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3694Y1 - 서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서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694Y1
KR0123694Y1 KR2019950004330U KR19950004330U KR0123694Y1 KR 0123694 Y1 KR0123694 Y1 KR 0123694Y1 KR 2019950004330 U KR2019950004330 U KR 2019950004330U KR 19950004330 U KR19950004330 U KR 19950004330U KR 0123694 Y1 KR0123694 Y1 KR 0123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vating member
shutter curtain
shutter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794U (ko
Inventor
김명묵
Original Assignee
김명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묵 filed Critical 김명묵
Priority to KR2019950004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694Y1/ko
Publication of KR9600317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7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6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8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46Bottom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36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obstac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8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85Braking mechanism activated by the bottom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범 및 화재예방을 목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셔터의 장애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동셔터의 무인 자동폐쇄시 셔터커튼의 하방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를 검출하여 셔터커튼의 하강을 중단시키거나, 또는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 다음 재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가이드레일(1)에 안내되어 승, 하강하도록 셔터커튼(2)과 동일 길이로 형성되어 최하부에 위치되는 셔터커튼에 고정됨과 동시에 내공간부(12)의 양측으로 걸림턱(13)이 형성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상부플랜지(14) 및 하우징의 하단면에 접속되는 하부플랜지(15)를 갖으며, 승,강 가능하게 내공간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영구자석(17)이 고정된 승강부재(16)와, 상기 하우징의 내공간부 상측에 각 영구자석과 대응되게 고정되어 승강부재가 상승함에 따라 영구자석의 자장에 의해 장애물을 감지하는 리드 스위치(19)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리드 스위치가 동작됨에 따라 신호를 전동모터(4)에 전달하여 전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신기(8)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셔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장치가 설치된 셔터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장치가 설치된 셔터의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써,
(a)는 장애물을 검출하지 않은 초기 상태도.
(b)는 셔터를 닫을 때 장애물을 검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레일 2 : 셔터커튼
8 : 송싱기 11 : 하우징
12 : 내공간부 13 : 걸림턱
4 : 상부플랜지 15 : 하부플랜지
16 : 승강부재 17 : 영구자석
19 : 리드스위치 21 : 절곡부
22 : 탄성부재
본 고안은 방범 및 화재예방을 목적으로 설치되어 사용하는 셔터의 장애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동셔터의 무인 자동폐쇄시 셔터커튼의 하방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를 검출하여 셔터커튼의 하강을 중단시키거나, 또는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 다음 재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제어나 원격조작을 하여 셔터커튼을 승,강시키는 전동셔터는 셔터커튼의 하강시 셔터커튼의 하방에 장애물이 위치되어 있어 셔터커튼의 하단면이 장애물과 맞닿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셔터커튼의 하강을 일시 중단시킨 다음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시켜 정지시킨 후, 장애물이 제거될 때까지 셔터커튼을 재하강시키거나, 일정횟수 반복해서 셔터커튼을 승,하강시킨 다음 동작을 중단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의 장치가 설치된 셔터의 구성도로써, 셔터가 설치될 출입구의 양측 내벽에 가이드레일(1)이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출입구의 상측에는 셔터커튼(2)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권취샤프트(3)가 전동모터(4)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커튼의 하단부에는 셔터커튼의 하강시 셔터커튼의 하강을 방해 또는 저지하는 장애물(5)을 검출하는 장애물 검출장치(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장애물 검출장치의 구성을 제2도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셔터커튼(2)의 하단부에 상기 셔터커튼의 길이방향 폭보다 좁게 시이드판(7)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시이드판의 일측에는 장애물의 검출에 따라 전동모터(4)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신기(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기에는 송신기를 동작시키는 누름스위치(9)가 시이드판()의 하부로 노출되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부 시이드판(7)의 하부에는 셔터커튼(2)의 하강시 셔터커튼의 하부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장애물과의 접촉으로 눌려지면서 송신기(8)의 누름스위치(9)를 눌러주는 누름판(10)이 일정범위(S)내에서 승,강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장치가 설치된 전동셔터는 전동모터(4)의 구동으로 권취샤프트(3)가 회전함에 따라 다수개의 연결편 또는 파이프가 고리형태로 연결된 셔터커튼(2)이 가이드레일(1)을 따라 승,하강하게 되는데, 출입구를 폐쇄하기 위해 전동모터(4)를 구동하여 권취샤프트(3)에 권취된 셔터커튼(2)을 하강시킬 때 상기 셔터커튼의 하부에 장애물(5)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장애물 검출장치(6)의 누름판(10)이 장애물(5)과 먼저 접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동모터(4)가 계속적으로 구동하여 권취샤프트(3)를 회전시키면 셔터커튼(2)이 하강하지만, 시이드판(7)에 일정범위만큼 승,강하도록 결합된 누름판(10)은 장애물에 걸려 하강하지 못하고 셔터커튼(2)의 하강되는 양만큼 반대로 상승하게 되므로 누름판(10)이 시이드판(7)의 하부로 노출된 누름스위치(9)를 눌러주게 된다.
