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7303Y1 -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303Y1
KR0117303Y1 KR2019940019716U KR19940019716U KR0117303Y1 KR 0117303 Y1 KR0117303 Y1 KR 0117303Y1 KR 2019940019716 U KR2019940019716 U KR 2019940019716U KR 19940019716 U KR19940019716 U KR 19940019716U KR 0117303 Y1 KR0117303 Y1 KR 0117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ixed
link
transmission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930U (ko
Inventor
고원호
Original Assignee
고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원호 filed Critical 고원호
Priority to KR2019940019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303Y1/ko
Publication of KR960006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 A47C1/0327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고안은 사용자가 예를들어 시이트의 앞쪽으로 착석자세를 변화시키게 되면, 시이트의 앞부분이 바퀴고정프레임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낮추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시이트의 등받이부분이 시이트와 함께 앞쪽으로 이상적인 경사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착석자세의 변화에 대응한 위치의 변형으로, 근육계통 및 관절부위에 문제의 유발등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배면에 등받이(101)가 형성되어 있는 시이트(100)를 바퀴고정프레임(500)의 트랜스밋션(400)의 토션스프링(405)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시이트유지링크(200)와; 상기 시이트유지링크(200)의 타단이 등받이(101)에 연결되어 상기 시이트(100)의 등받이부분이 상기 트랜스밋션(400)의 토션스프링(405)을 중심으로 탄성력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정힌지(300)와;상기 시이트(100)저면의 바퀴고정프레임(500)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한쪽은 낮춤고정링크(401)에 고정되고, 상기 다른한쪽은 시이트유지링크(200)의 고정체(202)에 삽입되어 상기 시이트(100)의 이동에 따라서 비틀림 복원력을 가지는 트랜스밋션(400);으로 이루어져, 상기 시이트부분과 등받이부분이 연동하여 이동 및 복원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제 1 도는, 본고안의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고안의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의 분해 사시도.
제 3 도(가)는, 본고안의 트랜스밋션의 사시도.
(나)는, 본고안의 트랜스밋션의 종단면도.
제 4 도(가)는, 본고안의 시이트부분의 측면도.
(나)는, (가)의 상태에서 시이트부분이 앞으로 낮추어졌을 때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시이트 200 : 시이트유지링크
300 : 고정힌지 400 : 트랜스밋션
500 : 바퀴고정프레임
본고안은 사용자의 착석위치에 따라서 시이트와 등받이 부분이 사용자로 하여금 근육계통의 이완과 척추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박의 감소 및 다리와 골반부위의 울혈을 피하여, 생리학적으로 가장 편안하고 균형잡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예를들어 시이트의 앞쪽으로 착석자세를 변화시키게 되면, 시이트의 앞부분이 바퀴고정프레임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낮추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시이트의 등받이부분이 시이트와 함께 앞쪽으로 이상적인 경사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착석자세의 변화에 대응한 위치의 변형으로, 근육계통 및 관절부위에 문제의 유발등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을 가지는 업무용 의자의 경우에는 바퀴고정프레임에 용접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높이 조정가능한 지주에 시이트가 고정브라켓트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앉은 키에 따라서 시이트를 나선이동 또는 승강이동수단에 의하여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부가하여 상기 등받이를 스프링으로 탄성력있게 장착하여 사용자가 착석한 자세에서 뒷쪽으로 경사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능성을 가지는 의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단순하게 시이트의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등받이를 뒤쪽으로 시이트를 중심으로 스프링의 인장범위 만큼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한정되어 있는 것이어서, 사용자의 착석 높낮이 및 등쪽을 굽힐 수 있는 사용범위 만을 허용할 뿐이다.
따라서, 인체의 생리학적으로 근육계통의 이완과 척추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박의 감소 및 다리와 골반부위의 울혈을 방지할 수 없는 결점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고안은 바퀴고정프레임의 트랜스밋션의 토션스프링을 중심으로 피버트운동 가능하도록 하면서 트랜스밋션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일정간격 하강가능하도록 시이트를 장착하고, 이 시이트와 연계하여 등받이가 시이트유지링크에 의하여 상기 트랜스밋션의 토션스프링을 중심으로 피버트운동 가능하도록 하여, 시이트의 위치변형에 상관하여 등받이가 이상적인 경사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인체의 생리학적으로 근육계통의 이완과 척추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박의 감소 및 다리와 골반부위의 울혈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를 제공 하고자 한다.
