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9095Y1 - 자동차 부설용 텐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설용 텐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095Y1
KR0119095Y1 KR2019950008572U KR19950008572U KR0119095Y1 KR 0119095 Y1 KR0119095 Y1 KR 0119095Y1 KR 2019950008572 U KR2019950008572 U KR 2019950008572U KR 19950008572 U KR19950008572 U KR 19950008572U KR 0119095 Y1 KR0119095 Y1 KR 0119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rame
car
lay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775U (ko
Inventor
정희선
Original Assignee
정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선 filed Critical 정희선
Priority to KR2019950008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095Y1/ko
Publication of KR960034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7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지붕에 부설하여 취침을 하거나 기타 화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부설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텐트를 자동차의 지붕에 일체형으로 형성한 캠핑카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실린더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게 되고 또 이의 구동을 위하여 자동차 엔진을 구동시켜야 함에 따른 연료소모 및 소음 발생을 감수해야 하였으며, 더불어 해당 자동차의 규격과 일치되는 규격으로 설치되어야 하기에 주문 제작에 의존해야 함은 물론 특히, 구성 각부가 견고하지 못하여 악천후에는 사용이 불가능 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이 협소하여 취침공간으로는 활용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절첩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되는 텐트를 차종에 구애받지 않고브라켓의 규격만을 변화시켜 간편·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야외 캠핑시 다량의 하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취침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부설용 텐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전체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작용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작용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전체 분리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A부 작용상태도
제6도는 제1도의 B부 작용상태도
제7도는 제4도의 C부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2 : 물받이
3a,3b : 주프레임 4a,4b : 고정프레임
4' : 걸림돌부 5 : 덮개
6a.6b : 지주 7,8,14 : 출핀
9 : 승강구 10 : 단턱
11 : 지지프레임 12 : 보조프레임
12' : 장공 13 : 연결프레임
15 : 텐트 B : 브라켓
본 고안은 자동차의 지붕에 부설하여 취침을 하거나 기타 하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 부설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날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자동차의 보유가 보편화되고, 또 이에 따른 영향으로 여가선용과 정서함양을 위한 수단으로써 여행을 선호하는 추세가 급증하고 있는바,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캠핑카나 캐러밴등의 점진적으로 보급되고 있으나, 이들은 자동차를 개조해야 하거나 별도의 트레일러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그리하여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를 통상 그대로 활용하게 되는데, 일반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는 주로 승용차 또는 승용차가 주종을 이루게 되므로 야외 캠핑시 취침을 위하여 텐트를 별도로 휴대·운반케 되어 자동차의 수용공간을 별도로 배정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텐트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었던 것이다.
이에, 자동차의 지붕에 덮개를 설치하고 이 덮개를 설치하고 이 덮개가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도록하되, 상·하로 연접하여 텐트를 설치하므로서 내부공간에 하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는 실린더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하게 되고 또 이의 구동을 위해서 자동차 엔진을 구동시켜야 함에 따른 연료소모 및 소음 발생을 감수해야 하였으며, 더불어 해당 자동차의 규격과 일치되는 규격으로 설치되어야 하기 주문 제작에 의존해야 함은 물론 특히, 구성 각부가 견고하지 못하여 악천후에는 사용이 불가능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이 협소하여 취침공간으로는 활용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절첩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되는 텐트를 차종에 구애받지 않고 브라켓의 규격만을 변화시켜 간편·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야외 캠핑시 다량의 하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취침이 가능토록 한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측 주프레임(3a)(3b)을 각기 고정프레임(4a)(4b)으로 고정하여 걸림돌부(4')를 형성하고, 상·하측 주프레임(3a)(3b)을 중앙이 축핀(7)으로 유설되는 상·하측 지주(6a)(6b)로 연결설치하여 상측 주프레임(3a)에 덮개(5)를 고정 설치하며, 하측 주프레임(3b)에는 브라켓(B)을 고정하여 자동차(1)의 물받이(2)에 보물트등으로 고정 설치한다.
상기 상·하측 지주(6a)(6b)는 축핀(8)으로 유설되고, 연결부에는 단턱(10)을 갖는 승강구(9)를 삽입설치한다.
상기 하측 주프레임(3b)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지지프레임(11)을 고정 설치하여, 양단에 연결프레임(13)으로 연결된 보조프레임(12)을 축핀(14)으로 유동설치하되, 양측 연결프레임(13)과 상측 주프레임(3b)에 텐트(15)를 연결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보조프레임(12)에는 장공(12')을 형성하여 지지프레임(11)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면의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해당 자동차(1)의 물받이(2)에 통상의 클램핑 방식을 이용하여 보울트 등으로 브라켓(B)을 고정하여 사용케 되는 것으로, 자동차(1)의 차종 및 물받이(2)의 규격과 형태에 맞추어 브라켓(B)을 다양하게 구비하게 되면 해당 차종에 맞는 브라켓(B)을 선택하므로서 어떠한 차종에도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도면의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연결프레임(13)으로 연결된 보조프레임(12)을 내측으로 절첩시키게 되면 연결프레임(13)에 고정된 텐트(15)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므로, 계속해서 도면의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 상·하측 지주(6a)(6b)에 삽입된 승강구(9)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서 연결부를 내측으로 밀게 되면 상·하측 지주(6a)(6b)가 축핀(7)(8)을 지점으로 절첩되므로 덮개(5)가 구성 각 부분을 포감한채 자동차(1)의 지붕에 밀착되게 되는 것인데, 이때 도면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덮개(5)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붕과 덮개(5) 를 통상의 클램핑 장치로 고정토록 함이 요구된다.