이에따라 시이드판(7)의 일측에 설치된 송신기(8)가 동작되어 전동모터(4)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게 되므로 전동모터(4)의 구동이 일시 정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시이드판(7)과 누름판(10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물이 스며들거나, 습기가 침투하도록 되어 있어 동절기에 셔터커튼의 하강으로 시이드판과 누름판이 접속되고, 누름스위치가 상승된 상태에서 지면의 습기로 인해 이들의 접속면이 얼어 붙게 되므로 셔터커튼을 상승시킨 후, 출입구를 폐쇄시키기 위해 셔터커튼을 하강시 얼어 붙은 누름스위치 및 누름판이 동작되지 않게 되므로 장애물 검출장치의 하부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장애물을 검출할 수 없게 되었다.
둘째, 가이드레일(1)에 고리형태로 연결된 셔터커튼(2)의 양측만 삽입 안내되고 장애물(5)을 검출하는 장애물 검출장치(6)의 시이드판(7)과 누름판(10)은 상기 가이드레일(1)에 안내되지 않기 때문에 누름판(10)의 하단면이 장애물(5)이나, 출입구의 바닥면에 맞닿는 과정에서 장애물 검출장치(6)가 내측(권취샤프트의 감김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장애물(5)이 있더라도 이를 검출하지 못하였다.
특히, 파이프 셔터인 경우에는 셔터커튼(2)의 하강시 장애물 검출장치(6)가 말리는 현상이 더욱 자주 발생되었다.
이에따라 시이드판(7)과 누름판(10)이 장애물(5)을 검출하지 못하여 전동모터(4)가 계속적으로 구동하게 되므로 셔터커튼(2)이 가이드레일(1)에서 이탈되거나, 전동모터(4)가 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셋째, 누름판(10)의 폭이 시이드판(7)의 폭보다 좁아 누름판이 시이드판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어 제2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면(5a)을 갖는 장애물(5)이 장애물 검출장치(6)의 하부에 있을 경우 누름판(10)이 장애물(5)과 접촉하지 못하고 시이드판(7)의 외측면이 먼저 닿아 전동모터(4)가 계속적으로 구동하게 되므로 셔터커튼(2)이 가이드레일(1)에서 이탈되거나, 전동모터(4)가 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넷째, 셔터커튼(2)의 길이가 3m를 넘는 경우에는 금속의 비틀림현상으로 인해 누름판이 장애물과 접촉되더라도 누름스위치가 동작되지 않음으로 장애물을 검출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개선하여 셔터커튼의 하강시 장애물 검출장치가 말리는 현상을 제거함과 동시에 하우징과 승강부재 사이로 물기나 습기가 침투하더라도 장애물 검출장치가 정확히 동작되도록 하며, 경사면을 갖는 장애물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승,하강하도록 셔터커튼과 동일 길이로 형성되어 최하부에 위치되는 셔터커튼에 고정됨과 동시에 내공간부의 양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상부플랜지 및 하우징의 하단면에 접속되는 하부플랜지를 갖으며 승,강 가능하게 내공간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영구 자석이 고정된 승강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공간부 상측에 각 영구자석과 대응되게 고정되어 승강부재가 상승함에 따라 영구자석의 자장에 의해 장애물을 감지하는 리드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리드 스위치가 동작됨에 따라 신호를 전동모터에 전달하여 전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신기로 구성된 셔터의 장애물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장치가 설치된 셔터의 구성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셔터커튼(2)중 최하단에 위치되는 셔터커튼에 상기 셔터커튼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하우징(11)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의 양단 폭은 가이드레일(1)에 끼워져 승,하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내공간부(12)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향하게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의 내공간부(12)에는 걸림턱(13)에 걸려 하우징에서의 하강이 제어되도록 하는 상부플랜지(14)와, 하우징의 하단면에 접속되어 상승이 제어되도록 하는 하부플랜지(15)를 갖는 승강부재(16)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영구자석(17)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의 내공간부(12) 상면에는 고정편(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16)에 고정된 영구자석(17)과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편에는 리드스위치(19)가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리드스위치(19)의 단자(19a)는 내공간부(12)내로 침투되는 물기 및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실리콘(20)으로 몰딩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16)의 하부 양측에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면에서부터 리드스위치(19)까지의 거리(a)보다, 하우징(11)의 하단면에서부터 승강부재(16)의 하부플랜지(15)상면까지의 거리(b)가 짧게 하부플랜지(15)만 형성하여도 셔터의 하강시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는 장애물(5)을 감지할 수 있지만, 장기간 사용으로 하부플랜지(15)가 제4도에 도시한 일점쇄선과 같이 하방으로 변형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면에서부터 리드스위치(19)까지의 거리(a)보다, 하우징(11)의 하단면에서부터 승강부재(16)의 하부플랜지(15)상면까지의 거리(b)가 길어지게 될 경우에는 승강부재(16)의 상단면이 리드스위치(19)까지의 거리(a)보다 더 상승하여 리드스위치(19)와 부딪힐 염려가 있게 된다.
