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4946Y1 -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946Y1
KR0114946Y1 KR2019950009387U KR19950009387U KR0114946Y1 KR 0114946 Y1 KR0114946 Y1 KR 0114946Y1 KR 2019950009387 U KR2019950009387 U KR 2019950009387U KR 19950009387 U KR19950009387 U KR 19950009387U KR 0114946 Y1 KR0114946 Y1 KR 0114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upper body
lid
lower body
recyc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366U (ko
Inventor
이지욱
Original Assignee
이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욱 filed Critical 이지욱
Priority to KR2019950009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946Y1/ko
Publication of KR960037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3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67Handles with respective ends fixed to local areas of two opposite sides or wall-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12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2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56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쓰레기를 최초 발생단계에서 재활용되지 않는 잡쓰레기류와 산업상 재활용하기 위하여 재생처리하는 폐지류 및 캔병류등으로 삼분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분리수거할 수 있으며, 분류된 쓰레기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며, 이는 내부가 격벽(110)에 의하여 재활용되지 않는 잡쓰레기류를 수납하는 잡쓰레기함(112)과 재생처리되는 폐지류를 수납하는 폐지함(114)으로 양분된 상체(100)와, 이 상체(100)의 하부에 착탈자재로 결합되고 일측면(420)에 형성된 투입구(422)로 재생처리되는 캔병류를 수납하는 하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잡쓰레기함(112)은 뚜껑(200)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체(100)의 하면(140)에 하단 주연부(122)와 턱이 지도록 형성된 걸림편(142)과 하체(200)의 상단 주연부(410)에 끼워지는 H형 단면의 클립(20)으로 상체(100)와 하체(200)가 착탈되고, 상기 뚜껑(200)은 상체(100)의 상단 주연부(120)에 하면(310)의 요입홈(312)으로 끼움고정되는 테두리보강재(300)의 고정턱(320) 내측면(322)의 결합돌기(323)에 설치되며, 상기 뚜껑(200)이 전도된 경우에 그 전단에 형성된 손잡이편(220)이 위치하는 지점의 하방으로 상체(100)의 일측면(130)과 하체(400)의 투입구(422) 경사벽면(424)에 각각의 손잡이공(132)(4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쓰레기통 20 : 클립
30 : 손잡이 32 : 결합공
100 : 상체 110 : 격벽
112 : 잡쓰레기함 114 : 폐지함
120 : 상단 주연부 122 : 하단 주연부
130 : 측면 132 : 손잡이공
140 : 하면 142 : 걸림면
200 : 뚜껑 210 : 절결부
212 : 결합홈 220 : 손잡이편
300 : 테두리보강재 310 : 하면
312 : 요입홈 320 : 고정턱
322, 324 : 측면 323, 325 : 결합돌기
400 : 하체 410 : 상단 주연부
420 : 측면 422 : 투입구
424 : 경사벽면 426 : 손잡이공
428 : 통공
본 고안은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를 최초 발생단계에서 재활용되지 않는 잡쓰레기류와 산업상 재활용하기 위하여 재생처리하는 폐지류 및 캔병류 등으로 삼분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한개의 쓰레기통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요즈음에는, 쓰레기처리 문제가 여러가지 환경문제들 중에서 가장 심각한 현안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가정, 사무실, 병원, 접객업소, 호텔 등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의 종류는 세분하면 끝이 없으나, 구미의 선진국등에서는 쓰레기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재활용하지 않고 매립이나 소각하는 잡쓰레기류와, 산업상 재활용하기 위하여 재생처리하는 폐지류 및 캔병류로 쓰레기를 삼분하여 분리수거하고 있다.
