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7339Y1 -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339Y1
KR0117339Y1 KR2019940023177U KR19940023177U KR0117339Y1 KR 0117339 Y1 KR0117339 Y1 KR 0117339Y1 KR 2019940023177 U KR2019940023177 U KR 2019940023177U KR 19940023177 U KR19940023177 U KR 19940023177U KR 0117339 Y1 KR0117339 Y1 KR 0117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guide member
roller
presen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499U (ko
Inventor
박용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3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339Y1/ko
Publication of KR9600104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3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aking a position opposite to the original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내부재와 로울러 및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시트백 이동장치를 시트쿠션의 일측면부와 시트백의 일측부에 설치하여서, 상기 시트백을 이동가능하게 하여 주므로써,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조정하여 탑승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백의 이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백의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1도를 A방향에서 본 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쿠션 2 : 바닥패널
3 : 안내부재 4 : 안내홈
5 : 로울러 6 : 시트백
7 : 젖힘장치 8 : 연결부재
9 : 레버 10 : 차단부재
11 : 끼움홈 12 : 끼움핀
13 : 끼움체 14 : 리턴스프링
15 : 젖힘 손잡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쿠션의 일측면부와 시트백의 일측부에 안내부재와 로울러 및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이동장치를 설치하여서, 상기 시트백을 이동시켜줄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자동차에는 다수의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러한 시트에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시트백이 후방으로 일정각도 젖혀질 수 있도록 젖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백의 젖힘에는 한계가 있었고, 따라서 탑승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내부재와 로울러 및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시트백 이동장치를 시트쿠션의 일측면부와 시트백의 일측부에 설치하여서, 상기 시트백을 이동가능하게 하여 주므로써,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조정하여 탑승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시트쿠션(1)의 일측면부에 위치하는 바닥패널(2)의 상단에 융착 고정되어 있는 안내부재(3)와, 이 안내부재(3)의 안내홈(4)에 내장되어 있는 로울러(5)와, 이 로울러(5)와 시트백(6)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젖힘장치(7)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8)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3)의 양끝부 일측면에는 끝단에 레버(9)가 형성되어 있는 차단부재(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본 고안의 시트백(6) 이동장치는 시트쿠션(1)의 일측면부에 위치하는 바닥패널(2)의 상단에 융착 고정되어 있는 안내부재(3)와, 이 안내부재(3)의 안내홈(4)에 내장되어 있는 로울러(5)와, 이 로울러(5)와 시트백(6)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젖힘장치(7)를 연결하는 연결부재(8)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바닥패널(2)은 시트쿠션(1)의 일측면부 하단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때의 바닥패널(2) 일부는 곡면부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 바닥패널(2)의 상단에 융착 고정되어 있는 안내부재(3) 역시 일부는 곡면부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3)의 안내홈(4)에 내장되는 로울러(5)의 양측단 중심부에는 끼움홈(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8)의 일끝단 중심부에는 끼움핀(12B)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다른 일끝단 중심부에는 끼움홈(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젖힘장치(7)의 일측단에는 끼움핀(12A)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로울러(5)의 끼움홈(11A)에는 연결부재(8)의 끼움핀(12B)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8)의 끼움홈(11B)에는 젖힘장치(7)의 끼움핀(12A)이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3)의 양끝부 일측단에는 끼움체(1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움체(13)에는 끝단에 렐버(9)가 형성되어 있는 차단부재(10)가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의 차단부재(10)와 안내부재(3)의 끼움체(13)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14)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리턴 스프링(14)은 상기 차단부재(10)를 일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다.
한편, 안내부재(3)의 안내홈(4)에 내장되어 있는 로울러(5)는 안내홈(4)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안내부재(3)의 양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부재(10)는 로울러(5)와 젖힘장치(7)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8)를 간섭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10)는 안내부재(3)의 안내홈(4)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로울러(5)를 통제하게 된다.
