 접속되고 커렉터는 상기 555 타이머(16a)의 일단에 접속된 스위칭트랜지스터(Q)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KR2019950026895U 1995-09-29 1995-09-29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KR0124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895U KR0124649Y1 (ko) 1995-09-29 1995-09-29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895U KR0124649Y1 (ko) 1995-09-29 1995-09-29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22U KR970015722U (ko) 1997-04-28
KR0124649Y1 true KR0124649Y1 (ko) 1998-12-15

Family

ID=1942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895U KR0124649Y1 (ko) 1995-09-29 1995-09-29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6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22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1628B2 (en) Status indicator circuit for a dimmer switch
KR910700597A (ko) 디밍 제어 회로
JP2008507817A (ja) 色調整可能なランプ
EP1565042A3 (en)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amp using silicon-controlled phase-luminosity modulator for adjusting luminosity
EP0053896A1 (en) Light dimmer device
CN1942035B (zh) 荧光灯点灯装置以及照明控制系统
KR0124649Y1 (ko)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JPH0714694A (ja) 放電灯調光装置
US5361019A (en) Lamp dimming device
GB2236025A (en) Dimmer switches
JP2002082726A (ja) 位相制御装置、調光器および調光照明システム
US5212427A (en) Electronic lamp ballast dimming control means employing pulse width control
US6373197B1 (en) Controller for flash lamps sharing a common power sour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0150540B1 (ko) 인버터 스탠드의 램프구동제어회로
KR200206209Y1 (ko) 조명등용 전자식 벽 스위치기
US6150775A (en) Contact actuated lamp
EP0932930B1 (en) Electronic power control having a switched-mode power supply
CN217486677U (zh) Led调光调色控制电路及灯具
JPH0582264A (ja) 照明器具
KR0126117Y1 (ko)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장치
JPS5829599Y2 (ja) 調光装置
JP4442098B2 (ja) 照明装置
JPH02147015A (ja) 調理器の液晶表示装置
KR19980025493A (ko) 밝기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KR0129996Y1 (ko) 램프 밝기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9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6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