상기 잡쓰레기류는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찌꺼기와 같은 부엌쓰레기나 병원에서 배출되는 장기적출물과 폐의료기구 등과 같이 부패가능하고 비위생적인 쓰레기를 포함하며, 폐지류는 신문이나 잡지, 도서 등의 재생가능한 인쇄물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쓰레기의 분리수거는 환경보호와 자원재활용을 위해서 이미 국내에서도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쓰레기의 분류는 효율성의 측면에서 볼 때 쓰레기의 최초 발생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쓰레기의 주발생원인 가정, 사무실, 병원, 접객업소, 호텔 등의 단위공간에 비치된 통상적인 쓰레기통은 단일의 쓰레기 수납공간만을 갖고 있어 쓰레기를 최초 발생단계에서 분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이와 같이 분류되지 않은 쓰레기를 수거하는 작업원이 분리수거 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가 매립 또는 소각처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쓰레기를 최초 발생단계에서 분리수거하기 위하여 다수의 쓰레기통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은 사용이 불편하고, 많은 공간이 소요되며, 미관상 좋지 않아 기피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 제공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단순히 내부 수납공간이 복수개의 격실로 구획형성되었을 뿐, 분류된 쓰레기를 사용자가 손을 대지 않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쓰레기통을 비우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이 쓰레기에 접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쓰레기를 최초 발생단계에서 재활용되지 않는 잡쓰레기류와 산업상 재활용하기 위하여 재생처리하는 폐지류 및 캔병류 등으로 삼분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분리수거할 수 있으며, 분류된 쓰레기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가 격벽에 의하여 재활용되지 않는 잡쓰레기류를 수납하는 잡쓰레기함과 재생처리되는 폐지류를 수납하는 폐지함으로 양분된 상체와, 이 상체의 하부에 착탈자재로 결합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투입구로 재생처리되는 캔병류를 수납하는 하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잡쓰레기함은 뚜껑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체의 하면에 하단 주연부와 턱이 지도록 형성된 걸림편과 하체의 상단 주연부에 끼워지는 H형 단면의 클립으로 상체와 하체가 착탈되고, 상기 뚜껑은 상체의 상단 주연부에 하면의 요입홈으로 끼움고정되는 테두리보강재의 고정턱 내측면의 결합돌기에 설치되며, 상기 뚜껑이 전도된 경우에 그 전단에 형성된 손잡이편이 위치하는 지점의 하방으로 상체의 일측면과 하체의 투입구 경사벽면에 각각의 손잡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0)은 상호 착탈가능한 상체(100)와 하체(40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체(100)는 내부 수납공간이 격벽(110)으로 양분되어 일측에 잡쓰레기류가 수납되는 잡쓰레기함(112)과 그 타측에 폐지류가 수납되는 폐지함(114)이 구획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체(100)의 내분공간을 양분하는 격벽(110)의 형성위치는 특정한 곳에 한정되지 않고, 격벽(110)에 의하여 구획형성되는 잡쓰레기함(112)과 폐지함(114)의 면적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증감설계될 수 있다.
상기 폐지함(114)은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잡쓰레기함(112)은 그 전단에 손잡이편(220)을 갖는 뚜껑(200)으로 개폐되게 형성되며, 상체(100)의 일측면(130)에는 잡쓰레기함(112)을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200)을 전도시켰을 경우에 손잡이편(220)이 위치하는 지점의 하방으로 손잡이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200)은 그 양측 후단의 절결부(210)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상체(100)의 상단 주연부(120)에 끼움고정되는 테두리보강재(300)의 고정턱(320) 내측면(322)의 결합돌기(323)를 끼움으로써 잡쓰레기류의 격실(112)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그 전단에는 뚜껑(20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편(220)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보강재(300)는 그 하면(310)에 형성된 요입홈(312)으로 상체(100)의 상단 주연부(120)에 끼움고정되고, 양측 후단에 고정턱(320)이 상향돌출되게 형성되며, 고정턱(32)의 내외 양측면(322)(324)에 뚜껑(200)과 손잡이(30)가 설치되는 결합돌기(323)(32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턱(320)의 외측 결합돌기(325)에는 상체(100)와 하체(400)가 결합된 쓰레기통(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0)가 설치되며, 이는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캔병류가 수납되는 하체(400)는 일측면(420)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는 투입구(422)가 형성되고, 투입구(422)의 경사벽면(424)에는 손잡이공(426)이 형성된다.
상기 하체(400)의 측면(420)에는 통기효과를 가지며 내부의 수납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428)이 형성된다.
한편, 상체(100)와 하체(400)는 하체(400)의 상단 주연부(410)와 상체(100)의 걸림편(142)에 끼워지는 H형 단면의 클립(20)으로 결합된다.
상기 클립(20)은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하여 하체(400)의 상단 주연부(410)와 억지끼움이 되고 상체(100)의 걸림편(142)과 헐거운끼움이 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하체(400)의 상단 주연부(410)에 본드와 같은 접착제로 견고하게 고정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편(142)은 상체(100)의 하면(140)에 하단 주연부(122)와 턱이 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체(100)와 하체(400)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나,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미설명부호 32는 손잡이(30)의 결합공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가정에서 배출되는 부패가능한 음식물찌꺼기와 같은 부엌쓰레기나 병원에서 배출되는 비위생적인 장기적출물과 폐의료기구 등을 포함하는 잡쓰레기류는 상체(100)의 일측 잡쓰레기함(112)에 수납하게 되고, 신문이나 도서, 잡지 등의 폐지류는 상체(100)의 타측 폐지함(114)에 수납하게 되며, 캔병류는 하체(400)에 일측면(420)의 투입구(422)를 통하여 수납하게 된다.
