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8466Y1 - 양복커버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양복커버용 손잡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466Y1
KR0118466Y1 KR2019950007496U KR19950007496U KR0118466Y1 KR 0118466 Y1 KR0118466 Y1 KR 0118466Y1 KR 2019950007496 U KR2019950007496 U KR 2019950007496U KR 19950007496 U KR19950007496 U KR 19950007496U KR 0118466 Y1 KR0118466 Y1 KR 0118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astening
suit
cover
su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7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440U (ko
Inventor
김몽복
Original Assignee
김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몽복 filed Critical 김몽복
Priority to KR2019950007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466Y1/ko
Publication of KR9600334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4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4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54Dust- or moth-proof garment bags, e.g. with suit hang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복커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는 부분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손에 통증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양복커버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양복버커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양복커버용 손잡이는 상단이 손잡이부(11)를 형성하고, 하단이 체결부(12)를 형성하도록 하고, 손잡이부(11)에 대하여 체결부(12)가 외방으로 굴곡되어져서 형성되어지며, 상기 체결부(12)에 체결돌기(13)가 형성되어져 돌기수용홈(22)이 형성된 체결판(21)과의 결합에 의하여 양복커버의 상단에 고정되어지도록 하여 한 벌의 손잡이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체결판(21)의 내측에 걸이구(3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손잡이부(11)의 일측에 결합돌기(14)가 그리고 타측에 결합홈(15)이 형성되어져 손잡이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손잡이부(11)의 가장자리에 보강을 위한 리브(16)을 형성시키고, 중심부에 걸이홈(17)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복커버용 손잡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복커버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는 조립된 상태의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 2 도의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 2 도의 B-B 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5도는 걸이구만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손잡이부 12:체결부
13:체결돌기 14:결합돌기
15:결합흠 16:리브
17:걸이홈 21:체결판
22:돌기수용홈 31:걸이구
32:만곡부 33:걸림돌기
본 고안은 양복커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는 부분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손에 통증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양복커버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양복커버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양복과 같이 옷의 형상이 정형화되어 있어 구김 등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옷은 가방 등에 넣어 이송하는 경우 옷의 형상이 망가져서 그대로 착용할 수 없을 정도가 되기 때문에 통상 옷걸이 걸은 채로 양복 전체를 둘러쌀 수 있는 양복커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복커버는 양복 등의 옷을 한번 정도 접어서 옷걸이에 걸어놓은 채로 커버내에 취부시켜 양복 자체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먼지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이송을 편리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양복커버의 상단에는 양복이 들어있는 양복커버 전체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취부되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종래의 양복커버용 손잡이는 단순한 평판에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위하여 단순히 구멍을 뚫어놓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구멍에 의하여 생긴 상단부분이 손잡이로서 기능하도록 하며, 그 하단부분은 별도의 체결판과의 체결에 의하여 양복커버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손잡이 형상의 평판으로 양복커버의 상단에 취부시켜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하단부분의 양복커버와 그 내부에 취부되는 양복 등의 존재로 인하여 손잡이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벌어질 수 밖에 없었으며, 이는 사용자의 손에 상당한 압박감을 주며, 손바닥이나 손가락의 살의 일부가 그 사이에 끼이게 되면 상당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상에 있어서 불편하기 그지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는 부분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손에 통증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양복커버에 완전히 밀착될수 있도록 구성된 양복커버용 손잡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복커버용 손잡이는 상단이 손잡이부(11)를 형성하고, 하단이 체결부(12)를 형성하도록 하고, 손잡이부(11)에 대하여 체결부(12)가 외방으로 굴곡되어져서 형성되어지며, 상기 체결부(12)에 결합에 의하여 양복커버에 상단에 고정되어지도록 하여 한 벌의 손잡이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체결판(21)의 내측에 길이구(3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손잡이부(11)의 일측에 결합돌기(14)가 그리고 타측에 결합홈(15)이 형성되어져 손잡이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손잡이부(11)의 가장자리에 보강을 위한 리브(16)를 형성시키고, 중심부에 걸이홈(17)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11)는 손잡이를 형성하는 평판에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진 상단부로서 그 하측에 원통형의 손가락과 밀착되도록 하여 손쉬운 파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손가락홈이 형성되어져서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종래의 손잡이구조에서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당해 기순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11)의 하단은 체결부(12)로서, 역시 종래의 손잡이구조에서도 발견될 수 있는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체결부(12)가 손잡이부(11)에 대하여 외방으로 향하여 굴곡되어지도록 하여 형성시키므로써 양복커버 자체의 두께 및 그 내부에 양복이 취부되어질 때, 폭이 증가되는 것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비록 상기 체결부(12)간의 간격이 벌어지더라고 상기 손잡이부(11)는 서로에 대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12)에는 종래의 손잡이구조와 마찬가지로 체결돌기(13)가 형성되어져 돌기수용홈(22)이 형성된 체결판(21)과의 결합에 의하여 양복커버의 상단에 고정되어지도록 하여 한 번의 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판(21)의 내측에 형성되어지는 걸이구(31)는 양복 등을 걸이둘 수 있는 공지의 옷걸이의 걸이철선(도시하지 않음)이 걸릴 수 있도록 상방으로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상기 체결판(21)에 일체로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판을 부착하여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옷걸이의 걸이철선이 상방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인입되어 그 하방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판(21)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지는 걸이구(31)의 내측 하단에 만곡부(32)를 더욱 형성시키고, 상기 만곡부(32)의 상방 걸이구(31)의 내측면에 걸림돌기(33)를 형성시켜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옷걸이의 걸이철선이 요동되지 않고 걸리도록 하고, 일단 인입된 걸이철선이 임의로 상기 걸이구(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11)에는 그 일측에 결합돌기(14)를 형성시키고, 그리고 그 타측에 결함홈(15)을 형성시켜 이들 손잡이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므로써 사용자가 운반할 때 손잡이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완전히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더우기, 상기 손잡이부(11)의 가장자리에는 손잡이부(11) 자체의 보강을 위한 리브(16)가 형성되어지며, 이들 리브(16)들은 서로 면접촉하여 하나의 일정한 두게를 갖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성술한 구성 및 설명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복커버용 손잡이는 상기한 체결부(12)와 체결판(21)을 사용하여 이들에 형성된 체결돌기(13)와 돌기수용홈(22) 간에 결합에 의하여 그 사이에 양복커버의 상단을 개재시켜 체결토록 하므로써 손잡이 자체를 양복커버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12)와 결합되는 한 벌의 체결판(21) 중 하나의 체결판(21)의 내측에 걸이구(31)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어 옷걸이를 사용하여 걸어 놓은 양복을 옷걸이에 걸린 채로 옷걸이와 함께 상기한 양복커버의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옷의 구김을 방지하고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더우기,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손잡이부(11)의 내측에도 각각 결합돌기(14)와 결합홈(15)을 형성시켜 손잡이부(11)간에도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손잡이의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한 체결부(12)가 상기 손잡이부(11)에 대하여 외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굴곡시켜 형성하크로써 체결부(12)에 체결되어지는 양복커버 및 그 내부에 수용되는 양복 등에 의하여 이들 체결부(12) 간의 간격이 벌어지더라고 그 상방에 일체로 고정되어져서 형성된 손잡이부(11)는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1)가 서로데 애하여 완전히 밀착되므로써 손에 통증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부(11)가 밀착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2)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하므로써 손잡이가 양복커버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경이나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2)

