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2737B1 - 위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검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737B1
KR0122737B1 KR1019880016654A KR880016654A KR0122737B1 KR 0122737 B1 KR0122737 B1 KR 0122737B1 KR 1019880016654 A KR1019880016654 A KR 1019880016654A KR 880016654 A KR880016654 A KR 880016654A KR 0122737 B1 KR0122737 B1 KR 0122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ons
display
loop
circuit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576A (ko
Inventor
아즈마 무라까미
쯔구야 야마나미
다까히꼬 후나하시
도시아끼 센다
가즈오 아오끼
게이이찌 스기야마
노부유끼 미야모리
아끼오 기꾸지
마나부 아베
Original Assignee
후루다 모또오
가부시기가이샤 와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32864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6962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9321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63814A/ja
Application filed by 후루다 모또오, 가부시기가이샤 와꼬무 filed Critical 후루다 모또오
Publication of KR890010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위치 검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좌표 검출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타블릿의 단면도.
제3도 (a)는 투명기판의 개요도.
제3도 (b)는 타블릿의 투명기판의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
제4도는 타블릿의 X방향 및 Y방향의 루우프 코일군의 상세한 구성도.
제5도는 스타일러스 펜의 단면도.
제6도는 제어장치의 블럭도.
제7도는 스타일러스 펜의 동조회로 및 위치 검출 회로의 상세를 나타낸 블럭도.
제8도는 제7도의 각부의 신호 파형도.
제9도는 위치 검출 제어회로의 제어회로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도.
제10도 (a), (b), (c)는 위치 검출 제어회로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위치 검출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
제11도는 제1회째의 위치 검출 동작시에 각 루우프코일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전압을 나타낸 도.
제12도는 제2회째 이후의 위치 검출 동작 및 상태 식별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
제13도는 디스플레이 제어회로도.
제14도는 타블릿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5도는 타블릿의 투명기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
제16도는 타블릿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7도는 루우프 코일의 배열도.
제18도는 타블릿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9도는 위치 검출기의 구성도.
제20도는 타블릿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1도는 타블릿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블릿 2 : 위치 지시기
3 : 제어장치 4 : 전원장치
10 : 감지부 11 : 투명기판
12, 13, 14, 15 : 투명필름 16, 17 : 동선
160, 170 : 루우프 코일군 21 : 펜측
22 : 코어체 23 : 펠라이트 코어
24 : 코일 스프링 25 : 동조 회로
251 : 스위치 252 : 코일
253, 254 : 콘덴서 26 : 캡
50 : 디스플레이 패널 60 : 백라이트
70 : 도광판 80 : 케이스
81 : 개구부 300 : 위치 검출 회로
500 : 디스플레이 제어회로 900 : 전자 계산기
301 : 제어회로 302 : 신호 발생수단
303X,303Y : X방향 선택회로 304X,304Y : 송수 절환회로
305 : X, Y 절환회로 306 : 수신 타이밍 절환회로
307 : 대역 필터 308 : 검파기
309 : 저역필터 310, 311 : 위상검파기
312,313 : 저역필터 314X,341Y : 구동회로
315X,315Y : 증폭기
본 발명은 위치 지시기에서 지시된 좌표 위치를 검출하고, 그 지시위치를 좌표 표시용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위치 검출 장치로서는, 자왜(磁歪) 전달매체의 일단 또는 위치 지시기의 선단에 설치한 구동코일에 펄스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자왜 절단 매체에 자왜 진동파를 일으킨 시점으로부터 위치 지시기의 선단 또는 자왜 전달매체의 일단에 설치한 검출코일에 상기 자왜 진동파에 의거한 유도전압을 검출하기까지의 시간을 처리장치 등에서 측정하고, 이로부터 위치 지시기의 지정위치를 산출하도록 한 것이 있었다. 또, 종래의 다른 위치 검출 장치로서는, 복수의 구동선과 검출선을 서로 직교하여 배치하고, 구동선에 순차 전류를 흐르게 함과 동시에 검출선을 순차 선택하여 유도 전압을 검출하고, 펠라이트와 같은 자성체를 가지는 위치 지시기에서 지정한 위치를 큰 유도전압이 유기된 검출선의 위치로부터 검출하도록 한 것이 있었다.
앞의 장치에서는 위치 검출 정밀도는 비교적 양호하나, 타이밍 신호등을 수수(授受)하기 위하여 위치 지시기와 처리장치 등과의 사이에 코오드를 필요로 하고, 그 취급이 현저하게 제한됨과 동시에, 위치 지시기를 자왜 전달매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유지하고, 또 상당히 근접시켜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후자의 장치에서는 위치 지시기를 무선(코오드 레스)으로 할 수는 있으나, 좌표위치의 분해능이선의 간격으로 결정되고, 분해능을 높이기 위하여 선의 간격을 작게 하면 SN비 및 안정도가 나빠지고, 따라서 분해능을 높이는 것이 곤란하고, 또 구동선과 검출선의 교점의 바로 위의 위치검출이 곤란하고, 또한 위치 지시기를 선에 극히 접근시키지 않으면 안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지시위치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위치 검출 장치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상에 투광성을 가지는 위치 검출부(감지부)를 중합(重合)시킨 것이나, 감지부상에 백라이트 및 액정 디스플레이를 종합하는 것 등이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장치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로부터 발생하는 잡음의 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와의 사이를 5㎜ 이상 떨어지게 할 필요가 있고, 타블릿의 입력면과 액정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떨어지게 도므로, 위치 지시기의 선단과 액정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그 궤적과의 사이에 어긋남이 생겨, 입력 조작에 위화감(違和感)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후자의 장치에서는, 정확한 좌표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감지부와 위치 지시기를 접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백라이트 및 액정 디스플레이는 극히 얇게 구성하도록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이에 의거하여, 백라이트로서 극히 박형(薄型)의 것, 예를 들면 이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이하, EL 소자라 함)를 이용한 것이 사용되나, EL 소자에서는 충분한 밝기의 표시 화면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1도의 목적은 위치 지시기가 어디에도 접속되지 않고 조작성이 좋고, 또 고정밀도의 위치 검출이 얻어지고, 또한 위치 검출 결과가 위치 지시기의 지지위치와 공통의 좌표를 가지고 표시되도록 한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조회로를 가지는 위치 지시기와 상기 동조회로에 동조할 수 있는 전파를 발생하는 전파 발생수단 및 상기 동조회로로부터 반사되는 전파를 검출하는 점파 검출 수단을 가지는 위치 검출용의 타블릿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지시기와 타블릿과의 사이에서 전파를 수수하고, 그 위치 지시기에 의하여 지시된 타블릿의 위치 검출부상의 좌표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로서, 상기 지시된 위치를 상기 좌표치와 공통의 좌표를 가지고 표출하는 좌표 표시용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지시기의 동조 회로로부터 반사되는 전파를 타블릿의 전파 검출 수단에서 검출함으로써 위치 지시기의 지시 위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위치검출이 가능하게 되고, 위치 지시기측에는 동조회로를 설치하기만 하면 되고 코오드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 전지나 자석 등의 중량이 있는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그만큼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 위치 검출부에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대형화할 수 있어 전자 흑판 등에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좌표표시용 디스플레이에는, 위치 지시기의 지시위치가 동일 좌표를 가지고 표출되므로, 위치 지시기의 궤적을 봄으로서 확인하면서 좌표입력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상기한 잇점을 구비함으로써 위치 지시기의 지시위치가 더욱 밝게 디스플레이상에 표출할 수 있는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아래쪽으로부터 조명하는 백라이트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가 백라이트에 의하여 조명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는 위치 지시기의 지시 위치가 밝게 표시되므로써 지시위치의 눈에 의한 확인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더욱 박형이고 조작성이 좋은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치 검출부를 투광성으로 하여 디스플레이의 표면판과 공용시켰다. 이에 의하여 위치 검출부와 디스플레이와의 조함이 콤팩트하게 되어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그밖의 목적, 구성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 중, 1은 좌표를 입력하기 위한 타블릿, 2는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위치 지시기, 예를 들면 스타이러스 펜(이하 단지 펜이라 함), 3은 제어장치, 4는 전원장치이다.
