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1139B1 - 인버터의 리셋트회로 - Google Patents

인버터의 리셋트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139B1
KR0121139B1 KR1019940036069A KR19940036069A KR0121139B1 KR 0121139 B1 KR0121139 B1 KR 0121139B1 KR 1019940036069 A KR1019940036069 A KR 1019940036069A KR 19940036069 A KR19940036069 A KR 19940036069A KR 0121139 B1 KR0121139 B1 KR 0121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reset
microprocessor
unit
abnorm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786A (ko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3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139B1/ko
Publication of KR96002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02H7/12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responsive to abnormalities in the input circuit, e.g. transients in the DC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의 리셋트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일정전압이 되는 시점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이 로우상태가 되면서 스탠바이상태가 되지만 실제로 완전 초기화가 되기 위해서는 상기의 일정전압보다 더 내려가야 하는데 그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초기화되지 못하고 계속 스탠바이상태가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이상사태가 발생하면 인버터의 상태를 정확히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인버터의 리셋트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인버터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제어부의 상세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리셋트회로도.
제4도는 제3도에서 콘덴서(C46)에 걸리는 양단전압 및 제어신호 파형도.
제5도는 제2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출력신호 및 제어신호 파형도.
제6도는 본 발명 인버터의 리셋트회로도.
제7도는 제6도에서 제6도에서의 출력신호 파형도.
제8도는 제6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출력신호 및 제어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류회로부, 2 : 평활부,
3 : 인버터, 4 : 제어부,
5 : 구동부, 6 : 검출 및 보호부,
7 : 조정부, 8 : 마이크로프로세서,
9 : 기준파발생부, 10 : 삼각파발생부,
11 : PWM발생부, 12 : 리셋트부,
100 : 이상상태 검출부, 200 : 이상상태 검출제어부.
본 발명은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원에 순간이나 이상상태에 의한 보호동작 후 인버터 상태의 초기화를 안정화시키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인버터의 리셋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부(1)와, 상기 정류회로부(1)에서 정류된 전원을 평활시키는 평활회로부(2)와, 상기 평활회로부(2)에서 평활된 직류전원을 원하는 주파수 및 전압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유도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3)와, 인버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의 제어신호에 따라 인버터(3)의 스위칭소자를 구동할 수있는 신호로 증폭시키는 구동부(5)와, 상기 인버터(3)의 이상사태를 감지하여 보호동작을 행하는 검출 및 보호부(6)와, 인버터(3)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정부(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어부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 전체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출력이 되도록 동작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8)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의 신호에 의해 적절한 정현파를 발생하는 기준파발생부(9)와, 삼각파를 발생하는 반송파 발생부(10)와, 상기 정현파와 삼각파를 비교하여 실제 전력소자를 제어하는 신호로 변환하는 PWM발생부(11)와, 각 부의 초기동작시 리셋시키는 리셋트부(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상교류전원이 입력되면 정류회로부(1)에서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고 평활부(2)에서 평활시킨 직류전압을 인버터(3)로 공급하여 준다. 이때 조정부(7)에서 인버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4)에서는 상기 인버터(3)의 스위칭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구동부(5)로 출력하면, 상기 구동부(5)는 스위칭소자를 구동할 수 있도록 적당히 증폭하여 인버터(3)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평활부(2)에서 평활된 직류전압이 공급된 상태에서 구동부(5)로부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인버터(3)의 스위칭소자가 동작하여 유도기를 구동시킨다.
이때 검출 및 보호부(6)는 인버터(3)에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이상사태가 검출되면 제어부(4)에 알려 인버터(3)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제2도에 도시된 제어부에 대하여 살펴보면, 검출 및 보호부(6)와 조정부(7)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인버터 전체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신호를 기준파발생부(9)로 전달하면 상기 기준파발생부(9)는 입력신호에 따른 기준파를 발생하여 PWM발생부(1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PWM발생부(11)는 입력된 기준파와 삼각파발생부(10)로부터 발생된 삼각파를 비교하여 실제 인버터(3)의 스위칭소자를 제어하는 신호로 변환한 PWM펄스를 구동부(5)로 발생시킨다.
여기서, 리셋트부(12)는 마이크로프로세서(8)는 물론 그 주변회로의 상태를 초기화하여 주는 회로로서, 인버터(3)에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는 경우 제어회로용 전원의 상태에 따라 제어부(4)를 초기화시키며, 또한 이상사태 발생에 의해 정지된 인버터를 재동작시킬 경우에도 스위치에 의해 제어회로를 초기화시키는데 이에 대하여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리셋트부(12)의 상세회로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리셋트회로는 이상상태를 검출하여 이상상태가 검출되면 그에 따른 신호를 내부 또는 외부로 출력하는 이상상태 검출부(121)와, 수동으로 리셋 상태를 만들기 위한 리셋스위치(SW1)로 구성되며, 그의 동작은 먼저 제어전원단(P5)을 통해 전원이 정상상태로 인가되고 있으며 이상상태 검출부(121)의 저항(R63)과 다이오드(D36)를 통해 콘덴서(C46)에 걸리는 양단전압은 제어전원단(P5)의 전위와 동전위가 되어 각 제어회로로 보내지는 리셋트(RESET)신호와 외부로 보내지는 외부리셋트(EXT-RESET)신호도 정상상태임을 알리는 P5 전위가 된다.
이때 인버터(3)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제어전원단(P5)의 전원이 떨어지면 콘덴서(C46) 양단전압인 제4도에서의 전압(CV1)이 떨어지게 되며, 그 전압(CV1)이 약1.9V가 되는 순간 로우상태를 유지하던 제어회로의 제어신호(S1)는 모든 회로가 동작을 중지함에 따라 임의의 상태가 된다.
이외에도 제어전원단(P5)의 전압이 정상상태라 하더라도 리셋스위치(SW1)가 켜지거나 외부리셋트(EXT-RESET)신호가 로우상태가 되면 콘덴서(C46)의 양단전압이 로우가 되어 모든 제어회로를 초기화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이상검출부(121)의 콘덴서(C46)의 양단전압이 제5도에서와 같이 약 2.9V가 되는 A시점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8)의 출력(P1)이 로우상태가 되면서 스탠바이상태가 되지만 실제로 완전 초기화가 되기 위해서는 콘덴서(C46)의 양단전압이 1.9V가 되는 B시점이 지나야만 된다. 이 두 시점의 차이는 약 700msec로 만약 이 사이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초기화되지 못하고 계속 스탠바이 상태가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원공급에 의한 자동초기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이상사태가 발생하면 인버터의 상태를 정확히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인버터의 리셋트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차단 및 이상상태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리셋신호를 내부 또는 외부로 출력하는 이상상태 검출부(l00)와, 상기 이상상태 검출부(100)의 검출동작을 제어하는 이상상태 검출제어부(200)와, 수동으로 리셋상태를 만들어주기 위한 리셋스위치(SW11)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전원단(P5)의 전압이 정상상태를 유지하는 제7도에서 A'시점 이전에는 이상상태 검출제어부(200)의 저항(R82)의 양단전압인 V1이 제너다이오드(ZD81)의 정격전압보다 높게 유지되어 그 제너다이오드(ZD81)는 역방향 도통이 되어 트랜지스터(TR8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가 걸려 트랜지스터(TR81)는 턴온되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81)이 턴온되면 트랜지스터(TR82)의 베이스에는 바이어스가 걸리지 못하게 되어 결국 이상검출부(100)의 콘덴서(C46)의 양단전압(V2)은 제어전압단(P5)의 전위와 동전위를 유지한다.
그러나, 제7도에서 제어전원단(P5)의 전위를 표시하는 P5'파형이 약 3V 이하로 되기 시작하는 시점(A')이 되는 순간, 이상상태 검출제어부(200)의 저항(R82)에 걸리는 전압(V1)값은 제너다이오드(ZD81)의 정격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되고, 트랜지스터(TR81)의 베이스에 가해지던 바이어스가 끊기면서 트랜지스터(TR81)는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81)가 턴오프되면 트랜지스터(TR82)의 베이스에는 저항(R83)(R84)을 통해 바이어스가 가해져서 트랜지스터(TR82)는 턴온되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82)가 턴온됨과 동시에 이상검출부(100)의 콘덴서(C46)의 양단전압(V2)인 제7도의 CV1'파형이 로우상태로 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주변회로로 보내지는 리셋트신호는 로우가 되어 모든 회로를 초기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B'지점에서 초기화가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스탠바이 상태로 되는 A'시점에서 강제로 리셋트신호를 로우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설계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였을때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Pl')과 주변제어회로의 임의의 제어신호(S2')파형을 측정한 것으로 A'시점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P1')과 임의의 제어신호(S2') 모두 초기화되어 버림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정확히 리셋트시켜 주도록 하여 동작안정화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Claims (1)

