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0237Y1 -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237Y1
KR0120237Y1 KR2019930030022U KR930030022U KR0120237Y1 KR 0120237 Y1 KR0120237 Y1 KR 0120237Y1 KR 2019930030022 U KR2019930030022 U KR 2019930030022U KR 930030022 U KR930030022 U KR 930030022U KR 0120237 Y1 KR0120237 Y1 KR 0120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pedal
engine
speed
obstac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779U (ko
Inventor
나석규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30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237Y1/ko
Publication of KR950017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7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2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2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008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potential obstacles in vehicl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05Throttl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8Brak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운전자의 오동작으로 가속페달을 잘못 동작시켜 갑작스런 급가속이 이루어지고 장애물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될수 있도록 하여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속페달의 동작정도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차 속도 감지부와; 주행방향의 설정거리안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애물 감지부와;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부와; 상기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와 자동차 속도 감지부와 장애물 감지부와 엔진 회전수 감지부에 연결되어, 가속페달이 끝까지 밟히고 자동차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하일 때, 장애물이 감지되면 엔전회전수의 변화율을 설정값과 비교하고 엔진 회전수의 변화율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흡입공기량을 차단시키고 감속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부와; 상기 엔진 제어부와 연결되어, 엔진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정도가 가변되는 스로틀 보디와; 상기 엔진 제어부와 연결되어, 엔진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브레이크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방법의 동작 순서도.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이 고안은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해 급가속이 이루어지고 주행방향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발생하는 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을 능숙하게 못하는 초보 운전자나, 운전을 배우는 사람들은 운전동작을 위해 장착되어 있는 각 페달의 위치와 역할을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운전을 배우기 위해 운전학원에서 운전연습을 하는 사람들은 실제적인 자동차의 구조나 역할을 거의 모르고 있고 운전동작에 익숙해 있지 않으므로, 동작시키고자 하는 페달의 위치를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해 엉뚱한 다른 페달을 밟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주행중에 시동을 꺼뜨리게 되고, 가속페달을 잘못 밟아 갑작스런 급가속 동작이 발생하여 운전자 자신이 매우 당황하여 정상적인 운전동작을 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더욱이 주행조건이나 상태에 따라 갑작스런 가속동작으로 전방에 주행중인 자동차와 충돌하는 접촉사고가 발생하고, 갑작스런 동작상태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므로 대형 추락사고나 충돌사고의 발생으로 심한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많은 연습용 차량이 주행중인 운전 연습장에서 가속페달을 잘못 동작시킬 경우 주행중인 다른 운전 연습용 차량과 충돌하여 기계적인 손상과 인명피해도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오동작으로 가속페달을 잘못 동작시켜 갑작스런 급가속이 이루어지고 장애물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가속페달의 동작정도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차 속도 감지부와
주행방향의 설정거리안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애물 감지부와;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부와;
상기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와 자동차 속도 감지부와 장애물 감지부와 엔진 회전수 감지부에 연결되어, 가속페달이 끝까지 밟히고 자동차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하일 때, 장애물이 감지되면 엔진 회전수의 변화율을 설정값과 비교하고, 엔진 회전수의 변화율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흡입공기량을 차단시키고 감속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부와;
상기 엔진 제어부와 연결되어, 엔진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정도가 가변되는 스로틀 보디(Throttle body)와;
상기 엔진 제어부와 연결되어, 엔진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브레이크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방법의 동작 순서도,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가속페달의 동작상태에 따라 가속페달이 완전히 동작되는지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S1)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차 속도 감지부(11)와, 주행방향의 설정거리안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애물 감지부(12)와,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부(13)와, 상기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S1)와 자동차 속도 감지부(11)와 장애물 감지부(12)와 엔진 회전수 감지부(13)에 연결되어 가속페달의 오동작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안전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부(2)와, 상기 엔진 제어부(2)와 연결되어 엔진 제어부(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스로틀 보디(31)와, 상기 엔진 제어부(2)와 연결되어 엔진 제어부(2)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브레이크 장치(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시되지 않은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이 시작되면(10), 먼저, 엔진 제어부(2)는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S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가속페달의 동작상태를 감지한다(20).
상기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S1)는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가속페달의 동작정도에 따라 회전량이 가변되어, 설정량만큼 회전하면 스위치 접점이 동작된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끝까지 모두 밟았을 경우에만 온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즉, 가속페달을 동작시키지 않을 경우나 조금만 밟았을 경우에는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자동차 운전자에 의해 가속페달이 끝까지 밟혀져 상기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S1)가 온되면, 엔진 제어부(2)는 자동차 속도 감지부(1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의 자동차 속도를 판단하고, 자동차의 속도를 설정값과 비교한다(30).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설정속도이하일 경우에, 엔진 제어부(2)는 장애물 감지부(12)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자동차의 주행방향에 장애물이 놓여있는지를 판단한다(40).
그러나 상기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일 경우엔, 엔진 제어부(2)는 자동차 운전자의 정상적인 동작에 의해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가속시키는 상태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매우 빠른 속도로 자동차를 주행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갑자기 동작시킬 경우에, 브레이크 장치의 파열로 더 큰 대형 사고가 발생하므로 별다른 동작을 취하지 않는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2)는 오염물질에 의해 잘 오염되지 않은 자동차의 클래시 패드(crash pad)부분에 장착하여 오염물질로 인해 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적외선을 발사하여 되돌아오는 적외선을 다시 감지하여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러므로 장애물 감지부(12)에 의해 주행하는 방향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엔진 제어부(2)는 엔진 회전수의 변화율을 설정값과 비교 판단한다(50).
그러나 장애물 감지부(12)의 동작에 의해 전방에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을 때, 엔진 제어부(2)는 갑작스런 가속동작이 발생할 경우에도 충돌할 수 있는 물체가 전방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충돌사고의 위험없이 신속한 감속동작으로 위험을 극복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별다른 제어동작을 취하지 않고 엔진 제어부(2)는 초기단계(20)로 넘어가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부(S1)가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엔진 회전수의 변화율을 산출하기 위해 엔진 제어부(2)는 엔진 회전수 감지부(13)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회전하는 엔진의 회전수를 판단하고, 시간에 대한 미분값을 산출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산출된 엔진 회전수 변화율이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엔진 제어부(2)는 운전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가속페달이 오동작으로 인한 갑작스런 가속으로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과 충돌할 수 있는 위급한 상태로 판단하여, 엔진 제어부(2)는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를 급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스로틀 보디(31)의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가 완전히 닫힐 수 있도록 엔진 제어부(2)는 스로틀 보디(31)로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자동차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가변시키고, 브레이크 장치(3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브레이크가 동작하여 자동차가 신속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엔진 제어부(2)는 스로틀 보디(3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60) 가속페달에 의해 완전히 열려있는 스로틀 밸브를 닫아 엔진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가변시켜 엔진의 출력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엔진 제어부(2)는 주행중인 자동차의 동작을 급정지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 장치(3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70)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엔진 제어부(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32)가 동작하여 자동차가 급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엔진 회전수의 변화율이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엔진 제어부(2)는 운전자의 정상적인 가속동작에 의해 점차적으로 가속페달이 동작하고, 그에 따라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증가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단계(20) 로 넘어가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S1)의 상태를 판단한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자동차 주행중에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급가속동작이 이루어질 때 전방의 상태를 감지하여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엔, 신속하게 급감속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고안의 효과는 주행중에 운전자의 운전미숙으로 잘못하여 브레이크 페달대신 가속페달을 동작시킬 경우에, 자동차의 전방상태를 감지하여 장애물이 감지되면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켜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아 충돌사고의 위험이 없을 경우엔,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동작과 급감속으로 인한 브레이크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