제2도는 타블릿(1)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도에 의하여 타블릿(1)은 뒤에 상세히 설명하는 투명기판을 가지고 펜(2)에 의한 X방향과 Y방향의 지정위치 좌표를 검지하는 감지부(10)와, 그 감지부(10)상에 재치된 평형(平型)의 좌표표시용 디스플레이 패널(50), 예를 들면 상면에 도시하지 않은 하아드 코어 아크릴판이 배설된 투과형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감지부(10)의 하부에 배설되고 그 발광에 의한 빛을 상방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에 향하여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도시 생략)을 구비한 백라이트(60)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 전체를 균일한 밝기로 조사(照射)할 수 있도록 백라이트(60)와 상기 감지부(10) 사이에 배설한 도광판(70), 예를 들면 유백색(乳白色)의 아크릴판과, 상면 중앙부에 개구부(81)가 형성된 감지부(10),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 백라이트(60) 및 도광판(70)이 일체적으로 수납된 비금속제의 케이스(8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백라이트(60)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콘트라스트를 개선하고 또 밝게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냉음극관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냉음극관을 백라이트(60)로서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EL 소자를 백라이트로 하여 사용했을 때보다도 3배 이상의 밝기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아래쪽으로부터 조사할 수가 있다.
제3도 (a)는 타블릿(1)의 감지부(10)를 구성하는 투명기판(11)을 나타내는 개요도. 제3도 (b)는 투명기판(11)의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12,13,14,15는 폴리에스텔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필름, 16은 Y방향으로 따라 다수, 예를 들면 96본 병설된 동선(실제로는 연동주석(軟銅錫) 도금선을 사용한다), 17은 X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96본 병설된 동선이다.
이것들은 먼저 투명필름(12)과 투명필름(13)의 사이에 동선(17)을 병설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의 투명한 접착제로 접착한다. 마찬가지로 투명필름(14)과 투명필름(15)과의 사이에 상기 동선(16)을 병설하여 상기 투명한 접착제로 접착하고, 다시 투명필름(13)과 투명필름(14)과를 동선(16)과 동선(17)이 직교하도록 접착함으로써 투명기판(11)이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투명필름(12)측으로부터 투명필름(15)측을 상기 백라이트(60)를 사용하여 조사했을때, 투명필름(15)측에서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상기와 같이 밝게 조사하는데 충분한 광량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제3도에서는 투명기판(11)의 표면에 상당한 요철(凹凸)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에는 투명필름의 두께와 동선의 직경은 일방향(X방향 또는 Y방향)분을 합쳐도 0.2㎜ 이하이어서 거의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기판(11)을 사용하여 감지부(10)를 구성하는 데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형의 기판 중앙부에 투명기판(11)을 배설하고, 동선(16,17)과 프레임형 기판의 패턴과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하여 접속하여, X방향 및 Y방향의 좌표치를 검지하기 위한 다수의 루우프 코일을 형성한다. 또한 투명기판(11)으로부터 노출된 동선(16,17)은 납땜부를 제외하고 절연체로 피복해도 좋다.
제4도는 X방향의 좌표치를 검지하기 위한 루우프 코일군(160) 및 Y방향의 좌표치를 검지하기 위한 루우프 코일군(170)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X방향의 루우프코일군(160)은 Y방향에 따라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 다수, 예를 들면 48본의 루우프코일(160-1, 160-2, …, 160-48)로 이루어지고, 또 Y방향의 루우프코일군(170)은 X방향에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 동일하게, 48본의 루우프코일(170-1, 170-2, …, 170-48)로 이루어지고, 제3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X방향의 루우프코일군(160)과 Y방향의 루우프코일군(170)과는 투명필름(13) 및 투명필름(14)을 거쳐 서로 밀접시켜 중합되어 있다(단, 도면에서도 이해하기 쉽도록 양자를 떨어지게 표시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각 루우프코일을 1터언으로 구성했으나, 필요에 따라 다수 터언으로 해도 좋다.
제5도는 펜(2)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합성수지 등의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펜축(21)의 내부에 그 선단 가까이로부터, 볼펜 등의 코어체(22)와, 그 코어체(22)를 섭동 자유롭게 수용할 수 있는 투공(透孔)을 구비한 펠라이트 코어(23)와, 코일 스프링(24)과, 스위치(251), 펠라이트 코어(23)의 주위에 두루 감겨진 코일(252), 콘덴서(253, 254)로 이루어진 동조회로(25)가 일체적으로 조합되어 내장되고, 그 후단에는 캡(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일(252)와 콘덴서(253)은 뒤에 상세히 설명하는 제7도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공지의 공진회로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고, 코일(252) 및 콘덴서(253)의 수치는 소정의 주파수(f0)에 있어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동상에서 공진(동조)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콘덴서(254)는 스위치(251)를 거쳐 콘덴서(253)의 양단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스위치(251)은 온(ON)이 되었을 때, 상기한 공진회로에 있어서의 전류의 위상을 지연시키고, 후술하는 수신신호의 위상을 소정각도 지연시키는 작용을 행한다.
또한 스위치(251)는 펜축(21)을 손등으로 지지하고, 코어체(22)의 선단을, 예를 들면 타블릿(1)의 상면에 압압함으로써 펜축(21) 내에 밀어 넣으면, 그 후단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24)을 거쳐 압압되어 온이 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장치(3)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지부(10)를 제어하는 위치검출 제어회로(300),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회로(500) 및 이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전자계산기(900)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장치(4)는, 공지의 정류기나 트랜스, DC-DC 콘버어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어장치(3) 내의 각 회로에 공급한다.
제7도는 동조회로(25)와 함께 위치검출 제어회로(300)의 상세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301은 제어회로, 302는 신호 발생수단(회로), 303X 및 303Y는 X방향 및 Y방향의 선택수단(회로)이다. 또 304X, 304Y는 송수 절환회로, 305는 XY 절환회로, 306은 수신타이밍 절환회로이고, 이들은 접속 절환수단을 구성한다. 또, 307은 대역필터(BPF)이고, 이것은 신호 검출수단을 구성한다.
또, 308은 검파기, 308는 저역필터(LPF)이고, 이들을 후술하는 제어회로(301)에 있어서의 처리를 포함하여 좌표 검출수단을 구성한다. 또, 310, 311은 위상 검파기(PSD), 312, 313은 저역필터(LPF)이고, 이들은 후술하는 제어회로(301)에 있어서의 처리를 포함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식별수단을 구성한다. 또, 314X, 314Y는 구동회로, 315X, 315Y는 증폭기이다.
다음에 상기 위치 검출 제어회로(300)의 동작을 그 구성과 함께 설명하나, 먼저 감지부(10)와 펜(2)과의 사이에서 위치 검출을 위한 전파가 송수신되는 상태 및 이때, 얻어지는 신호에 대하여 제8도에 따라 설명한다.
상기 제어회로(301)는 공지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고, 신호 발생 회로(302)를 제어함과 동시에, 제9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에 따라 선택회로(303X,303Y)를 거쳐 감지부(10)의 각 루우프코일의 절환을 제어하고, 또 XY 절환회로(305) 및 수신타이밍 절환회로(306)에 대하여 좌표 검출 방향의 절환을 제어하고, 다시 저역필터(309,312,313)로부터의 출력치를 아날로그·디지틀(A/D) 변환하고, 후술하는 연산처리를 실행하여 펜(2)에 의한 지정위치의 좌표치를 산출하고, 다시 그 스위치의 상태를 식별하고, 이들을 상기 전자계산기(900)에 송출한다.