  1.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차단 및 이상상태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리셋신호를 내부 또는 외부로 출력하는 이상상태 검출수단과, 제너다이오드를 통한 제어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온 또는 오프에 의해 상기 이상상태 검출수단의 검출동작을 제어하는 이상상태 검출제어수단과, 수동으로 리셋상태를 만들어주기 위한 리셋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리셋트회로.
KR1019940036069A 1994-12-22 1994-12-22 인버터의 리셋트회로 KR0121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069A KR0121139B1 (ko) 1994-12-22 1994-12-22 인버터의 리셋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069A KR0121139B1 (ko) 1994-12-22 1994-12-22 인버터의 리셋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786A KR960024786A (ko) 1996-07-20
KR0121139B1 true KR0121139B1 (ko) 1997-12-04

Family

ID=1940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069A KR0121139B1 (ko) 1994-12-22 1994-12-22 인버터의 리셋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1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786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507B1 (ko) 이상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기
KR20010075919A (ko) 인버터 냉장고의 전류제한회로
KR920010221A (ko) 공기조화기의 전류 제어회로 및 그 방법
US5508603A (en) Polarity corrected, intermittent compensated, remote load voltage regulation
US20070047274A1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ing method
KR100452993B1 (ko) 인버터공기조화기의 인버터모터 제어회로 및 방법
KR0121139B1 (ko) 인버터의 리셋트회로
JP3299417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100376531B1 (ko) 세미브릿지형단위역률정류장치및방법
JPH0241274B2 (ko)
JP2651927B2 (ja) 高周波加熱装置
KR0155104B1 (ko) 전원공급장치의 이상전압 보호회로
KR100489821B1 (ko) 백라이트 인버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KR0116579Y1 (ko) 인버터의 이상전류감지회로
KR930007960Y1 (ko) 3상전원의 역상 및 결상 검출회로
KR0137111Y1 (ko) 인버터용 구동 제어 전원 감시 장치
KR900003993B1 (ko) 유도 전동기의 순시정전 재 기동 회로
KR200145144Y1 (ko) 전원장치의 과도상태 안정화회로
JPS62152372A (ja) 電源装置
KR20000042600A (ko) 정격전원감지장치
KR200161674Y1 (ko) 자동전환 개폐기용 전압 감시장치
KR930004375Y1 (ko)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의 인버터 보호회로
KR970004436B1 (ko) 인버터 장치의 과부하 보호방법
KR930007542Y1 (ko) 자동 전압 절환 장치
KR0176818B1 (ko) 인버터 구동기기의 안정화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