이에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에 형성된 걸림턱(13)의 하부로 승강부재의 상단면에서부터 리드스위치(19)까지의 거리(a)보다는 짧고, 하우징(11)의 하단면에서부터 승강부재(16)의 하부플랜지(15) 상면까지의 거리(b)보다는 긴 일정간격(c)이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부재(16)에 절곡부(21)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플랜지(15)가 하향 변형시 상기 절곡부가 하우징(11)에 형성된 걸림턱(13)에 걸려 승강부재(16)의 과잉상승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리드스위치(19)와 영구자석(17)은 셔터커튼(2)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갯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셔터커튼(2)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약 3m 이상) 승강부재(16)가 장애물을 감지하더라도 금속의 비틀림현상으로 장애물을 감지하지 못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의 상부 일측(건물의 내측)에는 하우징에 고정된 리드스위치(19)가 영구자석(17)의 자장으로 동작됨에 따라 신호를 전동모터(4)에 전달하여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신기(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1)의 저면과 승강부재(16)의 상면사이에는 압축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2)가 설치되어 있어 셔터커튼(2)의 상승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부재(16)를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동절기에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승강부재(16)에 형성된 하부플랜지(15)가 하우징(11)의 하단면에 접속되어 얼어 붙더라도 셔터커튼(2)의 상승시 승강부재(16)를 탄성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1)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하므로서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출입구를 폐쇄하기 위해 전동모터(4)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전동모터의 출력축과 고정된 권취샤프트(3)가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권취샤프트에 권회된 셔터커튼(2)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같이 셔터커튼(2)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면 상기 셔터커튼은 출입구의 양측으로 수직되게 고정된 가이드레일(1)에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셔터커튼의 최하방에 고정된 하우징(11)과 승강부재(16)도 가이드레일(1)에 안내되므로 셔터커튼(2)과 본 고안의 장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셔터커튼(2)이 하강될 때 승강부재(16)의 하방에 장애물(5)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면이 장애물과 접촉된 상태에서 셔터커튼(2)이 계속해서 하강하게 되므로 하우징(11)의 하부로 노출되어 있던 승강부재(16)가 탄성부재(22)를 압축시키면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16)의 하단면이 장애물(5)과 접촉될 때 제4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장애물(5)과 같이 경사면(5a)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승강부재(16)의 폭이 하우징(11)의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어 반드시 승강부재가 장애물(5)과 먼저 접촉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와같이 승강부재(16)가 상승하면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면에 적어도 1개 이상 고정된 영구자석(17)이 하우징(11)의 하단면에 고정된 리드스위치(19)를 동작시키게 되므로 송신기(8)에서 전동모터(4)에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이에따라 전동모터의 구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또한, 동절기에 하우징(11)의 하단면과 하부플랜지(15)가 얼어 붙더라도 하우징(11)의 저면과 승강부재(16)의 상면사이에는 탄성부재(22)가 설치되어 있어 셔터커튼(2)의 상승시 승강부재(16)를 하방으로 노출시키게 되므로 셔터커튼의 하강시 장애물을 정확히 감지하게 된다.
한편, 장기간 반복사용으로 하부플랜지(15)가 제4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하방으로 변형되어 (b)의 간격이 (a)의 간격보다 멀어지게 되더라도 상기 승강부재(16)에는 걸림턱(13)과 (c)간격을 유지하도록 절곡부(21)가 형성되어 있어 승강부재(16)의 상단면이 리드스위치(19)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
첫째, 하우징(11)과 승강부재(16)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내공간부(12)로 물이 스며들거나, 습기가 침투하여 동절기에 하우징의 하단면과 승강부재의 하부플랜지가 얼어 붙더라도 내공간부내에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셔터커튼을 상승시 상승부재가 하우징의 하부로 노출되고, 이에따라 승강부재의 하부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정확히 장애물을 감지하여 전동모터의 구동을 중단하게 된다.