선택회로(303X)는 상기 X방향의 루우프코일군(160)으로부터 하나의 루우프코일을 순차 선택하는 것이고, 또 선택회로(303Y)는 상기 Y방향의 루우프코일군(170)으로부터 하나의 루우프코일을 순차 선택하는 것이고, 각각 제어회로(301)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송수 절환회로(304X)는 상기 선택된 X방향의 하나의 루우프코일을 구동회로(314X) 및 증폭기(315X)에 교대로 접속하는 것이고, 이들은 후술하는 송수 절환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신호 발생회로(302)는 소정의 주파수(f0), 예를 들면 500㎑의 구형파 신호(A), 그 구형파 신호(A)의 위상을 소정 각도 지연시킨 신호(A')(도시 생략), 소정의 주파수(fK), 예를 들면 15.25㎑의 송수 절환회로(B) 및 수신타이밍 신호(C)를 발생한다.
상기 구형파신호(A)는 위상검파기(310)에 송출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저역필터에 의하여 정현파 신호로 변환되고, 또 XY 절환회로(305)를 거쳐 구동회로(314X,314Y)의 어느 한쪽에 송출되고, 또, 구형파 신호(A')는 위상검파기(311)에 송출되고, 또 송수 절환신호(B)는 송수 절환회로(304X,304Y)에 송출되고, 다시 수신타이밍 신호(C)는 수신타이밍 절환회로(306)에 송출된다.
지금, 제어회로(301)로부터 X방향을 선택하는 정보가 XY 절환회로(305) 및 수신타이밍 절환회로(306)에 입력되고 있다고 하면, 상기 정현파 신호는 구동회로(314X)에 송출되어 평형신호로 변환되고, 다시 송수 절환회로(304X)에 송출되나, 그 송수 절환회로(304X)는 송수 절환회로(B)에 의거하여 구동회로(314X) 및 중폭기(315X)의 어느 한쪽의 절환 접속하기 위하여 송수 절환회로(304X)로부터 선택회로(303X)에 출력되는 신호는 시간 T(=1/2fK), 여기서는 32μsec마다 500㎑의 신호를 출력하거나 출력하지 않거나 하는 신호(D)가 된다.
상기 신호(D)는 선택회로(303X)를 거쳐 감지부(10)의 X방향의 하나의 루우프코일(160-i)(i=1.2 … 48)에 송출되나, 그 루우프코일(160-i)은 상기 신호(D)에 의거한 전파를 발생한다.
이때, 타블릿(1)상에서 펜(2)이 대략 직립상태, 즉 사용상태에 유지되어 있으면, 상기 신호(D)에 의거한 전파는 펜(2)의 코일(252)을 여진하고, 그 동조회로(25)에 신호(D)에 동기한 유도전압(E)을 발생시킨다.
그후, 신호(D)에 있어서 신호가 없는 기간, 즉 수신기간에 들어감과 동시에 루우프코일(160-i)이 증폭기(315X)측으로 절환되면, 그 루우프코일(160-i)로부터의 전파는 즉시 소멸되나, 상기 유도전압(E)은 동조회로(25)내의 손실에 따라 서서히 감쇠한다.
한편, 상기 유도전압(E)에 의거하여 동조회로(25)를 흐르는 전류는 코일(252)로부터 전파를 발신시킨다. 그 전파는 증폭기(315X)에 접속된 루우프코일(160-i)을 역으로 여진하기 때문에, 그 루우프코일(160-i)에는 코일(252)로부터의 전파에 의한 유도 전압이 발생한다. 이 유도전압은 수신기간 동안만 송수 절환회로(304X)로부터 증폭기(315X)에 송출되고 증폭되어 수신신호(F)가 되고, 다시 수신 타이밍 절환회로(306)에 송출된다.
수신 타이밍 절환회로(306)에는 X방향 또는 Y방향의 선택정보의 어느 한쪽, 여기에서는 X방향의 선택정보와, 실질적으로 송수 절환신호(B)의 반전신호인 수신타이밍 신호(C)가 입력되고 있고, 그 신호(C)가 하이(H) 레벨의 기간은 수신신호(F)를 출력하고, 로우(L) 레벨의 기간은 아무 것도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그 출력에는 신호(G)(실질적으로 수신신호(F)와 동일)가 얻어진다.
상기 신호(G)는 대역 필터(307)에 송출되나, 그 대역필터(307)는 주파수(f0)를 고유의 진동수로 하는 세라믹 필터이고, 상기 신호(G)중의 주파수(f0)성분의 에너지에 따른 진폭(h)을 가지는 신호(H)(엄밀하게는 수개의 신호(G)가 대역필터(307)에 입력되어 수속(收束)된 상태에 있어서)를 검파기(308) 및 위상검파기(310,311)에 송출한다.
상기 검파기(308)에 입력된 신호(H)는 검파·정류되어 신호(I)가 된 후, 차단주파수의 충분히 낮은 저역필터(309)에서 상기 진폭(h)의 대략 1/2에 대응하는 전압치, 예를 들면 VX를 가지는 직류 신호(J)로 변환되어 제어회로(301)에 송출된다.
상기 신호(J)의 전압치(VX)는 펜(2)과 루우프코일(160-i)과의 사이의 거리에 의존한 값, 여기서는 대략 거리의 4승에 반비례한 값을 나타내고, 루우프코일(160-i)이 절환되면 변화하기 때문에 제어회로(301)에 있어서, 각 루우프코일마다 얻어지는 전압치(VX)를 디지틀치로 변환하고, 이것들에 후술하는 연산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펜(2)에 의한 X방향의 지정위치의 좌표치가 산출된다. 또한 펜(2)에 의한 Y방향의 지정위치의 좌표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산출된다.
또 한편, 위상검파기(310)에는 상기 구형파 신호(A)가 검파신호로서 입력되고 있고, 이때 스위치(251)이 오프이어서 신호(H)의 위상이 구형파 신호(A)의 위상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고 하면, 마치 신호(H)를 정(正)측으로 반전된 신호(실질적으로 신호(I)와 동일)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상기와 동일한 저역필터(312)에서 진폭(h)의 대략 1/2에 대응하는 전압치를 가지는 직류신호(실질적으로 신호(J)와 동일)로 변환되어, 제어회로(301)에 송출된다.
또, 위상검파기(311)에는 구형파 신호(A')가 검파신호로서 입력되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251)가 오프이어서 신호(H)의 위상이 구형파 신호(A')의 위상에 대하여 소정 각도 앞서 있다고 하면, 정측 및 부측에 성분을 가지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상기와 동일한 저역필터(313)에서 직류신호로 변환되어 제어회로(301)에 송출되나, 위상 검파기(311)의 출력신호에 있어서 정측 및 부측에 성분을 가지기 때문에 저역필터(313)의 출력의 전압치는 저역필터(312)의 출력의 전압치에 비하여 상당히 작은 값이 된다.
여기서 펜(2)의 스위치(251)가 온이 되면 동조회로(25)를 흐르는 전류의 위상은 유도전압(E)에 대하여 늦고, 수신신호(F)의 위상도 소정각도 지연되는, 즉 구형파 신호(A')의 위상과 거의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의 저역필터(307)의 출력(H)의 위상검파기(310)에 의하여 정측 및 부측에 성분을 가지는 신호가 되고, 저역필터(312)의 출력은 상기한 스위치(251)가 오프의 경우의 저역필터(313)의 출력과 대략 동일한 전압치가 되나, 위상검파기(311)에 의하여 정측으로 반전한 신호가 되어, 저역필터(313)의 출력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진폭(h)의 대략 1/2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압치를 가지는 직류 신호가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251)가 오프인 경우는 저역필터(312)의 출력에 소정의 전압치가 얻어지고, 또 스위치(251)가 온이면 저역필터(313)의 출력에 소정의 전압치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어회로(301)에 있어서, 저역필터(312,313)의 출력치를 감시함으로써 스위치(251)가 오프인가 또는 온인가를 식별할 수가 있다.