본고안의 주요지는, 배면에 등받이가 형성되어 있는 시이트를 바퀴고정프레임의 트랜스밋션의 토션스프링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시이트유지링크와; 상기 시이트유지링크의 타단이 등받이에 연결되어 상기 시이트의 등받이부분이 상기 트랜스밋션의 토션스프링을 중심으로 탄성력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정힌지와; 상기 시이트저면의 바퀴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한쪽은 낮춤고정링크에 고정되고, 상기 다른한쪽은 시이트유지링크의 고정체에 삽입되어, 상기 시이트의 이동에 따라서 비틀림 복원력을 가지는 트랜스밋션;으로 이루어져 상기 시이트부분과 등받이부분이 연동하여 이동 및 복원가능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고안은 상기 트랜스밋션이, 관체 및 관체내의 토션스프링이 한쪽끝단은 낮춤고정링크에 고정되고, 다른한쪽은 일측의 바퀴고정프레임에 관체가 삽입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의 끝단이 상기 시이트유지링크의 고정체에 고정되고, 상기 관체의 바깥둘레에 고정한 비틀림고정부재와 상기 낮춤고정링크 및 일측의 바퀴고정프레임이 복수개의 비틀림로드로 연결되도록 되어서, 상기 시이트저면브라켓트를 중심으로 낮춤고정링크쪽이 비틀림 복원력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고안은 상기 시이트저면브라켓트에는, 상기 바퀴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트랜스밋션의 한쪽단부위가 고정되는 낮춤고정링크는 핀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의 시이트저면브라켓트에는 링크가 핀으로 고정되어 트랜스밋션의 토션스프링을 중심으로 시이트 밑 등받이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고안의 힌지(102)에 의해 등받이(101)와 시이트(100)가 각기 운동되는 시이트(100)와; 이 시이트(100)와 등받이(101)를 서로 상관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시이트유지링크(200), (200)와; 이 시이트유지링크(200), (200)에 형성되어 상기 시이트(100)의 위치변형에 따라서 등받이(101)를 일정 경사도로 탄성력있게 유지할 수 있는 고정힌지(300), (300)와; 또한 상기 시이트(1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시이트(100)의 누름력이 가해지면, 비틀림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시이트를 앞쪽으로 하강 및 복원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트랜스밋션(400);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고안은, 바퀴(501)가 장착되는 프레임(502)에 일정높이의 지주(503)가 형성되고, 이 지주(503)의 윗쪽에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고정축장착구멍(504), (504)과 이 고정축장착구멍(504), (504) 주위에 비틀림로드고정흠(505)이 형성된 바퀴고정프레임(500)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바퀴고정프레임(500)의 고정축장착구멍(504), (504)에는, 트랜스밋션(400)이 삽입되어 일측의 고정축장착구멍(504)으로는 트랜스밋션(400)의 비틀림로드(407)가 통과하여 낮춤고정링크(401)에 고정되고, 타측의 고정축장착구멍(504)으로는 트랜스밋션(400)의 비틀림로드(407)가 고정되어 토션스프링(405)이 링크(402)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낮춤고정링크(401)과 링크(402)양쪽단에는 시이트유지링크(200)의 고정체(202)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이트유지링크(200), (200)는 제 2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고정축장착구멍(504)에 피버트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랜스밋션(400)의 토션스프링고정흠(505)을 갖는 고정체(20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트랜스밋션(400)의 낮춤고정링크(401)와 링크(402)를 통해 토션스프링(405)과 핀(403)이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이트유지링크(200), (200)의 다른한쪽은 상기 등받이(101)에 고정되는 고정힌지(300), (300)가 설치되어, 바퀴고정프레임(500)의 트랜스밋션(400)에 연결되는 시이트유지링크(200)의 고정체(202)와 상호연동에 의해 시이트(100)의 위치변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 트랜스밋션(400)은 제 3 도(가),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시이트(1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시이트저면고정브라켓트(103)에 낮춤고정링크(401)와 링크(402)가 핀(409)에 의해 고정되어 후술하는 트랜스밋션(400)의 작용에 의해 상기 시이트(100)의 이동에 따라서 비틀림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시이트(100)부분과 등받이(101)부분이 상관운동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트랜스밋션(400)은, 제 3 도(가),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관체(404) 및 관체(404)내의 토션스프링(405)이 한쪽끝단은 이빨이 형성된 낮춤고정링크(401)에 고정되고, 다른한쪽은 역시 링크(402)에 관체(404)가 삽입되어 