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0325B1 -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325B1
KR0120325B1 KR1019930029542A KR930029542A KR0120325B1 KR 0120325 B1 KR0120325 B1 KR 0120325B1 KR 1019930029542 A KR1019930029542 A KR 1019930029542A KR 930029542 A KR930029542 A KR 930029542A KR 0120325 B1 KR0120325 B1 KR 012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phatic polyester
polyester resin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aliphatic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271A (ko
Inventor
이한주
김효열
황기호
박헌진
김학수
Original Assignee
김준웅
주식회사선경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웅, 주식회사선경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김준웅
Priority to KR101993002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325B1/ko
Publication of KR95001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관한 것으로, 탄소수 2~8의 디카르복실산류와 탄소수 2~6의 디올류를 반응시켜 제조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입자크기가 30~70μm인 천연유기물 충전재가 10~40중량부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천연유기물 충전재로는 나무, 호도껍질, 조개껍질, 은행잎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은 비중이 작고 충격강도가 향상된 완전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3-20638호로 출원된 열가소성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천연 유기물 충전제를 배합한 100% 완전 생분해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각종 용도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이 난 분해성 물질이기 때문에 자연환경을 파괴하고 있어서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규제방안이 실시되거나 도입단계에 있다.
종래, 이러한 규제움직임에 대한 대응책으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랜 등에 전분을 첨가하여 콤파운딩한 수지조성물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지조성물로 만든 제품은 기재 수지가 난분해성이고 주로 전분이 개재된 부분에서 붕괴가 일어나므로 분해되지 않은 수지에 의한 2차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284232호에는 폴리우레탄에 식물성 미세섬유 또는 분립을 콤파운딩한 수지조성물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지조성물로 만든 제품도 기재 수지가 난분해성이고 주로 식물성 충전재가 개재된 부분에서 붕괴가 일어나므로 분해되지 않은 수지에 의한 2차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완전 생분해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기계적 물성도 기존의 수지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 열가소성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3-20638호로 출원한바 있다. 이 수지는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류의 단독 또는 혼합물과 하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디올류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중축합시켜서 이루어진 수평균분자량 25,000-45,000의 완전 생분해성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이다.
ROOC-(CH2)n-COOR'
HO-(CH2)m-OH
(상기 식에서 R과 R'는 각각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n은 2~8의 정수이고, m은 2~6의 정수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3-20638호기재의 완전 생분해성수지에 천연의 충전재를 배합하여 자연환경에서 완전 생분해되며 성형성 및 물성이 우수하고 코스트가 낮은 새로운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류의 단독 또는 혼합물과 상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디올류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중축합시켜서 이루어진 수평균분자량 25,000~45,000의 완전 생분해성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90~60중량부와 입자크기가 30~70μm인 천연유기물 충전재 10~40중량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완전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배합되는 천연유기물 충전재로는 나무, 호도껍질, 조개껍질, 은행잎 등의 분쇄물이 바람직하며, 그 입자크기는 10~100μm 보다 바람직하게 30~70μm이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중 천연유기물 충전재의 배합량은 10~40중량부가 적합한데, 만일 그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전 기대효과가 미흡하고, 4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와의 혼화성이 떨어져서 오히려 보강효과가 떨어지고, 공정성이 불량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성형방법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성형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완전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상기한 충전재를 2축 혼련기에서 용융혼합하여 펠렛으로 만든 후, 제조된 펠렛을 사출성형기 등을 사용하여 소망하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성형품은 무기물 충전제를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비중이 낮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천연의 색상을 띠게 되어 외관상으로도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3-20638호에 기술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완전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즉, 가열용융 축합반응관내에서 디메틸숙시네이트 146g 1,4-부탄디올 162g과 촉매인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03g을 혼합하고 온도를 200℃로 승온시켜 메탄올이 이론량 유출될 때까지 반응시킨다. 에스테르교환반응이 끝난 후 촉매로서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3g과 디부틸틴옥사이드 0.8g, 안정제로서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4g, 조정제로서 코발트이세테이트 0.01g을 1,4-부탄디올에 슬러리하여 첨가한 다음 230℃에서 상기 혼합물을 10분동안 잘 혼합한 후 온도를 250℃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압력을 0.3mmHg로하여 5시간 동안 축중합반응시킨 다음 토출하여 완전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었다.
상기 완전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박달나무를 분쇄하여 얻은 평균입자크기가 65μm인 천연유기물을 실린더 온도 150℃의 동방향 2축 혼련기에서 용융혼합하여 펠렛으로 만든후, 실린더 온도 150℃, 금형온도 60℃로 설정된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을 다음과 같은 ASTM의 시험방법으로 물성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 ASTM D638
굴곡탄성율 :ASTM D790
충격강도 : ASTM D256
비중 : ASTM D792
[실시예 5~8]
실시예 1의 수지와 천연 유기물 충전재로서 평균입자 크기가 40μm인 호도껍질 분쇄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각 시편의 물성측정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된다.
[비교예 1~4]
실시예 1의 수지와 충전재로서 무기물인 탈크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각 시편의 물성측정결과는 하기 표 2에 제시된다.
[비교예 5~8]
실시예 1의 수지와 충전재로서 무기물인 탄산칼슘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각 시편에 물성측정결과는 하기 표 2에 제시된다.

