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9920Y1 -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920Y1
KR0119920Y1 KR92022805U KR920022805U KR0119920Y1 KR 0119920 Y1 KR0119920 Y1 KR 0119920Y1 KR 92022805 U KR92022805 U KR 92022805U KR 920022805 U KR920022805 U KR 920022805U KR 0119920 Y1 KR0119920 Y1 KR 0119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fan
warm air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2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112U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92022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920Y1/ko
Publication of KR940013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1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실내공기를 온풍으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와,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이 작동될 경우 상기 팬의 송풍력에 의해 온풍이 실내로 토출되도록 상기토출구를 개방시켜 온풍의 상하방향의 흐름을 제어하며 루버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수평브레이드와, 상기 팬이 작동될 경우 상기 팬의 송풍력에 의해 온풍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와류됨이 없이 원활하게 실내의 원거리로 토출되도록 루버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방향으로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수평브레이드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하부수평브레이드와, 상기 팬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됨이 없도록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를 수용하며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 조화기가 가동되면 토출구의 상측에 장착된 상부수평브레이드와 토출구의 하측에 장착된 하부수평브레이드가 본체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온풍의 흐름을 안내하게 되므로써, 온풍이 원거리까지 토출되어 체감온도에 민감한 사용자의 발부분에 온풍이 전달되어 사용자가 추위를 덜느끼게 됨은 물론이고, 보다 실내를 신속하게 난방시켜 소비전력을 다운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
본 고안은 응축기에 의해 변환된 온풍이 실내로 토출될 경우 온풍의 토출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응축기에서 변환된 온풍이 공기조화기의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경우 온풍이 일정방향으로 멀리 토출되도록하여 열의 분산으로 인한 열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신체부위에서 체감온도에 민감한 발부분으로 온풍이 집중 송풍되도록하여 사용자가 추위를 덜 느끼게한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실내를 난방시키는 공기조화기(10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상부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그릴(110)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그릴(110)을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온풍으로 변환시키도록 고온고압의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111)가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응축기(111)의 후면에는 상기 응축기(111)에서 변환된 온풍의 흐름을 안내하는 백바디(117)가 형성되고, 이 백바디(117)의 대체로 하부에는 상기 응축기(111)에서 변환된 온풍이 상기 토출구(113)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112)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토출구(113)에는 상기 팬(112)의 송풍력에 의해 실내로 토출되는 온풍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루버모터(Louver Motor, 115)에 의해 작동되는 수평브레이드(114)가 장착되고, 이 수평브레이드(114)의 내측에는 수직브레이드(11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ON)시키면 상기 팬(112)이 회전되어서 송풍력이 발생되어 상기 그릴(110)을 통해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그릴(110)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응축기(111)를 통과하게 된다.
또, 상기 응축기(111)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냉매의 응축작용에 의해서 온풍으로 변환되어 상기 백바디(117)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토출구(113)를 통과하여 실내로 토출되게 되므로써 실내를 난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113)를 통해 토출되는 온풍의 방향은 상기 수평브레이드(114)와 상기 수직브레이드(118)에 의해 그 방향이 제어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루버모터(115)가 상기 수평브레이드(114)를 작동시켜 상기 토출구(113)를 개방시키므로써 온풍이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수평브레이드(114)가 상기 토출구(113)의 상부한 곳에만 장착되어 있으므로 온풍을 원거리까지 공급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토출구(113)를 통해 토출되는 온풍으로 실내전체가 더워지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려 소비전력이 증대되고 신체부위에서 가장 체감온도에 민감한 발부분으로 온품이 전달되지 못해 사용자가 추위를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일예로써는 일본국에서 1986년 9월 8일자로 실용신안공개된 일본국 실개소 61-145210호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실개소 61-145210호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열교환후의 실내공기를 흡출하기 위한 흡출구(6)를 구비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흡출구(6)의 상부에 일어남자유롭게 구지되며, 상기 흡출되는 실내공기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그릴(9)과, 상기 제1그릴(9)의 하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어남자유롭게 구지되며 상기 흡출된 실내공기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그릴(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그릴(9)과 상기 제2그릴(10)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시에 동기해서 일어나 상기 흡출구(6)로부터 열교환후의 실내공기를 상기 공기조화기가 취부된 실내벽면에 접해서 하방으로 안내시키기 위한 그릴제어수단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그릴(10)이, 상기 흡출구(6)의 하방에 일어남자유롭게 구지됨과 동시에 후단부가 상기 흡출구(6)의 상류측에 크게 연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본국 실개소 61-145210호는 난방시에 도 3에 도시한 점선과 같이 상기 제1그릴(9) 및 상기제2그릴(10)이 실내기의 내부에서 일어나게 되어 벽면이 하부로 온풍이 토출되게 된다.
또, 상기 제1그릴(9) 과 상기제2그릴(10)이 실내기의 내부에서 일어나게 되어 팬의 송풍력에 의해 토출되는 온풍이 상기 제1그릴(9) 및 상기제2그릴(10)에 부딪히게 되므로써 실내기의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되어 원활하게 온풍을 실내로 공급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실내기가 장착된 벽면으로 온풍이 토출되어 실내기로부터 원거리있는 사용자에게는 온풍이 공급되지 못해 사용자가 추위를 크게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일본국 실개소 61-145210호는 온풍이 토출될 경우 제1그릴 및 제2그릴이 실내기의 내부에서 온풍의 흐름을 제어하므로써 실내기의 내부에서 온풍이 제1그릴 및 제2그릴에 부딪힘으로 인해 온풍을 보다 원활하게 원거리로 공급하지 못하므로 실내를 일정온도까지 상승시키기 위하여는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어 소비전력이 증대된는 것은 물론이고, 온풍이 실내기가 장착된 벽면을 타고 그 하부로 공급되므로써 원거리에 있는 사람에게 온풍이 전달되지 못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숭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응축기에서 변환된 온풍이 공기조화기의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경우 온풍이 일정방향으로 멀리 토출되도록하여 열의 분산으로 인한 열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신체부위에서 체감온도에 민감한 발부분으로 온풍이 집중 송풍되도록하여 사용자가 추위를 덜 느끼게한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조절장치는, 전면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본체의 흡입구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온풍으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변환된 온풍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이 작동될 경우 상기 팬의 송풍력에 의해 온풍이 실내로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켜 온풍의 상하방향의 흐름을 제어하며 루버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수평브레이드와, 상기 팬이 작동될 경우 상기 팬의 송풍력에 의해 온풍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와류됨이 없이 원활하게 실내의 원거리로 토출되도록 루버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방향으로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수평브레이드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하부수평브레이드와, 상기 팬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됨이 없도록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를 수용하며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가 가동되면 토출구의 상측에 장착된 상부수평브레이드와 토출구의 하측에 장착된 하부수평브레이드가 본체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온풍이 흐름을 안내하게 되므로써, 온풍이 원거리까지 토출되어 체감온도에 민감한 사용자의 발부분에 온풍이 전달되어 사용자가 추위를 덜느끼게 됨은 물론이고, 보다 실내를 신속하게 난방시켜 소비전력을 다운시킬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