유동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이 토션스프링(405)의 끝단이 상기 링크(402)를 통해 시이트유지링크(200)의 고정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체(404)의 바깥둘레에는 비틀림고정부재(406)가 고정되고, 이비틀림고정부재(406)와 상기 낮춤고정링크(401)와는 복수개의 비틀림로드(407)로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의 비틀림로드(407)는 바퀴고정프레임(500)의 고정축장착구멍(504)주위에 형성된 비틀림로드고정흠(505)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비틀림로드(407)가 고정되는 비틀림고정부재(406)의 고정부위에는 각각의 경사요흠(408)이 형성되어, 상기 낮춤고정링크(401)에 의하여 비틀림로드(407)가 상기 비틀림고정부재(406)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3 도(가)와 같이 비틀림고정부재(406)를 중심으로 비틀림력을 받을 때, 비틀림로드(407)고정부의 비틀림폭을 보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낮춤고정링크(401)가 시이트(100)의 저면의 시이트저면브라켓트(103)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시이트(100)의 앞쪽이 눌려지면, 트랜스밋션(400)의 토션스프링(405)이 상기 한쪽의 시이트유지링크(200)의 고정체(202)에 고정된 상태에서 낮춤고정링크(401)쪽이 비틀림력의 반발된 힘으로 제 4 도의 (가)의 상태와 같이 위치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정상적인 자세에서 업무등을 볼때에는 제 4 도(가)의 상태와 같이 착석자세의 중심이 시이트(100)의 대략 중앙부위에 있으면서, 등받이(101)에 의하여 등이 받쳐진 상태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이트(100)의 앞쪽으로 착석중심이 이동하게 되면, 시이트(100)의 앞쪽이 눌려지게 되는 데, 이 시이트(100)의 저면은 제 4 도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트랜스밋션(400)의 낮춤고정링크(401)와 링크(402)와 시이트저면브라켓(103)에 핀(409)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트랜스밋션(400)에 누름력이 가하여 지게 된다.
따라서, 트랜스밋션(400)의 토션스프링(405)의 한쪽이 낮춤고정링크(401)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 한쪽이 시이트유지링크(200)의 고정체(202)에 고정되고, 또한 관체(404)에 고정된 비틀림고정부재(406)에 고정된 비틀림로드(407)의 한쪽이 낮춤고정링크(401)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이트(100)의 누름력이 트랜스밋션(400)의 낮춤고정링크(401)와 시이트유지링크(402)의 고정체(202)에 어느 정도 같이 전달되게 된다.
이로써, 낮춤고정링크(401)와 링크(402)가 시이트저면브라켓(103)을 중심으로 서서히 회전되다가 상기 토션스프링(405) 및 비틀림로드(407)의 탄성작용점에 이르면, 트랜스밋션(400)의 토션스프링(405)이 낮춤고정링크(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낮춤고정링크(401)쪽이 비틀려지고 시이트유지링크(200)의 고정체(202)에서는 비틀림에 대한 반발작용이 일어나 제 4 도(나)와 같이 시이트(10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시이트(100)앞쪽의 하강 중심점은 트랜스밋션(400)의 낮춤고정링크(401) 및 링크(402)가 시이트저면브라켓(103)의 핀(409)을 중심으로 회전되다가 상기 시이트유지링크(200)의 고정체(202)에서의 긴장상태이후 상기 시이트저면브라켓(103)의 중심축인 핀(409)을 중심으로 시이트(100)가 앞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밋션(400)의 낮춤고정링크(401) 및 링크(402)에 끼워지는 시이트유지링크(200), (200)는 제 4 도(나)와 같이 힌지(30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등받이를 끌어올리는것과 같이 등받이(101)를 상기의 화살표시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보상시켜 줌에 따라서 결국은 시이트(100)의 위치변형에 상관운동으로 등받이(101)는 시이트(100)의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착석자세를 정자세 또는 시이트에서 몸을 떼게 되면, 트랜스밋션(400)의 토션스프링(405) 및 비틀림로드(40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시이트(100)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등받이(101) 역시 고정힌지(300), (300)를 중심으로 복귀되어 제 4 도(가)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바퀴고정프레임상의 트랜스밋션의 토션스프링을 중심으로 피버트운동가능하도록 하면서 트랜스밋션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일정간격 하강가능하도록 시이트를 장착하고, 이 시이트와 연계하여 등받이가 시이트유지링크에 의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버트운동 가능하도록 하여, 시이트의 위치변형에 상관하여 등받이가 이상적인 경사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인체의 생리학적으로 근육계통의 이완과 척추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박의 감소 및 다리와 골반부위의 울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배면에 