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9798B1 - 팝 노이즈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팝 노이즈 제거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798B1
KR0119798B1 KR1019940039688A KR19940039688A KR0119798B1 KR 0119798 B1 KR0119798 B1 KR 0119798B1 KR 1019940039688 A KR1019940039688 A KR 1019940039688A KR 19940039688 A KR19940039688 A KR 19940039688A KR 0119798 B1 KR0119798 B1 KR 011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ignal
pulse
pop noise
m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288A (ko
Inventor
금동진
최진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9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798B1/ko
Publication of KR96002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25Discriminating pulses
    • H03K5/1252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팝 노이즈 제거회로에 관한 것으로 마이컴을 사용하지 않고 내부회로만으로 뮤팅을 시킨 후에 스위치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팝 노이즈를 제거시켜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업고, 생산비를 단축시킨 팝 노이즈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팝 노이즈 제거회로
제1도는 종래의 매뉴얼 컨트롤 시스템에서 스위치 컨트롤 블록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각 시스널의 파형도.
제3도는 종래의 팝 노이즈를 제거하는 시스템.
제4도는 제3도의 각부 출력 파형도.
제5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회로의 블록 구성도.
제6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회로의 스위치 펄스 발생부의 상세 회로도.
제7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회로의 각부 출력 파영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 2 : 전압제어 증폭기
3 : 제어부 4 : 기능선택 스위치
6 : 래치부 7 : 스위치 펄스 발생부
10 : 뮤팅 및 펄스 발생부
이 발명은 팝 노이즈 제거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마이컴의 제어신호 없이 스위치 컨트롤 신호만으로 뮤팅 온, 스위치 컨트롤, 뮤팅 오프하는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팝 노이즈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에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중 하나를 선택 사용하다가, 스위치로서 기능을 변환해 가면서 사용을 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신호 경로(Signal Path)를 거쳐 들어오는 여러개의 입력중 하나를 출력하는 시스템에서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 스위치를 컨트롤하여 신호 경로를 바꾸어 주는데, 이때 신호 경로의 이동은 갑작스런 전위 변화를 일으켜 팝 노이즈(Pop Noise)를 발생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팝 노이즈가 일어나는 과정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매뉴얼 컨트롤 시스템에서 스위치 컨트롤 블록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각 시그널의 파형도이고, 제3도는 종래의 팝 노이즈를 제거하는 시스템이고, 제4도는 제3도의 각부 출력 파형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스위치 컨트롤 블록의 구성은, 여러가지 신호를 입력받는 스위치(1)에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가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1)의 출력단에 전압제어 중폭기(2)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의 스위치 컨트롤 블록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기능선택 스위치(SWI,SW2)중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3)가 스위치(1)를 제어하여 그 기능에 해당하는 신호만이 전압제어 증폭기(2)를 통과하여 출력(VOLT)이 된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기능선택 스위치(SW1,SW2)를 변환하면, 예를 들어 제2기능선택 스위치(SW2)에서 제1기능 스위치(SW1)롤 변환을 하면 스위치(1)로 입력되는 신호(VIN1,VIN2,VIN3,VIN4)경로 상호간에 존재하는 전위차로 인해 팝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의 파형을 제2도에 도시하였는데,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신호경로 상호간의 전위차가 팝 노이즈(P)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팝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NEC UPC1891A의 마이컴 컨트롤 방식)이 제시된바 있는데 이를 제3도에 도시하였다.
또한 미국특허 제4,581,541호에도 이와 유사한 특허가 제시된 바가 있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팝 노이즈를 제거하는 시스템의 구성은, 뮤팅을 시켜 팝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마이컴(5)에 기능선택 스위치(4)가 연결되어 있고, 기능선택 스위치(4)에는 제어부(3)가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3)의 출력단에는 여러 가지 신호를 입력받는 스위치(1)가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1)의 출력단에 전압제어 증폭기(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압제어 증폭기(2)와 기능선택 스위치(4)의 사이에 뮤팅을 하기 위한 커패시터(C)와 저항(R)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의 팝 노이즈를 제거하는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원하는 기능으로 스위치(1)를 통하여 원하는 신호를 받다가 기능선택 스위치(4)를 변환시키면, 마이컴(5)이 뮤팅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뮤팅 신호는 전압제어 증폭기(2)의 이득이 저항(R)과 커패시터(C)로부터 만들어지는 알씨(RC)시정수에 따라 서서히 변하게 한다.