제2도는 종래예에 의한 일본국 실개소 61-145210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제3도는 종래예에 의한 일본국 실개소 61-145210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평풍향 조절장치가 장착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평풍향 조절장치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6a,b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평풍향 조절장치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온풍이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제8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온풍 토출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본체 11:응축기
12:팬 13:토출구
14:흡입구 16:수직브레이드
21:상부수평브레이드 211:축
212:루버모터 22:하부수평브레이드
221:축 222:루버모터
223:홈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평풍향조절장치가 장착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평풍향조절장치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a,b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평풍향조절장치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온풍이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온풍 토출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내지 도 8에 있어서, (1)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며 벽면에 장착되는 실내기의 본체로써, 그 전면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후술하는 응축기에서 변환된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14)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매의 응축작용에 의해서 온풍으로 변환시키는 응축기(11)가 배설되고, 이 응축기(11)의 하부에는 상기 흡입구(14)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응축기(11)에서 변환된 온풍이 상기 토출구(13)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12)이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에는 상기 팬(12)의 송풍력에 의해 실내로 토출되는 온풍의 좌우측 방향을 제어하도록 수직브레이드(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토출구(13)의 상측에는, 상기 팬(12)이 작동될 경우 상기 팬(12)의 송풍력에 의해 온풍이 실내로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구(13)를 개방시켜 온풍의 상하방향의 흐름을 제어하는 상부수평브레이드(21)가 루비모터(212)의 축(211)에 결합되어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의 토출구(13)의 하측에는, 상기 팬(12)이 작동될 경우 상기 팬(12)의 송풍력에 의해 온풍이 상기 본체(1)의 내부에서 와류됨이 없이 원활하게 실내의 원거리로 토출되도록 상기 본체(1)의 외부방향으로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수평브레이드(21)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하부수평브레이드(22)가 루버모터(222)의 축(221)에 결합되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에는 공기조화기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22)가 상기 본체(1)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22)를 수용하는 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5)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스위치를 온(ON)시키면 냉매가 상기 응축기(11)로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팬(12)이 회전되게 되어 상기 팬(12)에서 송풍력이 발생되게 된다.
또, 상기 팬(12)에서 송풍력이 발생되면 상기 흡입구(14)로 실내공기가 흡입되게 되고, 상기 흡입구(14)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응축기(11)를 통과하게 되어 냉매의 응축작용에 의해 온풍으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11)에서 변환된 온풍은 상기 본체(1)에 형성된 상기 토출구(13)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난방시키게 된다.
한편, 스위치를 온(ON)시키면 상기 각 루버모터(212)(222)에 의해 상기 상부수평브레이드(21)와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22)가 도 6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외측방향으로 기동되게 된다.
또, 상기 상부수평브레이드(21)와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22)가 도 6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외부방향으로 기동되게 되므로써 상기 팬(12)의 송풍력에 의해 토출되는 온풍이 원거리까지 토출되어 열손실을 발생함이 없이 실내를 난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22)의 길이가 상기 상부수평브레이드(21)의 길이보다도 길게 상기 본체(1)의 외부방향으로 기동되므로써, 상기 토출구(13)를 통해서 토출되는 온풍이 원거리까지 토출되어 체감온도에 민감한 사용자의 발부분으로 온풍이 직접 공급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송풍되는 온풍이 일정거리까지 도달한 후 실내공기의 저항에 의해 흐름이 와해되면서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이때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22)에 가이드되어서 원거리로 송풍된 온풍이 상부의 온풍을 와류시키면서 실내공기를 원활하게 순한시키게 되므로써 온풍에 의한 실내의 열효율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토출구(13)로 토출되는 온풍이 상기 상부수평브레이드(21)와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22)에 가이드되어서 원활하게 원거리까지 송풍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실내를 난방시켜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체감온도에 민감한 발부분으로 온풍이 직접 전달되어 사용자가 추위를 덜 느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13)를 통해서 온풍이 토출되어 실내의 온도가 설정된 적정온도까지 도달되면 상기 감지센서(15)가 이를 감지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이때 상기 상부수평브레이드(21)와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22)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되게 된다.
즉,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루버모터(212, 222)가 작동되어서 상기 상부수평브레이드(21)는 상기 토출구(13)를 폐쇄시키고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22)는 상기 홈(223)에 수납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에 의하면, 공기조화기가 가동되면 토출구의 상측에 장착된 상부수평브레이드와 토출구의 하측에 장착된 하부수평브레이드가 본체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온풍의 흐름을 안내하게 되므로써, 온풍이 원거리까지 토출되어 체감온도에 민감한 사용자의 발부분에 온풍이 전달되어 사용자가 추위를 덜느끼게 됨은 물론이고, 보다 실내를 신속하게 난방시켜 소비전력을 다운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면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4)가 형성되고 하부에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흡입구(14)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온풍으로 변환시키는 응축기(11)와, 상기응축기(11)에서 변환된 온풍이 상기 토출구(13)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14)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12)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12)이 작동될 경우 상기 팬(12)의 송풍력에 의해 온풍이 실내로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구(13)를 개방시켜 온풍의 상하방향의 흐름을 제어하며 루비모터(212)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수평브레이드(21)와, 상기 팬(12)이 작동될 경우 TKDRL 팬(12)의 송풍력에 의해 온풍이 상기 본체(1)의 내부에서 와류됨이 없이 원활하게 실내의 원거리로 토출되도록 루버모터(222)의 축(221)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의 외부방향으로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수평브레이드(21)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하부수평브레이드(22)와, 상기 팬(12)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22)가 상기 본체(1)로부터 돌출됨이 없도록 상기 하부수평브레이드(22)를 수용하며 상기 본체(1)에 형성된 홈(2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
KR92022805U 1992-11-19 1992-11-19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 KR0119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805U KR0119920Y1 (ko) 1992-11-19 1992-11-19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805U KR0119920Y1 (ko) 1992-11-19 1992-11-19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112U KR940013112U (ko) 1994-06-22
KR0119920Y1 true KR0119920Y1 (ko) 1998-07-15