상기 잡쓰레기함(112)은 전단에 손잡이편(220)을 갖는 뚜껑(200)으로 개폐되므로 내부에 수납된 잡쓰레기의 악취가 차단되고 미관상 좋게 된다.
그리고, 잡쓰레기함(112)에 수납된 쓰레기의 처리는 상체(100)와 하체(400)를 분리한 후에, 잡쓰레기함(112) 상부의 뚜껑(200)을 전도시켜 뚜껑(200)의 손잡이편(220)과 이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체(100) 일측면(130)의 손잡이공(132)을 한손으로 지지하여 상체(100)를 들어올린 다음, 수납된 쓰레기를 쏟아버림으로써 간단하고 위생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체(400)에 수납된 캔병류의 처리는 상체(100)와 분리된 하체(400)의 투입구(422) 경사벽면(424)에 형성된 손잡이공(426)을 한손으로 지지하여 하체(400)를 들어올린 다음, 개구된 하체(400)의 상방으로 쏟아버리게 된다.
한편, 하체(400)의 측면(420)에 형성된 통공(428)으로는 하체(400) 내부에 수납된 캔병류의 상태와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체(100)와 하체(400)가 결합된 쓰레기통(10)은 상체(100)의 테두리보강재(300)에 부착된 손잡이(30)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체(100)와 하체(400)를 결합하는 H형 단면의 클립(20)은 하체(400)의 상단 주연부(410)와 억지끼움이 되어 상당한 힘을 견딜 수 있고 상체(100)의 걸림편(142)과 헐거운끼움이 되어 약간의 힘을 가하면 분리가 되므로써, 상체(100)와 하체(400)의 결합이 견고하게 됨과 아울러 그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쓰레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최초 발생단계에서 분리 수납할 수 있으며, 그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므로써, 일반 국민의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환경보호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지구촌의 환경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본 고안의 가능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그 형상 및 구성은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4)

  1. 내부가 격벽(110)에 의하여 재활용되지 않는 잡쓰레기류를 수납하는 잡쓰레기함(112)과 재생처리되는 폐지류를 수납하는 폐지함(114)으로 양분된 상체(100)와, 이 상체(100)의 하부에 착탈자재로 결합되고 일측면(420)에 형성된 투입구(422)로 재생처리되는 캔병류를 수납하는 하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잡쓰레기함(112)은 뚜껑(200)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100)의 하면(140)의 하단 주연부(122)와 턱이 지도록 형성된 걸림편(142)과 하체(400)의 상단 주연부(410)에 끼워지는 H형 단면의 클립(20)으로 상체(100)와 하체(200)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상체(100)의 상단 주연부(120)에 하면(310)의 요입홈(312)으로 끼움고정되는 테두리보강재(300)의 고정턱(320) 내측면(322)의 결합돌기(323)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이 전도된 경우에 그 전단에 형성된 손잡이편(220)이 위치하는 지점의 하방으로 상체(100)의 일측면(130)과 하체(400)의 투입구(422) 경사벽면(424)에 각각의 손잡이공(132)(4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19950009387U 1995-05-03 1995-05-03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0114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387U KR0114946Y1 (ko) 1995-05-03 1995-05-03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387U KR0114946Y1 (ko) 1995-05-03 1995-05-03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366U KR960037366U (ko) 1996-12-16
KR0114946Y1 true KR0114946Y1 (ko) 1998-04-16

Family

ID=1941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387U KR0114946Y1 (ko) 1995-05-03 1995-05-03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9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366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2235A (en) Receptacle for recyclable materials
US4988010A (en) Compartmentalized trash container
US5398838A (en) Rad recycle bin
US6179151B1 (en) Garbage container
US7290674B1 (en) Bifurcated trash bin
US4940159A (en) Compartmented refuse container
US20080251519A1 (en) Waste Module
KR20180006071A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KR101639476B1 (ko) 분리수거함
KR0114946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GB2252898A (en) A compartmentalised container for recyclable waste
KR200419918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A2504055A1 (en) Waste container assembly
KR200295741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890005197Y1 (ko) 분리 수거형 쓰레기통
KR200323957Y1 (ko) 재활용품 수거대
KR200300830Y1 (ko) 뚜껑이 자동으로 닫히는 휴지통
CN210456076U (zh) 一种分类垃圾桶
KR0116276Y1 (ko) 종량제용 실내 쓰레기통
KR200388247Y1 (ko) 쓰레기 수납통이 설치된 가구
JP3020950U (ja) ホッパー蓋付き分別ゴミ入れ
KR200314362Y1 (ko) 분할 용기형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JP2541437Y2 (ja) ゴミ箱
KR200411681Y1 (ko) 재활용품 분리수거기
KR200412861Y1 (ko) 서랍식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50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0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2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12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