그 다음 마이컴(5)은 제어부(3)를 통하여 전압제어 증폭기(2)의 이득이 최소가 되는 전압에서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1)를 제어한다.
그 다음 마이컴(5)은 뮤팅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뮤팅을 오프시킨다.
뮤팅이 오프되면, 원하는 기능의 신호가 출력된다. 참고로 상기 과정중의 각부 파형이 제4도에 도시되어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팝 노이즈를 제거하는 시스템에서는, 마이컴에서 뮤팅 온 신호를 내보내고 알씨(RC)시정수에 따른 방전전압이 전압제어 증폭기의 이득을 최소로 하는 전압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스위치를 컨트롤하고 뮤팅 오프 신호를 보내주어야 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했다.
그러나, 종래의 팝 노이즈를 제거하는 시스템은 마이컴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상 원가가 많이들고,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응답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컴을 사용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없어 생산비가 단축되는 팝 노이즈 제거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이 발명의 구성은,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 스위치와 ;상기 기능성택 스위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스위치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치 펄스 발생부와 ;상기 펄스 발생부로부터 펄스신호를 받아 뮤팅을 걸고난 후 다시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뮤팅 및 펄스신호 발생부와;상기 뮤팅 및 펄스신호 발생부로부터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기능선택 스위치의 신호를 래치시키기 위한 래치부와 ;상기 래치부로부터 오는 신호를 입력받아 적절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 제어신호에 맞는 기능을 가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전압제어 증폭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위치 펄스 발생부는 두개의 딜레이와 두개의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와 오아 게이트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뮤팅 및 펄스신호 발생부는 플립플롭과, 저항과, 커패시터와, 비교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을 실시한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회로의 블록 구성도이고, 제6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회로의 스위치 펄스 발생부의 상세 회로도이고, 제7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회로의 각부 출력 파형도이다.
제5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회로 구성은,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 스위치(4)의 출력단에 병렬로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스위치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치 펄스 발생부(7)가 연결되고, 그 출력단에 플립플롭(8)이 연결되며, 플립플릅(8)의 출력단에는 저항(R)이 연결되고 그 다음 커패시터(C)와 비교기(9)가 연결되며, 비교기(9)의 출력은 다시 플립플릅의 클리어 단자와 래치부(6)로 연결되고, 그 출력단은 상기 래치부(6)로부터 오는 신호를 입력받아 적절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3)에 연결되며, 그 출력은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 제어신호에 맞는 기능을 가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치(1)로 입력되며, 스위치(1)는 상기 스위치(1)의 시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전압제어 증폭기(2)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회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회로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의 신호가 스위치(1)와 전압제어 증폭기(2)를 통하여 출력된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다른 기능을 원하여 기능선택 스위치(4)를 누르면, 스위치 단자가,하이에서 로우 또는로우에서 하이로 변한다.
변환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딜레이(71,72)와, 익스클루시브 오아 게이트(73,74)와 오아 게이트(75)로 구성된 스위치 펄스 발생부(7)가 펄스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펄스신호는 디형으로 구성된 플립플롭(8)의 클록단자(CK)로 입력되고, 플립플롭(8)의 출력단자(QB)는 하이에는 로우로 된다(상기에서 플립플롭의 출력단자(QB)가 하이인 이유는, 전원을 온 할 때'c'노드가 0V로 VMIN전압보다 낮으므로 비교기(9)의 출력이 하이가 되고 플립플롭(8)은 리셋되기 때문이다.)
플립플롭(8)의 출력(QB)이 로우가 되면 캐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이 알씨(RC)시정수에 따라 방전하게 된다.
이 방전되는 전압을 비교기(9)의(-)입력단자로 하여 전압제어 증폭기(2) 이득을 최소로 하는 전압(VMIN)보다 작아지는 전압에서 전압제어 증폭기(2)는 뮤팅(muting)되고, 비교기(9)의 출력은 하이가 된다.
이때 플립플롭(8)이 리셋되어 플립플롭(8)의 출력단자(QB)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해 알씨(RC)시정수에따라 다시 충전하게 되는데, 충전전압이 전압제어 증폭기(2) 이득을 최소로 하는 전압(VMIN)보다 커지면 전압제어 증폭기는 뮤팅이 풀리고 비교기(9)의 출력은 하이에서 로우로 떨어진다.