또한, 여기서 식별된 스위치(251)의 온(또는 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펜(2)에 의한 지정 위치의 좌표치 중에서 실제로 입력해야 할 값을 지정하는 정보 등으로 사용된다.
다음에 제9도 내지 제12도에 따라 위치 검출 제어회로(300)에 있어서의 좌표 검출 동작 및 펜(2)의 상태, 여기에서는 스위치(251)의 온·오프 상태의 식별 동작의 상세와 함께 장치 전체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장치 전체의 전원이 투입되어, 측정개시 상태가 되면, 제어회로(301)는 X방향을 선택하는 정보를 XY 절환회로(305) 및 수신 타이밍 절환회로(306)에 송출됨과 동시에, 감지부(10)의 X방향의 루우프코일(160-1∼160-48) 중, 최초의 루우프코일(160-1)을 선택하는 정보를 선택회로(303X)에 보내고, 그 루우프코일(160-1)을 송수 절환회로(304X)에 접속한다.
송수 절환회로(304X)는 상기한 송수 절환회로(B)에 의거하여 루우프코일(160-1)을 구동회로(314X) 및 증폭기(315X)에 교대로 절환 제어하나, 이때, 구동회로(314X)는 32μsec의 송신기간에 있어서, 제10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500㎑의 16개의 정현파 신호를 그 루우프코일(160-1)에 보낸다.
상기 송신 및 수신의 절환은 제10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루우프코일, 여기서는 160-1에 대하여 7회 반복된다. 이 7회의 송신 및 수신의 반복 기간이 하나의 루우프코일의 선택기간(448μsec)에 상당한다.
이때, 증폭기(315X)의 출력에는 하나의 루우프코일에 대하여 7회의 수신기간마다에 유도전압이 얻어지나, 이 유도전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 타이밍 절환회로(306)를 거쳐 대역필터(307)에 송출되어 평균화되고, 검파기(308), 위상검파기(310,311) 및 저역필터(309, 312, 313)을 거쳐 제어회로(301)에 송출된다.
제어회로(301)는 상기 저역필터(309)의 출력치를 A/D 변환하여 입력하고, 펜(2)과 루우프코일(160-1)과의 거리에 의존한 검출전압, 예를 들면 VX1으로서 일시 기억한다.
다음에, 제어회로(301)는 루우프코일(160-2)을 선택하는 정보를 선택회로(303X)에 보내고, 그 루우프코일(160-2)을 송수 절환회로(304X)에 접속하여, 펜(2)과 루우프코일(160-2)과의 거리에 의존한 검출전압(VX2)을 얻어 이것을 기억하고, 이후 마찬가지로 루우프코일(160-2∼160-48)을 순차, 송수 절환회로(304X)에 접속하여, 제10도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 루우프코일마다의 펜(2)과의 X방향의 거리에 의존한 검출전압(VX1∼VX48)(단, 제10도 (c)에는 그 일부만을 아날로그적인 표현으로 나타낸다)을 기억한다.
실제의 검출전압은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2)이 놓여진 위치(XP)를 중심으로 하여 그 전후의 수본의 루우프코일에만 얻어진다.
제어회로(301)는 상기 기억한 검출전압의 전압치가 일정한 검출 레벨 이상인가의 여부를 체크하고, 일정한 검출 레벨 이하이면, 다시 X방향의 각 루우프코일의 선택 및 전압 검출을 반복하고, 일정한 검출 레벨 이상이면, 다음의 처리에 진행한다.
다음에, 제어회로(301)은 XY 절환회로(305) 및 수신타이밍 절환회로(306)에 Y방향의 선택정보를 송출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선택회로(303Y) 및 송수 절환회로(304Y)를 절환하고, 전파를 수신했을 때의 저역필터(309)의 출력치를 A/D변환하여 얻어지는 펜(2)과 Y방향의 각 루우프코일(170-1∼170-48)과의 거리에 의존한 검출전압을 일시 기억한다. 그후 상기와 같이 하여 레벨 체크를 행하고, 일정한 검출 레벨 이하이면, 다시 X방향의 각 루우프코일의 선택 및 전압 검출로 되돌아가고, 또 일정한 검출 레벨 이상이면, 상기 기억한 전압치로부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펜(2)의 X방향 및 Y방향의 지정위치의 좌표치를 산출한다.
다음에, 제어회로(301)는 상기 X방향의 루우프코일(160-1∼160-48)(또는 Y방향의 루우프코일(170-1∼170-48)중, 최대의 검출전압이 얻어진 루우프코일을 선택하는 정보를 선택회로(303X)(또는 303Y)에 송출하고, 상기 전파의 송수신을 복수회, 예를 들면 7회 반복시키고 그때 저역필터(312,313)에 의하여 얻어진 출력치를 A/D변환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들의 값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값 이상인가를 검출하고, 스위치(251)의 온·오프를 식별한다.
상기 스위치(251)의 온·오프의 식별결과는 상기한 펜(2)의 X방향 및 Y방향의 지정위치의 좌표치와 함께 전자계산기(900)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회째의 좌표 검출 동작 및 상태 식별 동작이 종료되면, 제어회로(301)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회째 이후의 좌표 검출 동작으로서, 상기 X방향의 루우프코일((160-1∼160-48)중, 최대의 검출전압이 얻어진 루우프코일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후의 일정수, 예를 들면 10본의 루우프코일만을 선택하는 정보를 선택회로(303X)에 송출하고, 또 Y방향의 루우프코일((170-1∼170-48)중, 최대의 검출전압이 얻어진 루우프코일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후의 일정수, 동일하게 10본의 루우프코일만을 선택하는 정보를 선택회로(303Y)에 송출하고, 상기와 같이 하여 출력치를 얻어 펜(2)에 대한 X방향 및 Y방향의 좌표 검출 동작 및 스위치(251)의 온·오프 상태의 식별 동작을 행하고, 얻어진 좌표치 및 식별결과를 전자계산기(900)에 전송하고, 이하 이것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한 레벨 체크를 상세히 설명하면, 검출전압의 최대치가 상기 검출 레벨에 달하고 있는가의 여부 및 최대치의 검출전압을 가지는 루우프코일이 어떤 루우프코일인가를 체크하고, 검출 레벨에 달하고 있지 않으면 이후의 좌표 계산 등을 정지하고, 또 다음 회의 좌표 검출 동작 및 상태 식별 동작에 있어서 선택하는 루우프코일의 중심을 설정하는 처리이다.
X방향 또는 Y방향의 좌표치, 예를 들면 상기 좌표(XP)를 구하는 산출 방법의 하나로서, 상기 검출전압(VX1∼VX48)의 극대치 부근의 파형을 적당한 함수로 근사시키고, 그 함수의 극대치의 좌표를 구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제10도 (c)에 있어서, 최대치의 검출전압(VX3)과, 그 양측의 검출전압(VX2,VX4)을 2차 함수로 근사시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산출할 수가 있다(단, 각 루우프코일 160-1∼160-48의 중심위치의 좌표치를 X1∼X48로 하고, 그 간격을 △X로 한다). 먼저, 각 전압과 좌표치로부터
Figure kpo00001
가 된다. 여기서 a, b는 정수(a0)이다. 또,
Figure kpo00002
가 된다. (4), (5)식을 (2), (3)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Figure kpo00003
가 된다.