둘째, 가이드레일(1)에 고리형태로 연결된 셔터커튼(2)과 승강부재(16)가 결합된 하우징(11)의 양단이 동시에 삽입되어 안내되므로 파이프셔터인 경우에도 셔터커튼의 하강시 장애물 검출장치가 내측(권취샤프트의 감김방향)으로 말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에따라 장애물(5)을 검출하지 못하여 전동모터(4)가 계속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셋째, 승강부재(16)의 폭이 하우징(1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경사면(5a)을 갖는 장애물(5)이 있을 경우에도 반드시 승강부재가 장애물과 먼저 접촉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게 되므로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넷째, 셔터커튼의 길이가 3m를 넘어 장애물의 검출시 금속의 비틀림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셔터커튼의 길이에 비례하여 1개 이상의 리드스위치와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애물을 정확히 검출하게 된다.

Claims (3)

  1. 가이드레일(1)에 안내되어 승, 하강하도록 셔터커튼(2)과 동일 길이로 형성되어 최하부에 위치되는 셔터커튼에 고정됨과 동시에 내공간부(12)의 양측으로 걸림턱(13)이 형성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상부플랜지(14) 및 하우징의 하단면에 접속되는 하부플랜지(15)를 갖으며, 승,강 가능하게 내공간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영구자석(17)이 고정된 승강부재(16)와, 상기 하우징의 내공간부 상측에 각 영구자석과 대응되게 고정되어 승강부재가 상승함에 따라 영구자석의 자장에 의해 장애물을 감지하는 리드 스위치(19)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리드 스위치가 동작됨에 따라 신호를 전동모터(4)에 전달하여 전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신기(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1)의 저면과 승강부재(16)의 상면사이에는 탄성부재(22)를 설치하여 셔터커튼(2)의 상승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부재(16)가 하강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승강부재의 상단면에서부터 리드스위치(19)까지의 거리(a)보다는 짧고, 하우징(11)의 하단면에서부터 승강부재(16)의 하부플랜지(15) 상면까지의 거리(b)보다는 길레 하우징(11)에 형성된 걸림턱(13)의 하부로 일정간격(c)이 형성되도록 승강부재(16)에 절곡부(21)를 형성하여 하부플랜지가 하향절곡시 상기절곡부가 하우징(11)에 형성된 걸림턱(13)에 걸려 승강부재(16)의 과잉상승이 제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KR2019950004330U 1995-03-13 1995-03-13 서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KR0123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330U KR0123694Y1 (ko) 1995-03-13 1995-03-13 서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330U KR0123694Y1 (ko) 1995-03-13 1995-03-13 서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794U KR960031794U (ko) 1996-10-24
KR0123694Y1 true KR0123694Y1 (ko) 1998-10-15

Family

ID=1940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330U KR0123694Y1 (ko) 1995-03-13 1995-03-13 서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6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564B1 (ko) * 2002-07-18 2006-02-01 남기호 셔터 자동안전 감지장치
KR20240008383A (ko) * 2020-02-06 2024-01-18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안전사고 방지 기능을 가지는 방화셔터 장치
KR102725505B1 (ko) * 2023-12-19 2024-11-05 주식회사 아이도어랩 센서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5930B2 (ja) * 1998-11-16 2004-12-0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電動開閉装置
JP3559950B2 (ja) * 1998-11-18 2004-09-0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電動開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564B1 (ko) * 2002-07-18 2006-02-01 남기호 셔터 자동안전 감지장치
KR20240008383A (ko) * 2020-02-06 2024-01-18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안전사고 방지 기능을 가지는 방화셔터 장치
KR102725505B1 (ko) * 2023-12-19 2024-11-05 주식회사 아이도어랩 센서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794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3694Y1 (ko) 서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MXPA04001533A (es) Operador automatico de puerta.
KR101312338B1 (ko) 전동식 셔터의 장해물 검지 장치 및 장해물 검지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셔터
KR100279363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KR200464421Y1 (ko)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JPH0541194Y2 (ko)
KR102227986B1 (ko) 스태킹 도어
KR10184332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개폐장치
CA2434531C (en) Non-contact safety system
KR102229501B1 (ko) IoT에 기반한 무대장치 바텐의 추락방지 안전시스템의 운용방법
EP0783453B1 (en) A safety release device operating in a linear belt transmission for automatically-opening lift and elevator gates
KR102474497B1 (ko)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JPH08199950A (ja) 自動シャッター装置
JPH0616137Y2 (ja) 電動シヤツターの安全装置
CN111502372B (zh) 一种应用于立体车库的平层防坠结构及方法
KR102063603B1 (ko)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CN107902520B (zh) 一种垂直升降电梯
KR102484427B1 (ko)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JPH05340178A (ja) 電動シャッター等の開閉体の安全装置
KR200408337Y1 (ko) 방화 셔터용 자동 폐쇄기
CN113942909B (zh) 用于电梯井道的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319148Y1 (ko) 멀티박스 오토 리프팅 시스템
JP2014231421A (ja) エレベータ用出入口装置
KR960000027Y1 (ko) 셔터용 안전장치
JP7498441B1 (ja) エレベータ内の電気器具の操作具及び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3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6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7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