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7458Y1 -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458Y1
KR0117458Y1 KR2019950035121U KR19950035121U KR0117458Y1 KR 0117458 Y1 KR0117458 Y1 KR 0117458Y1 KR 2019950035121 U KR2019950035121 U KR 2019950035121U KR 19950035121 U KR19950035121 U KR 19950035121U KR 0117458 Y1 KR0117458 Y1 KR 0117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rotated
wind direction
angle
synchronou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5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189U (ko
Inventor
권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서
Priority to KR2019950035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458Y1/ko
Publication of KR9700241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1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04D25/105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by changing rotor axis direction, e.g. oscillating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을 인가시키면 동기모터(미도시)의 구동으로 회전하며 한쪽에 걸림턱(11)이 돌출되는 풍향팬(10)과, 상기 풍향팬(10)이 회전하여 걸림턱(11)이 일정구간 회전되면 이를 구속하여 반대방향으로 동기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제1각도다이얼(20)와, 상기 제1각도다이얼(20)에 의해 동기모터가 역회전되어 걸림턱(11)이 일정구간 이동하면 이를 구속하여 다시 정회전시키는 제2각도조절다이얼(30)을 구성함으로서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팬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바람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팬의 안쪽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풍향팬 11 : 걸림턱
20,30 : 제1,2각도다이얼 21,31 : 가로막
A : 회전반경
본 고안은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팬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바람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은 구조상 한 방향으로 고정되거나, 360°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서 풍향팬은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풍향팬을 회전시키게 되면 360°계속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실제 선풍기의 바람을 요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도 다른 곳으로 바람이 가게 되어 경제적으로 손실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팬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바람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은, 동기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며 한쪽에 걸림턱이 돌출되는 풍향팬과, 상기 풍향팬이 회전하여 걸림턱이 일정구간 회전되면 이를 구속하여 반대방향으로 동기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제1각도다이얼과, 상기 제1각도다이얼에 의해 동기모터가 역회전되어 걸림턱이 일정구간 이동하면 이를 구속하여 다시 정회전시키는 제2각도조절다이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으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박스형 풍향팬에 있어서, 전원을 인가시키면 동기모터(미도시)의 구동으로 회전하며 한쪽에 걸림턱(11)이 돌출되는 풍향팬(10)과, 상기 풍향팬(10)이 회전하여 걸림턱(11)이 일정구간 회전되어 가로막(21)에 구속되면 반대방향으로 동기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제1각도다이얼(20)과, 상기 제1각도다이얼(20)에 의해 동기모터가 역회전되어 걸림턱(11)이 일정구간 이동하여 가로막(31)에 구속되면 동기모터를 정회전시키는 제2각도조절다이얼(30)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각도다이얼(20),(30)은 임의의 각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2 각도다이얼(20)(30)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막(21),(31)은 걸림턱(11)을 다른 방향에서 구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제2도에서와 같이 풍향팬(10)이 원하는 회전반경(A)으로만 회전할수 있도록 제1각도다이얼(20)과 제2각도다이얼(30)을 각각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제1,2다이얼(20),(30)의 각도가 정해지면 전원을 인가시켜 동기모터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동기모터의 구동으로 풍향팬(10)이 걸림턱(11)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걸림턱(11)이 일정구간 회전하면서 제1각도다이얼(2)의 가로막(21)에 구속되면 동기모터는 역회전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다시 걸림턱(11)이 제2각도조절다이얼(30)의 가로막(31)에 구속되면 동기모터는 정회전하여 회전범위(A)내에서만 계속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팬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바람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박스형 풍향팬에 있어서, 전원을 인가시키면 동기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며 한쪽에 걸림턱(11)이 돌출되는 풍향팬(10)과, 상기 풍향팬(10)이 회전하여 걸림턱이 일정구간 회전되어 가로막(21)에 구속되면 반대방향으로 동기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제1각도다이얼(20), 상기 제1각도다이얼(20)에 의해 동기모터가 역회전되어 걸림턱이 일정구간 이동하여 가로막(31)에 구속되면 동기모터를 다시 정회전시키는 제2각도조절다이얼(30)로 구성되며, 상기 제1,2 각도다이얼(20,30)은 임의의 각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풍향 조절장치.
KR2019950035121U 1995-11-23 1995-11-23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 장치 KR0117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121U KR0117458Y1 (ko) 1995-11-23 1995-11-23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121U KR0117458Y1 (ko) 1995-11-23 1995-11-23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189U KR970024189U (ko) 1997-06-20
KR0117458Y1 true KR0117458Y1 (ko) 1998-07-15

Family

ID=1942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5121U KR0117458Y1 (ko) 1995-11-23 1995-11-23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4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189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8738A (en) Electric mirror angle adjusting device with pivoting cross-shaped member
KR0117458Y1 (ko) 박스형 선풍기의 풍향 조절 장치
ES2048712T1 (e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de un motor de toldo o similares con dos sentidos de rotacion.
EP0989385A1 (en) Collimating direc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surveying instrument
KR970066378A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EP0271590A4 (en) Robot control apparatus
US6038816A (en) Blinder
US6381888B1 (en) Device for changing elongated objects
JPS55130202A (en) Miniature antenna device
JPH0370931A (ja) 空気調和機
US4751544A (en) Diaphragm drive method
JPS58108427A (ja) 分光光度計のスリツト駆動方式
KR0111784Y1 (ko) 광학계 배율 변환 장치
JPH0641581U (ja) 電動カーテン開閉装置
SU1377842A1 (ru) Ограничитель вращени
JP2003064939A (ja) 換気窓の開閉制御装置、及び、その開閉制御装置に使用されるカム部材
JP3250326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970021772A (ko) 선풍기의 풍향각 제어장치
JPS55134792A (en) Blower
JPS57112735A (en) Film winding device for camera
JP3111121B2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のモータ制御方法
JPH0730873Y2 (ja) 電動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
JPS6343549A (ja) 直流モ−タ
JPS6217748Y2 (ko)
JPH06225648A (ja) 巻上装置における巻取り軸の回転角度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1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711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2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