따라서, 각 검출전압(VX1∼VX48)으로부터, 상기 레벨 체크시에 구해진 최대치의 검출전압 및 그 전후의 검출전압을 추출하고, 이것들과 그 최대치의 검출전압이 얻어진 루우프코일의 하나 앞의 루우프코일의 좌표치(기지)로부터 상기한 (6)식에 상당하는 연산을 행함으로써, 펜(2)의 지정위치의 좌표치(XP)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검출된 각 좌표치는, 검출시마다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회로(500)의 제어에 의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에 표출된다.
제13도는 디스플레이 제외회로(500)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고, 감지부(10)에서 차례로 지시된 X방향 데이터 및 Y방향 데이터로 이루어진 위치 데이터는 전자계산기(900)에 입력된 후, 디스플레이 메모리(501)에 있어서 일정한 순서에 따라 정열되어 기억됨과 동시에, 그 위치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인 제어장치(502)로부터의 타이밍 펄스에 의하여 순차 독출되어 X방향 드라이버(503), Y방향의 드라이버(504)에 출력된다.
또, 이들 X방향 드라이버(503) 및 Y방향 드라이버(504)에는 제어기(502)의 타이밍 펄스에 동기하여, 주사 펄스 발생기(505)가 발생하는 주사펄스가 입력되고, 각 드라이버(503, 504)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에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위치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에 의하여 감지부(10)상에 펜(2)으로 지시한 위치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상의 동일 위치에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감지부(10)상에 중첩한 액정 디스플레이(50)의 위로부터 펜(2)으로 쓴 문자나 도형의 필적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상에 동일 필적으로, 또한 감지부(10)의 하부에 배설한 냉음극관(60) 및 도광판(70)의 작용을 박아 밝게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부(10)를 빛이 투과가능한 투명기판(11)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콘트라스트의 개선 및 밝게 표시하기 위한 백라이트(60)를 감지부(10)의 하부에 배설하였기 때문에, 종래 장치에 비하여 감지부(10)와 디스플레이 패널(50) 표면과의 간격을 대폭적으로 작게 할 수가 있고, 가령 디스플레이 패널(50)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부터 좌표 입력을 행해도 입력 미스(착오) 등이 발생할 염려가 없는 고정밀도의 좌표 입력이 가능한 좌표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백라이트(60)에 냉음극관을 사용했으므로 밝고 보기 쉬운 표시 화면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중의 루우프코일의 본수나 그 정열 방법은 일예이고, 이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스타일러스펜 대신에 커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4도는, 타블릿(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예와 제2도에 나타낸 타블릿과의 상위(相違)는, 도광판(70a)의 양측에 냉음극관으로 이루어지고, 내면에 알루미늄 증착이 실시된 대략 U자 형상의 반사판(61a, 61b)를 가지는 백라이트(60a,60b)를 배설함과 동시에, 도광판(70a)으로서 반사판(71)상에 빛을 산란시키는 인쇄패턴을 겹치고, 그 인쇄 패턴상에 아크릴 수지를 중합하고, 다시 그 아크릴 수지상에 확산판을 중합시켜 구성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제14도에 의하면, 타블릿(1)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광판(70a)의 인쇄패턴, 확산판 등의 작용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0) 전체를 더욱 균일하게 조사할 수가 있다.
또 제15도는, 감지부(10)의 투명기판(11)의 양호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이다. 제3도에 나타낸 투명기판(11)과의 상위는 제3도에 있어서의 투명필름(13)(혹은, 투명필름(14))을 거쳐 동선(16)을 Y방향으로 다수 병설됨과 동시에, 동선(17)을 X방향으로 다수 병설하고, 투명필름(15) 및 투명필름(12)으로 동선(16, 17)을 얇은층(laminate)으로 할 수가 있게 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제3도에 나타낸 투명필름(14)(혹은 투명필름(13))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의 삭감, 타블릿(1)의 박형화, 저렴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투명판(11)의 빛의 투과도도 향상되어, 더욱 밝은 표시화면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선을 투광성의 투명필름으로 적층한 투명기판을 가지는 감지부를 사용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전극이 비금속의 투명한 산화인듐 등의 투광성을 가지는 부제로 구성된 감지부를 사용해도 좋고, 또 폴리에스텔 등의 투명필름에 유색의 전극을 인쇄 등의 수단에 의하여 배설한 감지부를 사용해도 물론 좋다.
제16도는, 타블릿(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X방향과 Y방향의 각 위치 검출기(10x,10y)로 이루어진 감지부(10)상에 좌표 표시용의 디스플레이로서의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올려지고, 이것이 일체적으로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케이스(80)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각 위치 검출기(10x,10y)에는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도체를 가지는 복수 예를 들면 48본의 루우프코일(C1, C2…C48)이,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병설되고, 또 각 루우프코일은 서로 평행이고, 또 중합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들 루우프코일은 예를 들면 주지의 프린트 기판에 에칭 가공을 실시하는 등에 의하여 형성한 다수의 평행한 도체를, 점퍼선 등에 의하여 접속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또,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의 반사판(도시 생략)은, 감지부(10)에 전파, 자기가 도달 가능한 재질의 것,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텔레프타레이트의 백색 수지 등을 사용한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감지부(10)는 투명할 필요는 없다.
제18도 및 제19도는 타블릿(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타블릿(1)은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표표시용 디스플레이로서의 평면형의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위에, X방향과 Y방향의 각 위치 검출기(10x,10y)로 이루어진 감지부(10)가 재치되고, 이들이 일체적으로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케이스(80)에 수납되어 있다. 감지부(10)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투광성이고,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의 표면판으로서 공용되고 있다.
제19도는 감지부(10)의 X방향의 위치 검출기(10x)를 나타낸 것으로, 도체판(100)의 각 도체를 점퍼선 등에 의하여 접속함으로써 제17도의 각 루우프코일(C1∼C48)을 형성시킨다.
도체판(100)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의 가요성 및 절연성을 가지는 투명판 기판(101)의 표면에, 산화인듐(InO3), 산화주석(SnO3)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도시예에서는 10본)의 폭 0,5∼1㎜ 정도의 대상(帶狀)의 투명한 도체(102)를, 소정간격 격리시켜 대략 평행하게 증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위치 검출기(10y)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이고, 위치 검출기(10x,10y)는 각각 도체(102)의 조(租)가 기판(101)의 아래쪽이 되도록 하고, 또 도체(102)의 조는 상방에서 보아 서로 직교하도록 중압되어 접착 시이트에 의하여 접착 고정된다.