한편, 텐트로서의 사용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덮개(5)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각 상·하측 지주(6a)(6b)가 축핀(7)(8)을 지점으로 직립되면서 승강구(9)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승강구(9)가 연결부에 도달하게 되면 단턱(10)이 하측지주(6b)의 상단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의 하강이 저지도므로 승강구(9)에 의해 상·하측 지주(6a)(6b)가 절첩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는바, 이때 도면 제2도의 실선도시와 같이 연결프레임(13)을 외방으로 벌려주게 되면 보조프레임(12)이 축핀(14)을 지점으로 회전하여 하측 주프레임(3b)에 저지되므로서 텐트(15)가 확개됨과 동시에 지지프레임(11)과 보조프레임(12)이 수평을 이루게 되는 것이어서 사용자가 지지프레임(11)과 보조프레임(12)의 상면에 별도로 구비한 판재나 쿠션재 등을 깔아서 바닥을 고른 후 안락한 취침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각 상·하측 지주(6a)(6b)는 축핀(8)에 의해 기울어질 우려가 있을 수 있는바, 있는 도면 제3도의 실선도시와 같이 각 상·하측 지주(6a)(6b)의 외방으로 고정프레임(4a)(4b)에서 돌출된 걸림돌부(4')가 접지된 상태이므로 기울어짐을 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프레임(12)은 도면의 제4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장공(12')을 형성하여 지지프레임(11)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있는 불사용시에는 도면 제7도의 실선도시와 같이 보조프레임(12)을 밀어넣게 되면 텐트(15)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지주(6a)(6b)을 접척하여 덮개(5)를 하강시키게 되고, 사용시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지주(6a)(6b)를 직립시킨 후 이점쇄선 도시와 같이 보조프레임(12)을 외방으로 당겨주게 되면 축핀(14)에 장공(12')의 끝단이 걸리게 되어 더 이상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텐트(15)가 확개 되므로 사용자의 사용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이 간편·용이하면서도 실내 면적을 확대할 수 있어 텐트의 내부에 많은 양의 하물을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취침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자동차의 규격 및 종류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등의 지대한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하측 주프레임(3b)을 고정프레임(4b)과 브라켓(B)으로 자동차(1)에 형성된 물받이(2)에 고정 설치하고, 고정프레임(4a)으로 고정되는 상측 주프레임(3a)을 덮개(5)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측 주프레임(3a)(3b)에 연접하여 텐트(15)를 설치토록 한 자동차용 텐트에 있어서, 상·하측 주프레임(3a)(3b)의 단부에 중앙을 축핀(7)으로 유설한 상·하측 지주(6a)(6b)를 축핀(8)으로 유설되고, 하측 주프레임(3b)에 등간격으로 지지프레임(11)을 고정 설치하며, 지지프레임(11)의 양단에 연결프레임(13)으로 연결된 보조프레임(12)을 축핀(14)으로 유동설치하되, 양측 연결프레임(13)과 상측 주프레임(3a)에 텐트(15) 를 연결설치하여서 된 자동차 부설용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측 지주(6a)(6b)의 연결부에 단턱(10)을 갖는 승강구(9)를 유동설치하고, 상·하측 고정프레임(4a)(4b)의 양단에 걸림돌부(4')를 돌출 형성하여서 된 자동차용 부설용 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보조프레임(12)에 장공(12')을 형성하여 지지프레임(11)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하여서 된 자동차용 부설용 텐트.
KR2019950008572U 1995-04-25 1995-04-25 자동차 부설용 텐트 KR0119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572U KR0119095Y1 (ko) 1995-04-25 1995-04-25 자동차 부설용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572U KR0119095Y1 (ko) 1995-04-25 1995-04-25 자동차 부설용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775U KR960034775U (ko) 1996-11-21
KR0119095Y1 true KR0119095Y1 (ko) 1998-07-15

Family

ID=1941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572U KR0119095Y1 (ko) 1995-04-25 1995-04-25 자동차 부설용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0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3771B2 (en) 2016-06-05 2020-01-28 Yakima Products, Inc. Vehicle rooftop rack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3771B2 (en) 2016-06-05 2020-01-28 Yakima Products, Inc. Vehicle rooftop rac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775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5166A (en) Demountable extension enclosure for motor vehicles
US5056855A (en) Vehicle bed cover assembly
US4310194A (en) Tent camper for pickup truck
US3411819A (en) Expansible camper
US3286414A (en) Extensible camper
US4103958A (en) Camping vehicle body
US7396064B2 (en) Vehicle ramp room
US3515426A (en) Camper
USRE29264E (en) Tent for rear-doored vehicle
US4988121A (en) Seat belt device for open-top vehicle
EP1294998B1 (en) Car tent
KR0119095Y1 (ko) 자동차 부설용 텐트
US3326594A (en) Camping body for motor vehicles
WO1997023365A1 (en) Tent structure for motor vehicles
JP4058814B2 (ja) 自動車のルーフ構造
KR200171579Y1 (ko) 차량용 차양막
US3317237A (en) Open-view vehicle seating construction
KR980007440U (ko) 절첩식 캠핑트레일러
US20250067080A1 (en) Recreational vehicle and pop-up roof
GB2131752A (en) Vehicle extensions
KR950002135B1 (ko) 지프 자동차용 짐받이의 텐트 체결장치
KR940006119Y1 (ko) 지프 자동차용 짐받이의 텐트 체결장치
JPH02261174A (ja) 多目的自動車
KR200382816Y1 (ko) 차량용덮개를 겸한 카텐트
JPH04390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4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3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