  1. 상단이 손잡이부(11)를 형성하고, 하단이 체결부(12)를 형성하도록 하고, 손잡이부(11)에 대하여 체결부(12)가 외방으로 굴곡되어져서 형성되어지며, 상기 체결부(12)에 체결돌기(13)가 형성되어져 돌기수용홈(22)이 형성된 체결판(21)과의 결합에 의하여 양복커버의 상단에 고정되어지도록 하여 한 벌의 손잡이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체결판(21)의 내측에 걸이구(3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손잡이부(11)의 일측에 결합돌기(14)가 그리고 타측에 결합홈(15)이 형성되어져 손잡이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손잡이부(11)의 가장자리에 보강을 위한 리브(16)을 형성시키고, 중심부에 걸이홈(17)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복커버용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21)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지는 걸이구(31)의 내측 하단에 막곡부(32)를 더욱 형성시키고, 상기 만곡부(32)의 상방 걸이구(31)의 내측면에 걸림돌기(33)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복커버용 손잡이.
KR2019950007496U 1995-04-14 1995-04-14 양복커버용 손잡이 KR0118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496U KR0118466Y1 (ko) 1995-04-14 1995-04-14 양복커버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496U KR0118466Y1 (ko) 1995-04-14 1995-04-14 양복커버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440U KR960033440U (ko) 1996-11-19
KR0118466Y1 true KR0118466Y1 (ko) 1998-08-01

Family

ID=1941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7496U KR0118466Y1 (ko) 1995-04-14 1995-04-14 양복커버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4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440U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638A (en) Beverage can handle with key ring attached
US4682803A (en) Fish tongs
GB2153213A (en) Detachable interior-bearing load-spreading handle
JPH0525482B2 (ko)
US4624276A (en) Umbrella handle
CA1240298A (en) Locking trolley for hangers
US3960396A (en)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KR0118466Y1 (ko) 양복커버용 손잡이
US6318922B1 (en) Cleaning implement
US5231739A (en) Ironing board securing clip
KR200331121Y1 (ko) 포장백용 손잡이
US20030221295A1 (en) Strap fastener
KR970701510A (ko) 플라스틱 가방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잡기 위한 인간 공학적 보조 손잡이(ergonomic handle device for holding plastic bags and like)
US4241476A (en) Wallet theft guard
JPH0616600Y2 (ja) 鋸収納具および鋸収納補助具
US4987660A (en) Hook-type clothespin
US2637465A (en) Can top handle
JP3008318U (ja) 開閉用つまみ具
KR920003823Y1 (ko) 목욕용 때밀이 기구
JP4125503B2 (ja) 吊下機構及び該機構を備えた吊下容器
JPH0420384Y2 (ko)
KR940001036Y1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보관구조
KR200159213Y1 (ko) 자동차 도어 아우터 사이드 핸들의 보조손잡이
JPH0232090Y2 (ko)
JPS62329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41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1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0

Payment date: 199803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1021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19980302

Request date: 2001021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20627

Appeal identifier: 2001100000248

Request date: 20010214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020627

Appeal identifier: 2001100000248

U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U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0102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61E01I

Patent event date: 1998030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010214

Appeal identifier: 2001100000247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20627

Request date: 20010214

Appeal identifier: 2001100000247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0206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214

Effective date: 200206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214

Effective date: 20020627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20629

Patent event code: UJ13011S05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020629

Patent event code: UJ13011S02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01100000247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20627

Request date: 20010214

Appeal identifier: 2001100000247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020627

Request date: 200102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