제20도는 타블릿(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X방향과 Y방향의 각 위치 검출기(10x,10y)로 이루어진 감지부(10)의 위에, 좌표표시용 디스플레이로서의 평면형의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이 놓여지고, 감지부(10)의 아래에는 시이트판(90)이 겹쳐지고, 이들이 일체적으로 비금속제의 케이스(80)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은, 액정 디스플레이 본체(50A)와, 그 액정 디스플레이 본체(50A)를 아래쪽으로부터 조사하는 백루우프코일이트(50B)에 의하여 투과형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고 있다. 백라이트(50B)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콘트러스트를 개선하고 또 밝게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EL 소자가 사용되고, 감지부(10)에 의한 발신 및 수신하는 전파가 이것을 통과할 때의 감쇠를 적게 하기 위하여 그 전극(도시 생략)에는 비금속의 투명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산화인듐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백라이트(50B)는 그 발광에 의한 빛을 상방의 액정 디스플레이 본체(50A)에 향하여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 혹은 반사층(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그 반사판 혹은 반사층은, 수지제의 필름에 반사성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약 300∼600Å의 두께로 증착하거나, 알루미늄 분말을 수지 중에 분산시키거나, 혹은 반사성의 안료를 도포하는 등으로 하여 구성하고, 마찬가지로 전파의 감쇠를 적게 하고 있다. 또 반사판으로서 전파, 자기가 감지부(10)에 도달 가능한 재질의 것,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텔레프타레이트의 백색수지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제21도 및 제22도는 타블릿(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예와 제14도에 나타낸 타블릿과의 다른 점은, 감지부(10)와 도광판(70a)과의 배치관계가 역전되어 있는 것에 따라서 감지부(10)는 투광성일 필요가 없다는 것, 반사판(61b), (71)의 반사면에 은 증착을 실시하여 반사효율을 향상시킨 것, 감지부(10)의 아래쪽에 플라스틱 등의 뒤판(10a)을 설치하여 강도를 높인 것, 규소강판으로 이루어진 시일드판(90)을 최하층에 설치하여 자기 차폐효과를 높혔다는 것 등이고, 기타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일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각 구성부재의 배치관계의 변경, 각 구성부재의 조합의 변경 등의 여러가지의 반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22)

  1. 동조회로를 가지는 위치 지시기와, 상기 동조회로에 동조할 수 있는 전파를 발생하는 전파발생수단 및 상기 동조회로로부터 반사되는 전파를 검출하는 전파검출수단을 가지는 위치검출용 타블릿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지시기와 타블릿 사이에서 전파를 받고, 상기 위치 지시기에 의하여 지시된 타블릿의 위치검출부상의 좌표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시된 위치를 상기 좌표치와 공통의 좌표를 가지고 표출하는 좌표표시용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평면형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EL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타블릿의 위치 검출부상에 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표출영역과 위치검출부의 검출영역이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9. 동조회로를 가지는 위치 지시기와, 상기 동조회로에 동조할 수 있는 전파를 발생하는 전파발생수단 및 상기 동조회로로부터 반사되는 전파를 검출하는 전파검출수단을 가지는 위치검출용 타블릿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지시기와 타블릿 사이에서 전파를 받고, 상기 위치 지시기에 의하여 지시된 위치의 타블릿상의 좌표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지시된 위치를 상기 좌표치와 공통의 좌표를 가지고 표출하는 좌표 표시용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아래쪽에서 조명하는 백라이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백라이트가 EL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백라이트가 냉음극관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라이트의 발광에 의한 빛을 위쪽의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한 개항에 있어서, 백라이트의 빛을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인도하는 도광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4.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거하여 전압과 전류의 위상을 가변으로 한 동조회로를 가지는 위치 지시기를 사용하여, 전파검출수단으로 검출한 유도전압의 위상으로부터 위치 지시기에 있어서의 상기 스위치 등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5. 복수의 루우프코일을 X방향 및 Y방향에 각각 병설한 X방향 및 Y방향의 위치검출부와,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복수의 루우프코일로부터 X방향 및 Y방향 중의 한개의 루우프코일을 순차 선택하는 X방향 및 Y방향의 선택회로와,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루우프코일에 공급하는 소정주파수의 교류신호를 발생하는 송신회로와,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루우프코일에 발생하는 유도전압중, 상기 교류신호와 대략 동일주파수의 유도전압을 검출하는 수신회로와, 상기 선택된 X방향 및 Y방향중의 한개의 루우프코일을 상기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에 교대로 접속하는 X방향 및 Y방향의 접속절환회로와, 코일과 콘덴서를 포함하고 상기 교류신호가 공급된 X방향 및 Y방향의 루우프코일에서 발생하는 전파에 동조하는 동조회로를 가지는 위치 지시기와,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각 루우프코일에 발생하는 유도전압으로부터 위치 지시기의 X방향 및 Y방향의 지정위치를 구하는 처리장치와, 상기 위치검출부의 위쪽에 중합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장치에 의하여 구하여진 X방향 및 Y방향의 지정위치데이터를 상기 지정위치와 공통의 좌표를 가지고 표출하는 좌표표시용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거하여 전압과 전류의 위상을 가변으로 한 동조회로를 가지는 위치 지시기를 사용하고, 수신회로에서 검출한 유도전압의 위상으로부터 위치 지시기에 있어서의 상기 스위치 등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7. 투광성 기판에 복수의 투광성의 루우프코일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각각 병설한 X방향 및 Y방향의 위치 검출부와,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복수의 루우프코일로부터 X방향 및 Y방향중에 한개의 루우프코일을 순차 선택하는 X방향 및 Y방향의 선택회로와,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루우프코일에 공급하는 소정주파수의 교류신호를 발생하는 송신회로와,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루우프코일에 발생하는 유도전압중, 상기 교류신호와 대략 동일주파수의 유도전압을 검출하는 수신회로와, 상기 선택된 X방향 및 Y방향중의 한개의 루우프코일을 상기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에 교대로 접속하는 X방향 및 Y방향의 접속절환회로와, 코일과 콘덴서를 포함하고, 상기 교류신호가 공급된 X방향 및 Y방향의 루우프코일에서 발생하는 전파에 동조하는 동조회로를 가지는 위치 지시기와, X방향 및 Y방향의 각 루우프코일에 발생하는 유도전압으로부터 위치 지시기의 X방향 및 Y방향의 지정위치를 구하는 처리장치와, 상기 기판을 표면판으로 하여 공용하고 있어 상기 처리장치에 의하여 구하여진 X방향 및 Y방향의 지정 위치데이터를 상기 지정위치와 공통의 좌표를 가지교 표출하는 좌표표시용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거하여 전압과 전류의 위상을 가변으로 한 동조회로를 가지는 위치 지시기를 사용하고, 수신회로에서 검출한 유도전압의 위상으로부터 위치 지시기에 있어서의 상기 스위치 등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9. 투광성을 가지는 감지부와,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위치 지시기와, 상기 위치 지시기에 지정위치의 좌표치를 구하는 위치 검출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상에는 상기 위치 검출 제어회로에서 구한 위치 데이터를 지정위치와 동일좌표에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를 중합시킴과 함께, 상기 감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아래쪽에서 조사하는 백라이트를 설치한 타블릿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0. 다수의 루우프코일을 X방향으로 병설하여 이루어진 X방향의 루우프코일군과 다수의 루우프코일을 Y방향으로 병설하여 이루어진 Y방향의 루우프코일군과 상기 각 루우프코일군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투명기판을 구비한 감지부와, 적어도 코일과 콘덴서를 포함하고, 소정의 주파수를 동조주파수로 하는 동조회로를 구비한 위치지시기와, 상기 감지부의 X방향의 루우프코일군에서 하나의 루우프코일을 순차 선택하는 X방향의 선택수단과, 상기 감지부의 Y방향의 루우프코일군에서 하나의 루우프코일을 순차 선택하는 Y방향의 선택수단과, 상기 소정의 주파수의 교류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 수단과, 상기 소정의 주파수의 교류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 수단과,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X방향 및 Y방향의 각 루우프코일에 순차 상기 신호발생수단 및 신호검출수단을 교대로 접속하는 접속절환수단과,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각 루우프코일에서 상기 신호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되는 교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위치 지시기에 의한 X방향 및 Y방향의 지정 위치의 좌표치를 구하는 좌표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위치검출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상에는 상기 위치 검출 제어회로에서 구한 X방향 및 Y방향의 위치데이터를 지정 위치와 동일좌표에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를 중합시킴과 함께, 상기 감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아래쪽에서 조사하는 백라이트를 설치하여 타블릿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백라이트가 냉음극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2. 다수의 루우프코일을 X방향으로 병설하여 이루어지는 X방향의 루우프코일군 및 다수의 루우프코일을 Y방향으로 병설하여 이루어지는 Y방향의 루우프코일군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감지부와, 적어도 코일과 콘덴서를 포함하고 소정의 주파수를 동조주파수로 하는 동조회로를 구비한 위치 지시기와, 상기 감지부의 X방향의 루우프코일군과 Y방향의 루우프코일군에서 순차 그 한개의 루우프코일을 선택하여 상기 루우프코일에 상기 소정의 주파수의 교류신호를 간헐적으로 가하고 그 휴지기간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시기에 의하여 동조발신한 교류신호를 상기 루우프코일이 수신하여 각 루우프코일 상호의 수신레벨에 의거하여 X방향 및 Y방향의 지정위치의 좌표치를 구하는 위치 검출 제어회로를 구비한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제어회로에 의하여 구하여진 X방향과 Y방향의 지정 위치 데이터를 상기 지정위치와 공통의 좌표를 가지고 표출하는 좌표표시용 디스플레이와 상기 좌표표시용 디스플레이를 아래쪽에서 조사하는 백라이트와의 조(set)를 상기 감지부의 상부에 중합하여 상기 감지부와 함께 타블릿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KR1019880016654A 1987-12-25 1988-12-14 위치 검출 장치 KR0122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28640 1987-12-25