상기에서 비교기(9)의 (-) 입력단자 전압이 기준전압(VMIN)을 기준으로 작아졌다가 커지므로 이때 비료기(9)의 출력은 펄스를 발생시킨다. 이때의 파형은 제 7 도의 c), d)에 도시하였다.
상기 비교기 (9)의 펄스신호로 스위치 제어신호를 래치부(6)로 래치시키고, 래치된 신호는 제어부(3)를 통해 원하는 입력을 선택하게 된다.
즉, 스위치 컨트롤 신호로 전압제어 증폭기(2) 이득이 최소가 되는 전압(VMIN)에서 스위피(1)를 제어하여 스위치(1) 제어에 따른 팝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이컴을 사용하지 않고 내부회로만으로 뮤팅을 시킨 후에 스위치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팝 노이즈를 제거 시켜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없고, 생산비가 단축되는 잇점이 있는 팝 노이즈 제거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 스위치와 ;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스위치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치 펄스 발생부와 ; 상기 펄스 발생부로부터 펄스신호를 받아 뮤팅을 걸고난 후 다시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뮤팅 및 펄스신호 발생부와 ; 상기 뮤팅 및 펄스신호 발생부로부터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기능선택 스위치의 신호를 래치시키기 위한 래치부와 ; 상기 래치부로부터 오는 신호를 입력받아 적절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와 ;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그 제어신호에 맞는 기능을 가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치와 ; 상기 스위치의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전압제어 증폭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팝 노이즈 제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위치 펄스 발생부는 두개의 딜레이와, 상기한 딜레이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익스클루시브 오아 게이트와, 상기한 익스클루시브 오아 게이트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오아 게이티트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팝 노이즈 제거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뮤팅 및 펄스신호 발생부는 플립플롭과, 저항과, 캐패시터와, 비교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을 하는 팝 노이즈 제거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플립플롭은 디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팝 노이즈 제거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위치 펄스 발생부에서 나온 펄스를 플립플롭의 클록 단자로 사용하여 알씨(RC)시정수에 의한 방전을 이용하여 뮤팅을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노이즈 제거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압제어 증폭기의 이득이 최소가 되는 전압을 설정하여 비교기의 (+)단자에 연결하고, 충방전 전압을 (-)단자에 연결하여 비교기 출력에서 펄스가 발생하도록 하고, 이 펄스로 스위치 제어신호를 래치라여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노이즈 제거회로.
KR1019940039688A 1994-12-30 1994-12-30 팝 노이즈 제거회로 KR011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688A KR0119798B1 (ko) 1994-12-30 1994-12-30 팝 노이즈 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688A KR0119798B1 (ko) 1994-12-30 1994-12-30 팝 노이즈 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288A KR960027288A (ko) 1996-07-22
KR0119798B1 true KR0119798B1 (ko) 1997-10-30

Family

ID=1940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688A KR0119798B1 (ko) 1994-12-30 1994-12-30 팝 노이즈 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815B1 (ko) * 2003-05-02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발생장치 및 신호 발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288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4303A (en) Automatic volume adjusting apparatus
JPH098563A (ja) 光受信前置増幅器
JPH1132488A (ja) 電力制御回路及び電力制御方法
US5955925A (en) Digital AGC circuit
EP0886372A3 (en) Oscillator circuit containing a noise prevention circuit
US7102405B2 (en) Pulse-width modulation circuit and switching amplifier using the same
KR0119798B1 (ko) 팝 노이즈 제거회로
US7298800B2 (en) Analog signal control method, analog signal controller, and automatic gain controller
CN101154930B (zh) 自动增益控制电路
US5838803A (en) Muting circuit
US5361048A (en) Pulse width modulator having a duty cycle proportional to the amplitude of an input signal from a differential transducer amplifier
US58942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alog signals into pulse signals with simultaneous analog signal compression
US5438291A (en) Controlled delay digital clock signal generator
JP2003152482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US6545570B2 (en) Tuning circuit including a negative impedance circuit
JPH03175709A (ja) 高周波増幅器の電力制御回路
JP3949817B2 (ja) 音声ミュートユニット
JPH08107359A (ja)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
KR20000000939A (ko) 자동 이득 제어 회로
SU1039033A1 (ru) Управл емый силовой ключ
JPH07273616A (ja) チョッパ型コンパレータ
JP2746082B2 (ja) A/d変換器
EP0603077A1 (en) Controlled delay digital clock signal generator
SU1256144A1 (ru) Усилитель с дискрет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напр жением питани
SU815879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импульс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