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3274Y1 -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274Y1
KR0123274Y1 KR2019950041215U KR19950041215U KR0123274Y1 KR 0123274 Y1 KR0123274 Y1 KR 0123274Y1 KR 2019950041215 U KR2019950041215 U KR 2019950041215U KR 19950041215 U KR19950041215 U KR 19950041215U KR 0123274 Y1 KR0123274 Y1 KR 0123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nchor
guide rail
tip portion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1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640U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1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274Y1/ko
Publication of KR970035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2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밸트의 앵커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앵커취부 가이드레일부(3)를 구성하는 브라켓트(5)의 선단부(6a)에 충격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충격 강성부(8)가 구비되되, 이 충격 강성부(8)는 상기 브라켓트(6)의 선단부(6a)를 감싸는 u자 형상의 보강 브라켓트(8a)와 이 선단부(6a)를 관통하는 리베트(8b)로 이루어져, 차체의 충격력이 전달되어진 브라켓트(6)의 선단부(6a)의 강성을 보강하게 되어 이 브라켓트(6)의 벌어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밸트의 앵커취부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취부구조를 갖춘 좌석의자에 앵커가 취부된 상태도.
제2도는 제1도의 제Ⅰ-Ⅰ선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종래구조로서, 제2도에 대응되는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석의자 2 : 앵커
2a : 고정보울트 3 : 앵커취부 가이드레일부
4 : 가이드레일 5 : 가이드레일 어퍼
6 : 브라켓트 6a,7a : 선단부
7 : 밀림방지용 브라켓트 8 :충격 강성부
8a : 보강 브라켓트 8b : 리베트
본 고안은 좌석의자의 가이드레일부에 취부되는 앵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추돌에 의한 충격으로 앵커부위가 가이드레일부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한 탑승자를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밸트의 앵커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방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는 갑작스런 자동차 추돌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안전벨트를 매도록 되어 있는 바, 이 안전벨트는 탑승자의 몸을 감싸면서 그 끝부분이 좌석의자의 측부에 설치된 앵커에 록킹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좌석의자에 착석한 탑승객의 몸이 갑자기 앞으로 쏠림에 따라 탑승객의 신체를 구속하도록 사용된 안전벨트가 팽팽해지고 이와 동시에 이 안전벨트의 끝부분이 앵커에서 급작스럽게 빠져나올려는 힘이 앵커로 전달되어진다.
그런데, 자동차 추돌사고가 크게 발생하면, 이 앵커에 전달되는 힘은 더욱 배가되어, 가이드레일부에 용착된 앵커가 떨어져 나가고마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같이 앵커가 떨어져 나가면 안전벨트를 맨 탑승자의 몸이 앞으로 쏠려 자동차 전방유리에 부딪치는 사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이 앵커가 가이드레일부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주위에 착석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앵커가 떨어져 나가지 못하도록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어 있는 바, 제3도에는 이러한 방안 중 하나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석의자(1)의 측면부에 고정된 앵커(2)는 좌석의자(1)를 전후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3)에 고정되어 있다.
이를 제3도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앵커(2)가 고정된 앵커취부 가이드레일부(3)는, 이 앵커(2)가 고정되도록 고정보울트(2a)를 구비함과 더불어, 좌석의자(1)가 안착되는 가이드레일(4)의 측부에 용착되는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와, 상기 가이드레일(4)의 하부에 결합된 가이드레일 어퍼(5) 및, 이 가이드레일 어퍼(5)를 활주가능하게 연결시키되, 차체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워 판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고정되어지는 브라켓트(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트(6)의 끝 부위에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후크(Hook)형상으로 이루어진 선단부(6a)가 형성되어짐과 더불어, 이 선단부(6a)에 결합되도록 상응하는 후크(Hook)형상으로 이루어진 선단부(7a)를 상기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가 구비하고 있다.