JP87-328640 1987-12-25
JP62328640A JPH01169621A (ja) 1987-12-25 1987-12-25 座標入力装置
JP63-93219 1988-04-15
JP88-93219 1988-04-15
JP63093219A JPH01263814A (ja) 1988-04-15 1988-04-15 座標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576A KR890010576A (ko) 1989-08-09
KR0122737B1 true KR0122737B1 (ko) 1997-11-20

Family

ID=2643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654A KR0122737B1 (ko) 1987-12-25 1988-12-14 위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88837A (ko)
EP (1) EP0322675B1 (ko)
KR (1) KR0122737B1 (ko)
CN (1) CN1016655B (ko)
DE (2) DE385422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8316A (ja) * 1990-06-28 1992-02-2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5095180A (en) * 1990-09-21 1992-03-10 Graphtec Kabushiki Kaisha Device for determining position coordinates
US5149918A (en) * 1990-10-29 1992-09-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 sensitive overlay
US5239489A (en) * 1991-05-06 1993-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n position and tilt estimators for a digitizer tablet
US6266685B1 (en) * 1991-07-11 2001-07-24 Intermec Ip Corp. Hand-held data collection system with stylus input
US5381160A (en) * 1991-09-27 1995-01-10 Calcomp Inc. See-through digitizer with clear conductive grid
US5218174A (en) * 1991-10-01 1993-06-08 Kurta Corporation Low power cordless magnetic field digitizer with differential grid sensing and synchronous position demodulation
US5225637A (en) * 1991-10-01 1993-07-06 Kurta Corporation Position resolving system
US5274198A (en) * 1991-12-26 1993-12-28 Cal Comp Inc. Printed conductive ink electrostatic shield for electromagnetic digitizers
EP0582718B1 (en) * 1992-03-02 1999-10-06 Seiko Instruments Inc. Position input device and keyboard apparatus
EP0843278B1 (en) * 1992-05-22 2002-10-2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integrated type tablet device
US5606346A (en) * 1992-12-22 1997-0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ordinate input device
US5506375A (en) * 1993-02-22 1996-04-09 Wacom Co., Ltd. Circuit board for coordinate detecting apparatus with noise suppression
KR0144543B1 (ko) * 1993-04-30 1998-08-17 쓰지 하루오 좌표검출 정확도가 높은 표시일체형 타블렛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3192297B2 (ja) * 1993-11-05 2001-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US20030062889A1 (en) * 1996-12-12 2003-04-03 Synaptics (Uk) Limited Position detector
US5714720A (en) * 1994-09-15 1998-02-03 Calcomp Inc. High efficiency passive pointer digitizer system
FI103837B (fi) * 1994-12-22 1999-09-30 Nokia Mobile Phones Ltd Tiedonsiirto- ja käsittelymenetelmä
JP3188367B2 (ja) * 1994-12-26 2001-07-16 シャープ株式会社 座標検出装置
JP2767098B2 (ja) * 1995-06-06 1998-06-18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ユニット及びスタイラスペン
US8825152B2 (en) * 1996-01-08 2014-09-02 Impulse Dynamics, N.V. Modul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using non-excitatory electrical signals applied to the tissue
US7167748B2 (en) * 1996-01-08 2007-01-23 Impulse Dynamics Nv Electrical muscle controller
US9289618B1 (en) 1996-01-08 2016-03-22 Impulse Dynamics Nv Electrical muscle controller
US8321013B2 (en) * 1996-01-08 2012-11-27 Impulse Dynamics, N.V. Electrical muscle controller and pacing with hemodynamic enhancement
JP4175662B2 (ja) 1996-01-08 2008-11-05 インパルス ダイナミクス エヌ.ヴイ. 電気的筋肉制御装置
US9713723B2 (en) 1996-01-11 2017-07-25 Impulse Dynamics Nv Signal delivery through the right ventricular septum
JP2876305B2 (ja) * 1996-05-20 1999-03-31 株式会社サニー・シーリング 視覚障害者用誘導補助システムおよびその装置
US5943044A (en) * 1996-08-05 1999-08-24 Interlink Electronics Force sensing semiconductive touchpad
IL122625A0 (en) * 1997-12-16 1998-08-16 Shapira Ran Smart pen
US6396005B2 (en) 1998-06-15 2002-05-28 Rodgers Technology Cen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minishing grid complexity in a tablet
MXPA01005267A (es) * 1998-11-27 2002-04-24 Synaptics Uk Ltd Sensor de posicion.
DE60043534D1 (de) * 1999-02-04 2010-01-28 Pluristem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ALTUNG UND EXPANSION VON HEMATOPOIETISCHEN STAMMZELLEN UND/ODER VORLäUFERZELLEN
US9101765B2 (en) * 1999-03-05 2015-08-11 Metacure Limited Non-immediate effects of therapy
US8019421B2 (en) * 1999-03-05 2011-09-13 Metacure Limited Blood glucose level control
US8700161B2 (en) * 1999-03-05 2014-04-15 Metacure Limited Blood glucose level control
US8666495B2 (en) * 1999-03-05 2014-03-04 Metacure Limited Gastrointestinal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treating disorders and controlling blood sugar
US8346363B2 (en) * 1999-03-05 2013-01-01 Metacure Limited Blood glucose level control
US6549190B1 (en) * 1999-06-23 2003-04-15 Grass Valley (Us), Inc. Graphical source identification display
US6606087B1 (en) * 1999-09-13 2003-08-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ordinate reader
US6791452B2 (en) * 1999-12-29 2004-09-1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latform for item sensing and identification
US6879318B1 (en) * 2000-10-06 2005-04-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screen mounting assembly for LCD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on
US7688315B1 (en) * 2000-11-30 2010-03-30 Palm, Inc. Proximity input detection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US7289083B1 (en) * 2000-11-30 2007-10-30 Palm, Inc. Multi-sided display for portable computer
US6801192B2 (en) * 2000-12-13 2004-10-05 Wacom Company Ltd. Pen-shaped coordinate pointing device
AUPR504701A0 (en) * 2001-05-16 2001-06-07 Bsg Australia Pty Ltd Portable electronic game player interface and method
WO2002103622A2 (en) * 2001-05-21 2002-12-27 Synaptics (Uk) Limited Position sensor
BR0104845A (pt) * 2001-08-10 2003-08-12 Inst Nac De Tecnologia Da Info Tablete transparente para estudo das respostas motoras
JP4540088B2 (ja) * 2001-08-24 2010-09-08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JP2003177385A (ja) * 2001-12-07 2003-06-27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AU2002338134A1 (en) * 2001-12-29 2003-07-15 Xuanming Shi A touch control display screen with a built-in electromagnet induction layer of septum array grids
GB2403017A (en) * 2002-03-05 2004-12-22 Synaptics Position sensor
WO2003105072A2 (en) * 2002-06-05 2003-12-18 Synaptics (Uk) Limited Signal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US7372455B2 (en) 2003-02-10 2008-05-13 N-Trig Ltd. Touch detection for a digitizer
CN1787850B (zh) * 2003-03-10 2015-12-16 脉冲动力公司 用于传送电信号以修改心脏组织中基因表达的装置与方法
US11439815B2 (en) 2003-03-10 2022-09-13 Impulse Dynamics Nv Protein activity modification
EP1634153A2 (en) * 2003-06-18 2006-03-15 ZI Corporation Text entry system and method
US8792985B2 (en) * 2003-07-21 2014-07-29 Metacure Limited Gastrointestinal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treating disorders and controlling blood sugar