또한, 젖힘장치(7)는 시트백(6)을 일정각도 후방으로 젖힐 수 있다. 즉, 상기 젖힘장치(7)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젖힘 손잡이(15)를 당기면서 동시에 시트백(6)을 후방으로 젖히면, 상기 시트백(6)은 일정각도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는 바, 이러한 시트백(6)의 젖힘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장치와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안내부재(3)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부재(10)의 레버(9)를 당겨서 연결부재(8)를 가로막고 있던 차단부재(10)를 해제시키고, 이어서 시트백(6)을 시트쿠션(1)의 앞쪽으로 밀면, 이 시트백(6)에 연결되어 있는 로울러(5)는 안내홈(4)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시트백(6)은 시트쿠션(1)의 전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계속해서, 시트쿠션(1) 전단부의 안내부재(3)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부재(10)의 레버(9)를 당겨서 해제시킨후, 상기 시트백(6)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8)와 로울러(5)를 안내홈(4)의 일끝단에 밀어넣고, 상기 차단부재(10)의 레버(9)는 놓으면, 이때의 차단부재(10)는 리턴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고, 따라서 상기 로울러(5)와 연결부재(8)를 안내홈(4)의 일끝단에 고정시키게 되어서 결국 시트백(6)의 이동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3)는 시트쿠션(1)의 상단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트쿠션(1)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안내부재(3)도 곡면부로 형성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안내부재(3)를 따라 이동한 시트백(6)은 자동차의 전방측으로 기울어져 있게 된다.
이때, 이러한 시트백(6)을 정상적인 위치로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백(6)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젖힘장치(7)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백(6)을 조정한다.
즉, 상기 시트백(6)은 안내부재(3)의 곡면부로 인하여 이동 후 자동차의 전방쪽으로 과다하게 젖혀있게 되고, 이러한 시트백(6)은 젖힘장치(7)에 의해서 정상적인 위치로 조정될 수 있으며, 물론 이때의 시트백(6)의 젖힘작동은 시트백(6)의 이동 전이나 이동 후 혹은 시트백(6)의 이동 중간에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안내부재와 로울러와 연결부재 등으로 이루어진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백을 시트쿠션의 전단부로 이동 가능하게 하므로써,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탑승자의 의도대로 조정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시트쿠션(1)의 일측면부에 위치하는 바닥패널(2)의 상단에 융착 고정되어 있는 안내부재(3)와, 이 안내부재(3)의 안내홈(4)에 내장되어 있는 로울러(5)와, 이 로울러(5)와 시트백(6)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젖힘장치(7)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8)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3)의 양끝부 일측면에는 끝단에 레버(9)가 형성되어 있는 차단부재(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
KR2019940023177U 1994-09-08 1994-09-08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 KR0117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177U KR0117339Y1 (ko) 1994-09-08 1994-09-08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177U KR0117339Y1 (ko) 1994-09-08 1994-09-08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99U KR960010499U (ko) 1996-04-12
KR0117339Y1 true KR0117339Y1 (ko) 1998-04-27

Family

ID=1939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177U KR0117339Y1 (ko) 1994-09-08 1994-09-08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3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99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7375B2 (en) Headrest apparatus moveable in cooperation with seat back
US8061776B2 (en) Walk-in and folding apparatus for seat
US20030234551A1 (e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KR20100022547A (ko) 자동차 시트용 사이드볼스터 장치
US20070228796A1 (en) Rising Pivot Seat
KR100254491B1 (ko) 위치복귀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용 슬라이드
JP2003063293A (ja) 自動車のサブマリン防止用パネル構造
KR0117339Y1 (ko)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
JPH06296530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KR102185136B1 (ko) 자동차용 워크-인 시트의 케이블 이탈 방지 장치
JP3731958B2 (ja) 自動車用シート
KR0119895B1 (ko) 자동차용 섭동식 시트의 레버장치
KR100387629B1 (ko) 자동차용 안전 시트 구조
US12139050B2 (en) Seat frame for vehicle
KR100455044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20040042946A (ko) 자동차의 센터 시트 마운팅 구조
JPH10203207A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0405460B1 (ko)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이동장치
KR0117353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KR100472655B1 (ko) 자동차의 승객 탑승장치
JPH0127955Y2 (ko)
KR10022325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위치조절장치
KR960004712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KR0127706Y1 (ko) 아암 레스트용 트랙
JPH10157497A (ja) 自動車リヤ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90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101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908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2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6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