이에따라, 자동차가 추돌하면, 좌석의자(1)에 착석한 탑승객의 몸이 갑자기 앞으로 쏠림에 따라 앵커(2)는 상방향으로 갑작스럽게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고, 이와 동시에 앵커(2)와 고정보울트(2a)를 매개로 연결된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는 가이드레일(4)의 측부에서 미끌어져 떨어져 나가다가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의 선단부(7a)가 브라켓트(6)의 선단부(6a)에 걸려 앵커(2)가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에서 외부로 떨어져 나가는 것이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 구성에 의하면,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의 선단부(7a)가 상방향으로 밀려 떨어져 나갈 때, 브라켓트(6)의 선단부(6a)는 상기 선단부(7a)에 걸려 벌어지게 되어 있는데,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의 떨어져 나가는 힘이 매우 클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트(6)의 선단부(6a)가 상기 선단부(7a)를 충분히 지지해 주지 못하고 완전히 벌어져 결국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가 상기 앵커(2)와 함께 외부로 떨어져 나가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앵커의 이탈을 방지하는 브라켓트의 선단부의 벌어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앵커취부 가이드레일부를 구성하는 브라켓트의 선단부에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충격 강성부가 구비되되, 이 충격 강성부는 상기 브라켓트의 선단부를 감싸는 u자 형상의 보강 브라켓트와 이 선단부를 관통하는 리베트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하면, 브라켓트의 선단부의 강성이 보강됨에 따라 변형 하중에 대해 충분히 지지할 수 있어 앵커가 고정설치된 밀림방지용 브라켓트가 가이드레일에서 미끌어져 떨어져 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취부구조를 갖춘 좌석의자에 앵커가 취부된 상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Ⅰ-Ⅰ선 부분 단면도인데, 종래구조를 도시한 제3도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앵커(2)가 고정된 앵커취부 가이드레일부(3)는, 이 앵커(2)가 고정되도록 고정보울트(2a)를 구비함과 더불어, 좌석의자(1)가 안착되는 가이드레일(4)의 측부에 용착되는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와, 상기 가이드레일(4)의 하부에 결합된 가이드레일 어퍼(5) 및, 이 가이드레일 어퍼(5)를 활주가능하게 연결시키되, 차체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워 판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고정되어지는 브라켓트(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6)의 끝 부위에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후크(Hook)형상으로 이루어진 선단부(6a)가 형성되어짐과 더불어, 이 선단부(6a)에 결합되도록 상응하는 후크(Hook)형상으로 이루어진 선단부(7a)를 상기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가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트(6)의 선단부(6a)에는 이를 감싸는 u자 형상의 보강 브라켓트(8a)와 상기 선단부(6a)를 관통하는 리베트(8b)로 구성된 보강 강성부(8)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따라, 자동차가 추돌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앵커(2)가 갑작스럽게 위로 당겨지는 힘에 의해 상기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가 용착부위로부터 떨어져 나가 상방향으로 미끌어지게 되다가, 이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의 선단부(7a)는 상기 브라켓트(6)의 선단부(6a)에 걸리게 된다.
이때, 이 선단부(6a)는 상기 보강 강성부(8)에 의해 충분히 그 강성이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선단부(6a)의 갑작스럽게 잡아당기는 큰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히 버틸 수 있다.
즉, 상기 선단부(6a)는 상기 보강 강성부(8)의 도움으로 그 벌어지는 정도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안전밸트의 앵커취부구조에 의하면, 밀림방지용 브라켓트에 의해 갑작스럽게 당겨지는 하중에 대해 브라켓트의 선단부가 그 하중을 충분히 지지해 줄 수 있어, 이 밀림방지용 브라켓트에 함께 고정설치된 앵커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데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좌석의자(1)의 측면에 구비된 앵커(2)가 고정된 앵커취부 가이드레일부(3)가 상기 앵커(2)가 고정되도록 고정보울트(2a)를 구비함과 더불어, 좌석의자(1)가 안착되는 가이드레일(4)의 측부에 용착되는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와, 상기 가이드레일(4)의 하부에 결합된 가이드레일 어퍼(5), 이 가이드레일 어퍼(5)와 결합되면서 차체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워 판넬에 고정되어지는 브라켓트(6)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림방지용 브라켓트(7)가 상기 브라켓트(6)의 선단부(6a)에 결합되도록 된 자동차용 안전밸트의 앵커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6)의 선단부(6a)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보강 강성부(8)가 설치되어 있되, 이 보강강성부(8)는 상기 선단부(6a)를 감싸는 u자 형상의 보강 브라켓트(8a)와 상기 선단부(6a)를 관통하는 리베트(8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밸트의 앵커취부 구조.
KR2019950041215U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KR0123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215U KR0123274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215U KR0123274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640U KR970035640U (ko) 1997-07-26
KR0123274Y1 true KR0123274Y1 (ko) 1998-10-15

Family

ID=1943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1215U KR0123274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2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883B1 (ko) * 2005-11-03 2007-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3점식 시트 벨트의 보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640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802B1 (ko) 충돌하는자동차내의탑승자를안전하게억제하는방법및상기방법을수행하기위해구성된시트
JPH06239199A (ja) シートベルト用アンカー装置
US6719369B1 (en) Child seat arrangement on a motor vehicle seat
KR012327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JP3786236B2 (ja) シートベルトアンカー取付構造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43538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트랙 좌굴 방지 구조
KR0174413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KR0174411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고정구조
KR100288304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
KR0130817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 벨트의 고정용 너트
KR970006226Y1 (ko) 차량용 좌석벨트의 장착구조
KR017359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53073B1 (ko) 로드 리미터 기능을 갖는 자동차 시트벨트 앵커 구조
KR100205758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0150902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5354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100710671B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용 니볼스터
KR0136711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0123273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0031001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리트렉터 설치구조
KR100380939B1 (ko) 리어 시트의 중앙석 시트벨트
KR19980055331A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21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1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711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5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