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0103Y1 -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 구조 - Google Patents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103Y1
KR0120103Y1 KR2019930018235U KR930018235U KR0120103Y1 KR 0120103 Y1 KR0120103 Y1 KR 0120103Y1 KR 2019930018235 U KR2019930018235 U KR 2019930018235U KR 930018235 U KR930018235 U KR 930018235U KR 0120103 Y1 KR0120103 Y1 KR 0120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rest
height
driver
knob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612U (ko
Inventor
임재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18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103Y1/ko
Publication of KR950008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6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103Y1/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풋 레스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따른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 구조는, 상면에 발판(13)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다수개의 록킹홈(27)을 갖는 높낮이 조절대(15)가 형성된 풋 레스트판(11)과; 상기 풋 레스트판(11)의 높낮이 조절대(15)에 삽입되며 상기 록킹홈(27)에 수용되는 걸림턱(23)이 형성된 노브(17)와; 상기 노브(17)와 탄성 부재(19)로 탄성 결합된 볼트(21)와; 상기 볼트(21)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운전석의 바닥판(19)에 설치되는 브라켓(25)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의 구조는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적합하게 풋 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운전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Foot Rest)구조
제 1 도는 본 고안의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A-A선의 단면도이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풋 레스트판13:발판
15:높낮이 조절대17:노브
19:탄성부재21:볼트
23:걸림턱25:브라켓
27:록킹홈
본 고안은 자동차의 풋 레스트(Foot Rest)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풋 레스트의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하부에는 클러치 페달과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시 상기 페달을 발로 밟고 떼는 동작에 의해서 운행 상태를 운전자의 의도에 맞게 조절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운전 중에 수시로 페달을 조작하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많은 피로를 느끼게 된다.
이와같은 이유로 인하여 운전자가 페달을 조작하지 않는 대기시간 동안에 발을 편안하게 해 주어 피로를 덜 느낄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페달 근방에 풋 레스트가 설치하기도 한다.
상기의 풋 레스트는 운전자가 발로 페달 조작을 하지 않을때 발을 올려 놓고 휴식을 취할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와 높이로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안락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상의 풋 레스트는 개인적인 신체적 조작과는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적인 신체조건에 맞지 않을 뿐 아니라 장시간의 주행시 피로를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풋 레스트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각도 및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풋 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자동차의 풋레스트의 구조는, 상면에 발판(13)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다수개의 록킹홈(27)을 갖는 높낮이 조절대(15)가 형성된 풋 레스트판(11)과; 상기 풋 레스트판(11)의 높낮이 조절대(15)에 삽입되며 상기 록킹홈(27)에 수용되는 걸림턱(23)이 형성된 노브(Knob)(17)와; 상기 볼트(21)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운전석의 바닥판(29)에 설치되는 브라켓(25)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풋 레스트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의 단면도로서, 노브(17)의 양측 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만곡하게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23)이 높낮이 조절대(15)의 록킹홈(17)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노브(17)의 내측단에는 탄성부재(19)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19)의 타단은 상기 노브(17)에 삽입되는 볼트(21)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트(21)는 차체의 운전석의 바닥판(29)에 설치된 브라켓(25)에 결합되었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제 3 도는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대의 개략도로, 높낮이 조절대(15)에는 노브(17)의 걸림턱(23)을 수용하는 록킹홈(27)이 상하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각도 및 높낮이 조절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의 작용예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풋 레스트는 높낮이 조절대(15)의 록킹홈(27)에 걸림턱(23)이 형성된 노브(17)가 탄성 부재(19)의 탄성력에 의하여 끼워져 있기 때문에 높이가 고정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풋 레스트에 발을 올려 놓으면 발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 준다.
그런데 운전자가 발을 올려 놓았을 때 불편함을 느껴서 풋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풋 레스트판(11)의 측면에 설치된 노브(17)를 누르면, 상기 노브(17)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19)가 압축되며 노브(17)가 볼트(21)와 근접하게 이동한다.
이때 높낮이 조절대(15)의 록킹홈(27)에 끼워진 상기 노브(17)의 걸림턱(23)이 록킹홈(27)에서 분리되어 상기 풋 레스트판(11)을 상하로 조절할수 있다.
이때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높이로 록킹홈(27)을 위치하도록 풋 레스트판(11)을 조절한 뒤 노브(17)를 가해진 압력을 해제시키면 노브(17)가 다시 높낮이 조절대(15)에 밀착되는데 상기 노브(17)의 걸림턱(23)이 록킹홈(27)에 끼워져서 풋 레스트판(11)은 다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풋 레스트는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취향등에 맞게 풋 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자신의 신체적 조건에 맞는 풋 레스트의 높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의 구조는 운전자가 취향에 맞추어 풋 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의특성에 맞는 풋 레스트의 설치가 가능하면, 이에 따라 운전자에게 최적의 안락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풋 레스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면에 발판(13)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다수개의 록킹홈(27)을 갖는 높낮이 조절대(15)가 형성된 풋 레스트판(11)과; 상기 풋 레스트판(11)의 높낮이 조절대(15)에 삽입되며 상기 록킹홈(27)에 수용되는 걸림턱(23)이 형성된 노브(17)와; 상기 노브(17)와 탄성 부재(19)로 탄성 결합된 볼트(21)와; 상기 볼트(21)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운전석의 바닥판(19)에 설치되는 브라켓(2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의 구조.
KR2019930018235U 1993-09-13 1993-09-13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 구조 KR0120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235U KR0120103Y1 (ko) 1993-09-13 1993-09-13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235U KR0120103Y1 (ko) 1993-09-13 1993-09-13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612U KR950008612U (ko) 1995-04-17
KR0120103Y1 true KR0120103Y1 (ko) 1998-07-01

Family

ID=6066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235U KR0120103Y1 (ko) 1993-09-13 1993-09-13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1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9084B2 (en) 2013-05-28 2016-11-22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and angle of footrest support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2112924B1 (ko) 2018-08-08 2020-05-19 서정옥 차량용 휴지 수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612U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8613B1 (en) Method for improving motorcycle braking
US4802381A (en) Compound acceleration-brake pedal assembly
KR0120103Y1 (ko)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풋 레스트 구조
JP2000318666A (ja) 走行中でも調節可能なサドル高低調節機構付き自転車
WO1998025811A1 (en) Brake for motorcycles having foot boards
US20020038969A1 (en) Seat headrest mounting
JP3482471B2 (ja) 障害者用自動車運転補助ペダル
US6312039B1 (en) Ergonomic accelerator block
KR200164930Y1 (ko) 발 지지턱이 마련된 가속페달
KR960008998Y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head rest of car seat)
KR0126209Y1 (ko) 자동차의 발판 조절장치
KR200151608Y1 (ko) 자동차의 페달보조발판
KR200144142Y1 (ko)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풋레스트
KR0136138Y1 (ko) 상하좌우각조절이 자유로운 풋레스트
JPH032691B2 (ko)
KR960007947Y1 (ko) 차랑용 자동변속기 레버시스템의 외부구조
KR0130761Y1 (ko) 안정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JPH067805B2 (ja) シ−トに使用されるサイ・サポ−ト
KR0177455B1 (ko) 착탈가능한 풋 지지판
JPH067804B2 (ja) シ−トに使用されるサイ・サポ−ト
KR200254075Y1 (ko) 자동차 운전석의 레그 레스트
KR19980039245U (ko) 자동차 액셀레이터 페달의 지지패드
JPH0229954Y2 (ko)
KR19980033890U (ko) 푸트 레스트가 내장된 차량용 리어 시트
KR19980043104U (ko) 자동차의 풋레스트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91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91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3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3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