GB0317370D0 (en) * 2003-07-24 2003-08-27 Synaptics Uk Ltd Magnetic calibration array
GB0319945D0 (en) * 2003-08-26 2003-09-24 Synaptics Uk Ltd Inductive sensing system
JP2005107890A (ja) * 2003-09-30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El表示装置
US8352031B2 (en) * 2004-03-10 2013-01-08 Impulse Dynamics Nv Protein activity modification
US8548583B2 (en) * 2004-03-10 2013-10-01 Impulse Dynamics Nv Protein activity modification
US11779768B2 (en) 2004-03-10 2023-10-10 Impulse Dynamics Nv Protein activity modification
US7649524B2 (en) * 2004-07-15 2010-01-19 N-Trig Ltd. Tracking window for a digitizer system
EP1787281A2 (en) * 2004-07-15 2007-05-23 N-Trig Ltd. Automatic switching for a dual mode digitizer
JP4529012B2 (ja) * 2004-07-16 2010-08-25 アオイ電子株式会社 ナノグリッパ装置
WO2006059336A2 (en) * 2004-12-01 2006-06-08 N-Trig Ltd. Position detecting system an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e and control thereof
CA2594673A1 (en) * 2004-12-09 2006-07-13 Impulse Dynamics Nv Protein activity modification
JP2006208563A (ja) * 2005-01-26 2006-08-1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US8228299B1 (en) 2005-01-27 2012-07-24 Singleton Technology, Llc Transaction automation and archival system using electronic contract and disclosure units
US8194045B1 (en) 2005-01-27 2012-06-05 Singleton Technology, Llc Transaction automation and archival system using electronic contract disclosure units
WO2006097934A2 (en) * 2005-03-18 2006-09-21 Metacure Limited Pancreas lead
JP5268262B2 (ja) * 2006-02-24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4709674B2 (ja) * 2006-03-23 2011-06-2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JP4714070B2 (ja) * 2006-04-14 2011-06-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US9201556B2 (en) 2006-11-08 2015-1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location sens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sensor data fitting to a predefined curve
US8207944B2 (en) * 2006-12-19 2012-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pacitance measuring circuit and method
US7956851B2 (en) * 2006-12-20 2011-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tuning drive source employing input impedance phase detection
US8243049B2 (en) 2006-12-20 2012-08-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ntethered stylus employing low current power converter
US8134542B2 (en) * 2006-12-20 2012-03-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ntethered stylus employing separate communication and power channels
US8040329B2 (en) 2006-12-20 2011-10-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requency control circuit for tuning a resonant circuit of an untethered device
US8089474B2 (en) 2006-12-28 2012-01-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cation sens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adaptive drive signal adjustment
US8040330B2 (en) 2006-12-28 2011-10-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ntethered stylus empolying multiple reference frequency communication
US7787259B2 (en) 2006-12-28 2010-08-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gnetic shield for use in a location sensing system
US20080186248A1 (en) * 2007-02-01 2008-08-07 Chia-Jui Yeh Large-Sized Electromagnetic Digital Board With Segmented Frame Antenna
US8570028B2 (en) 2007-05-10 2013-10-29 Cambridge Integrated Circuits Limited Transducer for a position sensor
CN201112112Y (zh) * 2007-09-28 2008-09-10 深圳市浦天利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高频大功率平板变压器
TW201115449A (en) * 2009-10-16 2011-05-01 Waltop Int Corp Integrated substrate and display with electromagnetic sensor loop
JP5430339B2 (ja) * 2009-10-19 2014-02-2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指示器
WO2011092710A2 (en) 2010-02-01 2011-08-04 Metacure Limited Gastrointestinal electrical therapy
GB2488389C (en) 2010-12-24 2018-08-22 Cambridge Integrated Circuits Ltd Position sensing transducer
TW201243656A (en) * 2011-04-20 2012-11-01 Kye Systems Corp A non-contact inputting device of computer peripheral and method for the same
GB2503006B (en) 2012-06-13 2017-08-09 Cambridge Integrated Circuits Ltd Position sensing transducer
DE102012216926A1 (de) * 2012-09-20 2014-03-20 Jumate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iterplattenelements sowie Leiterplattenelement
JP6012038B2 (ja) * 2012-09-27 2016-10-25 株式会社ワコム 電磁誘導方式の位置検出センサ及び位置検出装置
RO128874B1 (ro) * 2012-12-19 2017-08-30 Softwin S.R.L. Sistem, pix electronic şi metodă pentru achiziţia semnăturii olografe dinamice, utilizând dispozitive mobile cu ecran capacitiv
KR102027246B1 (ko) * 2013-03-14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그 제조 방법
CN112578918B (zh) * 2015-05-21 2024-06-28 株式会社和冠 主动式触控笔
CN107121989B (zh) * 2017-05-17 2020-09-15 深圳市元时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电磁波跟随的方法及系统
JP7295625B2 (ja) * 2018-10-15 2023-06-21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214A (ja) * 1983-08-02 1985-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キ−ボ−ド
US4723836A (en) * 1983-10-26 1988-02-09 Sharp Kabushiki Kaisha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EP0162300B1 (en) * 1984-04-20 1992-12-30 Hitachi, Ltd. Input integrated flat panel display system
JPS612685U (ja) * 1984-06-12 1986-01-09 株式会社 ワコム 液晶パネルデイスプレイ
JPS61107423A (ja) * 1984-10-30 1986-05-26 Wacom Co Ltd デイスプレイ付座標入力装置
EP0187372B1 (en) * 1984-12-28 1990-08-08 Wacom Company, Ltd. Position detecting device
JPS6370326A (ja) * 1986-09-12 1988-03-30 Wacom Co Ltd 位置検出装置
JP2583509B2 (ja) * 1987-06-16 1997-02-19 株式会社 ワコム 座標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22675B1 (en) 1995-07-26
DE3854228T2 (de) 1996-04-04
DE322675T1 (de) 1991-09-05
EP0322675A2 (en) 1989-07-05
KR890010576A (ko) 1989-08-09
US4988837A (en) 1991-01-29
CN1016655B (zh) 1992-05-13
DE3854228D1 (de) 1995-08-31
CN1035371A (zh) 1989-09-06
EP0322675A3 (en) 199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737B1 (ko) 위치 검출 장치
US4704501A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US4848496A (en) Coordinates input apparatus
US4956526A (en) Digitizer having flat tablet with magnetic shield plate
EP2015030B1 (en) Position detector and display device
US5130500A (en) Digitizer having flat tablet with magnetic shield plate
US8665211B2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position input device
EP2863294A1 (en) Touch sensing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USRE33740E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TWI579738B (zh) 位置檢測裝置及位置檢測方法
JPH07109576B2 (ja) 位置検出装置
WO1990010902A1 (en) Coordinate input device
JP2784204B2 (ja) 座標入力装置
JP2803832B2 (ja) 座標入力装置
JPH02162410A (ja) 座標入力装置及びその入力用指示器
JPH01263814A (ja) 座標入力装置
JPH01119818A (ja) 座標入力装置
US20130120004A1 (en) Locating Appliance
JPS6247727A (ja) 位置検出装置
JPS63115220A (ja) 位置検出装置
KR20240162156A (ko) 지시 위치 검출 장치 및 지시 위치 검출 방법
JPH01169621A (ja) 座標入力装置
JPH07109577B2 (ja) 位置検出装置
JPS61220018A (ja) 位置検出装置
JPS63115218A (ja) 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12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81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7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7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