등받이(101)가 형성되어 있는 시이트(100)를 바퀴고정프레임(500)의 트랜스밋션(400)의 토션스프링(405)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시이트유지링크(200)와; 상기 시이트유지링크(200)의 타단이 등받이(101)에 연결되어 상기 시이트(100)의 등받이부분이 상기 트랜스밋션(400)의 토션스프링(405)을 중심으로 탄성력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정힌지(300)와; 상기 시이트(100)저면의 바퀴고정프레임(500)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한쪽은 낮춤고정링크(401)에 고정되고, 상기 다른한쪽은 시이트유지링크(200)의 고정체(202)에 삽입되어, 상기 시이트(100)의 이동에 따라서 비틀림 복원력을 가지는 트랜스밋션(400);으로 이루어져, 상기 시이트부분과 등받이부분이 연동하여 이동 및 복원가능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밋션(400)은, 관체(404) 및 관체(404)내의 토션스프링(405)이 한쪽끝단은 낮춤고정링크(401)에 고정되고, 다른한쪽은 일측의 바퀴고정프레임(500)에 관체(404)가 삽입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405)의 끝단이 상기 시이트유지링크(200)의 고정체(202)에 고정되고, 상기 관체(404)의 바깥둘레에 고정한 비틀림고정부재(406)와 상기 낮춤고정링크(401) 및 일측의 바퀴고정프레임(500)이 복수개의 비틀림로드(407)로 연결되도록 되어서, 상기 시이트저면브라켓트(103)를 중심으로 낮춤고정링크(401)쪽이 비틀림 복원력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청구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유지링크(200), (200)는, 시이트저면브라켓트(103)에는, 상기 바퀴고정프레임(500)에 설치되는 트랜스밋션(400)의 한쪽단부위가 고정되는 낮춤고정링크(401)는 핀(409)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의 시이트저면브라켓트(103)에는 링크(402)가 핀(409)으로 고정되어 트랜스밋션(400)의 토션스프링(405)을 중심으로 시이트(100) 및 등받이(101)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KR2019940019716U 1994-08-04 1994-08-04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KR0117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716U KR0117303Y1 (ko) 1994-08-04 1994-08-04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716U KR0117303Y1 (ko) 1994-08-04 1994-08-04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930U KR960006930U (ko) 1996-03-13
KR0117303Y1 true KR0117303Y1 (ko) 1998-05-15

Family

ID=1939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716U KR0117303Y1 (ko) 1994-08-04 1994-08-04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3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930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5093A (en) Work chair
EP2347679B1 (en) Chair
KR0166077B1 (ko) 의자의 로킹장치
US6739664B2 (en) Chair
US5577801A (en) Active dynamic seat
GB2282755A (en) Single piece chair shell
JPH0375165B2 (ko)
JPH0146126B2 (ko)
KR102364063B1 (ko)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IE990637A1 (en) A chair
EP1161904A1 (en) Chair with seat and backrest that oscillate in a synchronized way
EP0678259B1 (en) Self-balancing ergonomic armchair
US20050116527A1 (en) Ergonomic seating module and seat fitted with said module
JP3585013B2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CN111200955A (zh) 具有自调整接头的椅子
KR0117303Y1 (ko)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KR102100599B1 (ko) 다양한 신체에 적당한 형태로 변형되는 포위드 슬로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
KR102355428B1 (ko)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0117302Y1 (ko) 위치 변형가능한 의자.
KR101071058B1 (ko) 의자의 접철식 서포터 장치
JPH1071043A (ja) 椅子座部の傾動調整機構
CN212521276U (zh) 一种自适应椅背支撑装置
CN212878495U (zh) 一种用于椅具的背座联动装置
KR0117300Y1 (ko) 위치변형 가능한 의자
KR0117301Y1 (ko) 위치변형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8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0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2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