Family

ID=1934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2805U KR0119920Y1 (ko) 1992-11-19 1992-11-19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9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253B1 (ko) * 2007-01-25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5591A (ja) * 2001-08-24 2003-03-05 Sanyo Electric Co Ltd 壁掛け型空気調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253B1 (ko) * 2007-01-25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112U (ko) 199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6095A (zh) 带加热器的换气扇
KR0119920Y1 (ko) 공기조화기용 수평풍향 조절장치
JP2006097986A (ja) 浴室暖房機
US4557247A (en) Warm-air heating apparatus
JP2007120895A (ja) 空気調和機
CN212746662U (zh) 出风结构及家用电器
JP2006097985A (ja) 暖房装置
JP7517791B2 (ja) 空気調和機
JP4517478B2 (ja) トイレ装置の部屋暖房装置
JP2005221178A (ja) 強制同時給排気型換気装置
JP4715393B2 (ja) 空調装置
JP3748185B2 (ja) 浴室暖房機
JP2005106372A (ja) 浴室暖房機
JP2556507Y2 (ja) 電気温風機
JP2006022989A (ja) 乾燥暖房機
JPH08152176A (ja) 空気調和機
JP7065295B2 (ja) 浴室暖房乾燥機
JP2000179879A (ja) 組込み式暖房機及び組込み式暖房機を備えた浴室構造
JPH08164087A (ja) 手乾燥装置
JP2690140B2 (ja) 空気調和機
JPH05296549A (ja) 空気調和装置
JPS6252222B2 (ko)
JP2003166737A (ja) 浴室用換気装置
JP2006071227A (ja) 空気調和機
JPH0762552B2 (ja) エアシャワーノズルの過熱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111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119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70830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711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2001 Appeal

Decision date: 19980305

Appeal identifier: 1997201003279

Request date: 1997121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UB09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UB09011R02I

Patent event date: 19971030

Comment text: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19971219

Decision date: 19980305

B701 Decision to grant
U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80305

Patent event code: UB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09

Patent event code: UB07011S01I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Request date: 19971219

Decision date: 19980305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3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7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