Claims (2)

  1.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티카르복실산류의 단독 또는 혼합물과 하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디올류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중축합시켜서 이루어진 수평균 분자량 25,000~45,000의 완전 생분해성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90~60중량부와 입자크기가 30~70μm인 천연유기물 충전재 10~40중량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
    ROOC-(CH2)n-COOR' (I)
    HO-(CH2)m-OH (II)
    상기 식들에서 R과 R'는 각각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n은 2~8의 정수이고 m은 2~6의 정수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나무, 호도껍질, 조개껍질 및 은행잎의 분쇄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1019930029542A 1993-12-24 1993-12-24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012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542A KR0120325B1 (ko) 1993-12-24 1993-12-24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542A KR0120325B1 (ko) 1993-12-24 1993-12-24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271A KR950018271A (ko) 1995-07-22
KR0120325B1 true KR0120325B1 (ko) 1997-10-22

Family

ID=1937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542A KR0120325B1 (ko) 1993-12-24 1993-12-24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29A (ko) * 2021-11-25 2023-06-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낙엽을 이용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024A (ko) * 1997-08-01 1999-03-05 조민호 전화카드용 생분해성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29A (ko) * 2021-11-25 2023-06-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낙엽을 이용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271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5354A (en) Glass fiber-reinforced flame-resistant thermoplastic polyester mould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2,4,6-tribromostyrene)
US5624987A (en) Polyalkylene ethers as plasticizers and flow aids in poly(1,4-cyclohexa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s
EP1858951B2 (en) Biodegradable aliphatic -aromatic polyesters
US4219628A (en) Molding composition from polyester blends
WO1994028062A1 (en) Cellulose ester blends
WO2008014931A1 (en) Sheet molding compounds (smc), thick molding compounds (tmc), and bulk molding compounds (bmc) comprising thermosetting resins based on renewable resources
WO1990003416A1 (en) Compatible tricomponent polymer blends
US3903042A (en) Stabilized polyalk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US4185047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US4290937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US4381356A (en) Stabilized polypropylene compositions
KR0120325B1 (ko)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EP1114078B1 (en) Thermoplastic copolyester compositions modified with epoxide compounds
US4891405A (en) Moldable styrene-maleic anhydride/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CA1100664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esters having stabilized melt viscosity in the presence of aromatic (poly-) carbonates
CN110016214B (zh) 一种用于3d打印的pla共混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US4287325A (en) Copolyesters derived from aromatic polyesters and glycol polyesters
JPH0212745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000589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20030042945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생분해성 수지 필름
JP7158790B1 (ja) 生分解性複合体組成物
KR20010086308A (ko) 종이를 포함하는 사출성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71874B1 (ko) 분해성 플라스틱
JPH02276850A (ja) Absターポリマーで変性されたポリエステル
KR960016627B1 (ko)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