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7150Y1 - 드럼릴의 스플 구조 - Google Patents

드럼릴의 스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150Y1
KR0117150Y1 KR2019950000428U KR19950000428U KR0117150Y1 KR 0117150 Y1 KR0117150 Y1 KR 0117150Y1 KR 2019950000428 U KR2019950000428 U KR 2019950000428U KR 19950000428 U KR19950000428 U KR 19950000428U KR 0117150 Y1 KR0117150 Y1 KR 0117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holder
drum reel
ree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453U (ko
Inventor
이규철
Original Assignee
이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철 filed Critical 이규철
Priority to KR2019950000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150Y1/ko
Publication of KR960026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릴의 스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홀더를 구비하는 그럼릴에 있어서, 스풀홀더의 내측에 지지되는 스풀의 양단을 홀더의 외측까지 연장성형하여 스풀홀더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파팅라인이 외주연부에 생기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릴의스풀의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드럼릴의 스플구조
제 1 도는 종래의 드럼릴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 2 도는 그럼릴의 구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드럼릴의 사시도.
제 4 도는 제 3도의 A-A 선 단면도.
본 고안은 낚시용 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릴의 스풀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낚시에 사용되는 릴(Reel)은 통상 스피닝릴(Spinning reel)과 그럼릴(또는 스타드랙릴)로 대별된다. 스피닝릴은 사용이 간편하고 권취회전수가 빠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 릴의 핸들의 회전으로 감아들일수 있는 힘을 표시하는 조력이 크지 않다는 단점과 낚시줄을 감을 때 비틀어지는 단점이 있어서, 상당히 큰 힘으로 감아들이는 경우에는 드럼릴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먼저 제 1도 및 제 2도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드럼릴의 스풀(Spool)의 구성과 핸들에서 스풀의 회전까지의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릴(1)은 사람이 손으로 회전시키는 핸들(2)과, 상기핸들(2)의 회전이 회전축(3)을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전달기어부(4,5)와, 상기 기어부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낚시용 줄을 감아두는 부분인 스풀(6)과, 상기 스풀의 회전을 외측에서 지지하는 스풀홀더(7)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드럼릴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스풀(6)을 지지하기 위하여 스풀홀더(7)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8)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관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상기 스풀(6)은 낚시줄을 감아두기 위한 것으로 핸들의 회전애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6)은, 스풀홀더(7)에 대하여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그럼릴의 구성에 의해서는 항상 회전하는 스풀의 부분과, 고정되어 있는 스풀홀더(7)의 부분의 경계선에서 낚시줄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회전하는 스풀(6)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스풀홀더와의 경계선(이하에서는 파팅라인이라고 칭합니다)(P)에 의하여 낚시줄이 끼어서 들어가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스풀에서 낚시줄을 상기 파팅라인(P)의 이상으로 감아두는 것이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파팅라인보다 많이 낚시줄을 권취하면 스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낚시줄이 회전하지 않는 홀더의 경계부분과 회전하는 스풀의 경계부분인 파팅라인에 끼이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낚시줄을 그 이하로 감은 경우에도 낚시줄을 푸는 동작에 의하여 스풀이 역회전하거나, 원투에 의하여 낚시줄이 많이 풀려 스풀에서 느슨하게된 경우에, 낚시줄을 팽팽하게 하기 위하여 핸들을 돌려 이를 감을 경우에도 상기 파팅라인에 의하여 낚시줄이 끼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풀의 회전에 대하여 낚시줄이 기이지 않고, 많은 양의 낚시줄을 감을 수 있는 드럼릴의 수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홀더를 구비하는 드럼릴에 있어서, 스풀홀더의 내측에 지지되는 스풀의 양단을 홀더의 외측까지 연장성형하여 스풀홀더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파팅라인이 생기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풀(16)은 파팅라인(P)이, 드럼릴(10)의 내측벽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드럼릴(10)의 외주연부에 생기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드럼릴(10)도 스풀(16), 스풀홀더(17) 및 핸들(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종래의 것과 같으나, 제 3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드럼릴(10)의 스풀(16)은 스풀홀더(17)의 외형까지 연장성형되어 그 내측벽에는 파팅라인이 생기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12)은, 핸들축(13)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그 회전에 의하여, 스풀(1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조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스풀(16)이 외주면까지 연장되어서, 파팅라인(P)이 스풀홀더(17)의 외면인 외주면에 생기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스풀홀더(17)의 구성이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연장성형된 스풀(16)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부로 연장되며,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17a)와 돌기(17b)를 성형하여 맞물리는 것으로 구성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고정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드럼릴에 있어서, 핸들이 회전함으로서 스풀이 회전하기 까지의 구성과, 회전하는 스풀이 스풀홀더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등은 종래의 것과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드럼릴에 의하면, 스풀과 스풀홀더에 의하여 생기는 파팅라인이 스풀홀더의 외부 즉 스풀의 외주연부에 생기기 때문에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에서 낚시줄이 상기 파팅라인에 끼이게 되는 불편함이 해소되고, 드럼릴에서도 낚시줄을 제한없이 충분하게 감을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핸들이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풀(16)과, 상기 스풀(1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홀더(17)를 구비하는 드럼릴에 있어서, 스풀홀더(17)의 내측에 지지되는 스풀(16)의 양단을 홀더의 외측까지 연장성형하여 스풀홀더(17)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파팅라인(P)이 외주연부에 생기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릴의 스풀의 구조.
KR2019950000428U 1995-01-12 1995-01-12 드럼릴의 스플 구조 KR0117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428U KR0117150Y1 (ko) 1995-01-12 1995-01-12 드럼릴의 스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428U KR0117150Y1 (ko) 1995-01-12 1995-01-12 드럼릴의 스플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453U KR960026453U (ko) 1996-08-17
KR0117150Y1 true KR0117150Y1 (ko) 1998-04-22

Family

ID=1940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428U KR0117150Y1 (ko) 1995-01-12 1995-01-12 드럼릴의 스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1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453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32725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EP3498092B1 (en) Fishing spinning reel
US5193762A (en) Fishline guide mechanism in spinning reel for fishing
KR0117150Y1 (ko) 드럼릴의 스플 구조
US4778124A (en) Line retaining means for a spinning reel
JPH0529029Y2 (ko)
EP0711500B1 (en) Spinning reel
JP200114544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回転伝達装置
JP351046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47268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4476790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US4103843A (en) Fishing reel
JPH0817298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2433803B1 (ko) 낚시용 릴 전동장치
JPH0324058Y2 (ko)
JPH0825664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830002055Y1 (ko) 2중 드럼이 형성된 리일의 스플
JPH0316471Y2 (ko)
RU2128434C1 (ru) Спиннинговая катушка
JPH0755898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0201239Y1 (ko) 플라이 릴의 레버 윈드장치
JP2564056Y2 (ja) 釣糸反転巻替糸巻具
JPH07327559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KR950000735Y1 (ko) 견지 낚시용 릴 낚시대
JP2580833Y2 (ja) ナイロンコード型刈払機におけるリール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1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11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707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1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1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