  1. 가속페달의 동작정도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차 속도 감지부와; 주행방향의 설정거리안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애물 감지부와;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부와; 상기 가속페달 동작상태 감지 스위치와 자동차 속도 감지부와 장애물 감지부와 엔진 회전수 감지부에 연결되어, 가속페달이 끝까지 밟히고 자동차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하일 때, 장애물이 감지되면 엔진 회전수의 변화율을 설정값과 비교하고, 엔진 회전수의 변화율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흡입공기량을 차단시키고 감속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부와; 상기 엔진 제어부와 연결되어, 엔진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정도가 가변되는 스로틀 보디와; 상기 엔진 제어부와 연결되어, 엔진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브레이크 장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자동차의 클러시 페드부분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
KR2019930030022U 1993-12-28 1993-12-28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 KR0120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022U KR0120237Y1 (ko) 1993-12-28 1993-12-28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022U KR0120237Y1 (ko) 1993-12-28 1993-12-28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779U KR950017779U (ko) 1995-07-22
KR0120237Y1 true KR0120237Y1 (ko) 1998-07-15

Family

ID=1937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022U KR0120237Y1 (ko) 1993-12-28 1993-12-28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2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927B1 (ko) * 2004-07-06 2006-05-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가속성 제어장치 및 방법
CN109664761B (zh) * 2019-01-21 2024-02-23 内蒙古科技大学 一种汽车防误踩油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779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87488A (ja) スロットルバルブ制御装置
KR0120237Y1 (ko)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
GB2274927A (en) Fail-safe system of an automatic driv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H01195139A (ja) 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KR0173761B1 (ko)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KR100240405B1 (ko) 자동차 자동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099432B2 (ja) 車両の出力制限装置
KR100283321B1 (ko) 졸음 운전 방지 장치
KR100193483B1 (ko) 운전 핸들을 이용한 자동차의 주행 상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16823A (ko) 가속페달 오조작시 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 제어 방법
KR200166635Y1 (ko) 자동차의 급회전 경고장치
KR0121661Y1 (ko) 핸들급조작시의 오토크루즈 자동해제장치
KR950004928Y1 (ko) 자동차의 자동악셀레이터용 전자제어 안전장치
KR20000006629U (ko) 자동차 바퀴의 슬립에 따른 주행 속도 제어 장치
KR0175562B1 (ko) 자동차 안전주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54443B1 (ko) 주행 도로에 따른 차량 과속방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35683A (ko) 가속페달 작동제어 장치
KR19980041162U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장치
KR0170103B1 (ko) 전방 차량에 대한 속도조절 장치
KR19980052384U (ko) 차량의 가속안전 장치
KR0149337B1 (ko) 자동차용 비상등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41507U (ko) 차량의 급회전시 자동 감속장치
KR19980012521U (ko) 차량의 브레이크 파이프 라인 이상시 가속 방지 회로
JPH0231940A (ja) 自動変速機付車輌の暴走防止装置
KR19980050859A (ko) 비상등 자동 점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122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0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228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4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4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0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